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老子와 矛盾, 그리고 矛盾的 인간이해에의 시선 - 嚴君平의 『老子指歸』를 중심으로 한 도가철학의분석심리학과 현존재분석적 고찰 -
김정택,고희선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4 No.-
This thesis aims at a better psychological and philosopical understanding about human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tic psychology and Dasein analytic consideration about the contradictory, paradoxical, and dialectical thinking way of the Lao-tzu philosophy. Human Beings are contradictory. In the human mental phenomenon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coexist contrary but complementary 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perfect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s based on that of human mental wholeness or allness. Mental allness or wholeness viewed by the human essence in the analytic psychology appears through the Self. The researchers looked into the Subject's naturalization process which agrees with the Lao-tzu's thought that leaves nature as it is through the Archetypus des Selbst of analytic psychology that makes possible human being's psychological allness or wholeness, and then expanded it to the Subject's, the Object's, and the society's naturalization process by the way of Dasein analysis. In other words, this thesis aimed to explore philosophical theme more practically by the psychological way on the Subject's, the Object's and the society's dynamics which makes us live independently and together in spite of the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humans in psychological way, through looking into the Lao-tzu's thought which complies with self-realization process in the way of one Subject-oriented analytic psychology and looking into the possibility of the Subject's, the Object's and the society's naturalization process which encompass one subject's naturalization process of one subject's in the basis of Dasein's coexistence. 본 논문은 도가철학의 모순적, 역설적, 변증법적 사유방식에 대한 분석심리학과 현존재분석적 고찰을 통해 인간의 모순적 속성을 심리학적·철학적으로 좀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간은 모순적 존재이다. 의식과 무의식이라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인간의 정신 현상 속에는 상반상보적(相反相補的)인 정신의 모순적 속성이 공존하고 있다. 그리고 온전한 인간이해에의 시선은 이러한 정신의 전일성(全一性) 혹은 전체성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분석심리학에서 인간의 본질로 바라보는 정신의 전체성 또는 전일성은 자기(Self)를 통해 나타난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인간 정신의 전체성 혹은 전일성을 가능케 하는 분석심리학에서의 자기원형의 작동원리를 통해 노자(老子)의 무위자연사상(無爲自然思想)에 입각한 한 존재의 자연화과정을 한 개체중심적인 분석심리학적으로 먼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주제와 타자, 그리고 사회의 자연화과정을 현존재분석적으로 좀 더 확장하여 탐색하였다. 즉 본 논문은 무의식의 의식화과정을 통한 분석심리학에서의 자기실현과정과 그 맥을 같이하는 노자(老子)의 무위자연사상(無爲自然思想)을 엄군평의 『老子指歸』를 중심으로, 한 주체중심적인 분석심리학적으로 먼저 살펴보고, ‘현존재의 공존성’을 바탕으로 한 한 주체의 자연화과정을 둘러싼 주체와 타자, 그리고 사회의 자연화과정에의 가능성을 현존재분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모순적 인간 속성 속에서도 상호 조화를 이루며 ‘따로 또 같이’ 살아갈 수 있는 주체와 타자, 그리고 사회적 역학관계에 관한 철학적 주제를 심리학적 방법론을 통해 좀 더 실천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김정택(Kim, Jung-taek),고희선(Ko, Hee-sun)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4 No.-
본 논문은 도가철학의 모순적, 역설적, 변증법적 사유방식에 대한 분석 심리학과 현존재분석적 고찰을 통해 인간의 모순적 속성을 심리학적•철학적으로 좀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간은 모순적 존재이다. 의식과 무의식이라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인간의 정신 현상 속에는 상반상보적(相反相補的)인 정신의 모순적 속성이 공존하고 있다. 그리고 온전한 인간이해에의 시선은 이러한 정신의 전일성(全一性) 혹은 전체성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분석심리학에서 인간의 본질로 바라보는 정신의 전체성 또는 전일성은 자기 (Self)를 통해 나타난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인간 정신의 전체성 혹은 전일성을 가능케 하는 분석심리학에서의 자기원형의 작동원리를 통해 노자{老子)의 무위자연사상(無寫自然思想)에 입각한 한 존재의 자연화과정을 한 개체중심적인 분석심리학적으로 먼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주제와 타자, 그리고 사회의 자연화과정을 현존재분석적으로 좀 더 확장하여 탐색하였다. 