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가주의와 젠더 문제 -지식과 전문성의 정치학에 대한 비평

        황희숙 한국여성철학회 2013 한국여성철학 Vol.20 No.-

        근대 과학의 출현 이래 과학의 놀라운 성취는 전문가 집단의 전문성에 의거해 설명되고 또 상찬되어 왔다. 현대의 ‘과학적 철학 ’도 과학적 지식에 대한 설명, 과학의 확장으로 스스로를 규정하고, 그 전문성과 차별성의 구현을 위해 과학에 의존하고 있다. 이 글은 과학기술의 전문가주의에 대해 여성주의 시각에서 비평하고자 한다. 이런 목적으로, 첫째 과연 전문가(expert)가 아닌 일반 시민들이 과학적 지식을 산출할 능력을 보이거나, 또 과학기술 정책에 대해 끼어들거나 비판할 능력을 갖출 수 있는가, 그런 실제 사례들이 있는가를 묻는다. 둘째, 만일 과학과 기술의 어떤 측면에 비전문가가 개입할 수 있다면 어떤 실질적 기여가 가능한가, 어떤 기작으로 그런 일이 진행되고 승인될 수 있는가를 묻는다. 첫 번째 물음과 관련해, 필자는 전문성에 대한 예외적인 두 도전 즉 두 명의 여성 시민인 제인 제이콥스(J. Jacobs)와 레이첼 카슨(R. Carson)의 성취와 그 의미를 점검했다. 이로써, 과학기술 ‘전문성(expertise) ’과 ‘젠더(gender) ’의 관계를 드러내고자 했다. 두 사례는 전문분야에 여성적 시각과 가치를 도입한 사례로 주목되어야 마땅하다. 두 번째 물음은 일반 시민의 지식생산의 정당화 문제다. 여기서 필자는의학적 지식 분야에서 콜린스(H. Collins)와 핀치(T. Pinch)가 말한 ‘기여 전문성(contributory expertise)’의 획득과 그 정당성을 옹호하였다. ‘일반인 전문가(lay expert) ’의 극적인 예로 여성농부를 들 수 있다. 백인남성 과학자의 지식에 대비되는 원주민 여성의 지역적 지식(local knowledge)에 대해 고려하는 것은, 과학적 지식이 얼마나 젠더화된 특성을 갖고 있는지 또 어떻게 그렇게 되었는지를 주목하게 해준다. 여성이 소유하는 지역적 지식이 어떤 대우와 권리의 대상이었는가를 살핌으로써, 그에 대조적인 특권을 누린 지식과 전문성의 본질에 대해 우리는 반성할 수 있다. 지식담지자이자 전문가로서의 여성을 배재해 온과학의 젠더정치학에 대해 비판한 반다나 시바(Shiva, V.)의 주장을 살핌으로써, 여성농부의 지식의 생태적 가치 인정과 전문성의 복권을 주장하였다. 전문성의 문제는 곧 과학 민주화(democratization)라는 첨예한 이슈와 연결된다. 과학과 시민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는 핵무기, 유전공학, 환경재해를 둘러싼 논쟁들과 더불어 점증하고 있다. 과학이 시민과 분리되어 사유화(privatization)되었던 것이 과학의 진정한 권위 약화의 한 원인이다. 단절된 과학과 시민의 관계를 회복하는 길은, 일반 시민의 전문성과 과학자의 전문성이라는 두 종류의 전문성에 대한상호인정일 것이다.

      • KCI등재

        과학적 증거의 증거능력 판단에 관한 소고

        김종호 ( Kim Jong-ho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一鑑法學 Vol.0 No.37

