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자 미학의 사유형식과 은유,은폐의 논리

        정석도 ( Seok Do Jung )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8 No.-

        노자 사상을 대표하는 도는 노자의 미학에서 미적 전일성을 함축한 개념이다. 도 개념을 앞세워 미적 전일성을 강조하는 계기는 노자미학의 사유 형식인 시간에서 비롯한다. 노자가 ‘통나무’, ‘골짜기’, ‘어머니’ 등의 은유를 통해 비가시적 도 개념을 표현할 때 공통적으로 훼손되지 않은 원형의 함의를 내포한 시간을 수반한다. 노자의 철학 사유가 시초성에 주목하는 시간적 사유인 것처럼 노자의 미학 사유 역시 시간관념에서 비롯한 분화되지 않은 본모습 내지 진면목으로서 전일성에 기초한 시간적 사유이다. 미적 전일성의 강조는 은유와 은폐의 논리로 드러난다. 기존 언어적 가치 분별에 의해 미적 전일성이 은폐되었다고 보는 노자의 논리에 의하면 아름다움과 더러움은 상대성이 아니다. 더러움 또한 아름다움으로 수렴된다. ‘형상 없는 형상’, ‘맛없는 맛’ 등을 비롯한 노자의 특징적 사유방식이 결국 형상(있음)과 맛(있음)으로 환원되는 논리와 마찬가지로 노자는 ‘더러움의 아름다움’을 역설하는 셈이다. 은유와 은폐의 논리로써 미적 전일성의 회복을 강조함과 동시에 노자가 제시하는 것이 미적 가치 인식의 차원의 문제이다. 미적 전일성으로서 도는 ‘있는 것’이 아니라 ‘있게 되는 것’, 즉 개별적 체험과 인식에 의해 존재한다. 노자의 사유가 특정 동아시아 전통 예술의 이념적 근원으로 인식되는 것은 ‘허’나 ‘무’ 개념 때문이라기보다 시간적 사유로부터 미적 전일성의 강조 및 은유와 은폐로 이어지는 노자 미학의 형식과 논리에 말미암은 것이다. Tao by Laozi is a holistic and implicated notion in Laozi aesthetics. The importance of holistic beauty comes from time speculation which is a way of thinking in Laozi aesthetics. The analogy in “a log”, “a valley” and “a mother” expresses the invisible Tao and conveys time speculation which contains the untouched original implication in common. The philosophy of Laozi, a way of thinking in time speculation puts a profound meaning on the beginning. Laozi aesthetics also is a way of thinking in time speculation which is undifferentiated from the philosophy that is based on the original holistic theory. The emphasis on holistic aesthetics is revealed through metaphors and concealments. The fundamental thinking principle of Laozi interprets that the holistic theory is concealed by the existing linguistic value judgment. There is no distinct between beautiful and ugly nor relative. Ugliness converges into beauty. Passages such as “ forms without forms” and “ flavors without flavors”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Laozi`s philosophy and explains the paradox of beauty of ugliness in the theory which returns to the being of form and flavors at the end. The restoration of aesthetic holistic theory is emphasized through metaphors and concealments. The aesthetical value is a matter of different perception in Laozi`s theory. Tao in aesthetic holistic theory is not “being” but “ becoming”. In others words, it exists according to individual experience and recognition. Laozi`s theory is recognized as a fundamental root of traditional arts in certain Eastern Asia for its forms and theory with metaphors and concealments and emphasis on aesthetic holistic character from time speculation not for its notions such as “nothingness” or “nonbeing”.