즉 본 논문은 무의식의 의식화과정을 통한 분석심리학에서의 자기실현과정 과 그 맥을 같이 하는 노자(老子)의 무위 자연사상(無寫 自然思想、)을 염군평의 『老子指歸』를 중심으로, 한 주체중심적인 분석섬리학적으로 먼저 살펴보고, ‘현존재의 공존성’을 바탕으로 한 한 주체의 자연화과정을 둘러싼 주체와 타자, 그라고 사회의 자연화과정에의 가능성을 현존재분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모순적 인간 속성 속에서도 상호 조화를 이루며 ‘따로 또같이’ 살아갈 수 있는 주체와 타자, 그리고 사회적 역학관계에 관한 철학적 주제를 심리학적 방법론을 통해 좀 더 실천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thesis arms at a better psychological and philosopical understanding about human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tic psychology and Dasein analytic consideration about the contradictory, paradoxical, and dialectical thinking way of the Lao-tzu philosophy. Human Beings are contradictory. In the human mental phenomenon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coexist contrary but complementary 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perfect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s based on that of human mental wholeness or allness. Mental allness or wholeness viewed by the human essence in the analytic psychology appears through the Self. The researchers looked into the Subject's naturalization process which agrees with the Lao-tzu's thought that leaves nature as it is through the Archetypus des Selbst of analytic psychology that makes possible human being's psychological allness or wholeness, and then expanded it to the Subject's, the Object's, and the society's naturalization process by the way of Dasein analysis. In other words, this thesis aimed to explore philosophical theme more practically by the psychological way on the Subject's, the Object's and the society's dynamics which makes us live independently and together in spite of the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humans in psychological way, through looking into the Lao-tzu's thought which complies with self-realization process in the way of one Subject-oriented analytic psychology and looking into the possibility of the Subject's, the Object's and the society's naturalization process which encompass one subject's naturalization process of one subject's in the basis of Dasein's coexistence.
박인기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4 No.1
이 논문은 홀리즘[Holism]이 오늘날 한국의 영재교육 현실에 어떤 대안적 시사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글이다. 영재들에게 전일성 체험은 중요하다. 영재들은 자신의 재능분야의 전문적 앎과 더불어 체험의 전일성을 통하여 ‘전인적 자아’로 나아가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홀리스틱 교육은 영재들로 하여금 소통의 다원적 경험과 더불어 체험의 ‘총체’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은 두 가지의 교육적 지향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서로 다른 성향의 영재들 사이에 다채롭고 많은 소통을 지향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사물(현상)을 직접, 느리게, 오래 체험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러한 영재교육 방향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영재들은 인격적 자존감을 가져야 한다. 특정의 재능으로만 자기 존재를 평가받는 경험을 누적해 나가다 보면, 인격[사람됨] 전체에 대한 인정이나 평가는 배제되기 쉽다. 그런 점에서 영재교육은 홀리즘의 가치를 주목해야 한다. 둘째, 전일성 경험을 중시하는 영재교육은 구체적 프로그램 운영을 학교의 범주로만 묶어 두는 것은 진취적이지 못하다. 영재교육의 커리큘럼 내용들이 현행 학교제도 체제를 넘어서는 대안적 교육 체제를 발전적으로 참조해야 한다. 셋째, 영재교육과 일반교육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전일성을 지향하는 영재교육의 확산이 예견된다. 학문 영재의 경우는 분리적인 영재교육 처방을 유지하겠지만, 문학이나 예술 분야의 비학문 영재교육에서는 일반교육과의 연계를 모색하면서 홀리스틱 교육 체험을 보강할 것이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earch for alternative suggestions that the educational essence of Holism may contribute education for the gifted in Korea. Holistic experiences lead the gifted student to building whole knowledge. Through this process of holistic experience, the gifted students are able to endow philosophical values to their intellectual/ personal identity. In regards to this issue, we can consider two educational directions for education for the gifted. The first is heading for colorful communication between talented people of different inclinations. The second is the need for an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experience factor. Here, the focus is on slowly and directly experiencing the object or actual state of things. In order to implement these directions, we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ideas for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First, it is important for the gifted to have self-esteem based on their total personality. The pedagogical programs for the gifted should contribute for them to take heed of the values of holism. Second, it is not positive for special education programs that focus on holistic experiences to be tied to a traditional category of school system. There needs to be a balance between the school’s formal curriculum and alternative informal curriculum. Third,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will be widespread through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with general education. Furthermore, new models of special education will be developed based on holism that promotes the connec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education on the whole.
