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과정> 향수양상에 대한 소고

        김영주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9 한국예술연구 Vol.- No.24

        This article explores Jeonggwajeong(鄭瓜亭), from the end of Goryeo period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Jeonggwajeong took the form of both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specifically as a song or as a hymn. Notably, records show Jeonggwajeong hymns accepted as a vocal genre in Korea, unlike Chinese literature such as the Jeokbeokbu(赤壁賦) and the Song Sul-ki(誦說記) also known as Song Seo(誦書). Since the 16th century, Jeonggwajeong has been performed on the Geomungo, while Bohoeja(步虛子), Yeominlak(與民樂), and Yeongsanheosang(靈山會相), more popular with the general public, were played on various instruments. While Bohoeja, Yeominlak, and Yeongsanheosang and the original Gagok (歌曲) derived from Jeonggwajeong were widely popular, Jeonggwajeong was enjoyed only by court scholars. In the 16th century, topics also began to shift from the monarch to personal emotions, due to a distrust of the king and the practice of Confucianism through national music, especially in Jeonggwajeong. 본고는 여말선초부터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사대부들을 중심으로 수용된 <정과정>의 향수양상을 살펴본 글이다. <정과정>은 성악곡과 기악곡 모두로 수용되었다. <정과정>을 성악곡으로 수용한 방법은 가창(歌唱)과 영송(詠誦)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송으로 향수된 정과정에 대한 기록은 송서(誦書)로 수용된 적벽부(赤壁賦)나 송설기(誦說記)같이 중국한문학을 수용한 사례와는 구별되는데, 우리나라에서 자생한 작품을 성악장르로 수용하였다는 점이 주목된다. 16세기 이후 <정과정>이 주로 거문고 연주로 향수된 반면, 같은 시기 민간에서 향유된 <보허자>, <여민락> 그리고 <영산회상>은 다양한 악기로 연주되었다. <보허자>, <여민락>, <영산회상>과 <정과정>에서 파생된 대엽류 악곡은 사회계층을 막론하고 수용되었지만, <정과정>은 사대부들을 중심으로만 수용된 점을 눈여겨 보았다. 또한 16세기부터 거문고로 연주된 <정과정>에 이전 시기의 연군(戀君)이 아닌 개인적 차원의 감성이 투영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국난을 계기로 양반사대부들의 임금에 대한 불신과 거문고를 통한 성리학의 실천 그리고 민족문화의 재인식을 통하여 발현된 우리 고유의 악기 거문고와 향악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 KCI등재

        정과정의 창작 성격에 대한 시론적 고찰

        이수곤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3 No.-

        This paper is about the creative characteristics of poem, Chungkwajung(「鄭瓜亭」). The objective is examining of the forming process of Korea folk song. The considerations of these are following. First, the Korean translated songs included in Korea History(高麗史 樂誌 俗樂條) and Soakbu(小樂府) are mostly folk songs as well as popular songs among the peasants. For this reason, all of the songs don't originate from the old folk songs. This consideration shows that some of Korean folk songs are formed through the process: private creation → being popular among the peasants → spreading to the royal court. Second, the poem, Chungkwajung(「鄭瓜亭」), has the same lyrics as IkjaiSoakbu(「益齋小樂府」) and Manjenchunbyulsa(「滿殿春別詞」). However, the lyrics in the Chungkwajung(「鄭瓜亭」) base on specific circumstance, and each lyric has close accordance with other lyrics structurally throughout the whole poem. Third, the structural coherence of Chungkwajung(「鄭瓜亭」) has different characteristic to Manjenchunbyulsa(「滿殿春別詞」) and Seokyoungbyulkok(「西京別曲」), made my gathering and imitating old folk songs. So, Chungkwajung(「鄭瓜亭」) isn't made by gathering and imitating old folk songs but created folk songs by peasants, and Chungkwajung(「鄭瓜亭」) became popular among them. For this reason, we can notice that Chungkwajung(「鄭瓜亭」) was transferred to the royal court music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fork song.

