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접속문과 중국어 접속문의 대조 분석 - 명시어 구조 접속문을 중심으로

        담홍달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6

        본고에서는 양정석(2010a)에서 제시한 ‘명시어 구조’의 접속문, 즉 한국어 ‘-거든, -거니와, -자, -더니, -는데, -지만, -으나, -기를, -기에, -은들, -더라도, -을지라도, -을망정, -기로서니, -지’에 이끌리는 접속문과 이들에 대응되는 중국어 접속문을 고찰하였다. 시간적 선후관계를 통한 검증과 후행절 서법에 대한 제약 여부를 기준으로 한 검증을 실행한 결과, 중국어에서도 명시어 구조를 이루는 ‘...而且...’ 접속문, ‘要是...’ 접속문, ‘雖然...但是...’ 접속문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국어에서 명시어 구조를 이루는 ‘-기에’, ‘-더니’ 연결어미 문장과 대응되는 중국어 접속문인 ‘因為...所以...’ 구문, ‘-은들’, ‘-더라도’, ‘-을지라도’, ‘-을망정’ 연결어미 문장과 대응되는 중국어 접속문인 ‘即使...也...’ 구문은 명시어 구조를 이루지 않고 부가어 구조를 이룬다. 중국어의 무표지 접속문도 부가어 구조를 이룬다.

      • KCI우수등재

        접속문의 의미‧통사 구조와 운율 실현 양상 -연결어미 ‘-고’ 접속문을 중심으로-

        하영우,김민국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8

        이 연구는 연결어미 ‘-고’ 접속문을 중심으로 접속문의 의미‧통사 구조와 운율 구조 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등접속문의 설정 근거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 접속문의 점진하강 기울기는 대칭적 용법과 비대칭적 용법에서 각각 양의 값과 음의 값으로 나타나 접속문의 의미‧통사 구조와 운율 실현 양상 간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된다. 둘째, 이러한 상관관계는 연결어미 ‘-어’ 접속문과 의미 관계에 따른 대등접속문의 운율 실현 양상에서도 확인되므로 대등접속문과 종속접속문의 운율 실현 양상 차이는 정도성의 차이보다 ‘점진하강 재설정’ 여부로 구분되는 질적인 차이로 해석된다. 셋째, ‘순접’, ‘이접’과 ‘역접’의 대등접속문의 운율 실현 양상 차이는 대등접속문의 의미적 특성보다는 통사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접속문의 운율 실현 양상은 의미 구조보다는 통사 구조와 더 긴밀한 관련을 맺는다. 넷째, 대등접속문의 선후행절 사이에는 점진하강 재설정을 통한 운율적 경계가 형성되는데 이는 선행절과 후행절이 독립된 문장과 마찬가지로 통사적 독립성을 지님을 보여 주는 것이다. 특히 접속문의 운율 실현 양상은 접속문의 통사 구조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종속접속문과 구분되는 대등접속문의 운율 실현 양상은 한국어 대등접속문의 설정 근거 중 하나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국제법상 ‘접속수역’ 개념에 관한 소고 - 2022년 국제사법재판소의 니카라과-콜롬비아 사건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이기범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4 강원법학(江原法學) Vol.76 No.-