<周易> 「乾卦」의 相反相成의 世界觀에 대한 考察 ― 全一과 還元의 관점을 중심으로 ―
이정희,최정준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8 동양문화연구 Vol.28 No.-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world view which is inherented at 「hexagram Qian(乾)」 of 『The Book of Changes』 from the point of Unification and Reduction. The reason for specify into the hexagram Qian is as follow;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ruling class of Zhou Dynasty, which completed the replacement of the Yin-Zhou dynasty and built a new dynasty, was directly reflected in the Hexagram Judgements(卦·爻辭) of Qian in the form of unification and reduction. The image of hexagram Qian symbolizes the unification and the Hexagram Judgements(卦辭)’, ‘Yuan Heng Li Zhen(元亨利貞)’ is a central principal that penetrates the world of ‘Changes(易)’. The six ‘hexagrams(爻象)’ and Hexagram Judgements(爻辭)’ show this central principal with an organic relationship called ‘the rise of six dragon’. This aspect also could be regarded as a monolithic world which reflects the feudal governance with the emperor as its peak. On the other hand, the each line that constitutes a hexagram is an extremely individual and its ‘Hexagram Judgements’ also retains its own loyalty that is not subjugated to the higher central principle. Thi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that the emperor-subordinate human being at Yin dynasty changes into a man of subjectivity as entered Zhou dynasty. The Unity and reduction within the hexagram Qian do not act as conflicting elements in the face of opposite, but as a compatible dynamic that represents the harmony of existence. With western rationality, which is the best alternative for confrontation and conflict of contradictory elements,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at to complete the world of “Changes” by dividing the antithesis of ( : Yin) and (─ : Yang)) into 64 hexagrams. This complementary world is the result of the world view of the Zhou dynasty projected in the hexagram Qian which combines the holistic ruling ideology of ‘repect the sky(敬天)’ and ‘serve the emperor(尊王)’ and the will to realize ‘the redemption of the people(保民)’. 이 논문의 작성 목적은 전일성(全一性)과 환원성(還元性)의 관점에서 『주역(周易)』 「건괘(乾卦)」에 내재되어 있는 세계관의 일면을 파악함에 있다. 「건괘」로 특정한 이유는 은주교체를 완성하고 새로운 왕조를 개창한 주나라 지배계층의 역사의식이 전일성과 환원성의 형식으로 「건괘」의 괘·효사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건괘」의 괘상(卦象)은 전일성을 상징하며, 괘사(卦辭) ‘원형이정’(元亨利貞)은 ‘역’(易)의 세계를 관통하는 중심원리이다. 여섯 개의 효상(爻象)과 효사(爻辭)는 육룡(六龍)의 승천이라는 유기적 관계를 맺은 채 이 중심원리를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천자를 정점으로 하는 주나라의 봉건적 통치 질서를 반영한 전일적 세계의 모습이기도 하다. 반면에, 괘를 구성하는 각 효는 지극히 개체적이며, 그 효사 또한 상위의 중심원리에 예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의리를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은나라의 상제 의존적 인간이 주나라에 들어서면서 개인의 덕성에 바탕을 둔 주체적 인간으로 환원되는 것과 그 맥락이 닿아 있다. 「건괘」에 내재되어 있는 전일성과 환원성은 그 상반성에도 불구하고 서로 충돌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조화를 구현하는 상성(相成)의 역동성을 발휘한다. () 과 (─)의 상반의 요소가 교변(交變)과 유행(流行)을 통해서 64괘로 분화하여 ‘역’의 세계를 완성하는 것은 상반된 요소의 대립과 충돌에 대비한 최적의 대안모델인 서양의 합리성으로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은 「건괘」의 상성의 세계는 경천(敬天)과 존왕(尊王)이라는 전일론적 지도이념과 보민(保民)이라는 개체 환원의 실천의지를 통합한 주나라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김성민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4