      • KCI등재

        고려시대 유배시(流配詩)의 전개 양상과 미적 특질 :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유배시를 중심으로

        하정승(Ha, Jung-seung) 포은학회 2021 포은학연구 Vol.28 No.-

        ‘유배문학’은 유배지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체험하는 저자의 사상과 감정을 다루기에 다른 장르에 비해 진솔한 작가의 심정이 잘 드러난다는 면에서 상당히 의미가 있다. 고려시대의 문학사에서 유배시의 출발은 의종 때 활동했던 문인 정서(鄭敍)가 지은 「정과정(鄭瓜亭)」이다. 「정과정」은 ‘충신연주지사’, 혹은 원망과 상심의 문학이라는 유배문학의 두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어 후대 유배문학 작가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정서에 이어 이규보(李奎報)에 이르면 유배시 창작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는 전라도 부안(扶安)에서의 유배 체험을 28제의 상당히 많은 시로 남기고 있다. 이규보에 이어서 14세기 후반의 이색, 정몽주, 김구용, 정도전, 이숭인, 이첨에 이르면 고려시대 유배시의 창작 전통은 절정에 이르게 된다. 목은 이색의 일생 중 1389년부터 1392년까지의 기간은 가장 암울한 시기였다. 창왕의 옹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이가 목은이었는데, 소위 ‘우창비왕설(禑昌非王說)’에 따른 ‘폐가입진(廢假立眞)’으로 이성계에 의해 창왕이 쫓겨나고 공양왕이 옹립되면서 목은은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결국 목은은 1389년 12월 장단으로 유배를 당했는데, 엄밀히 말하면 장단 유배는 본격적인 유배라기보다는 면직(免職)되어 시골에 우거(寓居)한 것이라 하는 편이 더 정확하다. 어쨌든 본인이 원하지 않는 면직과 강제이주를 한 것이기에 유배의 큰 범주로 보아도 좋을 것 같다. 목은은 이듬해인 1390년 4월에 함창(咸昌)으로 이배되었고, 5월에는 소위 ‘윤이(尹彛)·이초(李初) 사건’으로 청주옥(淸州獄)에 갇혔다가 수재(水災)로 풀려나게 된다. 하지만 8월에 다시 함창에 유배되었고 12월 해배되었으나 이듬해인 1391년 6월에 함창 유배, 12월 해배를 거듭 반복하였다. 1392년 4월에는 선죽교(善竹橋)에서 일어난 정몽주 피살 사건의 영향으로 금주(衿州)로 유배되고, 6월에 여흥(驪興)으로 이배(移配)되었다가, 7월에 장흥(長興)으로 옮겨지고 10월에 해배(解配)되었다. 이와같이 1389년 12월부터 1392년 10월까지 목은은 유배와 이배, 투옥, 해배를 거듭하였고, 이 시기의 경험을 바탕으로 「장단음」·「함창음」·「금주음」·「여흥음」등 169제의 많은 유배시를 작시하였다. 목은의 유배시에는 인생에 대한 성찰과 반성, 정치적 환멸과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은일지향적 속성, 여전히 벼슬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조정으로 복귀하고 싶은 욕망, 이종학을 비롯한 가족들에 대한 걱정, 당시의 실권자였던 이성계에 대한 칭송과 선처의 부탁 등 매우 다양한 감정들이 씨줄과 날줄처럼 얽혀있다. 이는 전 시대 정서(鄭敍)의 「정과정(鄭瓜亭)」이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의 성격이 강한 것과 대비되며, 또 동시대 척약재 김구용의 여흥 유배시나 운남 유배시와 또 다른 의경(意境)을 보여주고 있다. 14세기 후반 고려 학계와 문단의 가장 중심에 있었던 목은이 그의 정치적 최대 시련기였던 유배기에 지은 시편들은 목은의 정신적 지향과 사상적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또 역경에 처한 목은의 진솔한 감정과 인생에 대한 성찰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목은문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Exile Literature’ is quite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sincere feelings of writers compared to other genres because it deals with the author s thoughts and emotions experienced in a limited space called exil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beginning of exile was <Jeonguoajeong(鄭瓜亭)>, written by Jeong Seo, a literary man who was a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 Uijong. <Jeonguoajeong(鄭瓜亭)> has both elements of exile literature, such as ‘Chungshinyeonjusa’ and the literature of resentment, which can be said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later exile literary writers. Following Jeong Seo, Lee Gyubo begins to create exile poems in earnest. He has left 28 poems about his exile experience in Buan, Jeolla-do. Following Lee Gyu-bo, Lee Saek, Jeong Mong-ju, Kim Gu-yong, Jeong Do-jeon, Lee Seong-in, and Lee Cheom in the late 14th century reached the peak of the creative tradition of exile poetry in the Goryeo Dynasty. The period from 1389 to 1392 of Lee Saek s life was the darkest period. Mokeun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King Chang. But King Chang was kicked out by Lee Seong-gye and King Gongyang was is appointed. In the end, Mokeun was exiled to Jangdan in December 1389, and strictly speaking, it is more accurate to say that exile to Jangdan was forced resignation than full-scale exile. He stayed quiet in the countryside of Jangdan. Anyway, it would be good to see it as a big category of exile because he was dismissed and forced migration that he did not want. Mokeun was transferred to Hamchang in April 1390, the following year, and in May, he was trapped in Cheongjuok due to the so-called Yooni and Yicho incidents and released as a flood disaster. However, from December 1389 to October 1392, Mokeun was exiled to Hamchang again in August released in December. He was exiled to Hamchang in June 1391, the following year, and repeatedly released in December. In April 1392, he was exiled to Geumju due to the murder of Jeong Mong-ju at Seonjukgyo Bridge, came to Yeohung in June, moved to Jangheung in July, and was released in October. From December 1389 to October 1392, He wrote 169 poems based on his exile experience, including <Jangdanum>, <Hamchangum>, <Geumjuum>, and <Yeoheungum>. Mok-eun s exile is intertwined with a wide variety of emotions, including reflection on life, political disillusionment, a desire to return to the government post, a wish to live quietly in nature, worries about Lee Jonghak and other families, praise and leniency for Lee Seong-gye, who was then in power. This contrasts with the strong characteristics of ‘Chungshinyeonjusa’ and shows another ‘Uikyong(意境)’ with the exile poems of Kim Gu-yong written in Yeohung and Unnam exile. In the late 14th century, Mok-eun, who was at the center of Goryeo academia and literary circles, wrote poems during his exile, the biggest political ordeal. The poems written by Mok-eun, who was at the center of Goryeo academia and literary circles in the late 14th century, during his exile, the biggest political ordeal, show Mok-eun s spiritual orientation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Mok Eun s sincere feelings in adversity and reflection on life are also revealed. In this respect, these poems can be said to be important data in studying the literary world of Mokgeun.