      • KCI등재

        老子와 矛盾, 그리고 矛盾的 인간이해에의 시선 - 嚴君平의 『老子指歸』를 중심으로 한 도가철학의분석심리학과 현존재분석적 고찰 -

        김정택,고희선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4 No.-

        This thesis aims at a better psychological and philosopical understanding about human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tic psychology and Dasein analytic consideration about the contradictory, paradoxical, and dialectical thinking way of the Lao-tzu philosophy. Human Beings are contradictory. In the human mental phenomenon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coexist contrary but complementary 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perfect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s based on that of human mental wholeness or allness. Mental allness or wholeness viewed by the human essence in the analytic psychology appears through the Self. The researchers looked into the Subject's naturalization process which agrees with the Lao-tzu's thought that leaves nature as it is through the Archetypus des Selbst of analytic psychology that makes possible human being's psychological allness or wholeness, and then expanded it to the Subject's, the Object's, and the society's naturalization process by the way of Dasein analysis. In other words, this thesis aimed to explore philosophical theme more practically by the psychological way on the Subject's, the Object's and the society's dynamics which makes us live independently and together in spite of the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humans in psychological way, through looking into the Lao-tzu's thought which complies with self-realization process in the way of one Subject-oriented analytic psychology and looking into the possibility of the Subject's, the Object's and the society's naturalization process which encompass one subject's naturalization process of one subject's in the basis of Dasein's coexistence. 본 논문은 도가철학의 모순적, 역설적, 변증법적 사유방식에 대한 분석심리학과 현존재분석적 고찰을 통해 인간의 모순적 속성을 심리학적·철학적으로 좀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간은 모순적 존재이다. 의식과 무의식이라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인간의 정신 현상 속에는 상반상보적(相反相補的)인 정신의 모순적 속성이 공존하고 있다. 그리고 온전한 인간이해에의 시선은 이러한 정신의 전일성(全一性) 혹은 전체성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분석심리학에서 인간의 본질로 바라보는 정신의 전체성 또는 전일성은 자기(Self)를 통해 나타난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인간 정신의 전체성 혹은 전일성을 가능케 하는 분석심리학에서의 자기원형의 작동원리를 통해 노자(老子)의 무위자연사상(無爲自然思想)에 입각한 한 존재의 자연화과정을 한 개체중심적인 분석심리학적으로 먼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주제와 타자, 그리고 사회의 자연화과정을 현존재분석적으로 좀 더 확장하여 탐색하였다. 즉 본 논문은 무의식의 의식화과정을 통한 분석심리학에서의 자기실현과정과 그 맥을 같이하는 노자(老子)의 무위자연사상(無爲自然思想)을 엄군평의 『老子指歸』를 중심으로, 한 주체중심적인 분석심리학적으로 먼저 살펴보고, ‘현존재의 공존성’을 바탕으로 한 한 주체의 자연화과정을 둘러싼 주체와 타자, 그리고 사회의 자연화과정에의 가능성을 현존재분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모순적 인간 속성 속에서도 상호 조화를 이루며 ‘따로 또 같이’ 살아갈 수 있는 주체와 타자, 그리고 사회적 역학관계에 관한 철학적 주제를 심리학적 방법론을 통해 좀 더 실천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홀리즘[Holism]의 교육적 인식론과 영재교육

        박인기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4 No.1

        이 논문은 홀리즘[Holism]이 오늘날 한국의 영재교육 현실에 어떤 대안적 시사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글이다. 영재들에게 전일성 체험은 중요하다. 영재들은 자신의 재능분야의 전문적 앎과 더불어 체험의 전일성을 통하여 ‘전인적 자아’로 나아가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홀리스틱 교육은 영재들로 하여금 소통의 다원적 경험과 더불어 체험의 ‘총체’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은 두 가지의 교육적 지향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서로 다른 성향의 영재들 사이에 다채롭고 많은 소통을 지향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사물(현상)을 직접, 느리게, 오래 체험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러한 영재교육 방향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영재들은 인격적 자존감을 가져야 한다. 특정의 재능으로만 자기 존재를 평가받는 경험을 누적해 나가다 보면, 인격[사람됨] 전체에 대한 인정이나 평가는 배제되기 쉽다. 그런 점에서 영재교육은 홀리즘의 가치를 주목해야 한다. 둘째, 전일성 경험을 중시하는 영재교육은 구체적 프로그램 운영을 학교의 범주로만 묶어 두는 것은 진취적이지 못하다. 영재교육의 커리큘럼 내용들이 현행 학교제도 체제를 넘어서는 대안적 교육 체제를 발전적으로 참조해야 한다. 셋째, 영재교육과 일반교육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전일성을 지향하는 영재교육의 확산이 예견된다. 학문 영재의 경우는 분리적인 영재교육 처방을 유지하겠지만, 문학이나 예술 분야의 비학문 영재교육에서는 일반교육과의 연계를 모색하면서 홀리스틱 교육 체험을 보강할 것이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earch for alternative suggestions that the educational essence of Holism may contribute education for the gifted in Korea. Holistic experiences lead the gifted student to building whole knowledge. Through this process of holistic experience, the gifted students are able to endow philosophical values to their intellectual/ personal identity. In regards to this issue, we can consider two educational directions for education for the gifted. The first is heading for colorful communication between talented people of different inclinations. The second is the need for an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experience factor. Here, the focus is on slowly and directly experiencing the object or actual state of things. In order to implement these directions, we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ideas for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First, it is important for the gifted to have self-esteem based on their total personality. The pedagogical programs for the gifted should contribute for them to take heed of the values of holism. Second, it is not positive for special education programs that focus on holistic experiences to be tied to a traditional category of school system. There needs to be a balance between the school’s formal curriculum and alternative informal curriculum. Third,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will be widespread through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with general education. Furthermore, new models of special education will be developed based on holism that promotes the connec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education on the whole.