        영해, 배타적 경제수역, 대륙붕, 공해 등 다른 해양영역과 비교하여 ‘접속수역’(contiguous zone)은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도 않았고, 관련 연구도 그리 많지 않은 해양영역이다. 더구나 1982년 채택된 유엔해양법협약도 접속수역을 유엔해양법협약 제33조, 단 한 개의 조문을 통해 규율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속수역 개념은 2022년 ICJ의 니카라과-콜롬비아 사건을 통해 상당 부분 명쾌하게 설명되었다. 특히 유엔해양법협약 제33조가 국제관습법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콜롬비아의 ‘필수적 접속수역’과 같이 ‘24해리 한계’ 및 ‘접속수역을 설정할 수 있는 네 가지 목적’에 부합하지 않도록 설정된 접속수역은 국제관습법에 합치하지 않는 접속수역일 뿐이다. 이러한 콜롬비아의 필수적 접속수역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면서 2022년 니카라과-콜롬비아 사건을 통해 ICJ가 이룩한 가장 큰 성과는 ‘같은’ 해역에 연안국 A의 접속수역과 연안국 B의 배타적 경제수역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언급한 것이다. 이는 접속수역이 본질적으로 ‘기능적’(functional) 해역이라는 점을 밝힌 것이며, 이러한 내용을 한 번 더 응용하면 같은 해역에 연안국 A의 접속수역과 연안국 B의 접속수역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복수의 연안국들이 설정한 접속수역이 중첩한다 하더라도 반드시 접속수역의 경계획정으로 이어질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2022년 ICJ의 니카라과-콜롬비아 사건에서의 접속수역에 대한 내용은 유엔해양법협약 제33조에 대한 ‘주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는 그동안 접속수역이라는 주제를 정면으로 다룬 국제재판소 판례가 없었던 상황에서 단순히 선례를 넘어 대단히 의미 있는 판례라는 의미이며, 접속수역의 ‘기능적’ 본질에 기초한 판례이기 때문에 접속수역이 영해, 배타적 경제수역, 대륙붕, 공해 등과 같은 해양영역과는 결이 다른 해양영역이라는 것을 입증한 판례라 보인다. Compared to other maritime areas such as the territorial sea, the exclusive economic zone, the continental shelf or the high seas, the ‘contiguous zone’ is a maritime area which is relatively less well-known and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search. Moreover,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adopted in 1982, also regulates the contiguous zone through only one article, Article 33 of the UNCLOS. However, the concept of the contiguous zone was explained clearly through the 2022 Nicaragua v. Colombia case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 In particular, since it has been confirmed that Article 33 of the UNCLOS reflects customary international law, Colombia’s ‘integral contiguous zone’ not in conformity with the ‘24 nautical mile limit’ and ‘four purposes for establishing a contiguous zone’ is only a contiguous zone not permitted under customary international law. While dealing with Colombia’s integral contiguous zone, the most important premise implicated by the ICJ in the 2022 Nicaragua v. Colombia case is that the contiguous zone of coastal State A and the exclusive economic zone of coastal State B can co-exist in the ‘same’ maritime area. This reveals that the contiguous zone is essentially a ‘functional’ maritime area. Moreover, if this premise is applied once mo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ontiguous zone of coastal State A and the contiguous zone of coastal State B can also co-exist in the same maritime area. In other words, even if the contiguous zones established by a couple of coastal States overlap, this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the delimitation of the contiguous zone. The details on the contiguous zone in the 2022 Nicaragua v. Colombia case can function as ‘commentaries’ to Article 33 of the UNCLOS. This means that the case is a very meaningful precedent beyond a simple precedent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case of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directly addressing the topic of the contiguous zone. Since the case is a precedent based o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iguous zone, the contiguous zone proves to be different from other maritime areas such as the territorial sea, the exclusive economic zone, the continental shelf or the high seas.