      • KCI등재

        고전문학 제재의 교과서 수용과 교육적 인식에 대한 통시적 고찰

        최홍원(Choi Hong-won)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5 No.-

        이 연구는 〈정과정〉이 그동안 국어교육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왔는지를 탐색하는 데 일차적인 목표를 둔다. 그러나 연구의 성과가 단순히 당대 사실의 재구나 교재사의 복원에 있기보다는, 수록 과정에 작용했던 교육적 인식과 판단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규명하는 데 있음을 분명히 한다.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제재 선정과 수록 문제를 점검하고, 현재와 미래의 국어교육 관점과 인식에 새로운 자극과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는 것이다. 여기에는 교과서가 교육적 인식이 구현되고 외현화된 실체로서, 관점 반영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정과정〉은 제3차 교육과정까지 지속적으로 수록되었다가 그 이후 수록되지 않는데, 수록과 배제에 관여한 요인에 대한 물음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효과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 〈정과정〉은 작가와 생성 맥락에 대한 기록의 존재에 힙입어 고려시대 문학사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일찍부터 수용되었다가, 갈래 중심으로 교과서가 편성되면서 고려속요의 부상, 향가계 가요로서의 불완전성 등으로 인해 교과서에서 사라지게 된 특별한 역사적 이력을 갖고 있다. 최근 들어 한국문학의 전통 차원뿐만 아니라, 갈래 바꾸기 등과 같이 이전과는 다른 교육적 접근이 시도되는 지점도 밝혔다. 이러한 〈정과정〉의 교재 수용사를 통해 교과서 수록이 당대 역사적 필요와 관점에 따른 선택의 결과이며, 따라서 텍스트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primarily aims at probing into how 〈Jungkwajung(鄭瓜亭)〉 was accepted in Korean education so far. However, I want to make sure that the outcome of this study consists in clarifying diachronically educational awareness and judgment which affected the process of textbook inclusion rather than restoring the truth of the past or the history of textbook. That is to say,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is checking the problems in relation to the choices of materials and inclusions in textbook, and providing the chances of new motivation and reflection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Korean education. The premise is that textbooks are the substances that educational awareness is implemented and externalized and they carry out the function to reflect perspectives. 〈Jungkwajung(鄭瓜亭)〉 can be an effective material in that I raise a question about main causes of inclusion and exclusion as the work that had been only included continuously until the third curriculum. I examined closely special history of 〈Jungkwajung(鄭瓜亭)〉. The work had been accepted early as the work to represent Goryeo(高麗) literature history by the record about the writer and the contexts of the work. However, the work disappeared in the textbook due to organization of textbooks as genres, advent of Goryeosokyo(高麗俗謠) and imperfection of songs of the line of Hyangga(鄕歌). I clarified the time when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es were attempted lately in not only changing genres but also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reception history of 〈Jungkwajung(鄭瓜亭)〉, I arrived at the conclusion that textbook inclusion is the result of choices according to historical needs and prospects, and thus a variety of approaches and explorations about educational values of text.

