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재혼가정 어머니의 재혼가족생활 경험에 대한 연구

        양진희 ( Jin Hee Y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4

        한국사회의 가족구조의 변화 중 하나는 이혼율의 증가로 인한 재혼가정의 증가를 들 수 있다. 가정의 해체라는 이혼과 달리 재혼은 가정의 재구성을 통하여 손상된 가족기능을 회복하고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도모한다는 긍정적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하며, 유아교육계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재혼가정의 바람직한 가족재구성을 돕는 다양한 접근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재혼가정 어머니의 사례를 통하여 재혼으로 결합된 재혼가족생활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고 유아기 자녀를 둔 재혼가정 어머니의 바람직한 가족생활을 돕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재혼가정의 어머니 5인을 대상으로 16개월 동안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재혼가정 어머니들은 1. 갈등기: 가정의 뿌리를 뒤 흔드는 위기 - 오해, 그리고 갈등, 2. 노력기: 가정을 바로 세우는 힘 - 이해, 그리고 노력, 3. 적응기: 가정의 튼튼한 주춧돌 - 사랑, 그리고 실천의 세 단계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은 반드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었으나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각각은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범주화되었다. 그것은 첫째, 개인적 차원의 문제, 둘째, 가족관계 차원의 문제, 그리고 셋째, 사회적 차원의 문제들 이었으며, 이는 또한 각각 세부적인 하위 요인과 특성들을 지니고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ence of stepfamily life for mothers in stepfamiles with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Five step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case study research. Mothers of each family were interviewed regularly over approximately sixteen months from February in 2010 through May in 2011.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thers in these stepfamilies experienced times of conflict due to their individual inner variables(fighting against oneself), their relationship with family(a real family and a fake family), and society(recognizing and fighting against bias). Second, Mothers in stepfamilie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xperienced an endeavor time through their individual inner endeavors(concerning their self-identity and honorable), their endeavors regarding family relationships(consideration and acknowledging), and their endeavors in social relationship(toward a solid and sound family). Third, Mothers in stepfamilie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xperienced an adaptation time through practicing their individual inner beliefs(self-esteem and responsibility), practicing within family relationships(belief and desires), and through practicing actions in social relationships(service and sincerity).

      • KCI등재

        재혼가정의 부모와 청소년자녀의 적응과정 연구 - 기독교인 재혼가정을 중심으로 -

        김형민,이은경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2

        본 논문은 기독교인 재혼가정의 부모와 자녀가 겪게 되는 고유한 심리적 특성과 적응상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하여 기독교인 재혼가정 10가정과의 면접내용을 근거이론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첫째, 재혼가정의 부모와 청소년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갈등과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재혼가정의 부모와 청소년자녀는 어떤 어려움을 겪으며 적응하게 되는가, 셋째, 기독교 신앙이 재혼가정의 부모와 청소년자녀의 적응에 기여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기독교 재혼가정의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적응과정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힘겨운 한부모 생활’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심현상으로는‘재혼가정의 요동치는 재혼생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혼생활에서와 같은 지속되는 갈등의 요소와 과도한 책임감이 맥락적인 조건으로 작용하는 것을 나타났다. 또한 기독교인 재혼가정의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적응과정에서‘가족구조의 변화’와‘치료적 관계의 형성’이 중재적 조건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혼가정의 부모와 청소년자녀의 적응과정에 대한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함께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culiar emotions the parents and children of Christian remarried families go through and their respective experiences of adjustment.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absence of previous research situ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t three themes as the study matter- ‘first, what are the general conflicts and difficulties that parents and children of remarried families undergo?’, ‘second, what difficulties do parents and children of remarried families go through as they grow?’ and ‘third, what is the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adjustment of Christian parents and children of remarried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1998). As a result, the central phenomena of the adjustment process of parents and children of remarried families, the core category and steps of the interaction strategy were discovered. The core phenomenon of remarried families is the fluctuating remarried marriage life, which is facilitated by contextual factors such as persistent conflict as in the previous marriage and excessive sense of responsibility. A proposal on how to carry out the post research on the adjustment process of the parents and children of remarried families was also included.