      • KCI등재

        기능을 중심으로 본 국어 접속 표현 연구 - 인과 관계의 접속 표현을 중심으로 -

        주향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4 언어사실과 관점 Vol.62 No.-

        이 연구는 인과 관계 접속 표현을 중심으로 다양한 범주의 인과 관계 접속 표현들이 공존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각 접속 표현이 화자의 어떠한 인지적 과정을 통하여 선택된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어에서 인과 관계 접속 표현으로 기능하는 요소들은 접속어미, 접속부사, 우언적 구성의 다범주에 걸쳐 있다. 본고는 접속어미와 우언적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화자가 인과 관계를 인지하는 과정은 ‘인과 관계의 인지‧인식 → 인과 관계의 정립 및 해석’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인과 관계를 정립하고 해석할 때 인과 관계를 개인화하여 해석할 수도 있고, 일반화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 인과 관계를 개인화하느냐 일반화하느냐에 따라 접속어미 ‘-니까, -어서’의 선택이 달라진다. 한편 접속 기능 우언적 구성도 ‘-니까, -어서’가 사용되는 동일한 장면에 사용될 수 있는데, 그렇다면 화자가 우언적 구성을 사용할 때에도 접속어미와 동일한 인지 과정을 거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접속어미가 아닌 우언적 구성을 선택하는 이유는 화자가 [이유/원인] 사태에 관점을 부여하고자 할 때 우언적 구성이 이를 표현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과 관계를 개인화하여 해석하면서 [이유/원인] 사태에 평가적 관점을 부여하면 ‘-(으)ㄴ 나머지, -(으)ㄴ/는 덕분에, -는 바람에, -(으)ㄴ/는 탓에, -(으)ㄴ/는 통에’를, 인과 관계를 일반화하여 해석하면서 [이유/원인] 사태에 강조적 관점을 부여하면 ‘-(으)ㄴ/는 관계로’를 선택할 수 있다. 우언적 구성은 관점을 부여하고 표현하는 특성으로 인해 ‘관점 표지’로 사용될 수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y various categories of causal conjunctive expressions coexist, and what kind of cognitive process the speaker selects the conjunctive expression. In Korean, the elements that function as causal conjunctive expressions span multiple categories of conjunctive endings, conjunctive adverbs, and periphrastic structures. This paper examined focusing on conjunctive endings and periphrastic structures. The process by which the speaker perceives the causal relationship takes place through 'cognition and percep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 establishment and interpreta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and when establishing and interpreting the causal relationship, the situation of [reason/cause] can be personalized, or it can be generalized. The choice of the conjunctive ending '-nikka, -eoseo'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situation of [reason/cause] is personalized or generalized. On the other hand, the periphrastic structure of the conjunctive function can also be used in the same scene where '-nikka, -eosoe' is used, so it can be seen that even when the speaker uses the periphrastic structure, it goes through the same cognitive process as the conjunctive ending. However, the reason for choosing the periphrastic structure rather than the conjunctive ending is that when the speaker wants to reveal a perspective on the [reason/cause] situation, the periphrastic structure can express it. If speaker personalize and interpret the [reason/cause] situation and reveal an evaluative perspective, speaker can choose '-(으)ㄴ 나머지, -(으)ㄴ/는 덕분에, -는 바람에, -(으)ㄴ/는 탓에, -(으)ㄴ/는 통에', and if speaker reveal an emphasis perspective while generalizing and interpreting the [reason/cause] situation, speaker can choose '-(으)ㄴ/는 관계로‘. The periphrastic construction can also be used as a 'viewpoint marker' due to its characteristics of giving and expressing a perspective.