      • KCI등재

        향가와 시조의 형식적 연관성에 대한 재고-<鄭瓜亭>을 중심으로-

        박재민 한국시가학회 2023 韓國 詩歌硏究 Vol.58 No.-

        This paper started by examining two hypotheses about the genre succession of hyangga(鄕歌) and sijo(時調). The hypotheses are that the three-tier structure and the use of interjections at the end of songs led to the similar structures of sijo. This paper rejected the first hypothesis by showing that “the three-tier structure of hyangga and early sijo are completely different in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e.” The second hypothesis was rejected by pointing out that "the appearance of interjections at the end of sijo is a phenomenon in the 17th century when sijo was in full swing, not in the early period of the genre." Therefore, the formal origin of sijo should be found elsewhere, and to solve it, this paper suggested to use the Goryeo song, “Jeonggwajeong(鄭瓜亭),” as a link. The first link is the formal commonality between ten-line hyangga and “Jeonggwajeong.” The second link is the melodic coincidence of the music of “Jeonggwajeong,” called “Jinjak(眞勺),” and that of sijo, called “Mandaeyeop(慢大葉).” A part of “Jinjak”, which is a long song with 80 lines, derived “Mandaeyeop,” implyng that the melody of hyangga was connected to that of sijo through “Jeonggwajeong.” The argument of this paper can be supported when the links among the literary genres and work are accepted. These are the link between the ten-line hyangga and “Jeonggwajeong,” and the link between “Jeonggwajeong” and sijo. Among them, the latter link could be sufficiently acknowledged, whereas there seems to be some doubt about the former link. I tried to resolve the doubt by pointing out that the creation period of “Jeonggwajeong” was still the time when hyangga was being created, and that some phrases in the work can be easily transcribed in hyangchal(鄕札), a writing system by which hyangga was recorded. Overall, this discussion is an explanation of the question, "Did sijo inherit hyangga?" In response to this question, I answered, "Since the melody of hyangga was passed down to “Jeonggwajeong” and part of the “Jeonggwajeong” melody was passed down to sijo, the melody of hyangga remains in the tune of sijo." This conclusion could dismantle the established understanding on connection points between hyangga and sijo and lead to the reconsideration of it, based on concrete historical evidence. 본고는 시조의 형식이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는 학계의 통설을 재고한 결과물이다. 그간 우리는 시조의 3단 구성은 향가의 3단 구성을, 시조 종장의 감탄사는 향가의 차사를 이어받은 것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면밀히 보면, 초창기 시조에는 3단 구성 및 감탄사가 나타나지 않기에 이 방식의 연관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시조와 향가의 형식적 연관성의 가능성을 다른 방식으로 검토해보아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해결을 위해 고려가요 <정과정>을 연결고리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연결고리는 10구체 향가와 <정과정>의 형식적 공통점이다. 두 번째 연결고리는 <진작 1(정과정)>과 <만대엽(시조)>의 선율적 일치이다. <진작 1(정과정)>은 80행으로 된 긴 노래인데 그 가락의 일부인 ‘대엽 + 부엽’ 부분이 <만대엽(시조)>로 분화되었음을 보였다. 이 일련성을 통해 향가의 선율이 <진작 1(정과정)>을 거쳐 <만대엽(시조)>의 가락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주장은 두 곳의 연결고리가 수긍될 때 지지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10구체 향가와 <정과정>의 연결고리, <진작 1(정과정)>과 <만대엽(시조)>의 연결고리가 그것이다. 후자의 연결고리는 선율로 확인되는 것이므로 무리없이 수긍될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전자의 연결고리에 대해서는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다소의 의구가 없지는 않을 듯하다. 이 의구를 <정과정>의 창작 시대는 여전히 향가가 창작되던 때라는 점, 이 작품의 일부 구절은 향찰표기의 전통과 맞닿아 있다는 점을 들어 해소하고자 하였다. 이 논의는 전체적으로 “시조는 향가를 이어 받았는가?”란 질문에 대한 긴 해명이다. 이 질문에 대해 본고는 “향가의 선율이 <진작 1(정과정)>으로 전해졌고, 그 선율의 일부는 다시 <만대엽(시조)>으로 전해졌으므로, 시조의 가락에는 향가의 가락이 남아 있다”고 대답하였다. 이 글은 향가와 시조의 연결점을 반성적으로 해체하고, 이를 역사적 정황에 부합하게끔 재고찰한 試論으로서의 의의를 지닐 것이다.