한국 그리스도인의 성격은 한국의 지형과 문화, 특히 천신신앙을 비롯한 무교, 불교, 유교 등의 영향 아래서 형성된 한국인의 성격과 기독교의 특성이 합쳐져서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것은 현재 한국 교회의 특성으로 드러나는데, 현재 한국 교회는 근본주의와 올바른 신앙 추구 사이의 부조화, 신비주의와 직접적 체험 추구 사이의 부조화, 현세주의와 적극적 신앙 추구 사이의 부조화, 행동주의와 열심 있는 신앙 추구 사이의 부조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부조화는 한국 그리스도인들이 이기적인 태도를 보이게 하고, 신앙과 실천 사이에 괴리가 생기게 하여 한국 사회에서 한국 교회를 비판하게 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분석 심리학적으로 볼 때, 이런 부조화는 인간의 생각과 행동과 정서적 반응들을 하게 하는 소년 원형과 노인 원형, 남성 원형과 여성 원형 사이의 불균형 때문이다. 전일적인 인격은 소년 원형에서 나온 새로움과 활력과 창조성이 노인 원형의 성숙한 틀 안에 들어가서 질서 있게 배열되어 완성되지만 늘 새로움을 잃지 않고 변환되며, 다른 사람들과 공감하고 따뜻하게 품어주지만 정신성을 잃지 않고 올바른 가치를 찾아서 그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들도 이끌어가는 인격인데, 한국 교회에서 이런 조화와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병리적인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 교회가 올바르게 나아가려면 이 원형들 사이에서 조화와 균형이 이루어져 전일성을 회복해야 한다.
장일순 생명사상의 전개와 특성 -생명문제와 전일성을 중심으로-
서광열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4
Jang Il-soon (1928-1994) is a practical thinker wh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ife and put it into practice before environmental problems were properly recognized in our society. He deserves to be called an ‘anti-philosopher’ in that he tried to change his way of life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existing truths rather than a producer of truth. His pioneering thought is highly significant in that he is still influencing “the life-movement” of contemporary civil society as he did in his own period. He left his mark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eace movement, but he devoted himself to the life movement from 1977 until his death. In particular, his thought has philosophical significance in that he is a thinker who provides the ideological basis for “the life movement” in Korea.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occasion of Jang Il-soon’s launching the ecological movement (Chapter 2) and the influence of Catholicism and the Wonju Camp (Chapter 3 ) as well a s of C onfucianism, Buddhism, T aoism and Donghak (Eastern Learning), which all served as the roots of the life-philosophy that became the source of his awareness of life. It will deal with unity and egalitarianism (Chapter 4),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is thought. Although a long time has passed since Jang Il-soon passed away, his idea is still valid and is becoming more an issue of enormous significance in our lives. A study on his thought is important in finding a new model of ecological movement that is applied to our life, reality, and locality. 장일순(1928∼1994)은 환경문제가 아직 우리 사회에 제대로 인식되기도 이전에, 생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에 옮긴 사상가이다. 그는 이론적 진리의 단순한 생산자로 살지 않고 전통적 진리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삶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인 ‘반(反)철학자’로불릴 만하다. 그의 선구적 각성은 그가 활동할 당시는 물론이고 오늘날의 시민사회의 생명운동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그는 정치참여, 평화운동에도 많은 족적을 남겼으나 1977년부터생을 마감할 때까지는 주로 생명운동에 매진(邁進)하였다. 특히 그는 우리나라의 생명운동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한 사상가라는 점에서 철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장일순의 생태운동이 시작된 계기와 그의 생명사상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유불도, 동학을 비롯하여 가톨릭과 원주캠프의 영향 등을 전체적으로 살피고, 그의 생명철학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전일성(全一性)의 형성과정과 사상적 내용 등을 다룰 것이다. 장일순이 세상을 떠난 지 이미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생명과 관련한 그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에 대한 연구는 우리의 삶과 현실 그리고 지역성에 맞는 생태운동의 방향성을 찾는데 중요한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을것이다.