      • KCI등재

        정진규 시의 공간성에 대한 논의 : 『모르는 귀』를 중심으로

        마혜경 ( Ma¸ Hyekyung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7

        본 연구는 정진규의 시세계와 그의 마지막 시집 『모르는 귀』에 나타난 시적공간을 해석하여, 공간이 정진규의 시세계가 변화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정진규 시인의 내면의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시의 본질 가운데 공간이 차지하는 의미에 주목하여 정진규 시에 나타난 공간을 분석하는 것은 정진규의 시 창작 의식과 시세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정진규의 시에 등장하는 자연과 생태는 그의 창작 주체이자 시적 영감을 불어넣는 소재로 작용한 것이었으며, 정진규는 인간과 자연, 사물과 존재의 공존과 공생을 노래하고자 하였다. 즉 정진규는 자연물을 통해 인간인 자신의 감정을 이입시키고, 존재와 사물 사이에 존재하는 틈에 주목하여 그 틈을 전일성의 공간이자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으로 묘사한 시들을 다수 발표하였다. 이는 시인이 탈속의 세계, 즉 인간과 자연의 교감과 조화를 통한 일상성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전까지 시인이 노래했던 전일성의 공간은 사물과 존재가 공존하는 공간이었다면, 『모르는 귀』에서 전일성의 공간은 새로 길을 낼 수 있는 깨달음의 공간으로 다가온다. 그래서 정진규의 시세계는 시인의 치열한 성찰과 사유를 바탕으로 하는 전일성의 공간에 대한 발견과 깨달음의 시학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정진규 시의 시세계나 그의 산문시 창작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그의 시세계가 지향하는 문학적 공간인 전일성의 공간이 가진 의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진규 시의 공간 연구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poetic world of Jung Jin Gyu and the poetic space indicated in his last poem an unknown ear to determine how this poetic space has affected his changing poetic world and examine his inner consciousness. I believe that analyzing the space indicated in his poem by paying attention to the meaning of space among the essence of his poetry is an effective method for understanding his poetic creative consciousness and his poetic world. The nature and ecology of Jung Jin Gyu’s poetry acted as the subject of his creation and poetic coexistence and as a symbiosis of human and nature and things and beings. Namely, he revealed his feelings as a human being through nature and published many poems describing the gap between beings and things as the space of characteristics and space where humans and nature coexist. This indicates that he aims for a world of deviance, frequent communication, and harmony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The space of characteristics that he expressed before is the space where things and beings coexist. However, the space of characteristics indicated in an unknown ear comes across as a place of enlightenment, where someone can acquire new knowledge. Thus, his poetic world can be seen as a discovery about the place of characteristics, based on hisintense reflection and reason and his poetry of realization. To date, research into Jung Jin Gyu’s poetry world and the creation methodology of his prose poems has been relatively active; however, research into the meaning of the place of characteristics aimed for in his poetic world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research the spatiality of the poet Jung Jin Gyu.