      • KCI등재

        <정과정(鄭瓜亭)>의 성립 과정 -악곡 구조와 가사 배열을 통하여 봄

        윤덕진 ( Dug Jin Youn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정과정>이 향가와 관련을 가진다는 추정은 11단의 시행 배열과 결구 차사 수반에서 말미암았다. 시가사의 흐름으로 보아 이런 추정이 불가하지는 않지만 명확한 단서가 되는 자료의 부족으로 확증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일본에 남아있는 고중세 가악 가운데에 도래 양식으로 보이는 <최마악>은 악곡 구조를 대비해본 결과 한국 가곡 계통인 것이 밝혀졌다. 또한, <정과정>에 남아 있는 악곡 정보를 통하여 <정과정>이 가곡의 선행 양식임을 확증할 수도 있었다. 이에 향가-<최마악>-<정과정>의 통서 수립이 가능다는 기대를 가질 수 있고, 본 논문은 이 통서 규명의 시발점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통서 규명의 도달점은 향가의 악곡 형식이 되어야 할 터인데 우선, <최마악>과의 관련이 더 깊이 맺어져야 한다. 이 관련은 고중세 동아시아 가악 교류라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터이므로 여러 분야의 연구 업적이 통합됨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목표 설정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기존 <정과정> 연구의 여러 분야를 통합의 시각에서 다루었고, 문학과 국악의 연계선상에서 논지를 확보함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정과정>의 악곡 구조에 관한 연구는 『大樂後譜』악보를 근거로 하여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이 작품이 계면조의 원류라는 사항에 대하여는 직접적인 관심이 베풀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 가악 풍도형용이나 시조계의 관습을 원용하여 이 문제에 접근하여 보았으나, 여전히 악조의 인상을 확인하는 선에 머물렀다. 선율 분석이나 다른 작품이나 다른 갈래와의 대비를 통한 구체적인 규명이 더 가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악곡 구성 방식상으로 보아 <정과정>이 무악 계통의 악곡이리라는 지적도 사회정치사적인 맥락에서 <정과정>의 음악적 바탕을 무속적인 것으로 보는 견해와 연계하거나 무악의 일반적인 특징을 대입시켜 보거나 하는 구체적인 작업을 통하여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런 작업은 결국에는 삼국시대의 가악을 무악 성향이 강한 것으로 보는 국악계의 연구 성과와 결합될 것이므로 향가와의 관계 규명에도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at the restoration of HYANGGA``s musical mode. There is very few data on HYANGGA’s performance, and only a handful of musical scores remains. Would we ever be able to sing HYANGGA again? Can we only read works of HYANGGA with the help of borrowed Chinese characters? Fortunately, Japan has preserved the old songs from the 7th~8th centuries, SAIBARA, which was originated from Korea. SAIBARA has the same characters as GAGOK, the classical song of CHOSUN dynasty. SAIBARA has very slow tempo and its dominant mood is gentle. The scholar-officials (sadebu) were the main audience of the GAGOK. The officials enjoyed the songs accompanied by geomungo, and the majority of GAGOK pieces were accompanied by geomungo. <CHEONGKWACHEONG> is also a song accompanied by geomungo. The close relation between GAGOK and <CHEONGKWACHEONG> was demonstrated by CHOSUN dynasty scholar-officials who were enthusiasts of geomungo. They testified that the modes of singing GAGOK, slow-moderate-fast THAEYUPs, came from <CHEONGKWACHEONG>. We can infer the relation between SAIBARA and <CHEONGKWACHEONG> from the clear association between SAIBARA and GAKOK. The common factor between SAIBARA and <CHEONGKWACHEONG> may be the type of performance, and this factor can be determined by the geomungo. In this study I try to clarify the common factors between the three singing mode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records and musical scores from CHOSUN dynasty. Further studies should involve investigation of the equivalent resources from Japan and China.

