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절대적 타자, 책임 그리고 새로운 주체성의 이해 ― 데리다의 Donner la mort를 중심으로

        손영창 대동철학회 2013 大同哲學 Vol.64 No.-

        논문에서 필자는 절대적 타자에 열리는 주체의 다양한 해석을 파토츠카와 키에르케고르를 통해 살펴보았다. 파토츠카의 기독교에 대한 호의적인 수용과 해석은 절대적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희생을 감행하는 주체성을 드러내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파토츠카는 절대적 타자의 열림으로서의 윤리적 관계를 종교적 관점에서 한정해서 다루고 있다. 이런 윤리적 관계를 타자론적 입장에서 키에르케고르를 해석함으로써, 데리다는 자신의 논거를 좀 더 분명히 할 기회를 얻게 된다. 여기서 데리다는 절대적 타자와의 관계를 절대적 의무, 책임 그리고 비밀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명료하게 설명한다. 앎으로 포착되지 않는 절대적 타자의 요구는 타자와 자아를 묶는 고리이다. 하지만 이 고리는 결코 개념이나 주제로 될 수 없으며, 언제나 비밀로 머물게 된다. 이런 비밀을 통해서 주체는 타자와 유일한 관계를 갖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책임의 형태가 결코 개념화될 수 없다는 것이다. 개념을 지속적으로 벗어나는 개념에 대한 해체론적 사유를 통해서 데리다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주체와 타자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attempt to illuminate Derrida's concept of responsibility by examining the divers interpretations of the subjectivity opening to the absolutely other through Jan Patočka and Kierkegaard. The interpretation which Patočka propose about the christianism is sufficient to make clair the meaning of subjectivity accomplishing the self-sacrifice in the relation with the wholly other. However, in his interpretation, the ethics conceived in the relation with the absolutely other is limited in the sphere of religion, more precisely the christianism. But Derrida comments Kierkegaard's Fear and Trembling in order to reinterpret the ethics rel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alterity and restructure the kierkegaardian existentialism in the schema of the theory of alterity. When Derrida speaks of the absolutely other, this other means not only the God in the christianism, but all the other which could be different from the subject. Thus if Kierkegaard delimits the absolute obligation in the sphere of religion, Derrida extends the absolute obligation and the secret found in the religious relation to the ethical relation. Consequently this absolute obligation tie the ego with the absolute other, never embraced in the knowledge. In other words, this tie could not be converted neither in the concept, nor in the thema but rest secret. By this secret the subject enters in the unique relation with the other. But it is important to catch up the paradox which we confront in this relation. This paradox show the difficulty of expressing the singularity of the unique relation with the other because we couldn't speak of the concept de reponsibility without generalizing the unique relation with the absolutely other and contaminating the singularity of such other and this relation. In spite of the difficulty, Derrida attempts to show how the alterity comes into the sphere of the ego by the rupture of the Same. In effect we can confirm the possibility for the ego of being exposed to the other through the mouvement of the calling where the other, while he/she is inevitable dependant on the concept in order to be announced, avoids incessantly the concept.