        소송절차에서 과학적 증거를 사용하는 것은 법관과 변호사 모두에게 기술적으로 훈련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항상 문제가 되고 있다. 법원이 과학적 증거에 직면 할 때 만나게 되는 어려움의 대부분은 기본적인 과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전문가의 외투를 착용한 개인이 제기한 매우 설득적인 과학적 설명 중에서 증거선택을 해야 하는 과제 때문이다. 과학적 증거를 다루는 사법부의 불편함은 국내외 할 것 없이 최근 몇 년 동안 전문가의 과학적 증언이 대두되면서 증가했다. `전문가`에 대한 논쟁이 늘 그랬듯이 1993년 미국 연방대법원의 Daubert v. Merrell Dow Pharmaceutical, Inc.의 결정에 따라 과학적 증거와 기술적 증거의 허용 가능성을 결정하는 판사의 역할은 더욱 어려워졌다. 미국연방대법원은 Frye v. United States에서 처음 발표된 과학적 증거를 평가하기 위한 70년이나 된 시험을 폐기해야 했다. 단순한 Frye의 기준에 따라 사실심 법원은 전문가 증언의 증거로서의 허용 가능성 판단이라는 도전에 직면했을 때 전문가의 방법이 관련과학자 공동체에서 일반적으로 받아 들여 지는지 여부를 결정했다. 그리하여 근거가 되는 과학의 취약성이나 전문가 자격에 기인한 결함, 배심원에게 부여된 문제의 중요성 모두에 대하여 증거능력을 인정하였다. Daubert 사건의 근본적인 문제는 임신한 산모가 메스꺼움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한 약품이 태아에게 선천적 결함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원고가 제출한 연구 방법론의 과학적 타당성이었다. 이 문제를 고려하면서 연방대법원은 Frye 기준이 연방증거법 제702조의 개정에서 살아남지 못했다고 만장일치로 판결했으며 일부 다른 접근법을 따랐다. 대법원의 다수 의견은 새로운 혹은 과학적 증거에 직면했을 때 재판관은 `전문가의 증언이 신뢰할 수 있는 기반 위에 놓여 있고 당해 사건의 쟁점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문지기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판결했다. 재판관은 신뢰성 있는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전문가의 증언을 포함하여 다양한 출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증거가 신뢰성 심사를 통과하는지 여부는 재판관의 결정에 따른다. 비록 Daubert 사건의 대다수 의견의 언어가 재판관에게 광범위한 재량권을 부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과학적 방법의 기원을 통해 과학지식의 신뢰성을 결정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대법원은 재판관에게 증거의 허용 가능성을 결정할 때 최소한 다음 4가지 요소를 고려하도록 판시했다. (i) 이론 또는 기술의 심사 가능 여부, (ii) 제안된 작업이 동료평가에 종속되는지의 여부, (iii) 오류율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인지의 여부, (iv) 문제의 방법이 널리 받아 들여 지는지 여부 등이다. 과학탐구의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사법제도는 관련성과 신뢰성의 안전장치를 포기하지 않으면서 이 새로운 지식을 수용하도록 계속 도전받게 될 것이다. 사실심 재판관의 자격은 문지기이자 증거능력의 기준의 정의자(定義者)로서 비록 익숙지 않은 분야일지라도 새로운 지식을 습득해야 유지된다. 이러한 도전이 충족되지 않는 한 사법제도는 현대형 소송과 최신 법과학 기술의 요구에 대처할 수 없을 것이다. The emergence of genetic science poses significant challenges at both the substantive and procedural levels of litigation. The use of scientific proof in a forensic setting has proven problematic for both judges and attorneys because most of them are not technically trained. Much of the difficulty encountered by courts when facing scientific evidence lies not in a lack of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science but in the task of choosing between competing scientific explanations tendered by individuals who seek to wear the mantle of experts. Judicial discomfort in handling scientific evidence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with the emergence of scientific testimony offered by experts whose availability and malleability have earned them the sobriquet of hired guns. Just as the controversy over roving experts was at its height, the role of judges in determining the admissibility of scientific and technical evidence was made more difficult by the 1993 U.S. Supreme Court`s decision in Daubert v. Merrell Dow Pharmaceutical, Inc., which abolished the seventy-year-old test for evaluating scientific evidence first pronounced in Frye v. United States. Under Frye`s simplistic teaching, trial courts, when faced with a challenge to the admissibility of expert testimony, determined whether the expert`s methods were generally accepted in the relevant scientific community. If so, the evidence was admitted with any deficiencies attributable to either the frailty of the underlying science or the expert`s qualifications, both matters of weight for the jury. The underlying evidentiary issue in Daubert was the scientific validity of the methodology of studies offered by the plaintiffs to prove that a drug used by pregnant mothers to control nausea could cause birth defects. In considering that matter, the Supreme Court unanimously ruled that Frye did not survive the enactment of Federal Rule of Evidence 702, and some other approach was necessary. A majority of the Court then ruled that when confronted with novel or scientific evidence, the trial judge must assume the role of gatekeeper to ensure that the expert`s testimony both rests on a reliable foundation and is relevant to the task at hand. In discharging the reliability task, the trial judge may use a variety of sources, including the testimony of experts. However, ultimately it is the trial judge`s decision whether the evidence passes the test of reliability. Although the language of the majority opinion in Daubert appears to confer broad discretion on trial judges, it emphasizes the ne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its origin in the scientific method. To that end, the Supreme Court directed trial judges to consider at least four factors when determining admissibility: (1) whether the theory or technique can be tested, (2) whether the proffered work has been subjected to peer review, (3) whether the rate of error is acceptable, and (4) whether the method at issue enjoys widespread acceptance. As areas of scientific inquiry advance, the judicial system will be challenged to accommodate this new knowledge while not abandoning the safeguards of relevancy and reliability. Both trial judges, as gatekeepers of admissibility, and appellate judges, as definers of the standards of proof, will be required to acquire new learning in fields unfamiliar to them. Unless these challenges are met, the judicial system may find itself unable to cope with the demands of modern litigation and the latest forensic techniques.