최민자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7
본 연구는 양자역학적 세계관으로 대표되는 통섭적인 뉴 패러다임의 심원한 정치철학적 함의와 그것의 실천적 적용에 대해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세계를 이해하는 인식론적 틀인 과학적 방법론의 변천에 대해 일별한 후 뉴 패러다임의 본질과 특성, 정치철학적 함의와 실천적 적용의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 나아가 그 한계의 극복 방안을 동학의 관점에서 탐색해보고자 한다. 뉴 패러다임이 함축하고 있는 정치철학적 의미는 크게 두 가지 측면, 즉 생명정치와 생명문화로의 대전환이라는 측면과 통섭의 시대로의 문명사적 대전환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생명의 전일적 본질에 기초한 뉴 패러다임의 정치에 의해서만 생명정치적 분열은 극복될 수 있고 진정한 생명정치와 생명문화로의 대전환 또한 가능하게 된다. 생명이 단순히 개체화된 물질적 생명체가 아니라 비분리성·비이원성을 본질로 하는 영성(spirituality)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대통섭의 시대에 대한 진정한 통찰이 일어날 수 없다. 뉴 패러다임의 실천적 적용의 한계는 통섭의 메커니즘을 간파하지 못함으로 해서 우주의 본질인 생명의 전일성에 대한 통찰이 일어나지 못하는 데서 오는 것이다. 뉴 패러다임은 본질적으로 비분리적이고 비이원적이어서 우리의 세계관과 사고방식 및 가치체계가 이에 부응하지 못하면 실천적으로 적용되기 어렵다. 동학 ‘시(侍)’의 3화음적 구조는 통섭의 메커니즘을 간파함으로써 일체 만물이 전일성의 현시임을 밝히고 생명의 전일성에 대한 실천적 사유를 전개함으로써 뉴 패러다임의 실천적 적용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found politico-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holistic new paradigm represented by the quantum mechanical worldview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First, we will take a glance at the changes of scientific methodology, which is an epistemological framework to understand the world, and then examin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paradigm, its politico-philosophical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practical application, and further explore the way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Donghak. The politico-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new paradigm can be seen in two major aspects: the great transition to life politics and life culture, and the great historical transition of civilization to the era of consilience. Only by the politics of the new paradigm based on the holistic nature of life can biopolitical division be overcome and a great transition to true life politics and life culture be made possible. Without understanding the fact that life is not just an individualized material life, but a spirituality based on nonseparability and nonduality, true insight into the era of great consilience cannot arise. The limitation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new paradigm comes from the failure to see the mechanism of consilience and thus to gain insight into the oneness of life, the essence of the universe. The new paradigm is essentially nonseparable and nondual, so it is difficult to apply it in practice if our worldview, way of thinking and value system fail to live up to it. The triad structure of the Donghak ‘Si’ allows u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new paradigm by perceiving the mechanism of consilience, thereby revealing that all things are the manifestation of Oneness and unfolding practical thoughts on the oneness of life.