      • KCI등재

        데리다의 절대적 타자론 ― 윤리적 입장과 부정의 입장 사이에서

        손영창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9 No.-

        본 논문은 데리다의 사유에서 윤리적 측면과 부정의 측면을 해명하고자 한다. 먼저 데리다의 사유에서 윤리적 측면은 공포와 전율에 대한 데리다의 독해에서 명확히 논의되고 있다. 여기서 데리다는 절대적 타자의 무한한 요구에 응답함으로써 주체는 윤리적 주관성을 획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런데 이런 요구는 주체를 다른 타인들과의 관계를 단절시켜 절대적 타자에게 집중하도록 강제하고, 이런 독특한 관계 속에서 이해된 타자는 주체의 앎과 능력 너머에 있는 존재로 규정된다. 문제는 앎에서 벗어난 절대적 타자가 과연 어떻게 논의 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타자의 미규정적 성격과 그의 타자성은 결국 주체의 질서에 혼란을 야기하며 주체가 통제할 수 없는 의미의 붕괴를 유발한다. 이를 염두에 두고, 우리는 이런 절대적 타자성이 가져올 문제에 관심을 가져보자. 만약 우리가 이런 타자에게 열리고자 한다면, 타자를 통제하는 것의 불가능성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것은 하나의 위험이며, 데리다는 이런 위험이 가져올 의미의 붕괴 혹은 부재를 코라를 통해 설명한다. 코라는 특별한 공간으로 의미가 부재하고 모든 인간적인 요소들이 은폐된 특별한 공간이다. 그런데 데리다에 의하면 주체가 무의미와 직면할 수 있는 빈 공간 없이는 내가 책임지고 응답할 수 있는 어떤 타자도 없다. 코라가 사막과 같은 빈공간이라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왜냐하면 이 공간이 근대 주체를 비판하고 동일자의 논리한계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코라가 행하는 이런 긍정적인 기능에도 불구하고, 데리다의 타자성을 단지 중립적인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충분치 않아 보인다. 왜냐하면 데리다가 메시아니즘을 언급하면서, 윤리적 차원의 중요성을 중시여기기 때문이다. 특히 그가 메시아니즘과 연관해서 절대적 정의를 말할 때, 우리는 그의 사유의 동기가 윤리적 측면과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점에서 데리다의 사유는 근본에 있어 윤리적 측면을 통해서 오롯이 이해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article is to seek for illuminating the ethical dimension and the negative in the Derrida’s thought. In the lecture of <Fear and Trembling>, Derrida affirms that the subject could acquire ethical subjectivity by responding to the infinite demand of the absolutely other. But this demand forces the subject to interrupt all relationship to other persons and to concentrate on the absolutely other. In regard with the other, Derrida defines it's absolute alterity as being beyond the knowledge and the power of subject. The problem is to know whether this absolutely other liberated from the knowledge could be spoken. The undeterminate character of other or it’s absolute alterity provoke in consequence disorder in the ordre of subject and bring about the absence of meaning there. Keeping this in mind, we speak of the risk resulting from the absolute alterity. If we decide to make ourself open to the other, we are forced to take the risk of accepting the impossibility of controlling the other. This risk extends to meet the nonsense which Derrida describes as Khora. Khora is the particular space which is absence of meaning and retreat of all person. For Derrida, without this vacant space where we could be confronted with the nonsense, there are no other for whom I am responsible and to whom I respond. Though Khora is terrifying space like desert, it plays very important role because it makes impossible the sovereign control of modern subject. At this point, the negative character of Khora have, on the one side, function to make clear the limit of logic of the sameness and to criticize the problem of modern subjectivity, since this subject in his sovereign power seeks for controlling all other and absorbing those alterity in his immanence. Despite what Khora performs the positive function, the alterity for Derrda does not remain simply neutral. Referring to the messianism, he reminds the importance of ethic dimension. When he speaks of the absolute justice in relation with messianism, we can confirm that the motif of Derrida’s thought is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ethical consideration.

