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동지역 박물관을 중심으로

        김혜영,김세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4 예술경영연구 Vol.0 No.30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sugges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in museum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and examine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First of all,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nd relative theories were considered. As the result, forms of establishing sense of place can be divided into two cases such as implement of placeness with memories and images of formative historic·cultural assets or changing, regeneration, of existing awareness on the space by giving new placeness intentionally.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museums in Jeong-dong with both of the two forms and research model was drawn by predictors of outcome such as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place attachment,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which verifi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in museums of Jeong-dong were divided into physical, active·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detailed hypothesis which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and place attachment, physical factors such as location,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ttractiveness of appearance and comfort of internal environment made the most effects on placeness forming. Second, the placeness of museums in Jeong-dong was divided into place identity and place dependence so as to explain with place attachment. As the result, place attachment of museums in Jeong-dong can be explained with only factors related to place identity. Place identity is the attachment caused by emotional and symbolic reasons rather than functions of the place. It indicates, visitors of museums in Jeong-dong feel that the place they visit is deeply related to themselves and very special, furthermore, visiting of the place explains and feels who they are. Third,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recognized by visitors visiting museums in Jeong-dong made an effect on the value perception whose medium was place attachment. The effects tha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made on the value perception directly without mediating effect of place attachment didn’t show significant value. Finally, in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perception of museum visitors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s which are the final dependent variable of this research model, visiting satisfaction, recommendation intentions and revisiting opinion were increased as the value perception of visitors was higher. Particularly, revisiting intention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value perceptionthe mostly, so the necessity to form place attachment of museums wasconfirmed once again.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mplied are as follows. First, process and degree of contributing to place attachment must beconsidered rather than establishment of detailed factors so as to connec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to positive results such as revisiting, satisfactionand recommendation. Second, place attachment is made when they can interpret and experience byadding active·behavioral factors such as history, time, etc. to physical factors. In this sense, historic·cultural assets are very useful to form placeness ofmuseums. There are a few studies on placement in the field of domestic museums. So,research model drawn by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reliability and validityof relatively following researches. In the future, in-depth and objective studiesmust be conducted for museums which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andqualitative studies which consider various variables are 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과 관람객을 도시발전의 수단, 혹은 서비스의 차원에서 측정하고 평가하는 기존의 정책과 마케팅 계획과 다르게 박물관이라는 장소와 관람객 사이에서 정서적으로 가치를 지각하고 장소성을 이끌어내는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근거에서는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제시하고 이 요인들이 장소애착을 매개로 하여 가치지각과 관람행위의 결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검증하였다. 우선 국내외 사례와 관련 이론을 고찰한 결과, 장소성 구축의 형태는 유형의 역사·문화 자산이 가지고 있는 기억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장소성을 구현하거나, 의도적으로 장소성을 새롭게 부여하여 그 공간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전환, 즉 재생하는 두가지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형태가 동시에 발현되고 있는 정동지역의 박물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애착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세부 가설에서 정동지역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물리적, 활동·행태적, 심리적 요소로 구분하였을 때장소성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위치와 대중교통의 편리성, 외관의 매력성, 내부 환경의 편안함과 같은 물리적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성을 장소애착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장소정체성과 장소의존성 요소로 구분한 결과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애착은 그 장소의 기능보다는 감정적, 상징적인이유로 애착을 갖게 되는 장소정체성과 관련된 요소만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을확인하였다. 셋째, 정동지역 박물관에 방문한 관람객이 인지한 장소성 형성요인은 장소애착을 매개로 하여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의 매개효과 없이 직접적으로 지각된 가치에 주는 영향은 유의한 값이 나오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박물관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와 본 연구모형의 최종종속변인인 관람행위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는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방문만족도, 추천의도, 재방문의사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박물관은 기능적이고 물리적인 필요 이상의 의미가 존재하는 장소이므로 그 가치를 평가할 때 장소성 관점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장소성 형성구조가 후속 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확보에 기여하기 바란다.