      • KCI등재

        종속접속문과 부사절을 안은문장의 의미 차이 교육의 필요성 연구

        김억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통사론적인 관점에서 종속접속문이나 부사절을 안은문장으로 다루어 왔던 문장의 의미 차이에 관해 ‘전경-배경’ 이론에 근거해 논의하고 그 결과를 국어교육에 적용할 필요성에 관해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동일한 문장을 ‘접속’의 관점에서는 종속접속문으로 처리하고 ‘내포’의 관점에서는 부사절을 안은문장으로 처리해 온 것이 전통적인 견해였는데 두 입장에서 의미의 차이에 관해 언급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포와 접속은 의미론적인 문제이므로 통사론적인 관점에서 처리해 온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문장의 형태가 다르면 의미도 다른 것으로 보는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이 두 문장의 의미 차이를 살펴보았다. 접속과 내포가 문장 확대의 범언어적인 문법적 절차이지만 어말어미에 의해 문법적인 범주가 결정되는 국어에서는 형태적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국어에서 접속과 내포는 개별 문장에서 선행절과 후행절의 의미 관계에 따라 구분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문장의 구조가 다르면 의미도 다르다는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종속접속문과 부사절을 안은문장의 의미가 다르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통사론적인 처리와 달리 인지언어학적인 측면에서 국어의 접속과 내포는 개별 문장에서 선행절과 후행절의 의미 관계에 따라 구분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 결과 인지언어학적인 입장에서 보면 문장의 구조가 다르면 의미도 달리 나타나는데 기존 입장에서 의미 차이에 관해 교육적 차원에서 논의하지 않았던 종속접속문과 부사절을 안은문장의 의미에 관해 교육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통일된 학교 문법 교육에서 지금까지 의미 차이에 관한 지적이 없었기 때문에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왔던 것처럼 동일한 의미를 지닌 것으로 기술되어 왔는데 지금부터라도 두 문장의 의미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문법 기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내포와 접속의 개념, 이들을 국어 교육적 관점에서 다룬 사항들을 2장에서 검토한 후 3장에서는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인 ‘전경-배경’ 이론에 근거하여 국어 교육적 적용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문장의 의미 차이에 관한 사실을 통일된 학교문법에도 반영하어 문법 기술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iscuss the semantic differences in sentences treat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in syntax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to provide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view, a sentence was treated as a subordinate conjunctive sen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njunction’and as an adverbial clause ‘embedment’. There seemed no semantic difference between them. However, this study raises questions about treating the meaning of the two sentences equally from the viewpoint of cognitive linguistics that sentence meaning varies depending on sentence structure and examined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ntences. Based on this, this paper consider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y highlighting semantic differences also in school grammar. Although ‘conjunction’ and ‘embedment’ are cross-linguistic grammatical processes for sentence extension, it is difficult to morphologically differentiate them in Korean language that grammatical category is determined by a word ending. Therefore, conjunction and embedment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differentiated by semantic relation between preceding and following clauses in individual sentences. This study proposes that subordinate conjunctive sentences and adverbial clauses should b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the viewpoint of cognitive linguistics that sentence meaning varies depending on sentence structure. Moreover, this study indicates that conjunction and embedment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separated by semantic relation between preceding and following clauses in individual sentences in terms of cognitive linguistics. Based on these results, sentence meaning differs depending on sentence structure from the standpoint of cognitive linguistics. Thus, the meaning of subordinate conjunctive sentences and adverbial clauses that have been previously regarded that they had the same meaning can be different. They have been described as if they had the same meaning in previous studies because there has been no indication of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m thus far in unified school grammar. From now on, grammatical description should reflect the fact that there ar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ntences.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s of embedment and conjunction and their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apter 2. Then, it examines the application of them in Korean language based on a cognitive-linguistic perspective ‘figure-ground relationship’ in Chapter 3. This paper proposes that grammatical description should be made by reflecting the fact of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ntences in the unified school grammar.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접속부사 어휘 정보 활용 방안 연구

        박건숙(Park Keon-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접속부사의 쓰임과 의미를 명시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접속부사의 교육 내용과 사전 정보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접속부사의 사용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재의 교육 내용을 검토하여 접속부사의 이해와 활용에 필요한 학습 내용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접속부사는 문어와 구어에서 사용 양상의 차이가 크며, 접속부사의 교육 및 활동은 초급 단계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단계가 높은 한국어 학습자와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해서는 접속부사의 어휘 정보를 체계화하여 접속부사를 이해하고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접속부사의 기능은 맥락에 따른 의미를 명확히 구별하여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접속 표현을 조사하여 사전에 표제어와 의미를 기술해야 함을 밝혔다. 또한 의미가 유사한 접속부사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하게 기술하고,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구문 형식과 텍스트 유형에 대한 정보도 함께 기술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사전의 어휘 정보를 적극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에 필요한 접속부사의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가 접속부사의 기능과 의미를 명시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글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활용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using the educational content and dictionary information of conjunctive adverbs so that Korean learners can clearly understand the use and meaning of conjunctive adverbs. For this purpose, the use of conjunctive adverbs was examined,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were reviewed to analyze what learning contents needed to understand and use conjunctive adverb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junctive adverbs have a large difference in usage patterns between written and spoken language, and the education and activities of conjunctive adverbs are found to be mainly conducted at the beginner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o organize the lexical information of conjunctive adverb so that they can understand them and use them in writing. For Korean learners, it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and describe the meaning of the conjunctive adverb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headword and meaning should be described in advance by examining the conjunctive expressions that are often used in actual language life.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conjunctive adverbs with similar meaning clearly describe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and that information on syntax and text types are also requir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Korean learners understand the function and meaning of conjunctive adverbs and propose practical lexical information that can be applied to writing.