      • KCI등재

        타중(他衆)의 인식론

        곽호철(Kwak, Hochu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4

        본고는 세계화의 부정적 효과로 고통을 당하고 있는 약자들, 경제적・정치적・문화적으로 착취를 당하고 있는 약자들을 보호하는 한 방편으로 제시되는 타자들의 연대의 인식론적인 토대를 그리스도의 양성론과 삼위일체론에 근거를 두고 제시한다. 약자들은 두 가지 차원에서 폭력에 노출되어 있다. 하나는 차이와 초월성의 절대화로 인한 폭력이고, 다른 하나는 동일성과 내재성의 절대화에 의한 폭력이다. 본고는 약자들이 고통을 받는 이유를, 동일성을 절대화하는 인식론(동일성 인식론)과 차이를 절대화하는 인식론(차이 인식론)에서 발견한다. 동일성이 절대화되는 인식론은 차이를 무시하는 폭력에 무감하거나 방관, 혹은 조장할 위험이 있다. 반면에 타자성이 절대화될 경우 모든 차이들이 절대화되면서 연대가 불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르완다 인종학살의 경우에 학살을 당한 투치족도 빈자, 부자, 농민, 정치인 등으로 나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당한 폭력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를 절대화할 경우 이 폭력을 막도록 함께 연대할 수가 없다. 이 타자들의 연대를 위해서는 동일성 인식론과 차이 인식론을 극복해야 한다. 동일성과 차이, 초월과 내재는 인간의 본질적인 요소이며 함께 인식되어야 한다. 이런 인식론의 근거를 그리스도 양성론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스도는 신성과 인성, 초월과 내재를 혼합되지도 않고 분리되지도 않게 그 안에 품고 계신다. 인간이 성화를 지향한다면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신비를 체현해 가야 한다. 성화과정에 있는 인간으로 파악할 때 인간 또한 초월과 내재가 그 안에서 양자를 서로 부정하지 않고 공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인간을 인식할 때에도 초월과 내재 어느 한쪽을 부정하지 않고 포괄하는 인식론이 가능할 수 있다. 인간을 초월과 내재가 공존하는 존재로 파악할 때, 동일성 절대화의 폭력과 타자성 절대화의 폭력을 극복하며 정의를 실현해 갈 수 있는 타자들의 연대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초월과 내재를 함께 포괄하는 인식론을 타중의 인식론이라고 명명한다. 타중은 무수한 차이를 갖고 있는 인간들이면서 동시에 사회적 존재로 공동체를 구성하며 살아가는 인간을 뜻하며, 그 차이는 하나로 묶을 수 없기 때문에 레비나스의 타자를 넘어서 타중으로 명명한다. 타중의 인식론은 타자들의 차이 실현을 지향하면서도 약자들이 당하는 폭력에 저항하기 위해 연대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proposes an epistemology of concrete others as a foundation for solidarity of others, which is to protect the vulnerable who are experiencing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exploitation in a globalizing world. The vulnerable are exposed to two kinds of violence: one is violence from the absolutization of otherness, transcendence, difference; the other is from the absolutization of solidarity, immanence, or homogeneity. While the absolutization of solidarity justifies oppression of others, the absolutization of difference enervates resistance of those who are oppressed others. In order to resist against oppression and violence, the oppressed people need to have solidarity with others. To work toward solidarity of others, one should sublate both the absolutization of solidarity and the absolutization of otherness, since absolutization of each has justified injustice, indifference, and oppression. Sublation of both the absolutization of solidarity (an epistemology of homogeneity) and the absolutization of otherness (an epistemology of difference) leads to a dialectic epistemology: an epistemology of concrete others. An epistemology of concrete others is based on the two-nature Christology and the Trinitarianism, which confirms the hypostatic union between humanity and divinity, transcendence and immanence,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and the like. An epistemology of concrete others emphasizes both otherness and homogeneity, transcendence and immanence, and difference and commonness. An epistemology of concrete others necessitates and suffices for solidarity with others, with which the vulnerable can resist oppression and indifference caused by absolutization of solidarity and difference, respectively.