      • KCI등재

        재혼가정, 일반가정 아동의 개인·양육 특성들이 아동의 행동 및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연구

        손병덕 ( Byoungduk Sohn ) 한국아동권리학회 2005 아동과 권리 Vol.9 No.1

        본 연구는 재혼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행동·정서발달에 미치는 개인 및 가족양육특성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92명의 재혼가정 아동들과 992명의 일반아동을 표집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Child Behavior Check List의 하위 척도들 가운데 근심/염려, 위축, 공격적 행동을 종속변인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양육 및 아동권리관련 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연구자와 교사의 지도아래 작성하였다. 연구결과는 재혼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에 차이가 있으며, 재혼가정의 아동들에게서 정서 및 행동발달 문제의 정도가 일반가정 아동에 비하여 보다 심각한 것을 보여주었다. 두 연구대상 그룹의 행동 및 정서발달 특성에 기여하는 중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은, 일반가정 아동들에게는 가족 및 성적, 종교 등이 중요 예측요인들인데 비하여 재혼가정 아동들에게는 재혼과 관련된 변인들이 보다 중요한 예측요인들인 것을 발견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재혼가정과 일반가정 아동들의 권리를 신장하고, 재혼과정에서 소외되고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행동에서 비롯된 부정적인 행동·정서발달을 치료, 예방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추천하였다. To better understand the rights of children in remarried families compared to those of intact families and to examine determinants of perceived emotional·behavioral risks, data were collected from 992 male and female elementary students in intact families and 159 male and female elementary students in remarried families.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perceived emotional·behavioral variables measured by CBCL sub-scales such as anxiety/depression, withdrawal, and aggressiveness as well as selected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child rights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hild right conditions of the child in remarried families were more likely to be different from those in intact families. The problematic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of the child in remarried families were common compared to those among children raised in intact families, showing that depressive, withdrawal, and aggressive behavioral symptoms were 59.57%, 23.9%, 22% respectively in children from remarried families whereas were only 16.3%, 4%, and 2.9% respectively in children from intact families. Regression analyses further indicated that child rights related variable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perceiv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children from remarried families. Efforts to develop treatment and protective programs are recommended as an essential part to buffer the negative emotional·behavioral effects caused by new partnership, and to improve the rights of children in remarried families.

      • 한부모가정의 재혼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Remarriage Preparation Training Program for Single-parent Families

        강윤중 한영신학대학교 출판부 2016 한영연구논문 Vol.8 No.-

        본 연구는 서울에 있는 이혼자, 사별 자들의 모임에 가입하여 활동하는 재혼을 희망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대부분 재혼시장이라고 하는 곳을 경험한 사람들로 본 연구에 참여자로 매우 적당한 사람들이다. 준비한 설문지를 통해 한부모가정의 현실과 이들이 재혼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고 재혼을 잘하려면 어떤 준비교육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상담과 교육에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성공적인 재혼을 위해 76.5%가 재혼준비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재혼준비교육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6.2%였고, 80.9%가 경험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부모가정의 재혼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입증 하였고 어떤 내용의 프로그램개발을 해야 하는지 파악했다.

      • 부모의 재혼을 경험한 한부모가정 청소년 상담사례

        황은실 한국한부모가정학회 2010 한국한부모가정학 Vol.3 No.1

        본 상담사례 연구는 부모의 재혼을 경험한 한부모가정 청소년 상담사례로 재혼가정자녀의 정서적 심리적 지원체계의 중요성과 그에 준하는 상담과정을 통해 한부모가정 아동 청소년의 어려움을 돕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담소를 내방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매주 1회 1시간 30분씩 약 5개월 동안 상담하였다. 내담자는 부모의 재혼으로 인해 심리ㆍ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이로 인해 신체적, 정서적인 장애를 겪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치료 접근에 의한 지지적 역동상담(Psycho Dynamic)으로 공감, 적극적 지지, 통찰을 통한 이해, 수용, 인정 등 긍정적 대처자원을 개발하고,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을 촉진하여 이후 내담자의 학교생활과 또래관계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교정적 정서체험의 기회를 제공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현 상황을 이해하고 수용하게 되는 등 자존감의 향상을 보였다. The present counseling case study is a counseling case of single parent family's teenagers experiencing remarriage of parents, aim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a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of remarried family's children and to help difficulty of single parent family's teenagers through a counseling process conforming to it, For this, the present research has counseled for one hour 30 minutes with teenagers visiting an advice office one time every week for around 5 months. Counselees(teenagers) were experiencing psychologicalㆍemotional difficulties due to remarriage of parents, and were experiencing physical and emotional obstacles due to this. Accordingly, the present research develops positive coping resources such as understanding, acceptance and recognition, etc. through supportive psycho dynamic counseling by approach of art therapy, and provided an opportunity of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 so that counselees can properly cope with school life and peers relations hereinafter by promoting their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is, counselees showed improvement of self-esteem such as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ir own present situations, etc.