      • KCI등재

        接續助辭の弁別に關する一考察(Ⅱ)

        韓奎安 한국일어일문학회 2002 日語日文學硏究 Vol.43 No.1

        종래 많은 학자들은 접속조사를 문과 문을 연결하여 복문을 만드는 기능을 갖는 조사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접속조사를 설정할 때에는 하나의 문이 될 수 있는, 진술작용이 일어난 진술성분 상호간을 연결하는 것 뿐만 아니라 용언의 이른바 각 활용형에 일종의 형태소가 붙는 경우, 이러한 형태소들을 접속조사로 인정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로인해 종래의 접속조사 중에는 정의에 반하는 것, 즉 진정한 진술성분(문) 상호간을 연결하는 것이 아닌 것까지도 소속어에 포함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지난번의 고찰에서 고찰대상으로 삼지 않았던 「だけに」「ばかりに」「ところ」「ところで」「ところが」「ものを」「ものの」에 대하여, 지난번 고찰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접속조사의 변별기준에 근거하여, 이들을 접속조사로 인정할 것인가, 라는 접속조사의 변별의 문제를 고찰해 보기로 했다. 또한, 이것들이 접속조사로 인정할 수 없다고 판별되는 경우에는 어떻게 문법적 위치를 규정해야 하는지의 문제도 면밀히 검토하기로 했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접속조사의 정의 및 그 변별기준을 정리하였다. 진술에 대해서는 山田이후의 종래의 진술의 개념이 「진술=통일판정작용」이라는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두 개의 상이한 작용을 진술이라는 개념안에 포함시키고 있어 다의적이며 애매한 개념이 되었다고 판단하여, 敍述(統敍·展敍)과 陣述이라는 개념으로 구문론적 기능을 분리하여 진술구조를 규명한 渡述實의 학설을 지지하기로 했다. 따라서, 문은 하나의 진술성분이며 문의 구조는 술어문의 경우, 「敍述內容+陳述」이라는 구조로 되어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근거하여, 접속조사를 "진술성분(문=「서술내용+진술」)상호간을 연결하여 복문을 형성하여, 그 진술성분 상호간의 의미관계를 나타내는 조사"로 규정했다. 이를 토대로 접속조사의 변별기준을 아래와 같이 설정했다. 상접하는 술어부에 문말 貞正陳述辭가 올 수 있을 것. 상접부분에 주제의 係助辭「は」를 내포할 수 있을 것. 상접부분에 진술부사를 내표할 수 있을 것. 이상의 세가지 변별기준에 근거하여 일부 학자들에 의해서 접속조사로 인정되고 있는 전술한 형태소들에 대해 접속조사 여부를 판별한 결과, 이것들은 모두 진술성분 상호간을 연결하여 복문을 형성하는 접속조사가 아니라, 선행 보족성분을 동반하여 후속성분에 종속하는 종속구(광의의 부사구)를 만드는 副助辭임이 판명되었다.