      • KCI등재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을 위한 현안 제시 및 실태 분석

        박현주 ( Park Hyunju ),손연아 ( Son Yeon-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 그룹 토론에 기반 한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현안을 조사하고, 이 현안에 대한 구체적인 현황과 개선 방안을 조사하는 것이다. 전문가 10명의 그룹 토론을 통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현안을 추출하고, 추출된 현안에 대한 전문가 27명의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9 과학과 교육과정의 현안은 `교육과정 총론과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관련 구성원들의 요구 반영,`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을 위한 상시적인 모니터링(환류),`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 및 절차에 대한 공감대 형성,` `과학과 교육과정 실행 및 파급 시스템 구축,` `과학과 교육과정 정책과 대학입시제도와의 연계` 의 6가지로 추출되었다. 교육과정 총론과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은 낮고,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을 위한 상시적인 모니터링(환류)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교육과정 실행 및 파급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개정) 및 절차에 대한 공감대 형성은 낮았고,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교육과정 개발 시 관련 구성원들의 요구가 제한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대학입시제도와의 연계성에 대해서는 많은 전문가들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과학과 교육과정의 현안에 대한 개선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ig ideas about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by Focused Group Interviews, and to discuss ways to be improved. A total of 10 focused professionals was participated in extracting the big idea about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a total of 27 experts surveyed on the conditions and for discussing on the big ideas. There were 6 big ideas about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linkage between General curriculum and Science curriculum; reflecting relatives and members` demanding; monitor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mation of consensus on developing science curriculum; building a system for practicing and expanding of science curriculum; and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fo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connectivity of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to General Curriculum was low, and there was little monitoring for curriculum practice and few system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Moreover, there were little concerns on members` consensus and demanding, and the connectivity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ways to be improved on big idea were discussed.

      • KCI등재

        전문가의 법정 증언에 대한 인식 및 증언의 허용성 평가

        김민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3

        판사 또는 배심원에게 증거를 이해시키거나 사실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문가의 법정 증언에 대한 판단은 판사가 한다. 미국의 경우 전문가의 법정 증언 허용에 대한 기준들이 마련되어 있지만 한국에서는 과학적 증거나 과학적 증거에 바탕을 둔 전문가 증언에 대한 명시적인 규정이 없으며 관련 증거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한국의 판사와 일반인들이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전문가 증언에 대한 허용 경험, 전문가 증언의 허용 여부를 고려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들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 판사와 일반인들은 일반적으로 법과학 증거나 의학 증거 관련 전문가들의 법정 증언이 유무죄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분야의 전문가 보다 더 정직하고 유능하며 신뢰롭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경찰, 회계/부동산 감정가, 거짓말 탐지 검사관에 대한 중요성, 정직성, 유능성, 신뢰성에 대한 인식은 가장 낮았다. 또한 판사들은 전문가 증언에 대한 허용 여부를 고려할 때 전문가가 받은 훈련의 내용, 증언에서 사용된 이론이나 증거 분석 및 연구 방법이 학계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지, 이전에 전문가로 증언했었는지 여부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xpert testimony is intended to assist the trier of fact in understanding certain type of evidence and the admissibility of expert evidence is determined by the trial judge. The admissibility standards for expert witness exist in the United States, but Korean legal system do not have structural standards or explicit rules for evaluating the admissibility of scientific evidence or expert testimony. This study examined 1) general perceptions of Korean judges and lay people on a variety of expert witnesses, 2) judges' admissibility evaluation experiences, and 3) which criteria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when evaluating admissi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judges and lay people rated forensic science or medical experts as most important, honest, competent, and reliable, whereas police officer, accountant/appraiser, and polygraph expert were placed at the bottom. Further, training, general acceptance, prior expert testimony experience, and level of education are perceived as important criteria when evaluating admissibility of experts in Korea.