최민자 동학학회 2012 동학학보 Vol.0 No.24
This paper aims to consider comparatively Spinoza and Haeweol’s viewpoints of cognition and freedom. It is indeed meaningful in that this comparative study enables to draw the metaphysical basis of divinitics through a close examination into the nature of the dialectical relation of cognition and freedom. We also can find its meaning in that such comparative consideration on cognition and freedom enables to contribute to the embodiment of global life community with ecological sustainability by raising an insight into the oneness of life and urging conversion to the holistic paradigm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oneness of substance and its modes, Heaven and all creation. According to Spinoza’s monistic pantheism, God is Nature and thus substance and its modes, that is, ‘natura naturans’ and ‘natura naturata’ are inseparable one. He conceived substance thinking and substance extended as two attributes of one substance, and thus impugned the transcendence of God and substantive dualism in Cartesian metaphysics. He perceived that human body and mind are variable modes of God whose essential attributes are extension and thought, and that when we ultimately reach the final apprehension of the oneness of substance and its modes and thus realize the oneness of all things and their interconnectedness, our spirit could be forever free. But It is in Haeweol’s thoroughgoing monistic worldview which assumes the oneness of the totality of all things, the great all-including whole that Spinoza’s such monistic perspective would be more elucidated and deepened. Spinoza and Haeweol’s perspectives on cognition and freedom derive from their monistic pantheism and worldview of equality not in two. The attainment of true freedom and happiness depends on our awareness of the experience of all phenomena in the world as manifestations of the same ultimate reality. To bring the overall human existential crisis human society is being faced in nowadays to a peaceful settlement and to prepare a coexistent alternative society, it is necessary above all to cognize the importance of spiritual dimension of subsistence. In this regard their viewpoints of cognition and freedom offer valuable suggestions. 본 연구는 스피노자와 해월의 인식과 자유에 관한 관점을 비교론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비교론적 연구는 인식과 자유의 변증법적 관계의 본질에 대한 규명을 통하여 디비너틱스(divinitics)의 형이상학적 기반을 추동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또한 이들 인식과 자유에 관한 비교론적 고찰은 실체와 양태, 하늘과 우주만물의 일원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생명의 전일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고하고 전일적 패러다임(holistic paradigm)으로의 전환을 촉구함으로써 생태적 지속성을 띤 지구생명공동체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스피노자의 일원론적 범신론에 의하면 ‘신이 곧 자연’이므로 실체와 양태, 즉 능산적 자연과 소산적 자연은 분리될 수 없는 하나다. 그는 사유하는 실체와 연장성을 가진 실체를 유일 실체의 두 속성으로 보고 데카르트 형이상학에 있어 신의 초월성과 실체적 이원론을 배격했다. 인간의 몸과 마음은 연장과 사유를 그 본질적 속성으로 갖는 신의 가변적인 양태들이며, 실체와 양태의 일원성을 이해할 때, 그리하여 사물의 전일성과 상호 연관성을 깨달을 때 자유롭게 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스피노자의 그러한 일원론적 관점이 보다 명료해지고 심화되는 것은 만물의 전체적인 전일성, 즉 일체를 포괄하는 거대한 전체를 상정하는 해월의 철저한 일원론적 세계관 속에서이다. 스피노자와 해월의 인식과 자유에 관한 관점은 그들의 일원론적 범신론과 평등무이의 세계관에서 비롯된다. 진정한 자유와 행복의 달성은 우리가 경험하는 세상의 모든 현상이 동일한 궁극적 실재의 현시라는 점을 자각하는 데 있다. 오늘날 인류 사회가 처해 있는 총체적인 인간 실존의 위기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공존의 대안적 사회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생존의 영적 차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수적이다. 그런 점에서 이들 두 사람의 인식과 자유에 관한 관점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임시헌장」 ‘神人一致 · 神意’ 의미 탐구: 조소앙의 종교관에 기반하여