      • KCI등재

        고전문학 : <정과정>의 향유 양상과 "접동새"의 문학적 변용

        여기현 ( Gy Hyun Yeo ) 반교어문학회 2009 泮橋語文硏究 Vol.0 No.27

        본고는 정서가 지은 <정과정>에는 두 가지 주된 정서가 있음을 전제로 전개되었다. 하나는 `원망`이고, 다른 하나는 `그리움[연군]`이다. 그 두 가지 정서중 작가 정서의 개인적 인격적 성향을 보아서는 원망에 더 무게가 있다고 보았다. 이후 고려 사인들과 조선조 사인들은 이 노래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보였다. 궁중악으로 연행되기도 하였지만, 무엇보다도 그 정서에 공감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처한 정치적 상황에 따라, 혹은 그 노래를 향유하는 시공간에 따라 <정과정>을 향유하는 태도에 차이를 보인다. 궁중 혹은 공식적인 연행장소에서는 `연군`의 정서를 향유하고, 개인적인 연행상황에서는 그 `원망`에 더 깊이 공감함을 볼 수 있었다. 정서는 자신을 `접동새`에 비유하였다. 접동새(자규)는 촉의 망제 고사에서 유래한 전형적 이미지와 의미(想)를 갖게 되었다. 피를 토하며 밤 새 우는 그 원한과 분함과 원망의 이미지와 의미를 지닌 그 전형성을 시인들은 즐겨 사용하였다. 그래서 접동새의 울음소리는 悽然, 悽怨, 悽완 등으로 받아들여졌다. 시간의 흐름은 이러한 접동새의 전형성에서 일탈하게 만들었다. 즉 문학적 변용이 일어난다. 그래서 울음소리는 사랑하는 연인[임]을 그리워하는 애절한 심정을 나타내기도 하고, 동생을 못 잊어 우는 소리가 되기도 한다. <Junggwajung(정과정)>has a two kind of the emotion. It is a resentment and affection. when I watch an author`s personal tendency, there is weight to a resentment to the song more. Since Jungseo died, classical scholars of korea dynasty and chosun dynasty showed a lot of interests to the song. Because it was played to Royal Court music, but the reason is as it sympathized to emotion of a song. Attitude they enjoy it, and to make is different according to space-times of a personal political tendency and performance. They enjoy emotion of affection in official places, they enjoy emotion of resentment in personal situations. Author compared oneself to `jeopdongsae (杜鵑)`. The bird have the typical image and meaning. Its typical character(formular) is a grudge, a wrath and a resentment. So classical scholars listened to a cry of `jeopdongsae` to extreme sadness(悽然), and Poets enjoyed this pattern in their poems. By stream of times, a transfiguration happened at literature. A cry shows in feelings dear, to call a sweetheart. or it shows by sound he cannot forget the young brother, and to sing.

      • KCI등재

        「정과정(진작)」의 노랫말과 음악의 결합양상

        이호섭 ( Lee Ho-seop ) 한국시가학회 2017 韓國 詩歌硏究 Vol.42 No.-

        고려속요는 노래로 불린 시가(詩歌)라는 점에서 노랫말로서의 문학과 악곡으로서의 음악이 긴밀한 내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문학과 음악 양면이 결합된 양상과 내적관계 및 그것으로 인한 새로운 의미생성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해야만 올바른 결과를 도출할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노래로 불린 고려속요 중 특히 「정과정」(진작)의 노랫말과 악곡의 결합양상을 분석하여, 문학으로서의 시와 음악으로서의 악곡이 어떻게 조응하며, 이로 인하여 어떤 시적인 특질과 음악형식의 특징이 나타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문학과 음악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논의를 통하여 본고는 「정과정」(진작)에서 음악적 요소인 여음(餘音)과 문학적 요소인 감탄사 `아으`와 `아소 님□ `가 정서(情緖)의 전환과 함께 분행(分行)의 기능을 담당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제3장에서 노랫말과 악곡의 분석을 통해 이 가설의 타당성을 논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취합하여 「정과정」(진작)은 11구체 3음보(音步)를 근간으로 하여 4음보와 2음보를 혼용한 시형(詩形)을 갖고 있고, 또 「정과정」의 모든 노랫말 시행은 음악적으로 볼 때 반드시 여음이나 감탄사 `아으`로 정서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과, 여음이 다음 행으로의 정서의 전환을 지체시키고 있음에 비하여 감탄사 `아으`는 상승적인 정조를 몰아서, 화자의 정서를 빠르고 격하게 청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할 것이다. The sung poetry (시가) Goryeosokyo has an inner structure in which the word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usic. Therefore, these musical pieces can only be thoroughly understood when music and words are combined to reveal their inner relationship. This paper examines the creation of a new meaning when words and music are combined. This paper searches for some methods helpful to study literature and music by examining how poems as literature correspond to pieces of music as music, and thus, what poetic qualities and features of musical forms may be exhibited,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ombined words and pieces of music in the 「Jeonggwajeong」 (Jinjak) of Goryeosokyo. This paper hypothesizes that in 「Jeonggwajeong」 (Jinjak), Yeoeum, a musical factor, and interjections like “Aeu (아으)” and “Aso Nimha (아소 님□ ),” literary ones, serve to transform emotions and function as separation of the line (분행). By analyzing words and pieces of music from Chapter 3, it can be concluded that 「Jeonggwajeong」 (Jinjak) has a poetic form that mixes 2 and 4 feet, based on 11 phrases 3 feet. All words and poetic forms in it are emotionally transformed into Yeoeum or interjections like “Aeu.” The Yeoum delays the emotional transformation into the next line, while the interjection “Aeu” serves to quickly deliver the speaker`s heightened emotion to the audience.

