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한 교육 분야 양성평등정책 분석: 제1차 양성평등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남미영(Nam, Mi-Young),정제영(Chung, Jae Yo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3
이 연구는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 중에서 교육 분야 정책 과제를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진단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미투운동 등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는 것과 관련하여 ‘교육 분야의 양성평등 강화’라는 정책 과제를 실현시키기 위해 교육부 등은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는지 점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양성평등교육이 성 평등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만큼 정책이 본래의 목적에 부합하여 실효성 있게 추진되고 있는지 구체적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실태를 분석해야 한다. 성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왜곡된 사회적인 현상들을 통해 앞으로 양성평등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추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의 다차원 정책분석, 즉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에서 양성평등정책 중에서 교육 분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양성평등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규범적 차원에서는 양성평등관점 강화, 양성평등 의식 제고 측면을 분석하였고, 구조적 차원에서는 교육부, 시․도교육청, 학교 측면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육부와 교육청 전문직, 교원 및 학생, 학부모 측면을 분석하였고, 기술적 차원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교원 연수, 평가 방법 개선, 고등교육 양성평등 운영 강화 측면 등을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iagnose policy tasks in the education sector using a multi-dimensional policy model among the ‘basic plans for the gender equality policy’. It is necessary to check what effort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others have made to realize the policy task of enhancing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field concerning the recent spread of the ‘Me too movement’ across society. In particular, as gender equality education deals with gender equality, the situation should be analyzed from a specific and diverse standpoint whether policies are implemented eff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ir original purpose. Through the distorted social phenomena that appear in relation to performance, we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gender equality policy should be pursued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multi-dimensional policy model of Cooper, Fusarelli and Randall (2004) was performed in terms of the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 and technical dimension. At the normative dimension, the two sides were analyzed to enhance the sense of gender equality and to enhanc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terms of structural dimension, there were Ministry of Education,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In addition, constituentive dimension was used to analyze public officer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the technical dimension, curriculum, teacher training, educational evaluation, and higher education were analyzed.
홍정화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3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3 No.1
본 논문에서는 실증주의 연구방법에 대한 회의에서 비롯된 사회과학의 연구방법으로서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책분석에 있어서 가치중립적이고 객관적인 방식인 실증주의적 방법이 정책연구에서 요구되는 중요한 사항들인 이해관계자의 갈등, 갈등과 투쟁을 통한 그들의 관여 역학관계, 그리고 다차원적 관점 등에 충족되지 못한다는 것에 회의가 있어왔다.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담론 분석 방법을 육아휴직정책분석에 다음과 같이 시도해 보았다. 분석의 대상은 육아휴직정책을 위한 정책담론들이고, 분석을 위한 정책담론 출처는 육아휴직정책과 관련한 모든 기호화된 자료들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국회 회의록을 주된 자료로 하여 기사 및 보도자료 등의 담론 기록들을 분석을 위한 대상 자료들로써 활용하였다. 정책분석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방법의 시도를 통해서 정책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정책 환류를 위한 가치의 문제에 접근해보고자 하였다.
홍준현 한국정책과학학회 2004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8 No.3
본 논문에서는 정책과정에서의 윤리성의 문제를 정책분석에 국한하여, 정책분석가에게 요구되는 윤리의 내용에 대한 기존의 규범적 연구에 비추어, 실제로 정책분석가들이 이러한 정책분석과정에서 요구되는 윤리의 중요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더 나아가 어느 정도 실천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atton and Sawicki(1993)의 구분에 따라 정책분석가의 윤리를 정책분석가 자신과 관련된 윤리, 의뢰인과 관련된 윤리, 동료나 직업과 관련된 윤리, 일반국민과 관련된 윤리의 4가지 차원으로 구분한 후 다시 그 세부적인 내용에 따라 구체적인 정책분석가의 윤리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분석틀에 따라 조사표를 구성하였다. 조사는 대학의 교원과 연구소의 연구원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분석결과, 정책분석가들이 일반국민과 관련된 윤리와 동료나 직업과 관련된 윤리를 보다 잘 실천하고 있고, 의뢰인과 관련된 윤리와 정책분석가 자신과 관련된 윤리를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은 정책분석가들이 연구프로젝트 수행시 봉착하게 되는 애로사항과도 관련된 것이다. 정책분석가의 집단별로 구분하여 살펴 볼 때, 특히 비전임교원의 경우 윤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에 대비한 윤리의 실천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결과는 비전임교원에 대해서 정책분석과정에서의 윤리 확보를 위한 특별한 배려가 요구됨을 나타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신황용,이희선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0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0 No.4