      • KCI등재

        타자성과 외재성에 대해 ― 레비나스를 중심으로

        손영창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3 No.-

        필자는 본 논문에서 레비나스의 타자론을 외재성과 초월성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먼저 타자는 동일자로 환원되거나 동일자와 동일한 평면에 놓이지 않는 자를 의미한다. 동일자가 인식과 의식 그리고 전체성으로 규정될 수 있다면 타자는 이런 전체성에 포착되지 않는 존재임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타자는 동일자의 논리 혹은 전체성의 논리와는 다른 의미의 논리성으로 자신을 드러낸다. 이를 레비나스는 타자성이라 부른다. 이러한 타자성은 동일자의 전체성이나 그것의 힘의 논리와 다르다는 점에서 윤리성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레비나스에게서 타자성은 윤리성이고, 권력과 다르게로 즉 ‘저항할 수 없는 자의 저항’이나 연약함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이를 레비나스는 ‘존재와 다르게’라고 부른다. 하지만 ‘존재와 다르게’는 존재의 절대적 외부를 지시한다는 점에서 해석상의 어려움을 갖고 있다. 왜냐하면 만일 ‘존재와 다르게’가 절대적 외재성으로 규정될 수 있다면, 철학적 담론, 혹은 이성의 담론 속에서 해명되고 명확히 이해된 ‘존재와 다르게’는 이미 내재화되거나 상대적인 외재성일 것이다. 그러기에 절대적 외재성을 개념이나 체계 속에서 주제화 할 수 없다. 오히려 외재성의 강조가 은폐되거나 단지 우리의 인식능력을 넘어서는 비규정적인 존재를 의미하는 것이라기 보다 타인의 외재성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필자는 레비나스가 강조한 대화의 개념에 주목하고자 한다. 레비나스에 의하면 대화는 흔히 정신간의 소통이나 인식 상의 합의가 아니라, 인식활동이 행하는 주제화와 개념화를 끊임없이 비껴가는 대화상대자의 출현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즉 나에게 말을 건네고 나를 부르는 대화상대자가 대화의 가능조건이다. 대화를 이렇게 규정함으로써 레비나스는 타자성을 단지 개념체계나 철학적 담론과는 다른 방식으로 그것의 외재성을 끊임없이 드러내고자 한다. 요컨대 이 외재성을 통해 그는 철학적 담론이 망각하고 있던 타자와의 대면, 그리고 그의 부름이 발생하는 계기를 보여주고자 한다. Cet article porte sur la question de savoir comment penser l’altérité de l’Autre à partir de l'extériorité et de la transcendancesans. D'abord, l'Autre, c'est lui qui ne se réduire jamais au Moi. Autrement dit, il ne saurait être placé dans le système du Moi. Tandi que l’Autre est, selon la philosophie moderne, saisissable et conceptualisable par le système, pour Levinas il est défini comme l'altérité absolue. Cela veut dire que l'Autre est éxtérieur à la totalité du Même et aussi caractérisé dans sa transcendance. Or cette altérité lévinassienne n'est pas pensable sans la relation avec l'éthique qui se révèle dans la signifiance. Si l'autre révèle au moi le sens, ce dernier indique la rupture avec la totalité du Moi, c'est-à-dire la logique du pouvoir qui nous fournit l'assurance excluant l'incertitude de l'inconnu. C'est pourquoi pour Levinas, l'extériorité ne signifie pas simplement ce qui reste extérieur au Moi, mais surtout la sphère du sens où le règne du Moi ou du pourvoir pourrait s'effondre. Sur ce point, l'altérité de l'Autre signifie autrement que le Moi ou le mê̂̂me. Cette altérité se révèle dans sa vulnérabilité. Levinas la caractérilse comme la résistance qui n’a aucun pouvoir de la résistance dans le sans-défense, c’est-à-dire la la résistance éthique du non-pouvoir. Le Dire éthique, qui ne fut jamais présent, est lié à la non-indifférence du moi éthique qui se trouve dans le face à face avec le prochain par la démesure de la responsabilité. Par là, le Dire pré-originel trouble le moi et le présent de la conscience, en dépassant toute détermination du dit, qui le recouvre dans la manifestation. Par contre, le dit tente de rendre manifeste le retrait du Dire dans la présence de la conscience et d’annuler sa transcendance dans l’englobement de la cohérence logique de l’argumentation et dans la quête du fondement. Pour surmonter cette aporie, Levinas présente la thématique de la communication ou du discours qui nous permet de prendre en compte la transcendance de l'Autre irréductible au discours. car selon Lévinas la communication est de faire voir comment l'Autre échappant à la thématisation addresse la demande au moi qui ne cesse de le saisir dans le savoir.

      • KCI등재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관점에서 본 가까이 있음(proximité)과 책임성의 의미

