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원 치유활동이 노인의 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미옥,서주영,이성준,구본학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1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arden healing activity program on the stress change of the elderly. For the study subjects, 13 elderly people with a stress index score of 9 or higher were selected among the sensitive and vulnerable groups who received a lot of stress in the Cheonan area. The garden healing activity program was conducted 9 times in a place that was created as a healing garden.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verified through brainstorming FGI by forming an expert group, and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garden decoration, garden appreciation, and garden management. The program diagnosis tool used the PWI-SF questionnaire, which is a stress scale test paper before and after program activities, and consists of 18 item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ress before and after program activity, the stress change according to the program activity decreased in a significant range for all 9 programs. In the garden,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ling activity program affects stress and has a physical and healthy healing effect. The program that showed the highest change was [Making a garden sculpture], showing the largest difference with a difference of 0.26 points. The type appeared as a garden decoration. The program with the least stress change was [Understand me sweetly], showing the lowest difference with a score of 0.09. Second, as a result of pre- and post-analysis according to the stress items before and after garden healing activity program, 8 were most significant in the 3rd session [Making a garden sculpture] program. In the 4th [Maintaining the garden] and 8th [My Garden Story] programs, the least significance was recognized with 0.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item scores before and after program activities, most items had lower item values than before and after, and some physical activities caused physical stress in energy-consuming activities, or increased item numbers as part of the healing proc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arden healing activity program affects the stress change of the elderly, and it is judged that it can be suggested as a way to solve the stress problem of the elderly. In addition, through garden healing activities, people and nature coexist, and it will be possible to realize green welfare to enjoy a healthy life, and it is judged that the garden will be widely used as a function of a healing garden. 본 연구는 정원 치유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천안지역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민감취약층 중 스트레스지수가 9점 이상인 노인 13명을 선정하였다. 치유정원으로 조성된 곳에서 정원 치유활동 프로그램을 9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브레인 스토밍 FGI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 및 검증하였으며, 정원장식, 정원감상, 정원관리로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프로그램 진단도구는 프로그램 활동 사전 사후에 스트레스 척도 검사지인 PWI-SF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1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활동 전-후 스트레스 결과 프로그램 활동에 따른 스트레스 변화는 9개 프로그램 모두 유의한 범위에서 감소하였다. 정원에서 치유활동 프로그램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신체적, 건강적으로 치유의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장 높은 변화를 보인 프로그램은 [정원 조형물 만들기]로 차이는 0.26점으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였다. 유형은 정원장식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변화가 가장 적었던 프로그램은 [달콤한 나를 이해하기]로 0.09점으로 가장 낮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정원 치유활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 스트레스 항목에 따른 전후 분석 결과, 3차시 [정원 조형물 만들기] 프로그램에서 8개로 가장 많이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4차시 [정원 유지 관리하기], 8차시 [나의 정원이야기] 프로그램에서 0개로 가장 적은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프로그램 활동 전-후 항목 점수 차이 결과 대다수 항목에서 사전보다 사후에서 항목 수치가 낮아졌으며, 일부 신체활동을 통해 에너지를 소비하는 활동에서 신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아 부정적이게 되거나, 치유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항목 수치가 높아진 것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정원 치유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스트레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원 치유활동으로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녹색복지를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며, 정원이 힐링정원의 기능으로 많이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우복 정경세 철학에서의 전례문제