      • KCI등재

        디자이너 관점의 장소 이미지 의미와 형성에 관한 연구

        정혜선(Chung, Hyesu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장소 이미지를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관련 영역의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는 장소 이미지의 의미와 형성에 대하여 이론과 개념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특정 장소 이미지에 대한 형성요인 조사는 배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장소’와 ‘이미지’에 관해 각각 문헌연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소 이미지를 디자인적 관점에서 고찰 및 분석하였다. 또한, 장소 이미지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 현황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련 경력 10년 이상의 디자인 실무자 9인을 심층 인터뷰하고 그 의견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내용 및 결과로 첫째, 장소연구 중 장소 이미지를 주축으로 하는 연구의 비율은 낮은 편이지만, 점차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장소 이미지를 디자인 관점에서 해석하면, 간접 접촉을 통해 누적된 이미지인 공유 멘탈모델(mental model), 직접체험 시의 이미지인 감각 · 지각 · 인지, 경험 후의 통합된 이미지인 개인적 의미형성의 차원으로 논의할 수 있었다. 셋째, 전문가 인터뷰 결과 면접자들은 장소를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서로 합의가 이루어진 곳으로 간주했지만, 장소 이미지는 체험자의 관점과 경험이 주축이며 형성되는 데 경험 · 공간 · 인간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장소 이미지 관련 프로젝트에서 디자이너에게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기술지식, 시장분석, 사회 이슈에 대응하는 역량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eaning and formation of place image from designers’ perspective and to explore what the required competencies for designers in related areas. The scope of this study is research about the meaning and formation of place images, and has ruled out image formation factors of specific place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research about ‘place’ and ‘image’, analyzed place image from designers’ perspective. Also, we conducted a status analysis of thesis and dissertations on places image. Finally, individual interview with nine professional designers was conducted for further analysis and conclusion.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thesis which focus on places and images was rather low compared to the number of such studies, but has shown a gradual increase. Second, the images of plac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 shared mental model which means accumulated images, emotional response images based on sensor, perception and cognition, and an emotional experience image where people attach personal meaning to places. Third, the results of experts interview revealed their perception that places are naturally formed spaces where a consensus is made among people. On the other hand, they suggested that the places images are mainly affected by th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 who experience the places and hence experience, space, and humans are key factors to form the images of places. In addition, there were views that designers who work on projects related to the images of places need to have communication skills, technical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analyze markets and respond to social issues.

      • KCI등재

        장소성 형성의 프로세스 연구- 《여학생일기》에 나타난 식민지 대구를 중심으로 -

        강민희(Kang, Minhee)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58 No.-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공간에는 가변성이 존재하고, 이로 인하여 같은 공간이라도 개인적・사회적, 정치적・문화적, 시간적 맥락 등의 요인으로 인해 변모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특정 공간과 시간이 중첩되면 장소성이 단일한 것처럼 여겨지거나 맥락으로 이해되는 경향도 있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근본적으로 공간 내에 다양한 장소성을 정위하는 층위와 방식에 관한 이론적 검토 및 사례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문제는 이러한 한계를 마주하더라도 극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학생일기》는 그간 언급되어 온 식민지 대구의 단선적 성격을 극복하는 데 효과적이고, 장소성이 행위 주체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기존의 이론을 입증하는 데에도 적합해 보인다. 따라서 연구자는 1) 환경적 요소와 인간의 구체적인 경험, 그에 따른 의미 부여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공간을 인식할 필요가 있고, 2) 장소성의 형성 프로세스는 개인의 사고와 행위가 시대성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가정에 따라 텍스트를 장소성의 영역에서 분석, ‘K양’이 바라보는 식민지 대구의 의미를 읽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타자에 의해 갑작스럽게 들이닥친 근대적 변화가 문화정치에 의해 내면화한 식민지 대구에서 ‘학교’는 ‘교육을 통해 개인을 충실한 식민지민과 황국신민으로 키워내는 관문’이었고, 식민지 대구는 ‘K양’을 비롯한 대구부민에게 ‘신성성과 기원이 중첩된 장소’라는 장소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prior research, the researcher found that location characteristics could be changed depending on personal, social, political, cultural, and time context.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ace the fact that, a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ertain spaces and time overlap, place characteristics seem to be single or tend to be understood in context.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theoretical examination and lack of examples of layers and methods of locating various locality in space. The problem is that it is not easy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is situation, the Diary of Female Students(女學生日記) is effective in establishing a value system that overcomes the unilateral nature of the colonial city of Daegu, and proves that lo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identity of the actor. Therefore, researchers need to recognize space as a ‘place’ where environmental factors, human experience, and consequent meaning are combined. 2)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ndividual thoughts and actions are not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time, they want to read the meaning of Daegu. As a result, ‘school’ is a gateway to raising individuals to loyal colonists and royal subjects through education in Daegu, a place where sacredness and origin overlap with Daegu residents, including ‘Female Students K.’