        손영창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5 No.-

        이 연구는 어떻게 타자를 동일자의 지평 너머에서 사유할 수 있는가에 질문을 답하고자 했다. 흔히 서구철학에서 타자는 인식 내에서, 체계 내에서 동일자와 다른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런 한에서 타자는 언제나 인식과 인식의 대상으로 환원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대로, 레비나스에게는 타자는 절대적 타자로 언제나 인식과 동일자의 지평에서 포착될 수 없는 자이다. 이런 의미에서 타자는 의식의 현재에 드러나지 않고, 그 기원과 종말 속에서 자기 일치성을 갖지 않는 존재이다. 여기서 기원과 원리의 거부는 타자의 타자성을 아나키(anarchie)로 규정하게 한다.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연구에 있어, 특히 책임성이 보편적 원리가 아니라, 의미의 과잉으로 규정되는 이유는 타자의 타자성이 어떤 현전성 속에서 구조화되고 체계화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타자성이 아나키로 규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타자의 부름을 통한 책임성의 일깨움은 하나의 원리가 아니라, 지속적인 증대로 표현된다. 책임성의 증대는 이미 하나의 비대칭성을 함의하는데, 자아는 언제나 타자의 부름과 자신의 응답 사이의 비대칭성 속에서 고발당하는 자로 있음을 알게 된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이런 고발과 책임성의 과잉을 통해서 자아는 실체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존재와 동일자의 전체성 너머 타자에게 열림을 체험하게 된다. 이 열림은 의식의 열림과 다른 윤리적 열림으로 레비나스는 이를 신체적 자아와 감성적 측면에서 설명한다. 이 열림이 실행되는 공간을 레비나스는 가까이 있음(proximité)이라 부른다. 이 가까이 있음에 들어온 자아는 모든 타자의 부름에 대해 거부하지 못하고, 절대적으로 타인에게 열려지게 된다. 이상의 연구에서 타자성, 책임성 그리고 가까이 있음을 통해 윤리적 주체성의 열림이 갖는 의미를 ‘존재와 다르게’로 이해하고자 한다. Dans cette étude, j’ai tenté de montrer comment l’autre peut être pensé au-delà de l’horizon du Même. Comme souvent dans la philosophie ocidentale on le pense, l’autre est un autre dans le savoir, autre qui est suffisamment réductible au savoir et à son objet. Par contre, pour Levinas, l’autre est absolument autre et reste toujours irréductible au savoir et au Même. En ce sens, il apparaître insaissasable à l’égard du savoir et de la manifestation. Au point que l’autre refuse la présence dans le présent de la conscience, il ne s’appuie pas sur l’origine, ni sur le principe. A cet égard, l’altérité est anarchique au sens où elle précède l’origine et la manifestation. C’est pourquoi lorsque Levinas parle du rapport avec l’altérité de l’autre, elle est éthqiue et la resposnabilité pour l’autre est différente de la forme de présence comme principe et ne repose pas sur le présent du Moi. En ce sens, elle m’est assignée en deçà de ma liberté et du présent de la conscience, au sens anarchique de l’altérité de l’autre. La détermination lévinassienne de la responsabilité consiste à rompre avec le Je peux et avec son engagement libre. Le surplus de la resposnabilité implique déjà, en certain sens, l’asymétrie. Dans la mesure où l’altérité refuse l’activité du moi dans le présent, le rapport du moi à l’autre n’est pas un rapport réciproque et symétrique. L’asymétrie que Levinas appelle le rapport éthique indique une inadéquation extraordinaire selon laquelle l’obligation s’accroît au fur et à mesure de mon obéissance. A cause de cette inadéquation, le sujet se trouve sous l’accusation d’autrui et paradoxalement il peut s’y affrachit de l’être et du Même. Le lieu où cet affranchissement s’effectue est la proximité où le moi ne trouve aucun refuge dans le savoir ou dans le concept. Ainsi, il s’y laisse exposer à l’autre. Par là, le sens éthique se montre dans le surplus de la resposnabilité toujours démesurée et disproportionnée et il accopagne la passion qui, comme crainte pour autrui, vide le moi de l’être avant la prise de conscience. Lorsque le sens éthique ou la responsabilité atteint le moi hors du savoir et du pouvoir du sujet, le non-origine du moi se laisse exposer à l’altérité de l’autre comme un choc, un bouleversement. Par ce choc et ce bouleversement, j’ai essayé de montrer la relation de l’anarchie et de la subjectivité éthqiue et le sens de l’ouverture éthique.

      • KCI등재

        레비나스의 ‘얼굴’, 윤리학적 해석이 가능한가?