본 연구는 "세종시 건설의 바람직한 정책주장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정의하고, "세종시 건설을 위한 원안 및 수정론에서 주장하는 최선의 정책주장은 무엇인가?"의 문제를 보다 구체적인 쟁점으로 삼아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종시 건설의 추진과정, 주요 논쟁의 쟁점들을 살펴보고 이해당사자들 간의 대립되는 찬반의 논란을 규명하는 정책논변모형의 분석 틀을 정립 한 후 세종시 건설 원안을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수정안을 채택할 것인가에 대한 논쟁을 분석한 후 정책주장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 실증적 계층구조분석을 실시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가치가 개입된 규범적 정책논변분석에서는 어느 정책주장이 더 최적 대안인지 사실상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실증적 계층구조분석 결과는 정책주장 중 행정복합도시(안)이 평가기준들을 달성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최적 정책주장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민감도분석 결과도 선택된 정책주장의 우선순위는 변화가 없었다. 둘째, 양 분석을 종합하여 볼 때 한정어는 이해관련자 설득과 사회적 합의 충족을 위하여 '점진적으로(gradually)'라는 표현이 적합할 것이다. 셋째, 비구조적인 의사결정문제인 세종시 건설의 정책주장 분석에 규범적 분석인 정책논변모형과 실증적 평가인 계층구조분석(AHP) 및 민감도분석(SA)을 결합하여 분석함으로써 정책주장 대안의 평가에 있어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김인성(In-Seong Kim),배기수(Khee-Su Bae) 한국창업학회 2021 한국창업학회지 Vol.16 No.5
국가의 중소기업지원정책에 대한 효과는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으나 산출되는 성과는 중소기업의 역량강화, 경쟁력제고, 수출증대 등의 다양한 효과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경영성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현황과 경영성과 지표를 이용하여 성과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1996~2019년까지의 혁신형 중소기업현황과 R&D 투입비용, 벤처기업현황 그리고 1984~2019년까지의 중소제조기업에 대한 경영성과지표이며, 추가로 1998~2019년까지 중소기업지원정책 금융지표 3가지와 기업의 경영성과지표 9가지를 선정하여 DEA 분석을 이용하여 정책의 효율성과 경향을 분석하였다. 중소기업 현황분석에서 중소기업의 비중은 99.9%, 종사자는 83.1%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총매출액은 전체의 48.5%에 불과하고 중소제조업의 총생산액은 증가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지표를 4가지로 구분하여 추세 분석한 결과 성장성 지표와 생산성 지표가 하향 추세로서 성과가 감소하고 있으며, 수익성 지표에서는 영업이익률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EA 효율성 분석을 이용하여 중소기업지원 정책 효과를 연도별 효율성 점수로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지원정책의 효과를 나타내는 효율성의 증가추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 of the government s SMEs support policy can be analyzed in various ways, but the result produced is ultimately expressed as a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various effects such as capacity building of SMEs,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and export increase.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performance using the current status of SM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s. The data for the study are the status of innovative SMEs from 1996 to 2019, R&D input costs, the status of venture compan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s for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from 1984 to 2019. In addition, from 1998 to 2019, three financial indicators for SME support policy and nine business performance indicators were selected and the efficiency and trends of policies were analyzed using DEA analysis. In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SMEs, the proportion of SMEs increased to 99.9% and the number of workers increased to 83.1%, but the total sales of SMEs accounted for only 48.5% of the total firms production, and the growth rate of the total output of manufacturing SMEs was decreasing.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divid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s of SMEs into four categories, the growth and productivity indicators showed a downward trend, resulting in a decrease in performance and profitability indicators showed a decrease in the operating profit rati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MEs support policy as an efficiency score by year using DEA statistics, there was no trend of increasing efficiency indicating the effect of the SMEs support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previous studies, improvement plan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MEs support policies were suggested.