      • KCI등재

        老子와 予盾, 그리고 矛盾的 인간이해에의 시선

        김정택(Kim, Jung-taek),고희선(Ko, Hee-sun)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4 No.-

        본 논문은 도가철학의 모순적, 역설적, 변증법적 사유방식에 대한 분석 심리학과 현존재분석적 고찰을 통해 인간의 모순적 속성을 심리학적•철학적으로 좀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간은 모순적 존재이다. 의식과 무의식이라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인간의 정신 현상 속에는 상반상보적(相反相補的)인 정신의 모순적 속성이 공존하고 있다. 그리고 온전한 인간이해에의 시선은 이러한 정신의 전일성(全一性) 혹은 전체성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분석심리학에서 인간의 본질로 바라보는 정신의 전체성 또는 전일성은 자기 (Self)를 통해 나타난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인간 정신의 전체성 혹은 전일성을 가능케 하는 분석심리학에서의 자기원형의 작동원리를 통해 노자{老子)의 무위자연사상(無寫自然思想)에 입각한 한 존재의 자연화과정을 한 개체중심적인 분석심리학적으로 먼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주제와 타자, 그리고 사회의 자연화과정을 현존재분석적으로 좀 더 확장하여 탐색하였다. 즉 본 논문은 무의식의 의식화과정을 통한 분석심리학에서의 자기실현과정 과 그 맥을 같이 하는 노자(老子)의 무위 자연사상(無寫 自然思想、)을 염군평의 『老子指歸』를 중심으로, 한 주체중심적인 분석섬리학적으로 먼저 살펴보고, ‘현존재의 공존성’을 바탕으로 한 한 주체의 자연화과정을 둘러싼 주체와 타자, 그라고 사회의 자연화과정에의 가능성을 현존재분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모순적 인간 속성 속에서도 상호 조화를 이루며 ‘따로 또같이’ 살아갈 수 있는 주체와 타자, 그리고 사회적 역학관계에 관한 철학적 주제를 심리학적 방법론을 통해 좀 더 실천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thesis arms at a better psychological and philosopical understanding about human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tic psychology and Dasein analytic consideration about the contradictory, paradoxical, and dialectical thinking way of the Lao-tzu philosophy. Human Beings are contradictory. In the human mental phenomenon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coexist contrary but complementary 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perfect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s based on that of human mental wholeness or allness. Mental allness or wholeness viewed by the human essence in the analytic psychology appears through the Self. The researchers looked into the Subject's naturalization process which agrees with the Lao-tzu's thought that leaves nature as it is through the Archetypus des Selbst of analytic psychology that makes possible human being's psychological allness or wholeness, and then expanded it to the Subject's, the Object's, and the society's naturalization process by the way of Dasein analysis. In other words, this thesis aimed to explore philosophical theme more practically by the psychological way on the Subject's, the Object's and the society's dynamics which makes us live independently and together in spite of the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humans in psychological way, through looking into the Lao-tzu's thought which complies with self-realization process in the way of one Subject-oriented analytic psychology and looking into the possibility of the Subject's, the Object's and the society's naturalization process which encompass one subject's naturalization process of one subject's in the basis of Dasein's coexistence.