한송희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5 한국종교 Vol.60 No.1
본고는 임시정부 최초의 헌법인 「대한민국 임시헌장」(1919.4.11.)에 기재된 “神人一致”와 “神의 意思에 依하야 建國한 精神” 그리고 “神의 國의 建設”의 내재적 의미를 깊이 파악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임시헌장」의 초안 작성자로 알려진 조소앙은 유학 시절부터 종교에 유달리 특별한 관심을 갖고 사회를 구원할 새로운 종교 교리를 구상해 나간다. 흥미로운 지점은 그의 종교관이 어렸을 때의 단순한 호기가 아니라 점차 구체화 되어 현실에 적용 가능한 정치 사상이나 활동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그의 현실주의적 태도는 그의 종교관이 그의 정치 사상 및 행적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그는 여섯 성인을 아우르는 ‘일신교(一神敎)’를 구상하여 자신의 종교를 체계화한다. 그가 삼균주의라는 정치사상을 창안하고, 새로운 헌법을 개정해 나가며, 독립 및 정치 운동을 해 나가는 데 있어서 그의 종교관은 본질적인 가치와 의미를 담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그의 종교관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임시헌장」의 세 구절을 이해하는 것과 동시에 그가 구상하고 있었던 정치 사상 및 활동의 의미를 명확히 파악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고에서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그의 종교관인 일신교(一神敎)에서 가르치는 핵심은 모든 것을 아우르는 ‘신의(神意)’를 깨달아 나가는 데 있다. 이 깨달음은 자기 스스로 해 나가야 하는 것으로(自得性) 독창적이고(獨具性), 각자는 다양하게 나타나지만(多樣性), 뜻은 하나라는 점에서, 전일하다(全一性). 즉 조소앙의 종교관은 자득성, 독구성, 다양성, 전일성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임시헌장」의 구절은 이러한 일신교적 핵심을 담아 표현되었다. 일신교적 핵심이란 원만하고 무편무당한 신의의 깨달음을 지향하는 태도를 말한다. 그런 점에서 민족성과 동시에 세계 보편성을 갖는다. ‘신인일치로 국내·국외의 독립운동 단체가 협응하여 한성에서 30여일에 독립을 광복하고, 국민의 신임을 받아 임시정부를 세운다’는 문구는 바로 이러한 일신교적 태도에 기반하여 상해의 통합 임시정부 단체의 성격이 신인일치의 자득성, 독창성, 다양성, 전일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제7조에 세계 문명과 평화를 위하여 국제연맹에 가입’하는 이유와 '동포들이 분기하기를 촉구하는 국민성'도 바로 이러한 일신교적 태도로서 민족의 자유 세계의 평화를 지향함을 명시한다. 셋째, 조소앙이 일신교를 제창하고 이를 최초의 「임시헌장」에 기재한 까닭은 그것이 한민족의 정신을 잘 드러낸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에게 민족의 독립은 민족 그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세계의 평화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기도 하였다. 즉 그의 종교관에 비추어볼 때, 각 민족의 독립은 세계 평화로 가는 길이었다. 그가 그의 종교관을 「임시헌장」에 기재한 까닭은 이것이 그가 포착한 대한민국 민족성의 특징이었기 때문이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ree pivotal sentences in Korea's Provisional Constitution: "The unity between God and humans," "With the intention of G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 with God's spirit." The primary author of Korea's Provisional Constitution, Jo So-ang, cultivated an interest in religious philosophy during his studies in Japan, which informed his new vision for saving Korea. Understanding the substance of his approach is key to elucidating the interplay between his religious and political thoughts and activities. He pioneered a creative religion named 'Religion of One God,' which encompasses the teaching of all six sages, Dangun, Buddha, Confucius, Jesus, Mahomet, and Socrates. Interestingly, his interest extended beyond abstract thought; he actively sought to apply the concepts pragmatically to real-world challenges, thereby providing a concrete direction for the Koreans. His political ideology, named 'Three Equality,' and his constitutional writing and revision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his earlier creative religious reflections. For this reason, to truly understand his political ideas, as well as his political activities, an exploration of his religious thoughts is required. The paper is focused around three main themes. First, Jo So-ang's religious concept, 'Religion of One God,' gives Koreans the primary teaching for the enlightenment, the Intention of God, which