홍근석,이진만,김준모 경인행정학회 2012 한국정책연구 Vol.12 No.2
경기도의 외국인정책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집행되고 있는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시각화하고, 네트워크 분석지표를 통해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행정안전부가 경기도의 외국인정책 네트워크에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안산시는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자체사업을 시행하였으며, 다른 기관과의 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블록모델링 분석을 통해 경기도의 외국인정책 네트워크가 위계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중앙부처에서 광역단체, 기초자치단체, 민간부문의 순으로 하향식 정책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기도 외국인정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 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원자력 발전정책의 변동요인 비교연구 - 퍼지셋분석을 중심으로 -
용태석 ( Taeseok Yong ),이은국 ( Eunkook Lee ),박대민 ( Daemin Park ),김지혜 ( Jihye Kim ) 한국정책학회 2019 韓國政策學會報 Vol.28 No.1
후쿠시마 원전사고라는 동일한 사건에 대해 국가별로 상이한 정책변화가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가별 원전정책 변동요인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을 바탕으로 퍼지셋 이상형분석과 퍼지셋 질적비교분석방법론을 적용하여 국가별 원전정책 변동요인을 살펴보았다. 우선 퍼지셋 이상형분석을 통해 분석대상국가의 유형을 환경규제압력, 에너지안보, 경제적 요인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정책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퍼지셋 이상형분석에 따른 국가유형별 정책변화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sQCA)을 실시한 결과, 원전에 대한 국민의 사회적 수용성이 원전확대정책의 충분조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실가스 감축압력이나 원전수출여부, 정책확산 등은 결합조건에 따라 상이하게 원전확대정책을 야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범위 수준의 국가를 대상으로 질적비교분석방법을 적용해 원전정책 변동을 분석함으로써 원전정책 비교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원전정책 변동의 인과적 복잡성을 제시했다는 정책적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원전정책 변동에 대한 체계적 분석모형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hat causes different nuclear power policy responses to the same incident such as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The question, underlying the analysis of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factors that may have affected countries to implement changes in its nuclear power policy since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To answer the question,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and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ologies were used under a historical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First, through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the ideal type of the target countries for this analysis was configured by using three dimensions, which are defined as, respectively: C (regulatory pressur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 (energy security), and E (economic factor). The ideal types were constructed and was followed by a subsequent evaluation regarding policy changes of respective countries categorized within each ideal type. As a complement to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fuzzy-set qualitative comparison analysis was employed to further assess the policy change results derived from each country classifications. After examining the combinations of causal conditions that provoke the expansion of nuclear power policy, it was observed that the public’s social acceptability serves as a sufficient condition that affects the expansion of nuclear power policy. 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condition, conditions respective to international pressure from greenhouse gas emission regulations, the participation in nuclear-power component exports, and the policy diffusion of expanding nuclear power policy, provoked varying results regarding the expansion of nuclear power policy. This study has theore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has broadened the comparative study of nuclear power policy by analyzing the nuclear power policy change of 20 medium-sized countries by applying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And the study proposes the causal complexity of nuclear power policy change holds political meaning,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analysis model upon future nuclear power policy changes.
교육정책 분석을 위한 방법론 탐색: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손흥숙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1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기법은 교육정책의 담론과 사회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읽어내는 데 유용한 연구방법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교육정책 분석에서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이 활발하게 활용되지 않고 있다. 그것은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이 교육정책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서 체계적으로 소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교육정책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활성화를 위한 하나의 일환으로서, 정책 텍스트 분석 사례를 바탕으로,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의 체계적인 분석 단계를 상세하게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은 비판적 담론분석의 한 갈래이며, 1990년대 이래로 발전해 오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 Fairclough는 1단계 기호학적 사회문제 찾기, 2단계 사회문제 분석, 3단계 사회문제와 사회체제와의 관계 분석, 4단계 정책의 긴장, 모순, 간격 분석, 그리고 5단계 연구의 비판적 숙고 등의 5단계의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은 한국 교육정책의 담론과 사회적 의미 사이의 관계뿐만 아니라 교육정책에서의 권력관계와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밝히고자 할 때, 그리고 궁극적으로 진보적 사회변화를 위한 과학적 근거를 모색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국의 교육정책 연구가 ‘정책을 위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에서, 한국 교육정책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활성화는 ‘교육정책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useful to explain and interpret the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 policy discourse to the social meanings. Nevertheless,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has not been actually vastly underutilized in Korean education policy analysis. This study starts in the critical mind that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has not been introduced as research method of education policy. Thus this study is focus on the introduction of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s one of the research methods of education policy.