        박치완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4 No.1

        Other(Autre) is often mentioned with Levinas and his ethics. However, how can ethics be related to Levinas' argument which is unfamiliar to general grammar of philosophy? The necessity for Levinas' ethics of Other could raise two matters: indifference about many ethical issues or totally clueless condition of ethics itself. This paper would try to solve the questions above mentioned. It will reconstitute his philosophy focused on Face(visage) which is misunderstood by many researchers. His ethics is basically the ethics of Autre absolu(Infini/Dieu). Accordingly, Visage, lnfini and Dieu mean the same. But suppose this is secularized referred to ethics. This assumption comes from misunderstanding of his intention. It means that we can mistake his messianic vertical ethics for horizontal ethics of other general. In the 21th century the ethics of coexistence and harmony requires more than hospitality of absolute other. Levinas also emphasized that modern ethics should be the care of les hommes including “orphan, widow and stranger". How can Levinas' ethics as the first philosophy accomplish its proper duty? We have to extend our attention from Europe to global world as well as from Jew to all mankind. It is not absolute other but other general that should be included in ethical argument. ‘타자’라는 개념이 언급될 때면 언제나 레비나스가 언급되며, 또한 ‘윤리학’이 언급된다. 하지만 철학의 일반적 문법과는 다소 생소한 레비나스의 주장들은 과연 윤리학과 어떤 긴밀한 관계가 있을까? 그가 주장하는 타자의 윤리학은 우리로 하여금 현대의 무수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무관심하게 하거나 ‘윤리학’ 개념 자체를 오리무중 상태에 빠지게 하는 것은 아닐까?우리는 본고에서 이러한 의문을 해결해보려고 하며, 많은 연구자들이 오해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철학을 재구성해볼 생각이다. 기본적으로 그의 윤리학은 ‘절대타자’의 윤리학이다. 즉 그에게 있어 <얼굴=무한=신>은 동일한 의미이다. 그런데 이를 윤리와 연관된 내용으로 세속화시킨다고 가정해보라. 이것은 분명 레비나스의 본래 의도를 곡해한 것이다. 또한 그의 메시아적 수직 윤리를 타자 일반의 수평 윤리로 착각한 것이다. 21세기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공존과 조화의 윤리는 절대타자를 환대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레비나스 역시 자신이 자주 인용하는 성경 구절인 “고아, 과부, 이방인”을 포함해 “사람들”을 배려하고 보살피는 것이 현대 윤리학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레비나스의 제일철학으로서의 윤리학이 윤리학의 본래적 임무를 수행하는 데 기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해답은 간단한데서 찾을 수 있다. 우리의 관심을 절대타자에서 ‘타자들’로, 유럽에서 지구촌으로, 유대인에서 인류로 확장시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윤리학의 과제는 절대타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타자 일반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 KCI등재

        절대적 타자성과 책임에 대한 소고-데리다의 종교이해를 중심으로-

        손영창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문화 Vol.0 No.34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religious in the Derrida’s thought. Derrida makes the distinction relegere and religare in the definition of religion. The one means holiness, separation, and the other means un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not only the dimension of separation, but also the dimension of union of God and man. Derrida, in the lecture of Fear and Trembling, asserts that the religious subject determined by the pious interpretation of Kierkegaard on Abraham could acquire the status of ethical subjectivity by responding to the infinite demand of the wholly other. But in order to respond to this demand addressed to the subject, he has to interrupt all relationship to other persons and to concentrate on the absolutely other. In regard with the other in the correlation of call and response, Derrida defines its absolute alterity as being beyond the knowledge and the power of subject. The problem here is how to define the other freed from knowledge. Some scholars, thus, characterize Derrida's alterity as negative theology. However, Derrida believes that the non-knowledge and indeterminacy of an absolutely other can not only be interpreted as a personal being like God , but as a Khora, an absolute meaningless existence. Through this concept of Khora, Derrida seeks to distance himself from the th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traditions of understanding the other. We want to explain his concept of alterity through this trajectory of Derrida's thought. 본 논문의 목적은 데리다의 사유에 있어 종교의 의미를 해명하는 데 있다. 우선 데리다에게 종교의 의미는 렐레게레와 렐리가레로 구분되는데, 앞의 용어는 신성함이나 분리를 의미하고 다른 용어는 연합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신성한 것은 일반적인 것과 구분되고 분리된 것이다. 하지만 종교의 특성은 분리만큼이나 연합, 신과 인간 사이의 관계성과 연관되어 있다. 데리다는 키에르케고어의 『공포와 전율』을 독해하면서 신과 인간의 관계를 신앙적 실존보다는 절대적 타자의 무한한 요구와 이에 대한 주체의 응답의 형태로 해석한다. 이런 무한한 요구는 주체를 다른 타인들과 단절시키면서 절대적 타자에게 집중하도록 강제한다. 이런 독특한 관계 속에서 이해된 타자는 주체의 앎과 능력 너머에 있는 존재로 규정된다. 그런데 일부의 학자들은 데리다의 타자성을 일종의 부정신학으로 해석한다. 하지만 데리다는 절대적 타자의 이런 미규정성을 신과 같은 인격적 존재로 한정하지 않고 절대적 무의미의 존재인 코라로까지 해석의 가능성을 확대하고자 한다. 코라의 개념을 통해 데리다는 기존의 신학적, 인간학의 전통과 단절하고자 한다. 우리는 이런 데리다의 사유의 궤적을 통해 그의 타자성 개념을 해명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데리다의 환대론에서 절대적 타자의 외재성과 제삼자의 위상에 관하여