      • <정과정(鄭瓜亭)>의 현대적 복원

        신별 ( Shin Byeol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4 한국어와 문화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dernize the melody of < Jeonggwajeong(鄭瓜亭) >, which is included in 『Daeakhubo(大樂後譜)』. Various discussions on < Jeonggwajeong > have been conducted, including studies on its lyrics and the period of its composition. Additionally,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store the song, but since restoring the original score is prioritized, the score of < Jeonggwajeong > written in Oeumyakbo(五音略譜) has been converted to staff. For this purpose, the format of Oeumyakbo(五音略譜) was examined. The Oeumyakbo(五音略譜), created during the reign of Sejong, indicates the tonic note as '宮' and represents ascending intervals as '上一 - 上二 - 上三' and descending intervals as '下一- 下二 - 下三,' etc. In this paper, for convenience, it has been transcribed into staff according to existing theories. '宮 - 上一 - 上二 - 上三 - 上四' corresponds to the Western musical scale 'Sol - La - Do - Re - Mi.' As for the tempo indication, there have been various academic discussions, but in this paper, one jeonggan is considered equal one beat. Restoring the melody of < Jeonggwajeong > as recorded and transmitted in 『Daeakhubo(大樂後譜)』 allows us to experience our music as it was and further enables us to infer the melodies that people pursued at that time.