      • 내포문의 부사절과 접속문의 종속절

        김태엽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09 學校敎育硏究 Vol.5 No.1

        한국어 문장의 확대 방법에는 접속과 내포가 있다. 두 개 이상의 절이 동일한 계층구조로 이어진 문장을 접속문이라 하고, 두 개 이상의 절이 서로 다른 계층구조로 이루어진 문장을 내포문이라 한다. 접속문은 전통적으로 선행절과 후행절의 의미관계에 따라 대등접속문과 종속접속문으로 분류해 왔다. 그런데 최근 몇몇 논자들이 종속접속문의 선행절을 내포문의 부사절로 바꿀 수 있다고 하면서, 종속접속문을 내포문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런 제안은 부분적으로 받아들일 만한 내용이 없지는 않지만, 전적으로는 받아들일 수 없다. 왜냐하면 첫째는 모든 종속접속문의 선행절을 내포문의 부사절로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는 단어 확대 방법의 하나인 합성법에 의해 이루어진 합성어에도 대등합성어와 종속합성어가 있듯이 접속문에도 대등접속문과 종속접속문이 있는 것으로 분류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셋째는 대등접속문을 이루는 연결어미나 종속접속문을 이루는 연결어미가 모두 기능적으로 접속부사와 대응관계를 이루므로, 종속접속문을 이루는 선행절만 내포문의 부사절로 처리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의 접속문은 대등접속문과 종속접속문으로 분류하는 방법이 타당하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difference between adverb clause of embedded sentence and anticipatory clause of conjoined sentence. The methods of extension on the korean sentence are embedding and conjoining. The embedded sentence is sentence that have the two clause is made up different hierarchical structure. The conjoined sentence is sentence that have the two clause is made up identical hierarchical structure. The anticipatory of conjoined sentence can be move on the identical position linear structure and hierarchical structure along adverb clause of embedded sentence. But all the anticipatory clause of conjoined sentence can not be move on the identical position along the adverb clause of embedded sentence. There are three reason. The first place all adverb clause of embedded sentence can not be move the anticipatory clause of conjoined sentence. And all anticipatory clause of conjoined sentence can not be move the above sentence. The second place the methods of extension on korean word are derivation and composition. The derivative words have structure that be combined affix and root of word. The compositive words have structure that be combined two root of word. The meaning of compositive words can be classified three types. These types are equivalent compositive words and subordinate compositive words and merger compositive words. The third place all conjunctive endings accord with conjunctive adverbs functionally. The conjoined sentence of korean are divided into equivalent conjoined sentence and subordinate conjoined sentence.

      • 연결재를 사용하지 않는 다축교차 접속구조 개발 : 생산에 적합한 모듈화와 실용화에 관한 연구

        신유진 광운대학교 신기술연구소 1997 신기술연구소논문집 Vol.26 No.-

        본 연구는 x축, y축, z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축 부재, 제2축 부재 및 제3축 부재를 접합하는 연속 교차 접합 구조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제1축 부재는 각각 90도 위상차를 가지는 모서리부에 횡단면적의 1/4에 상당하는 부위에 결합핀 및 결합공이 있는 결합편을 가지는 제1축 상, 하부재로 분리 형성한다. 제2축 부재는 각각 90도 위상차를 가지는 모서리부에 종단면적의 1/4에 상당하는 부위에 결합핀 및/또는 결합공이 있는 결합편을 가지는 제2축 전, 후방부재로 분리 형성한다. 제3축 부재는 제1축 부재 및 제2축 부재의 교차부위에서 제1축 부재의 양측면에 접촉하는 제3축 좌우측부재와 이들 좌우측부재의 사이에서 이들 부재의 한 모서리를 포함하여 그 종단면적의 1/4에 상당하는 부위에 내접하는 원형단면의 연결간으로 구성한다. 그리하여 이들 각 부재들을 별도의 연결재 즉 못이나 볼트-너트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접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합된 상태에서 분해할 경우에도 각 부재의 원형이 변형되는 일이 없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가구 등에 사용할 경우 다양한 형태로 변형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가구용 뿐만 아니라 건축용 골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research proposes the Multi-Axis Connecting Structure(MACS) which has three dimensional composing elements: X-axial(the first) element, Y-axial(the second) element, and Z-axis(the third) element. The first element consists of members which one separated into up and down part with a pin rectangular phase difference. The second element consists of members which one seperated into front and back part with a union element composed with a pin and/or a hole. It is placed at a quarter of vertical section with a conner part of rectangular phase difference. And the last element consists of members being a outer part and main part joined with column. It is placed at a conner part of rectangular phase difference with a quarter of vertical section of first and second member intersected. This systems enables us to easily assemble and disasemble complex without dmags, without using nails, bolt-nuts, glue, and etc. In funiture-manufacturing, residencial structures, and complex spatial structures.