        손영창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3 No.4

        This article consists in the inquiry on the status of wholly other and the third in the theory of Derrida’s hospitality. With this regard, first we remark the characteristic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Unconditional hospitality signifies hospitality receiving the other, without controlling him/her in the institution. However, the other could appear at the same time as good neighbor and enemy, since this hospitality does not contain any constraints. Derrida remarks this undeterminate situation which produces aporetical situation. Referring to the levinasian concept of third, he takes the status of third as aporia. We seek to explain the reason why the other remained undeterminate and is tied to exteriority of the other. Because absolute exteriority could not be calculated nor controled, it appears undeterminate, impossible. But the source of this impossibility is not other than the demand of other. On this point the thought of Derrida is indebted to ethical ground of Levinas. 이 논문은 데리다의 환대론에서의 절대적 타자와 제삼자의 위상에 대한 연구다. 이와 관련해서 우선 무조건적 환대의 특징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조건적인 환대는 제도나 법을 넘어서서 어떤 조건이나 제약도 없이 타자를 맞아 들이는 환대를 의미한다. 하지만 이런 환대는 타자의 수용에 있어 어떤 제약이 없기에 타자는 선한 이웃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동시에 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데리다는 이런 미결정의 상태가 만들어 낸 이율배반적인 상황에 주목한다. 데리다는 이런 상황이 나오게 된 배경을 제삼자의 등장에 둔다. 데리다는 레비나스의 제삼자개념을 참조하면서 자신의 환대론에서 제삼자의 위상을 아포리아로서 다룬다. 우리는 데리다의 환대론이 어떤 원리나 이론으로 안착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의 위상을 지속하여 미결정인 상태로 두는 이유를 타자의 외재성에서 찾고자 하였다. 절대적 외재성은 통제하거나 계산하거나 예측할 수 없기에 언제나 우리에게는 난제이자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이런 불가능한 것의 원인은 다른 무엇이 아닌 바로 타자의 부름과 요구와 연관되어 있다. 이점에서 데리다의 사유는 레비나스의 윤리학적인 기반에 큰 빚을 지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개인화 시대, 연대의 조건 : 아담 스미스의 ‘동감’ 개념을 중심으로

        이승훈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4 현상과 인식 Vol.48 No.1

        현대는 개인화의 시대이다. 개인의 자유를 어느 때보다 중시하는 시대이다. 하지만 개인 자율성의 증대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모두가 서로에게 낯선 타자가 되고, 이로 인해 사회적 유대가 해체되어 가는 것이다. 이 글은 타자와의 연대 가능성을 아담 스미스의 ‘동감’ 사상을 통해서 찾아보고자 한다. 먼저 동감할 수 있는 ‘타자’의 종류를 세 가지를 구분하고, 아담 스미스의 동감 개념이 포용하는 ‘타자’가 누구인지를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동감 개념에 대한 비판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누군가를 동감한다는 것은 결국 ‘타자의 자기화’에 불과하다는 비판이다. 둘째, 동감이 포용할 수 있는 타자는 자신과 문화적 지평을 공유하는 사람들로 제한된다는 비판이다. 이 글은 주체가 자신에게 낯선 타자, 곧 ‘절대 타자’에 대하여 동감과 연대를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The modern is an era of individuation. It is an era where individual freedom is more important than ever. However, increasing individual autonomy can cause many side effects. Everyone becomes a stranger to each other, and social bonds are dissolved.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others through Adam Smith’s idea of sympathy. We first distinguish between three kinds of “other” with whom we can sympathize, and then critically discuss who the “other” is that Adam Smith’s concept of sympathy embraces. Criticisms of sympathy can be summarized in two main ways. First, it is a criticism that sympathizing with someone is nothing more than ‘self-identification of the other’. Second, people can sympathize with those who share their cultural horizons. This article critically discuss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a subject’s ability to empathize with and solidarize with the other, the “absolute other,” who is foreign to them.