can embrace all things together. Enlightenment should be reached by oneself (self-dependent) so that not only creativity but also diversity can be achieved, but the essence is one, so every diverse appearance can coexist harmoniously. Second, The Korean Provisional Constitution included clauses that show the central tenet of the Religion of One God, which advocates for togetherness. This principle facilitates a synthesis of nationality and universality, suggesting the phrase "the Unity between God and humans" means an enlightenment of togetherness, which can make Korea acquire the collective leadership between diverse political parties for independence, thereby enabling the formation of a unified provisional entity in Shanghai. This unification is characterized by self-dependence, creativity, diversity, and togetherness. The seventh term, concerning international relations, represents an attitude of self-reliance, creativity, diversity, and togetherness, pursuing domestic and global peace. Third, one of the reasons he wrote the clauses in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was because he thought the idea was an apt fit for the typical character of Koreans.
명지원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6 No.1
이 논문은 21세기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있는 홀리스틱 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주요 내용, 그 방향성과 지향 등을 주요 학자들의 주장을 통해 정리하고, 그들의 주장의 흐름과 핵심 내용의 공통점을 파악하며, 교육현장에서 홀리스틱 교육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홀리스틱 교육이 대두되는 이유를 밝혔고, 그다음으로 홀리스틱 교육의 개념에 대한 각 학자들의 접근을 패러다임이라는 차원으로 구분하여 밝혔다. 첫째, R. Miller의 새로운 교육의 기본 특성, 둘째, 홀리스틱 교육이 대강령이라고 할 수 있는 홀리스틱 교육 비전 선언, 셋째, Clark의 전일성(wholeness)의 가정과 분리의 가정, 넷째, Stoddard의 인간 위대성의 세 차원, 다섯 째, J. Miller의 홀리스틱 교육의 세 가지 특성이라는 주장을 소개하고 비교하였다. 홀리스틱 교육에 대한 각 학자들의 주장의 핵심과 공통점은 홀리스틱 교육이 ‘관계’를 강조한다는 점이다. 홀리스틱 교육은 ‘관계’를 핵심으로 하는 교육접근으로서 인간의 내면의 지영체, 지덕체, 지정의와 전인적 차원의 통합적 관계, 인간 외면의 생태학적 접근으로서의 인식이 그것이다. 홀리스틱 교육은 ‘깨어진 관계의 회복’에 대한 접근으로서 교육의 본질을 찾자고 하는 근본적인 교육이 전환을 촉구하는 입장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rame of designing of holistic education from the viewpoints of holistic education, which is now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modernistic education. In a broad sense, the terms of ‘holistic’ sometimes can be used as synonyms with ecological, integrated, contextual, spiritual, environmental, systematic, organic, and evolutionary. Therefore, the conception of holistic includes the one of all words above. Holistic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solve these problems of modernistic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seeks to restore the wholeness of human being with an emphasis on spirituality and meaning. This study makes clear the concept and goals of holistic education. The concrete ai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on Miller’s five characteristics of new education. Second, EDUCATION 2000/A Holistic Perspectives by GATE (Global Alliance for Transforming Education). Thirdly, the assumption of wholeness and the assumption of separatedness by Edward T. Clark. Fourth, three dimensions of human greatness: a framework for redesigning education by Lynn Stoddard. Fifth, three characteristics of new education by John P. Miller. The common points of holistic scholars’ points are relationship and connectedness. New direction of 21 century education is to be from the viewpoints of holistic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