      • KCI등재

        「怨歌」의 재해독과 문학적 해석

        박재민(Park, Jae-Min) 한국고전번역원 2010 民族文化 Vol.- No.34

        本考는 『三國遺事』에 수록된 10句體 향가 <원가>를 文證을 통해 해독하고 문학적 의미를 덧붙인 결과물이다. 어학적 해독 결과 중, 주요한 것을 각 句별로 추리면 다음과 같다. 1句. ‘物叱好支’는 ‘갓 됴?으로 읽힌다. 의미는 ‘物 중에서 가장 좋은’. 2句. ‘爾屋?’에 대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온 바 있으나, 이는 양주동의 ‘이우러(시들어)’에서 이미 올바로 해독된 곳임을 확인하였다. 3句. 이곳은 “汝於 / 多齊 / 敎因隱”로 분절된다. ‘多支’은 다히’를 표기한 것으로 현대어로는 ‘함께’로 풀이된다. 4句. ‘仰頓隱’의 ‘頓(돈)’은 차자 ‘던’이 아닌, 漢字 본연의 쓰임새로서의 ‘頓’이다. ‘조아린’ 즉, ‘절한’의 뜻이다. 말미의 ‘冬’ 또한 借字로 본 견해도 많으나, 문맥상 한자 그대로의 의미 ‘겨울’로 판단된다. 5句. ‘影支’는 명사가 아닌 용언으로 ‘말갛게 비치-’의 의미. ‘古理因’는 명사 ‘옛날’이 아닌 용언 ‘오래되다’의 의미. ‘之叱’은 해독의 일각에서 보고 있는 ‘가(邊)’의 의미가 아니라 단순히 처격의 ‘잇’이다. 6句. ‘行尸浪’은 통설 ‘흘러가는 물결’이 아니라, ‘일렁이는 물결’이다. ‘沙矣’는 借字가 아닌 한자 본연의 쓰임새로 쓰인 字로 ‘모래’로 풀이된다. ‘以?如?’는 서술격 조사 ‘-이다’의 차자표기이다. 7句. 양주동에서 이미 해독이 완료된 곳이다. 8句. ‘都之叱’는 ‘모두옛’, ‘逸烏隱’은 ‘잊혀진’, ‘第’는 ‘等第(功에 대한 報償)’의 의미이다. 이상 1-4句의 해독을 통하여 ?落의 계절을 견디는 常綠의 잣나무, 표정이 변해버린 겨울날의 님(王)의 모습을 뚜렷이 파악해 낼 여지가 생겼으며, 특히 3句의 해독으로 그간 제기되어 왔던 <원가>와 <정과정>의 문학사적 공통 脈絡 一忠臣戀主之詞一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5-8句의 해독을 통하여 그간 異見이 심했던 ‘月?淵?浪?沙’에 대한 문학적 풀이를 반성해 보았다. 전체적으로 ‘달빛이 말갛게 비치는 오래된 연못, (나는) 그 아래의 모래로다. 달의 모습이야 바라보나 세상 모두에게 잊혀진 等第여!’로 해독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月 = 王’, ‘淵 = 政治의 場’, ‘浪 = 政爭(或은 王의 萬機)’, ‘沙 = 信忠’임을 제기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interpreted <Wonga(怨歌)>, one of the hyanggas(鄕歌) in 《Samgukyusa(三國遺事)》,and considered of its literary meaning.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first half, I could envisage clearly the poetic images such as the big cone pine that overcame the season of withering and the king that changed his mind in that season. Especiall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third line, I could find a concrete relation between the two poems of loyalty, <Wonga(怨歌)> and <Jonggwajong (鄭瓜亭)>, which many scholars have considered of. In the mean tim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latter half, I reconsidered of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f ‘wol(月)?yon(淵)?lang(浪)?sa(沙)’, which has provoked many arguments so far. I interpreted this part as follows: 'A pond reflecting the moonlight clearly, the sand under the pond. The sand is staring the moon, but the compensation has been forgotten by everyone in the world!'. Based on this translation, I argued what the poetic terms imply. The moon implies the king, and the sand means the writer, Sin Chung(信忠). The pond implies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waves mean the political conflict. The following is the list of the newly interpreted phrases in this paper:<br/> Line 1: ‘muljilhoji (物叱好支)’ in this line should be interpreted as got dyoh?n(갓 됴흔);, which means the best of a species.<br/> Line 2: ‘yiokbok(爾屋?)’ in this lin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y many scholars. However, I verified that the early interpretation by Yang Judong was correct. According to him, this part is interpreted as ;yiul?(이우러);, which means to be withered.<br/> Line 3: This line should be divided into four segments: “y??(汝於) / tabok(多支)/ haengje(行齊) / kyoineun(敎因隱)”. Especially ‘tabok(多支)’,the second part of them can be decoded as ‘tahi(다히),, which means together.<br/> Line 4: ‘Ton(頓)’ in ‘angdoneun(仰頓隱)’ was not used as a chaja(借字),a sign that indicates the Korean vernacular by borrowing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On the contrary, it functioned as a Chinese character itself in this part. ‘Tong(冬), at the end of the line also has been often considered as a chaja (借字). However, this wor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hinese character too.<br/> Line 5: ‘Yongbok(影支)’ is not a noun but a verb, which means to reflect clearly. ‘Koliin(古理因), is not a noun either but a verb, which means to get old ‘Jijil(之叱), has been translated as a border by some scholars. However, I argued that it has only a grammatical function and can be translated as ;at (잇);.<br/> Line 6: ‘Haengsirang(行尸浪)’ has been generally translated as flowing water, but in fact it means waving water. ‘Saui(沙矣)’ is not a chajai借字) but functions as a Chinese character, and it means sand On the contrary, ‘Yibokyobok(以?如?)’ is a c/각/a(借字) that indicates ‘yida(-이다)’.<br/> Line 7: Yang Judong already interpreted this line perfectly.<br/> Line 8: I interpreted ‘Tojijil(都之叱)’ in this line as ‘moduyet(모두옛)’. I also argued that ;yilloeun(逸烏隱)’ means to be forgotten, and that ‘je(第)’ has the same connotation as ‘Teungje(等第), that means compensation for eff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