      • KCI등재

        이상 시 시적 주체의 자기의식 형성과 타자와의 상관관계 연구

        장동석(Jang, Dong-seok)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6

        이상 시의 시적 주체 ‘나’는 타자 관찰을 통해 자기의식을 생성한다. ‘나’의 자기의식은 일방향적으로 관찰한 타자와는 차별화된 존재, 즉 주체로서의 ‘나’를 입증하는 근거이다. ‘나’는 내면으로의 침잠을 통해, ‘무능과 게으름’의 자기의식을 구체화한다. ‘무능과 게으름’은 자본주의 현실에 무지한 타자의 도움 요청이나, 그것에 맹목적으로 순응하는 타자의 외출과 변별되는 대응 방법이다. 그리고 새로운 자본주의 현실의 속성을 선취하고 이해한 댄디로서의 ‘나’가 지닌 정신적 귀족주의가 만들어낸 현실 대응 방법이다. 이때 ‘나’는 타자를 부분적으로 소유함으로써, 타자와의 관계 지속을 가능케 한다. ‘나’의 ‘자기의식’은 ‘나’를 바라보는 절대적 타자의 눈, 즉 응시를 내면화 하면서 균열을 일으킨다. ‘응시’를 내면화한 ‘나’의 의식에 생긴 틈으로 ‘응시’에 호응하려는 무의식적 욕망이 방출된다. 이러한 무의식적 욕망은 절대적 타자와의 상호 관계 선상에서, 더 나아가서는 당대 역사적 현실 모순과의 관계선상에서 자기의식을 생성한다. 이때 이상 시에는 논리의 상징계 언어와 무의식의 기호계 언어 간의 변증법적 긴장 관계가 형성된다. 기호적 코라의 충동하에 방출되는 무의식의 언어에는 피식민지 자본주의 도시라는 특수 공간에서 기인한 모순이 흔적으로 남는다. 그리고 이는 반복 변주 서술, 모순어법, 비인과적 서술 등의 미적 형식으로 나타난다. ‘나’가 자기 육체의 불완전성을 투시하는 관찰의 눈은, 곧 피식민지 자본주의 현실의 모순을 유표화하는 방법이 된다. 또한 육체의 불완전성을 극복하려는 소망은, 외적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려는 무의식적이고 집단적 소망으로서의 정치적 무의식과 대응 관계를 형성한다. The poetic subject, ‘I’ in Lee, Sang’s poetry creates self-consciousness through observation of others. Subject ‘I’ is distinguished from others who were observed in one way. Self-consciousness of ‘I’ proves this. ‘I’ embodies the self-consciousness of ‘incompetence and indolence‘ through withdrawal in the inner. By partly possessing others, self-consciousness of ‘incompetence and indolence’ maintain the relation of others. ‘Incompetence and indolence’ are the methods to deal with reality of capitalism. It is distinct from the call for help of the others who are ignorant of the reality of capitalism as well as the leave of the others who blindly conform to it. ‘Incompetence and indolence’ are realistic countermeasure created by spiritual aristocracy of ‘I,’ a being with understanding and preempting attributes of reality of new capitalism. ‘Self-consciousness’ of ‘I’ creates cracks while internalizing the eyes of The absolutely other looking at ‘I.’ The unconscious desire responding to ‘gaze’ is released into a crack of consciousness of ‘I’ who is internalization of ‘gaze.’ The unconscious desires creates self-consciousness in line with mutual relationship with absolutely other and further more with contradictions of the contemporary and historical reality others belong to. At this time, dialectical tension between logical symbolique language and the unconscious sèmiotique language is formed in Lee, Sang’s poetry. In the language of the unconsciousness being released under the impulse of the sèmiotic Chora, traces of contradictions caused by a special space of capitalist colonial city are left. And this is associated to the form of the repetition ․ variation and the De-causality. The eyes of ‘I’ seeing through imperfection of his/her body become a method to mark contradictions of reality of colonial capitalist. in addition, desire to overcome the imperfection of the body forms an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ith political unconsciousness, as unconscious and collective wishes to overcome contradictions of external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