        장세호(Chang Seh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3

        인조가 반정을 통하여 왕위에 오르면서 사친(私親)인 정원군에 대한 애정으로 자식으로서의 효의 감정을 숨길 수가 없었다. 이런 것이 인조반정의 주체세력인 박지계와 그의 주변 사람들이 그러한 문제를 해결해 주기 위하여 전례(典禮)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먼저 인조가 사묘친제(私廟親祭) 때에 사친인 정원군을 어떻게 불러야할 것인가가 문제가 되는데 대부분의 논의에 참여한 사람들은 아버지라고 불러야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정경세는 인조가 선조의 친손자이기에 사친인 정원군에 대한 제사 때의 축문칭호는 현고(顯考)는 안 되고 그냥 고(考)로 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 뒤 인조의 생모인 계운궁의 상을 당하게 되자 박지계는 인조가 삼년상 복을 입고 백관이 기년복을 입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정경세는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 부장기가 옳다고 하였다. 물론 인조도 박지계의 주장처럼 어머니에 대하여 삼년상을 하고 싶었다. 그러나 인조가 대통을 계승하여 왕위에 올랐으면 종통에 대한 일들이 중요하기 때문에 국가의 일을 소홀히 할 수 없다. 그래서 삼년상은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정경세의 주장이다. 또한 계운궁 상에 있어서 상주는 사가(私家)의 동생인 능원군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후 발생한 추숭문제에 있어서 정경세는 정원군의 추숭은 있을 수 없다고 하였다. 그렇지만 인조반정의 주체세력들은 정원군을 추숭하여 원종으로 추존하고 종묘에 입묘까지 하게 된다. 물론 인조의 생모인 啓運宮 具氏도 인헌왕후로 추존하였다. Injo is the king who seized the power through treason. Being a king after the political event, he made an effort to honor his father, Jungwongun(定遠君) as king s father. But, his effort made an issue about precedent. Parkjigye(朴知誡) and supporters raised the issue to solve this problem. First, There was an issue about how to call Injo s father, Jungwongun in the event of samyochinje(私廟親祭). Most of people insisted that Injo call Jeongwongun as father. But, Kimjangsang was the only one who insisted that Injo call Jeongwonhun as uncle(伯叔父母). In debates, Jeongkyungse(鄭經世) insisted that Injo call just ko(考), not hyun ko(顯考) because he was a descendent of a royal family, grandson of Seonjo. After gyewoongung(啓運宮), who was Injo s mother, passed away, Parkjigye insisted that Injo put on samnyeonsang(三年喪) and Bakgwan(百官) put on kinyunbok(朞年服). Unlike this opinion, Jeongkyungse insisted he put on bujangki(不杖朞), instead of using it. Of course, Injo would like to do three-year mourning. However, Jeongkyungse insisted that three-year mourning shouldn t be carried out because of jongtong(宗統). Injo succeed to throne of daetong(大統), so the duty related to jongtong was more important than samnyeonsang. In addition, he suggested that Injo put on byujangkibok as chief mourner of gyewoongung mourning should be nungwongun(綾原君). As to the issue of chusung(追崇) happened after that, he insisted that Jungwongun shouln t be honored as chusung. Despite of this opinion, Injo and his supporters had jungwongun as wonjong(元宗) and transferred the mountuary table to the Royal Ancestral Shrine, Furthermore, they had Injo s mother, gyewoongung as Inhyunhwanghoo(仁獻王后).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원종(元宗)의 추숭문제(追崇問題)

        장세호 ( Se Ho Ch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유가(儒家)가 이상적인 제도로 내세운 봉건제도는 종법(宗法)을 전제로 한다. 종법은 가족제, 가장제, 세습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존존(尊尊)의 원리에 기초한 적장자(嫡長子) 상속제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가장은 가족을 통제하는 강력한 가장권을 가지게 된다. `가무이존(家無二尊)` `가무이주(`家無二主)` 등의 표현이 단적으로 그 권력을 말해 준다. 가무이존은 바로 정통(正統)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정통은 가통(家統)을 바르게 하고, 왕통(王統)을 바르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가통의 측면에서는 한 가정에 두 아버지가 없는 것이며, 왕통의 측면에서는 두 임금이 없는 것이다. 유학의 본래 정신인 종법체제의 확립을 위하여서는 정통을 확립하여야 하는 것이다. 추숭문제(追崇問題)는 왕통과 가통의 문제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왕위계승문제가 종법에서처럼 적장자가 계승을 하게 되면 애당초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왕통이라는 것은 꼭 적장자가 왕위를 승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은 제왕가(帝王家)에서는 승통(承統)을 중시하기 때문에 승통하는 것에 따라 위인후자(爲人後者)의 예법을 적용시켜, 父子의 도리를 행하면 된다고 한다. 그런 까닭에 대통(大統)에 입계(入繼)하기 이전의 사가(私家)의 정에 너무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가통과 왕통을 엄연히 구별할 뿐만 아니라 왕통을 바로잡는 것이다. 그래서 인조(仁祖)의 경우도 정원군(定遠君)이 비록 선조(宣祖)의 아들이라고는 하나 인조가 선조의 왕위를 계승하였다면 당연히 정원군을 원종(元宗)으로 추숭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사계의 일관된 주장이다. Injo rised king for reforming the government. It is different to Senjo(宣祖) has succession by the Royal line. Injo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Jongwonkun that daewonkun by Park ji ke and his disciple Yi ye kil and many people`s suggestion. Therefore Jung won kun becomes Wonjong. But Sake considered 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has problem. Being Park ji ke persistents from quote no reasons and blamed. Also, Sake persistents not Jongwonkun(定遠君) w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 but Nengwondaekun that Injo`s brother had to manage sacrificial rites. Sake`s blamed persistense constructs by all that Chunchu kang mock`s(春秋綱目) term. As two sun must not in the sky, two origin must must not in family is suggestion of Sake corrects tong. That is said keep in Jongtong(正統).