      • KCI등재

        감성의 접속과 접속의 감성

        우찬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3 한국문화연구 Vol.5 No.-

        이 글은 최근의 사회 문화적 변화의 양상을 접속의 시대라는 측면에서 이해하고, 이전 시대와는 다른 문학적 감성과 상상력의 특성을 탐문하는 발견적 논의를 담고 있다. 제러미 리프킨이 제안한 접속의 시대란 산업 자본주의를 대체한 문화 자본주의 시대의 핵심적 특성을 반영한 용어다. 새로운 문화 경제를 구성하는 수많은 시뮬레이션 세계에 척척 적응하는 새로운 닷컴 세대들이 열어 나가는 접속의 시대는, 사회 경제적 패러다임뿐만 아니라 문화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 확실하다. 문학적 상상력이나 감성의 변화는 물론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변화도 가져온다. 세계의 이념이나 맥락을 강조했던 1980년대 소설과는 달리 1990년대 소설은 주체/발신자의 주관적 감성이 전경화 되었다. 그러다가 2000년대 들어 그 주관성의 형질이 다소간 변하게 된다. 감성의 접속보다는 접속의 감성이 전경화되기에 이른다. 발신자보다는 접촉이나 코드가 주요한 요인이 된다. 이런 변화는 새로운 세대의 작가들의 작품에서 대체로 확인할 수 있는데, 그 중 김도언과 정이현의 소설들이 주목된다. 김도언의 소설에서 이야기라는 환상을 창출하는 핵심 통로다. 접속의 심층 무의식은 나와남, 주체와 타자의 접속 가능성 혹은 소통 가능성이다. 작가 김도언과 그의 소설속의 인물들은 접속을 통해 그들의 존재치를 입증하고자 한다. 그의 소설에서 주체와 대상/타자 관계는 접속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그가 조여준 단속(쏜)의 감각은 접속의 시대의 대표적인 메타포라고 할 수 있다. 정이현의 소설은 이야기 층위에서는 소비사회에 접속하는 다양한 인물들의 여러 목소리들을 실감 있게 들려주면서도, 담론 층위에서는 그 접속의 풍경을 관조하고 반성하는 아이러니컬한 감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면서 접속 시대의 풍경을 비판적이고 전복적으로 형상화하는 나름의 스타일을 보여준다. This paper includes a heuristic argumen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recent sociocultural changes in terms of the Age of Access and to search out the literary sensibi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magination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ones of previous era. The Age of Access is a term used by Jeremy Rifkin, reflecting the fundamental particularity of the age of cultural capitalism replacing the industrial capitalism. It is obvious that the Age of Access, which is opened by the new generation so called " Dot Com: generation that adapts quickly to a number of simulation worlds making up of the new cultural economy, will be bringing about the turn of cultural paradigm as well as the one of socio-economical paradigm. The age leads the changes of the process of concrete communication as well as changes of the literary imagination of sensibility. In comparison with the novels of 10980's that had an emphasis on the ideology or the context of the world, the novels of 1990's foregrounded the subjective sensibilities of the subject/addresser. Then, in 2000's, the characteristics of that subjectivity rather transform. That is to say, the sensibility of access rather than the access of sensibility comes to be foregrounded. The contact or the code better than the addresser becomes the major factor. We can confirm this kind of turn in the works of writers from the new generation. The short stories of Kim Do-eon and Jung Yi-hyun belong to the representative examples. In the works of Kim-Do-eon, the access is a hold through which we pass to the fantasy called the story. The profound abyss of the access is the accessibility or the communicational possibility between ego and alterego, or subject and other. The writer Kim Do-eon and his characters try to prove their value of existence through the access. In his short stori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access, the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other alter. Especially, the sense of disconnection he shows can be regarded as the outstanding metaphor f the Age of Access. The short stories of Jung Yi-hyun are remarkable if we consider the following two levels : on the level of story, we can listen to the numerous, lifelike voices of various characters getting access to the consumption society : on the level of discourse, she has an ironical sense to gaze at and reflects the scenes of that access. In addition, she shows her won style that represents the scenes of the Age of Access critically and revers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