      • KCI등재후보

        <周易> 「乾卦」의 相反相成의 世界觀에 대한 考察 ― 全一과 還元의 관점을 중심으로 ―

        이정희,최정준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8 동양문화연구 Vol.28 No.-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world view which is inherented at 「hexagram Qian(乾)」 of 『The Book of Changes』 from the point of Unification and Reduction. The reason for specify into the hexagram Qian is as follow;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ruling class of Zhou Dynasty, which completed the replacement of the Yin-Zhou dynasty and built a new dynasty, was directly reflected in the Hexagram Judgements(卦·爻辭) of Qian in the form of unification and reduction. The image of hexagram Qian symbolizes the unification and the Hexagram Judgements(卦辭)’, ‘Yuan Heng Li Zhen(元亨利貞)’ is a central principal that penetrates the world of ‘Changes(易)’. The six ‘hexagrams(爻象)’ and Hexagram Judgements(爻辭)’ show this central principal with an organic relationship called ‘the rise of six dragon’. This aspect also could be regarded as a monolithic world which reflects the feudal governance with the emperor as its peak. On the other hand, the each line that constitutes a hexagram is an extremely individual and its ‘Hexagram Judgements’ also retains its own loyalty that is not subjugated to the higher central principle. Thi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that the emperor-subordinate human being at Yin dynasty changes into a man of subjectivity as entered Zhou dynasty. The Unity and reduction within the hexagram Qian do not act as conflicting elements in the face of opposite, but as a compatible dynamic that represents the harmony of existence. With western rationality, which is the best alternative for confrontation and conflict of contradictory elements,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at to complete the world of “Changes” by dividing the antithesis of ( : Yin) and (─ : Yang)) into 64 hexagrams. This complementary world is the result of the world view of the Zhou dynasty projected in the hexagram Qian which combines the holistic ruling ideology of ‘repect the sky(敬天)’ and ‘serve the emperor(尊王)’ and the will to realize ‘the redemption of the people(保民)’. 이 논문의 작성 목적은 전일성(全一性)과 환원성(還元性)의 관점에서 『주역(周易)』 「건괘(乾卦)」에 내재되어 있는 세계관의 일면을 파악함에 있다. 「건괘」로 특정한 이유는 은주교체를 완성하고 새로운 왕조를 개창한 주나라 지배계층의 역사의식이 전일성과 환원성의 형식으로 「건괘」의 괘·효사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건괘」의 괘상(卦象)은 전일성을 상징하며, 괘사(卦辭) ‘원형이정’(元亨利貞)은 ‘역’(易)의 세계를 관통하는 중심원리이다. 여섯 개의 효상(爻象)과 효사(爻辭)는 육룡(六龍)의 승천이라는 유기적 관계를 맺은 채 이 중심원리를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천자를 정점으로 하는 주나라의 봉건적 통치 질서를 반영한 전일적 세계의 모습이기도 하다. 반면에, 괘를 구성하는 각 효는 지극히 개체적이며, 그 효사 또한 상위의 중심원리에 예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의리를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은나라의 상제 의존적 인간이 주나라에 들어서면서 개인의 덕성에 바탕을 둔 주체적 인간으로 환원되는 것과 그 맥락이 닿아 있다. 「건괘」에 내재되어 있는 전일성과 환원성은 그 상반성에도 불구하고 서로 충돌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조화를 구현하는 상성(相成)의 역동성을 발휘한다. () 과 (─)의 상반의 요소가 교변(交變)과 유행(流行)을 통해서 64괘로 분화하여 ‘역’의 세계를 완성하는 것은 상반된 요소의 대립과 충돌에 대비한 최적의 대안모델인 서양의 합리성으로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은 「건괘」의 상성의 세계는 경천(敬天)과 존왕(尊王)이라는 전일론적 지도이념과 보민(保民)이라는 개체 환원의 실천의지를 통합한 주나라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그리스도인의 성격과 전일성의 회복

        김성민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4

        한국 그리스도인의 성격은 한국의 지형과 문화, 특히 천신신앙을 비롯한 무교, 불교, 유교 등의 영향 아래서 형성된 한국인의 성격과 기독교의 특성이 합쳐져서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것은 현재 한국 교회의 특성으로 드러나는데, 현재 한국 교회는 근본주의와 올바른 신앙 추구 사이의 부조화, 신비주의와 직접적 체험 추구 사이의 부조화, 현세주의와 적극적 신앙 추구 사이의 부조화, 행동주의와 열심 있는 신앙 추구 사이의 부조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부조화는 한국 그리스도인들이 이기적인 태도를 보이게 하고, 신앙과 실천 사이에 괴리가 생기게 하여 한국 사회에서 한국 교회를 비판하게 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분석 심리학적으로 볼 때, 이런 부조화는 인간의 생각과 행동과 정서적 반응들을 하게 하는 소년 원형과 노인 원형, 남성 원형과 여성 원형 사이의 불균형 때문이다. 전일적인 인격은 소년 원형에서 나온 새로움과 활력과 창조성이 노인 원형의 성숙한 틀 안에 들어가서 질서 있게 배열되어 완성되지만 늘 새로움을 잃지 않고 변환되며, 다른 사람들과 공감하고 따뜻하게 품어주지만 정신성을 잃지 않고 올바른 가치를 찾아서 그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들도 이끌어가는 인격인데, 한국 교회에서 이런 조화와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병리적인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 교회가 올바르게 나아가려면 이 원형들 사이에서 조화와 균형이 이루어져 전일성을 회복해야 한다.