      • KCI등재

        元宗의 追崇問題

        장세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유가(儒家)가 이상적인 제도로 내세운 봉건제도는 종법(宗法)을 전제로 한다. 종법은 가족제, 가장제, 세습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존존(尊尊)의 원리에 기초한 적장자(嫡長子) 상속제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가장은 가족을 통제하는 강력한 가장권을 가지게 된다. ‘가무이존(家無二尊)’ ‘가무이주(‘家無二主)’ 등의 표현이 단적으로 그 권력을 말해 준다. 가무이존은 바로 정통(正統)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정통은 가통(家統)을 바르게 하고, 왕통(王統)을 바르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가통의 측면에서는 한 가정에 두 아버지가 없는 것이며, 왕통의 측면에서는 두 임금이 없는 것이다. 유학의 본래 정신인 종법체제의 확립을 위하여서는 정통을 확립하여야 하는 것이다. 추숭문제(追崇問題)는 왕통과 가통의 문제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왕위계승문제가 종법에서처럼 적장자가 계승을 하게 되면 애당초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왕통이라는 것은 꼭 적장자가 왕위를 승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은 제왕가(帝王家)에서는 승통(承統)을 중시하기 때문에 승통하는 것에 따라 위인후자(爲人後者)의 예법을 적용시켜, 父子의 도리를 행하면 된다고 한다. 그런 까닭에 대통(大統)에 입계(入繼)하기 이전의 사가(私家)의 정에 너무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가통과 왕통을 엄연히 구별할 뿐만 아니라 왕통을 바로잡는 것이다. 그래서 인조(仁祖)의 경우도 정원군(定遠君)이 비록 선조(宣祖)의 아들이라고는 하나 인조가 선조의 왕위를 계승하였다면 당연히 정원군을 원종(元宗)으로 추숭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사계의 일관된 주장이다. Injo rised king for reforming the government. It is different to Senjo(宣祖) has succession by the Royal line. Injo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Jongwonkun that daewonkun by Park ji ke and his disciple Yi ye kil and many people's suggestion. Therefore Jung won kun becomes Wonjong. But Sake considered 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has problem. Being Park ji ke persistents from quote no reasons and blamed. Also, Sake persistents not Jongwonkun(定遠君) w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 but Nengwondaekun that Injo's brother had to manage sacrificial rites. Sake's blamed persistense constructs by all that Chunchu kang mock's(春秋綱目) term. As two sun must not in the sky, two origin must must not in family is suggestion of Sake corrects tong. That is said keep in Jongtong(正統).