      • KCI등재

        과학 중점학교의 성과에 대한 교사와 전문가 인식 조사

        손정우,최재혁,노현아,심규철,차정호,이기영,이봉우 한국물리학회 2021 새물리 Vol.7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experts about the performance of Science Core Schools. For this purpose, 40 science teachers and 8 science educators completed in the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nine items consisting of features from Science Core Schools. Teachers and experts were asked to respond to each item, such as the degree of benefit to the students, the degree of difficulty in use, and the need for continuous maintenance. The most beneficial items for students were improved infrastructure such as laboratories and resource rooms, compulsory completion of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opinion), and completion of eight science subjects (experts’ opinion); the most difficult was specialized research and linkage to local resources. A necessary item was improved laboratories. The perceptions on the compulsory completion of eight science subjects were different between teachers and exper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Core School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중점학교의 성과에 대해 교사와 전문가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40명의 과학 중점학교 담당 교사와 8명의 과학교육 전문가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 내용은 과학중점학교의 특징으로 구성된 9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교사와 전문가들은 각 항목에 대해 학생에게유익한 정도, 운영의 어려움 정도, 지속 유지 필요성 등을 응답하도록 요청받았다. 학생에게 가장 유익했던항목은 실험실 인프라, 전문교과 이수(교사의견), 과학 과목 8개 필수 이수(전문가 의견) 등이었고, 가장어려운 점은 특화연구, 지역자원 연계 등이었다. 지속 필요성이 가장 높은 항목은 인프라 개선이었다. 교사와 전문가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은 과학 과목 8개 필수 이수였다. 설문 결과와 응답을 바탕으로과학 중점학교의 발전과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과학영재 지식창출 경험에 대한 학생 인식조사: 전문가 연구 활동에 대한 IPA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강정하,석혜은,박선희,신학수,홍성호,박청담,윤지윤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과학영재가 전문가 연구 활동에 대해 가지는 인식—중요도 및 수행도—수준과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로, 이를 통해 전문가 연구 활동이 지식창출 경험의 장으로서 기능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과학영재 전문가 연구 활동의 핵심요소—학생․연구․기관—에 대한 과학영재의 광범위한 인식의 구조를 다룸으로써, 과학영재가 지식창출 경험을 통해 의미 있는 성장을 지속하도록 하는 실질적인 중재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과학영재는 물론 이를 지원하는 교육 환경적 요소인 전문 기관, 그리고 영재학교 및 지도교사 간의 상호작용을 총체적으로 다루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는 전국 7개 영재학교 재학생 1, 2, 3학년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진행되었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 IPA와 네트워크 분석이 실시되었다. 먼저, IPA 결과, 중요도는 학생요소의 조직화 요인, 소통 요인, 연구요소의 과정요인, 기관요소의 자원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수행도는 기관요소의 자원요인, 연구요소의 과정요인과 전략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중요도와 수행도의 t 검증 결과, 대부분의 세부성분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이 모두 높은 것은 연구요소의 결과보고와 문제, 학생요소의 성장, 교류, 그리고 기관요소의 관리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가 전문가 연구를 위한 사전 경험 및 사전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전문가 랩 의존적 활동, 연구 결과보고에 집중된 활동 등의 한계를 드러내는 현상으로, 전문가 연구 활동이 지식창출 경험의 기회가 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계획적인 사전 준비를 통한 학생주도적 활동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wanted to see if the professional research activity functions as a place of knowledge emerging experience through perceptions of science gifted students about their research activities - importance and performance - analysis of levels and structu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68 persons from 7 gifted schools nationwid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applied to IPA and network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IPA, the importance of Student_Organizing factors, Student_Communication factors, Research_ Process factors, and Institution_Resource factors were high. The performances were higher in Institution_Resource factors, Research_Process factors, and Research_Strategic factors. Next, as a result of scaling in random network, it is reported that Research_Result_Report, Experience_Growth, Communication_Exchange, and Research_Pr_ Problem Definition are the most influential key components.