      • KCI등재

        장일순 생명사상의 전개와 특성 -생명문제와 전일성을 중심으로-

        서광열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4

        Jang Il-soon (1928-1994) is a practical thinker wh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ife and put it into practice before environmental problems were properly recognized in our society. He deserves to be called an ‘anti-philosopher’ in that he tried to change his way of life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existing truths rather than a producer of truth. His pioneering thought is highly significant in that he is still influencing “the life-movement” of contemporary civil society as he did in his own period. He left his mark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eace movement, but he devoted himself to the life movement from 1977 until his death. In particular, his thought has philosophical significance in that he is a thinker who provides the ideological basis for “the life movement” in Korea.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occasion of Jang Il-soon’s launching the ecological movement (Chapter 2) and the influence of Catholicism and the Wonju Camp (Chapter 3 ) as well a s of C onfucianism, Buddhism, T aoism and Donghak (Eastern Learning), which all served as the roots of the life-philosophy that became the source of his awareness of life. It will deal with unity and egalitarianism (Chapter 4),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is thought. Although a long time has passed since Jang Il-soon passed away, his idea is still valid and is becoming more an issue of enormous significance in our lives. A study on his thought is important in finding a new model of ecological movement that is applied to our life, reality, and locality. 장일순(1928∼1994)은 환경문제가 아직 우리 사회에 제대로 인식되기도 이전에, 생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에 옮긴 사상가이다. 그는 이론적 진리의 단순한 생산자로 살지 않고 전통적 진리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삶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인 ‘반(反)철학자’로불릴 만하다. 그의 선구적 각성은 그가 활동할 당시는 물론이고 오늘날의 시민사회의 생명운동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그는 정치참여, 평화운동에도 많은 족적을 남겼으나 1977년부터생을 마감할 때까지는 주로 생명운동에 매진(邁進)하였다. 특히 그는 우리나라의 생명운동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한 사상가라는 점에서 철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장일순의 생태운동이 시작된 계기와 그의 생명사상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유불도, 동학을 비롯하여 가톨릭과 원주캠프의 영향 등을 전체적으로 살피고, 그의 생명철학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전일성(全一性)의 형성과정과 사상적 내용 등을 다룰 것이다. 장일순이 세상을 떠난 지 이미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생명과 관련한 그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에 대한 연구는 우리의 삶과 현실 그리고 지역성에 맞는 생태운동의 방향성을 찾는데 중요한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을것이다.

      • KCI등재

        도가와 융의 사상으로 본 우르술라 르 귄의『어스시의 마법사』

        황은주 ( Eun Ju Hwa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2 동화와 번역 Vol.24 No.-

        본 논문은 우르술라 K. 르 귄의 어스시 3부작 중 첫 부분인 『어스시의 마법사』를 도가사상과 칼 융의 그림자 및 전일성 이론을 토대로 분석한 것이다. 초월 적인 도가 사상의 특성으로 인해 그 이론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기는 어렵지만, 기본적으로 도가 사상의 목적은 도의 상태를 달성하는 것, 또는 우주의 이치와 흐 름을 경험하고 이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가 사상의 가장 큰 가치인 자제력 과 무행위에 대한 강조는 『어스시의 마법사』에서 주인공인 게드가 마법을 배우는 과정을 통해 반복하여 드러난다. 도가 사상과 융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게드의 적을 융의 그림자로 해석하고, 게드가 마법학교의 학생으로서 받는 교 육을 침묵과 무행위라는 도가적인 가르침으로 간주한다. 본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째, 작가인 르 귄과 소설의 배경, 둘째, 작품 내 드러난 융의 그림자 이론과 도가 사상의 균형에 관한 연구, 셋째, 신화적인 화법에 관한 연구, 넷째, 작품에 나타난 성장소설의 요소 분석이다. 작품 의 줄거리는 호머나 버질의 서사시에서 사용이 되는 대서사적인 화법과 구조를 따 라 진행이 된다. 『어스시의 마법사』가 서사적인 구조를 따르고 있기는 하나 주인공 게드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슈퍼영웅이 아니라 오히려 반영웅으로 묘사된다. 따라서 게드가 경험하는 모험은 개인적인 명예나 영광을 추구하기 위해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실수와 무지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시작된다. 본 연구는 자신 의 적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정한 정체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게드의 노력을 융의 이론과 도가 사상에서 공통적으로 말하는 전일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규정하고, 전일성을 추구하는 과정을 통해 게드가 청소년에서 어른으로 성공적으로 성장했음을 보인다. This essay analysed Ursula K. Le Guin`s A Wizard of Earthsea(1968), which is the first part of Earthsea Trilogy in the frame of Taoism and Jungian theories such as shadow and wholeness. Although Taoism is a transcendental philosophy whose doctrine is not systematically organised, its main goal is to understand the state of Tao, the flow of the universe. The values of Taoism such as self-control and non-action are repeatedly taught as Ged learns magic. In the context of Taoism and Jungian theories, this essay defines the unknown enemy as the Jungian shadow and the education Ged as a young magic student receives Taoist lessons of silence and non-action.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four parts: background to fiction and the author, Jungian shadow and Taoist balance shown in the fiction, the mythopoetic narrative, and characteristics of a Bildungsroman, or a coming-of-age novel. The plot of the novel follows structures of the epic narrative which is seen in Homer or Virgil. Although it follows the epic structure, Ged is not depicted as a super hero, but rather anti-hero whose adventure is not initiated by personal glory or honour, but by his mistake and ignorance. In this essay, Ged`s struggle to discover the true identity of his enemy - and also his - is considered as a psychic journey to achieve the Jungian/Taoist wholeness, and at the same it is considered that Ged made a successful transformation from adolescence into adulthood.