      • KCI등재

        저소득층 국제재혼가족 전혼자녀(前婚子女)의 가족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안지영(Ji young Ahn),김지훈(Jee hun Kim)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4

        본 연구는 한국인 부모에서 태어났으나 친부모의 이혼 후 아버지가 베트남 출신 여성과 재혼한 경우를 사례로 청소년의 시각에서 재구성된 가족의 가족 경험의 실제를 탐색하는 질적 연구이다. 가족의 과업은 협상가능 한 것이며 가족으로서의 도리(family obligations)는 장기적인 관계의 산물이기도 하다는 가족 이론(Finch 1989, Finch and Mason 1993)과 가족 내 청소년 자녀의 역할에 주목하는 시각(Dreby 2007, 2010; Orellana 2009: 1-3) 그리고 초국적 이주이론(Bryceson and Vuorela 2002; Heisler, 2008; Khagram and Levitt 2008)의 렌즈를 통해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국제재혼 가족 생활과 가족 관계의 실제와 그 의미에 초점을 두고 저소득층 가족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응용적 질적 연구접근법(Guest et al., 2012)을 통해 여러 질적 연구 방법을 결합하였고, 총 8명의 중고생 연구참여자를 심층 면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존의 계부모-계자녀 관계와 이복 형제자매 관계 관련 가족 이론(기든스, 2009: 339-340; 이여봉, 2014: 210-211)이나 한국의 국내재혼 연구(정현숙 외, 2000: 12-13)나 국제재혼 연구(장인실 외, 2012: 167-171)의 지적과는 달리 한국인 전혼자녀는 베트남 새어머니와 비교적 긍정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특히, 국제재혼 여성에게 있어서 재혼 후 새로 출산한 자녀는 본인과 "한국 사회를 연결"하고 결혼 생활의 "정서적 지지" 역할을 하는 긍정적인 의미로 여겨지지만, 한국인 남편의 전혼 자녀의 경우 결혼 생활의 "갈등 요소"나 "스트레스 요소"로 작용한다(장인실 외, 2012: 167-171)는 지적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 한국인 전혼자녀는 저소득층으로서 어려운 경제 여건과 재혼 가족으로서의 어려운 가족 맥락 속에서 이복 새동생 돌봄의 주요 역할자이자 미래의 후견인으로서 재혼가족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제재혼가족의 다양한 구성원의 시각에서의 후속적인 연구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저소득층 한국인 전혼자녀 청소년이 일반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만큼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exploratory study examines meanings and lived experiences of family by Korean adolescents who are family members of low-income cross-border remarriage between Korean fathers and their Vietnamese step-mothers. Based on family theory perspective that takes family tasks are negotiable and family obligations are constructed over the life long experiences (Finch 1989, Finch and Mason 1993) and that consider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role in the family (Dreby 2007, 2010; Orellana 2009: 1-3) and through the len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eory (Bryceson and Vuorela 2002; Heisler, 2008; Khagram and Levitt 2008), we focus on the lived experiences of low-income families, from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 children. A total of 8 adolescent informa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interviewed, using applied qualitative method (Guest et al. 2012).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family theory on step-parents and step-children relationships and on step-siblings relationships (Giddens 2009: 339-340: Lee YB 2014: 210-211), and cross-border marriage in Korea (Jang IS et al. 2012), this study finds that, in general, Korean adolescent children maintained either positive or at least neutral relationship with their step-mothers. Also, in contrast to the previous studies that step-children are viewed as "stumbling blocks of re-marriage" (Jung HS et al. 2000: 12-13), these Korean children provide pivotal role of important care-takers for their half-siblings from the current re-marriages and showed willingness to take up future patron/guardian-role of their half-siblings, even though many of these children live in a difficult financial and other familial conditions. These results call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lived experiences of bi-ethnic cross-border remarriage families in diverse angles. Korean step-children in cross-border remarriage are situated in similar condition that requires proactive policy supports like their counterparts in cross-border marriage families in Korea.