      • KCI등재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군부대 치유정원 기능공간의 중요도-성취도 분석 -병사와 간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양지인,심재구,안득수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necessary to create a therapeutic garden in the military base for active coping with str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638 people, including 296 soldiers and 342 executiv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1 to 25, 2022. Most of the soldiers spent their leisure around the dormitory, at the exercise facilities or its surroundings, and in the convenience store or its surroundings, and the main behaviors in the outdoor space were cell phone use, exercise, and rest. Most of the leisure time in the outdoor space on weekdays is less than 30 minutes, and the number of leisure time increased on weekends compared to weekdays. For the number of companions, most of them were used with 2-3 people or alone on both weekdays and weekends. The outdoor spaces that executives mainly use on weekdays were the walking trails or its surrounding areas and around the dormitory, and the ratio of walking and exercise was high,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usage behavior of soldiers. As for the time soldiers spend outdoors on weekdays, about 10 minutes was the highest, but for executives, about 30 minutes was relatively high. Executives are used by 2-3 people together, and the ratio of soldiers using it alone is relatively high. Regarding the importance of functional space when creating a healing garden for stress relief, the privacy space was the highest in the soldier group and the nature appreciation space was low, but the integrated functional space, walking space, and nature appreciation space were relatively high in the executive group. In terms of performance, the conversation/ communication space was the highest for the soldier group and the space for nature appreciation was the lowest, and for the executive group, the walking space was relatively high and the privacy space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keep up the good work’ included the executive group's walking space, conversation/communication space, and integrated function space, and the ‘concentrate here’ included the soldier group's privacy space, the executive group's nature appreciation space, and privacy space. The ‘low priority’ included the soldier group's nature appreciation space, integrated function space, and walking space, and the ‘possible overkill’ included only the soldier group's conversation/communication space. 본 연구는 장병의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를 위해서 군부대에 치유정원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병사 296명과 간부 342명 등 총 638명이며, 설문조사는 2022년 2월 21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하였다. 병사들의 경우, 대부분은 여가를 생활관 주변, 운동시설과 주변, 충성마트와 주변에서 보내며, 옥외공간에서의 주요 이용행태는 휴대폰 사용, 운동, 휴식 등이었다. 평일 옥외공간에서의 여가는 30분 이내가 대부분이며, 주말에는 평일에 비하여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옥외공간 이용 시 동반자 수는 평일과 주말 모두 2~3명이나 혼자서 이용하는 비율이 대부분이었다. 간부의 경우, 평일 주 이용 옥외공간은 산책로와 주변, 생활관 주변이었고 이용행태는 산책, 운동의 비율이 높아 병사와 큰 차이를 보였으며, 평일 옥외공간 체류 시간은 병사들은 10분 정도가 가장 높았으나 간부들은 30분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옥외공간 이용 시 동반자 수는 간부들은 2~3명, 병사들은 혼자서 이용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치유정원을 조성할 경우 기능공간에 대한 중요도는 병사집단의 경우 프라이버시 공간이 가장 높았고 자연감상 공간이 낮았으나 간부집단은 통합기능 공간, 산책 공간, 자연감상 공간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취도는 병사집단의 경우 대화/소통 공간이 가장 높았고 자연감상 공간이 가장 낮았으며, 간부집단의 경우 산책 공간이 상대적으로 높고 프라이버시 공간이 가장 낮았다.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 지속유지 영역에는 간부집단의 산책 공간, 대화/소통 공간 및 통합기능 공간이 포함되었고 집중지향영역에는 병사집단의 프라이버시 공간과 간부집단의 자연감상 공간, 프라이버시 공간이 포함되었다. 낮은 우선순위 영역은 병사집단의 자연감상 공간, 통합기능 공간, 산책 공간 등이, 과잉영역은 병사집단의 대화/소통 공간만이 포함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숙종대 김포 장릉(章陵) 방화사건과 읍격(邑格) 변화