      • KCI등재

        뉴 패러다임의 정치철학적 함의와 실천적 적용

        최민자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7

        본 연구는 양자역학적 세계관으로 대표되는 통섭적인 뉴 패러다임의 심원한 정치철학적 함의와 그것의 실천적 적용에 대해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세계를 이해하는 인식론적 틀인 과학적 방법론의 변천에 대해 일별한 후 뉴 패러다임의 본질과 특성, 정치철학적 함의와 실천적 적용의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 나아가 그 한계의 극복 방안을 동학의 관점에서 탐색해보고자 한다. 뉴 패러다임이 함축하고 있는 정치철학적 의미는 크게 두 가지 측면, 즉 생명정치와 생명문화로의 대전환이라는 측면과 통섭의 시대로의 문명사적 대전환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생명의 전일적 본질에 기초한 뉴 패러다임의 정치에 의해서만 생명정치적 분열은 극복될 수 있고 진정한 생명정치와 생명문화로의 대전환 또한 가능하게 된다. 생명이 단순히 개체화된 물질적 생명체가 아니라 비분리성·비이원성을 본질로 하는 영성(spirituality)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대통섭의 시대에 대한 진정한 통찰이 일어날 수 없다. 뉴 패러다임의 실천적 적용의 한계는 통섭의 메커니즘을 간파하지 못함으로 해서 우주의 본질인 생명의 전일성에 대한 통찰이 일어나지 못하는 데서 오는 것이다. 뉴 패러다임은 본질적으로 비분리적이고 비이원적이어서 우리의 세계관과 사고방식 및 가치체계가 이에 부응하지 못하면 실천적으로 적용되기 어렵다. 동학 ‘시(侍)’의 3화음적 구조는 통섭의 메커니즘을 간파함으로써 일체 만물이 전일성의 현시임을 밝히고 생명의 전일성에 대한 실천적 사유를 전개함으로써 뉴 패러다임의 실천적 적용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found politico-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holistic new paradigm represented by the quantum mechanical worldview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First, we will take a glance at the changes of scientific methodology, which is an epistemological framework to understand the world, and then examin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paradigm, its politico-philosophical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practical application, and further explore the way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Donghak. The politico-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new paradigm can be seen in two major aspects: the great transition to life politics and life culture, and the great historical transition of civilization to the era of consilience. Only by the politics of the new paradigm based on the holistic nature of life can biopolitical division be overcome and a great transition to true life politics and life culture be made possible. Without understanding the fact that life is not just an individualized material life, but a spirituality based on nonseparability and nonduality, true insight into the era of great consilience cannot arise. The limitation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new paradigm comes from the failure to see the mechanism of consilience and thus to gain insight into the oneness of life, the essence of the universe. The new paradigm is essentially nonseparable and nondual, so it is difficult to apply it in practice if our worldview, way of thinking and value system fail to live up to it. The triad structure of the Donghak ‘Si’ allows u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new paradigm by perceiving the mechanism of consilience, thereby revealing that all things are the manifestation of Oneness and unfolding practical thoughts on the oneness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