      • KCI등재

        재혼 가정 성인 자녀들의 적응 과정

        변복수,박승민 한국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adjustment which adult children of remarried couples experienced. In doing so,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of 15 adult children aged from 20 to 30 years old who have lived in a stepfamily more than a year. Their responses was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1998/2003). Results showed 27 categories and 77 sub-categories from 180 concepts. Consequently, The protective factors facilitating adult children’s adjustment in remarried couples’ family were ‘relationship experience with the non-cohabiting biological parent,’ ‘external support,’ ‘having a religion,’ and ‘individual inner variables as a mediator.’ Additionally, ‘blameful messages and broken relation with the non-cohabiting biological parent,’ ‘social prejudice,’ ‘frequent change of breeder,’ and ‘stepparents’ unilateral breeding attitude’ were found to hinder adult children from adjusting. Implications for counselling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재혼 가정에서 성장한 성인 자녀들의 경험과 적응 과정을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재혼 가정에서 생활한 만 20~30세 이하의 성인 자녀 1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Strauss와 Corbin(1998/2003)이 제시한 근거이론 접근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범주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180개의 개념으로부터 77개의 하위 범주와 2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한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혼 가정 성인 자녀들이 경험한 중심현상은 ‘비존재감으로 인해 겉돎’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혼 가정 성인 자녀들의 적응 과정의 핵심 범주는 ‘비존재감으로 인해 겉돎으로부터 자신을 재정립해 나감’이며, 그들은 부정, 타협, 시도, 수용 단계의 과정을 거치며 적응해 나갔다. 셋째, 재혼 가정 성인 자녀들에게 비동거 친부모와의 관계 경험, 버팀목, 종교의 힘, 개인 내적 변인이 적응 과정에서 보호 요인으로 나타났고, 재혼 준비 과정에서의 소외, 비동거 친부모와의 관계 단절과 비난의 메시지, 사회적 편견, 잦은 양육자 변화, 새 부모의 일방적인 양육 태도는 자녀의 적응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재혼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가족생활적응의 관계: 가족경계혼란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고은영,서영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재혼가정 청소년들의 스트레스와 가족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가족경계혼란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에 있다. 재혼가정 스트레스와 적응을 설명하는 통합적 모델에 기반 하여, 스트레스와 관련한 위험요인으로 가족경계혼란을, 보호요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설정하였고 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에 동의한 90명의 재혼가정 청소년(중1-고3)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와 가족경계혼란, 사회적 지지는 몇 가지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함께 가족생활적응의 7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와 가족경계혼란, 사회적 지지가 재혼가정 청소년의 가족생활적응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가족경계혼란, 사회적지지가 각각 스트레스와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상호작용효과의 양상을 확인해본 결과 가족경계혼란이 낮은 경우 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라 가족생활 적응수준이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가족경계혼란이 높을 경우 스트레스 수준이 가족생활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혼가정 청소년들의 가족생활 적응에 있어 높은 가족경계혼란은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 실제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boundary ambiguity and the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their adjustment to a stepfamily. Data were collected from 90 adolescents aged between 13 and 19 in stepfamilies. The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significant main effects of family boundary ambiguity and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were found. Additionally, results exhibited that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s of family boundary ambiguity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when the family boundary ambiguity was low, the stress level itself affected adolescents' adjustment to a stepfamily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family boundary ambiguity was high, the stress level itself was not related with the level of adolescents' adjustment to a stepfamily. Implications to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한부모 가정을 위한 재혼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강윤중,박미하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9 상담심리교육복지 Vol.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를 대상으로 재혼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재혼준비와 관련한 선행연구 고찰, 요구조사를 토대로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구성하여 효과변인인 역경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사랑관, 재혼준비도의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혼준비교육 프로그램은 한부모가정의 역경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사랑관, 재혼준비도에있어 비교집단보다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승을 나타냈으며, 이는 프로그램의 효과가유의미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의 재혼준비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그들의 특성에 기초한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효과를 검증했으며, 재혼준비를 위한 교육 및 상담현장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재혼준비를 위한 한부모의 교육 및 상담의 방향과 시사점을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remarriage preparation training program for single parents, as well 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ereof. To this end, efforts have been made in order to analyze the previous studies on remarriage preparation, organize a 10-session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needs, and verify the variables of effectiveness, such as growth after adversity, social support, view of love, and effectiveness of remarriage preparation. The program for remarriage preparation showed that, in a single-parent family's growth after adversity, social support, view of love, and remarriage preparation, the test group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program is significant. In this study, a program was created based on single-parent families' educational needs for remarriage prepar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thu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remarriage prepara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and counseling of single-parents regarding remarriage preparation are presented.

      • KCI등재

        재혼가정 이십대 성인자녀의 단기통합상담 사례연구

        구자경 한국독서치료학회 2015 독서치료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단일 상담사례연구를 통하여 재혼가정 이십대 성인자녀의 심리적 어려움과 상담을 통한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상담사례는 단기통합상담모델에 따라서, 내담자의 정서, 인지, 행동과 욕구들간의 상호관련성과, 내담자의 개인내적 요소들과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탐색하고 자각하도록 하고, 자신의 경험에 내재된 의미를 찾고, 대안적인 반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긍극적으로 내담자의 자존감, 대인관계, 진로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상담목표로 하였다. 또한 그림책, 모래놀이상자등과 같은 매체를 활용하여 내담자의 감정과 생각을 은유적으로 탐색하고 공감하였다. 내담자가 이성교제에 지나치게 집착한 것은 낮은 자존감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는 성장과정에서 부모의 이혼과 재혼으로 인하여 이모 집에서 유년기를 보내고 사춘기 시절 어머니의 재혼가정에 합류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유기불안, 정체성 혼란, 비정상적인 가정에서 성장했다는 열등감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상담종결 시점에서 내담자는 자존감과 자아정체감이 증진되었으며, 이성 친구에게 지나치게 집착하였던 것에서 벗어나게 되면서 동성친구들과도 친밀감과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현재 가족들과 솔직하게 자신의 마음을 털어놓고 문제를 해결하며 가족 안에서 소속감과 편안함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내담자는 미래에 대한 자신감과 희망을 가지고, 자기주도적으로 진로를 준비할 수 있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