        남달우(Nam, Dal-Wo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0 No.-

        이 글은 숙종대 김포에서 발생한 장릉 방화사건을 소재로 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아보았다. 첫째, 인조가 정원군을 원종으로 추숭하는 과정 속에서 흥경묘가 흥경원, 그리고 장릉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국 왕 사친(私親)의 무덤을 원으로 할 것을 결정한 것은 인조가 처음이며, 이것은 『속대전』에 법 조항으로 규정 되었다. 그리고 흥경원이 장릉으로 격상됨과 함께 김포현은 김포군으로 읍격이 승격되었다. 이는 다른 추숭왕 들의 능침이 조성되는 지역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한번 읍격 승격이 이루어진 후에는 거듭된 승격은 시행 되지 않는다. 이는 읍격 승격에 따라 생도나 노비 지급액 등등이 증액되어야 하는데 이를 충족시켜 줄 수 없었 기 때문이었다. 둘째,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의 ‘安士賢等 推案’을 분석하여 장릉 방화사건의 전말을 알아보았다. 장릉 방 화사건 후 서원 안사현이 먼저 체포된 후 고직 최필성이 뒤에 체포되었다. 이들에 대한 추문은 최필성을 먼저??하고, 안사현은 뒤에 하였다. 최필성은 3차례의 추문까지는 자신의 범행 사실은 부인하였으나 추문의 횟수가 거 듭될수록 안사현의 범행을 점차 구체적으로 진술하며 안사현을 방화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있다. 최필성은 난장 을 받은 후에 자신의 범행을 자복하였다. 그러나 이때도 자신은 미열한 까닭에 안사현을 따라 능침에 들어가 망 을 보았을 뿐이라고 답하며 안사현을 주범으로 몰아갔다. 반면 최필성의 자백을 받은 후 안사현에게 난장을 가하면서 추문하였으나 안사현은 일관되게 범행을 부인하여??실제 범인은 최필성이라고 하였다. 안사현이 모든 혐의를 부인하자 추국청 설치가 결정되었고, 국청에서 최필성은 안사현이 공여한 뇌물 액수가??40여 량이라며 상세하게 진술하였다. 그러나 안사현은 3차례의 신장 90대를 받을 때까지 범행 사실을 부인하다??마침내 4번째에서 신장 2대를 받은 후에야 자복하였다. 이러한 정황으로 볼 때 장릉 방화사건의 범인은 최필성 이고 안사현은 최필성의 무고에 의해 희생되었을 개연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 능 방화사건은 대역이며 강상죄이기 때문에 범인은 수범과 종범을 가지지 않고 모두 능지처사하며 처자 는 노비로 삼고 가옥은 파가저택하며 읍호를 낮추며 수령은 파직된다. 즉 범인 자신만이 아니라 거주지까지도??연좌율 적용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범인 거주지가 능침이 조성된 지역일 경우에는 읍격이 강등되지 않 았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대역죄인의 거주지라고 하여도 왕실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능침의 소재처는 읍 격의 강등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숙종대에 발생한 여러 차례의 능 방화사건은 개인의 복수심과 욕심이 우선되어 발생한 것이지만 17세기??말 왕실과 국가 제도에 대한 백성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라 하겠다. This article is based on material to the Jangrueng arson incident that occurred in Sukjong when Kimpo. with??this material, I tried to examine the contents. First, the name was changed from Heungkeyng tomb to Heungkeyngwon and Jangrueng, in the process that??Injo Chusung Jeongwonkun to Wonjong. First person who decided making circle-shaped tombs was Injo. and that was enacted a provision in??Sogdaejon. Kimpohyeun was upgraded to Kimpokun, Heungkeyngwon as well be promoted to Jangrueng. It was also true in other areas where graves of Choosoong kings were making. After enforcing elevation of the town's class, repeated elevation of the status was not enforced. Because allowance of cadet and slave and others should be increased but this was not satisfied. Second, I analyzed Chooangeupgukan's An sa hyeon and Chooan thereby investigating whole story of??Jangrueng arson incident. Seowon An sa hyeon and Gojic Choi pil sung were arrested after Jangrueng arson incident. An sa hyeon was questioned after Choi pil sung was questioned. Choi pil sung denied his crime up to three times of interrogation but he stated An sa hyeon‘s crime??concretely as the number of interrogation was increased. Choi pil sung confessed his crime after he got beaten. but Choi pil sung said he entered the grave and just??stood guard because he was stupid. he drove that An sa hyeon is mail culprit. On the other hand, After getting a confession of Choi pil sung, An sa hyeon got beaten and was??questioned, but he denied a charge and said criminal is Choi pil sung. As An sa hyeon denied all suspicion, Choogukchung installation was decided. Choi pil sung testified in gukchung that amount of bribe An sa hyeon gave is more than 40. An sa hyeon denied his fault(crime) until 3 sets of 90 times tortures, but finally admitted his crime after a set??more hit on his body. For these circumstances, Choi pil sung seems to be the criminal of Jangrueng arson, and can guess An sa??hyeon may have sacrificed although he is innocent about this crime. Third, Being as incendiary incident is a treason and moral principles crime, all criminal were punished by??dismemberment indiscriminately and family became a slave, house was demolished, Eupho was decreased. Criminal not only himself, but also Residence is also the subject of complicity rates apply. but it is possible to know that village grade had not been demoted, if criminal's residence is area where the??tomb of king is construction. Even though this is a residence of high treason criminal, area where the tomb of king is construction is not??intend village grade demotion in order to maintain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Fourth, several times the tomb of king arson incident in King Sukjong epoch outbreak because of??individual's revengeful thought and greed. but there are indicator notifying that subjects's thought about??royal family and national system in the end of 17th century has been changing.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