      • KCI등재

        수돗물 바이러스 논쟁

        성하영(Sung Ha-You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07 과학기술학연구 Vol.7 No.2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수돗물의 바이러스 오염 여부에 관한 논쟁이 있었다. 서울대의 K 교수는 학회에서 수돗물을 분석한 결과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고 보고했고, 이 내용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수돗물의 안정성에 대한 논쟁이 일어났다. 이 논쟁은 바이러스 검출방법론의 신뢰성을 둘러싼 과학적 논쟁과 검출된 바이러스가 위험한지에 대한 위험논쟁이 함께 공존하며 진행되었다. 필자는 정책의 변화를 요구하는 과학적 사실을 둘러싼 논쟁을 분석하기 위해 과학전문가와 정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아래의 세 가지를 주장하고 있다. 첫째, 논쟁을 제기한 과학자(K 교수)와 정부(환경부, 서울시)가 바이러스의 확인부터, 승인, 정책 결정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검출방법론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의 차이는 민감성과 정확성을 추구하는 과학계와 법적기준을 위한 정량적 가치를 중시하는 정부의 특징이 반영된 것임을 주장한다. 둘째, 과학논쟁에서 K 교수팀이 PCR 방법을 통해 바이러스의 실재(reality)를 확인하면서 과학적 정당성을 확보했음을 보인다. 셋째 바이러스의 검출 방법에서 PCR 방법이 과학적 실재를 결정했지만, 위험의 실재를 규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음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논쟁분석을 통해 정책입안을 둘러싼 과학ㆍ위험논쟁에서 과학전문가의 역할을 고찰하고 있다. There was the debate about potentiality if tap water had been contaminated by viruses from 1997 to 2002. As professor Ki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South Korea presented a report at a conference, this debate was started. When this report was released to the public through the media, the controversy broke out over the safety of tap water. The main argument of this debate is that the method used in assessing the water quality is problematic. This paper is going to insist on three points: first of all, I will argue that scientists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re different in all process like the definition and the recognition of viruses and the policy decision about virus control. And these discrepancies are reflected by each group's characters. Next, Kim's assay technique,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attained a scientific justification through detecting the reality of the virus. Finally, I will indicate that PCR among virus detection methods had a limit in deciding the reality of danger, even though the method determined the scientific reality.

      • KCI등재

        한국여성과학기술인단체의 역할수행

        손주연(Ju Yeon Son),이혜숙(Hye sook Lee),강민아(Min ah K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4 여성연구 Vol.87 No.-

        과학기술정책인 동시에 인력정책이며 여성정책이라는 특수성을 갖고 있는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활용정책의 결정과 시행에 있어서 여성과학기술인단체는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단체에 대한 소속회원들의 인식과 기대는 어떠한가? 이 연구는 여성과학기술인을 대상으로 단체의 역할과 역할수행방식, 기대사항 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단체가 수행할 역할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성과학기술인단체는 고학력 전문가로 구성된 이익집단인 동시에 여성과학자의 위상과 역할강화를 추구하면서 사회적 공익을 추구하는 비영리단체이다. 그러나 이들의 활동은 대체로 심포지움이나 토론회 등 학술적 역할에 집중되어 있다. 조사결과 여성과학기술인의 집단적인 이해나 문제를 대변하는 이익집단으로서의 역할이나 정부의 정책결정에 참여하거나 정부에 대한 비판하는 시민단체로서의 역할 모두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속회원들은 단체가 여성과학기술인을 대표하여 정부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사회적으로 공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향후 여성과학기술인단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여성과학기술인을 대표하여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 참여하고 여성전문인을 대표하는 이익집단이자 시민단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The policy on fostering and supporting woman scientists and engineers is a profess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as well as a part of gender equality policy. What kind of role do Korean women's organizations in science and engineering play? Do Korean women's organization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dvocate their concerns? Do they play a crucial role in policy-making process? What are the perceptions of woman scientists and engineers towards the Korean women's organization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umerous researching methods to find the solutions about those questions. Women's organizations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ve dual roles: to improve members' rights as interest groups as well as to focus on social contribution as non-interest groups. However, they focus on the academic activities, for example symposium, conference and open forum etc, these dual roles are overlooked. Survey results show that members of Korean women's organizations in S&T hope these organizations participate in policy making more actively and have more connections with society. This means that women's organizations in &ST have to rethink their role and change the relationship with society.

      • KCI등재

        한국여성과학기술인단체의 역할수행 : 소속회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손주연,이혜숙,강민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 No.