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has developed as one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pproaches since 1990s. By 2000s, Fairclough introduced an analytical framework of 5 stages: stage 1: A social problem in its semiotic aspect, stage 2: Identify obstacles to it being tackled, stage 3: Does the social order 'need' the problem? stage 4: Possible ways past the obstacles, stage 5: Reflection on the analysis. Fairclough analysed the Green Paper on Welfare Reform to show how to use this analytical framework.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appropriate for critical policy analysis because it allows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of policy discourse to social processes, power and ideology. Education policy analysis has been concentrated in 'the study for policy' in Korea. I expect that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plays a role stimulating 'the study of policy'. But we also must try to get over limits of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신황용,이희선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1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1 No.1
본 연구는 “세종시 건설의 바람직한 정책주장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정의하고, “세종시 건설을 위한 원안 및 수정론에서 주장하는 최선의 정책주장은 무엇인가?”의 문제를 보다 구체적인 쟁점으로 삼아 정책논변 및 계층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분석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가치가 개입된 규범적 정책논변분석에서는 어느 정책주장이 보다 최적 대안인지 사실상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실증적 계층구조분석 결과는 정책주장 중 행정복합도시(안)이 평가기준들을 달성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최적 정책주장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민감도분석 결과도 선택된 정책주장의 우선순위는 변화가 없었다. 둘째, 양분석을 종합하여 볼 때 한정어는 이해관련자 설득과 사회적 합의 충족을 위하여 ‘점진적으로(gradually)’라는 표현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비정형화된 의사결정문제인 세종시 건설의 정책주장 분석에 규범적 분석인 정책논변분석과 실증적 분석평가인 계층구조분석(AHP) 및 민감도분석(SA)을 결합하여 분석함으로써 정책주장 대안의 평가에 있어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교육정책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이기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목적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인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교육정책 관련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교육정책 연구의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데이터베이스 및 한국교육행정학회 홈페이지의 자료검색을 통해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교육정책’ 에 대한 논문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 논문은 218편이었다. 분석 기준으로는 부문 영역 및 목적, 정책 과정과 수준, 연구방법 등으로 설정하였으며, 문헌 분석연구의 일환으로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2008년-2021년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교육정책 관련 218편 논문에 대한 부문 영역별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초⋅중등교육, 고등교육, 교원 등의 순이었으며, 연구주제별로는 자유학기제 정책, 혁신학교정책, 교원능력개발평가제, 교장공모제 등의 순이었으며, 연구목적별로는 현황 및 실태분석, 정책대안 및 개선 방안, 검증 및 적용 등의 순이었다. 둘째, 정책 과정별 연구동향에서는 정책평가, 정책집행, 정책결정 등의 순이었으며, 정책 수준별로는 국가 수준, 시⋅도 수준, 단위학교 수준 등이었다. 셋째, 자료수집 방법별 연구 동향에서는 문헌, 통계자료, 질문지 등의 순이었으며, 연구형태별로는 분석연구, 기술적 연구, 비교연구등의 순이었다. 결론 이상의 교육정책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결론은 초⋅중등교육 영역, 자유학기제 및 혁신학교 정책의연구주제, 현황 및 실태분석의 연구목적, 정책평가의 과정, 국가 수준, 문헌 자료수집 방법, 분석연구의 형태 등이 주요 연구 동향이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의 부문 영역, 연구목적 및 연구형태의 다양성 추구 등의 연구범위를 확대한다는 차원에서 후속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targeting educational policy-related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ne of the Korean journals, as the subjects of analysis and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domestic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findings of analysis. Methods By searching for data from the database of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the website of the Korea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this author collected data about theses on ‘education polic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systematic ways, and for final analysis, 218 theses were selected. The criteria of analysis were set as sector areas and purposes, policy processes and levels, and research methods, etc. As part of reviewing the literatures, Excel program was utiliz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by sector areas with 218 educational policy-related theses published i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2008 to 2021,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higher education, and teachers were found in order. Concerning the topics of research, free semester policy, innovative school policy, the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 evaluation system, and principal competition system were found in order. Regarding the purposes of research,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 political alternative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and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were found in order. Second, about the trends of research in policy processes, policy evaluation, policy execution, and policy decision were found in order, and in policy levels, the national level, city/province level, and the unit school level were found in order. Third, in the trends of research regarding data collection methods, literatures, statistical data, and questionnaires were found in order, and about the forms of research, analytic research, descriptive research, and comparative research were found in order.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on educational policy, this researcher has derived following conclusions. Major research trends are associated with the area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topic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innovative school policy, research purposes of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 processes of policy evaluation, the national level, the method of collecting literatures, and the form of analytic research. Follow-up research will have to b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broadening the range of research regarding various sector areas, research purposes, or the pursuit of diversity in the forms of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