        The policy on fostering and supporting woman scientists and engineers is a profess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as well as a part of gender equality policy. What kind of role do Korean women’s organizations in science and engineering play? Do Korean women’s organization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dvocate their concerns? Do they play a crucial role in policy-making process? What are the perceptions of woman scientists and engineers towards the Korean women’s organization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umerous researching methods to find the solutions about those questions. Women’s organizations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ve dual roles: to improve members’ rights as interest groups as well as to focus on social contribution as non-interest groups. However, they focus on the academic activities, for example symposium, conference and open forum etc, these dual roles are overlooked. Survey results show that members of Korean women's organizations in S&T hope these organizations participate in policy making more actively and have more connections with society. This means that women's organizations in &ST have to rethink their role and change the relationship with society. 과학기술정책인 동시에 인력정책이며 여성정책이라는 특수성을 갖고 있는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활용정책의 결정과 시행에 있어서 여성과학기술인단체는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단체에 대한 소속회원들의 인식과 기대는 어떠한가? 이 연구는 여성과학기술인을 대상으로 단체의 역할과 역할수행방식, 기대사항 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단체가 수행할 역할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성과학기술인단체는 고학력 전문가로 구성된 이익집단인 동시에 여성과학자의 위상과 역할강화를 추구하면서 사회적 공익을 추구하는 비영리단체이다. 그러나 이들의 활동은 대체로 심포지움이나 토론회 등 학술적 역할에 집중되어 있다. 조사결과 여성과학기술인의 집단적인 이해나 문제를 대변하는 이익집단으로서의 역할이나 정부의 정책결정에 참여하거나 정부에 대한 비판하는 시민단체로서의 역할 모두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속회원들은 단체가 여성과학기술인을 대표하여 정부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사회적으로 공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향후 여성과학기술인단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여성과학기술인을 대표하여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 참여하고 여성전문인을 대표하는 이익집단이자 시민단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기후변화 과학은 정치적인가? : 기후변화 회의론자들의 기후과학자 비판에 대한 반박

        박희제,김명심 한국환경사회학회 2014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8 No.2

        In the controversy over global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skeptics have argued that mainstream climate scientists, influenced by their interest of research fund and liberal political ideology, exaggerated the seriousness of global climate change for political purposes and made uncertain claim of anthropogenic global warming. To test the validity of the skeptics’ claim, we classify a sample of Korean scientists into three groups, contributory experts who conduct climate research, interactional experts who do not conduct climate research but have much knowledge on it, and scientists-in-general who do not have much knowledge on climate change, and compare their perceptions of global climate change. We hypothesize that, if scientists’ interest of research fund has effect on their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contributory experts of such interest may perceive it as a more serious problem than other scientists do. The results of this study, however, disconfirm it. The level of knowledge on climate change and political ideology of scientists also turn out not to influence their perceptions of global climate chang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blame on mainstream climate scientists for exaggerating climate change issues by skeptics might be groundless and that interest-based explanation of scientists’ risk perceptions would be too simple to understand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society. 기후변화 논쟁에서 기후변화 회의론자들은 주류 기후 과학자들이 연구비 획득이라는 이해관계와 환경주의와 진보적 정치성향이라는 이념성에 영향을 받아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과장하고, 산업화가 기후변화의 원인이라는 불확실한 주장을 펼친다고 주장해왔다. 이 연구는 기후변화 회의론자들의 기후변화 과학(자)에 대한 비판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과학자 표본을 기후변화를 직접 연구하는 기여 전문가, 기후변화를 직접 연구하지는 않지만 기여 전문가 못지않은 지식을 갖고 있는 상호작용 전문가, 그리고 기후변화에 대해 일반인 수준의 지식만을 갖고 있는 과학자일반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이들 사이에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만약 기후변화 회의론자들의 주장처럼 연구비 같은 이해관계가 기후변화 과학자들의 기후변화인식에 영향을 준다면 이러한 이해관계를 갖는 기여전문가 집단이 상호작용 전문가 집단이나 과학자일반보다 기후변화를 더 심각한 것으로 인식할 것으로 추론할 수 있으나 이 연구의 결과는 이와 같은 가설을 부정한다. 또한 이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전문성과 정치성향 역시 과학자들의 기후변화인식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회의론자들의 주류 기후변화 과학자들에 대한 비판이 근거 없는 것임을 강하게 시사하며, 동시에 과학을 단지 연구비 제공자나 이념적 편향에 사로잡힌 자율성 없는 꼭두각시 인형으로 간주하는 이해관계 접근법이 지나치게 단순한 시각임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