      • KCI등재

        거창 고학리 해주오씨의 장소애착을 통해 본 종족경관의 형성과정

        이현우,Lee, Hyun-Woo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5

        This research, which sought to conjecture the formation process of tribal landscape while confirming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 of place attachment of the Haeju Oh Family, which is rooted within the village and the Yongwon Pavilion and Garden of Gohak-ri, Mari-myeon, Geochang-gun, Gyeongnam,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nd scenic elements such as the names and sculptures nearby the village and Yongwon Pavilion and Garden. This place is where Goohwagong Oh Sue, a Haeju person, settled down. This is also where his descendants were refined while yearning for their ancestors. The Yongwon Pavilion was established in 1964. It can be sufficiently known that this place was managed and maintained as a garden-like place where the spirit of yearning was shared and which was the basis of the life and entertainment of descendants after being the monumental place for Master Oh Guhwa, through stories, documents, nearby facilities, and writings on many rocks. It is clear that the meaning of 'Bang-Hak(訪鶴) and Jung-Hak (停鶴)' which is carved in many places around this area and Gohak-ri, which symbolizes the Hakbong(crane peak), the vein of Wonjak-dong which is one of the Ahneuisamdong(three outstanding scenic places of Ahneui), is a scenic language explaining the ecological settlement and lives of the Haeju Oh Family. When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a sense of place as "a 'social device' made by discussions and practice rather than its existing as a substance," the many structures scattered around the village, Yongwon Pavilion Garden, and nearby designations show the monumental place inheritance of tribal group clearly exhibi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Korean sense of place. Ever since Guhwagon Oh Sue settled down in Guhak-ri, the tribal group of Haeju Oh Family went through a life settlement phase and landscape formation phase by realizing the sense of place. Afterwards, while yearning for ancestors and repeatedly rooting down in the place, territoriality expanded and the place was reproduced. In particular, timber houses and monument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and after independence, the Yongwon Pavilion was constructed through place reproduction, and monumental tribal landscape is currently being expressed in various forms to this day. Thus, allowing to reach the conclusion of 'Tribal Landscape of Gohak-ri, Mari-myeong, Geochang-gun,' which we perceive today. The products of territorial expansion formed by the repeating phenomenon of place rootedness and place attachment by tribal groups are in fact the substance of tribal landscape. Through such,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true spirit of place attachment and the earnest interest and affection of descendants towards a unique place that is repeatedly constructed and inherited within the group memory. 경남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에 소재한 용원정원림(龍源亭園林) 및 마을주변의 지명과 조형물 등 문화경관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용원정원림과 마을 내 배태(胚胎)된 해주오씨의 장소애착 방식과 특질을 확인하는 한편, 종족경관(宗族景觀)의 형성과정을 추찰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해주인 구화공 오수(九華公吳守)가 마을에 터 잡은 이래 그의 후손들이 선조를 사모하는 마음으로 다듬어 온 공간으로 1964년 용원정이 건립되었다. 이곳은 구화공의 유허지로 이후 후손들의 생활과 풍류의 거점이자 숭모(崇慕)의 정을 교감하는 원림적 장소로서 지속적으로 관리되어 왔음이 기문과 문헌자료 그리고 주변에 배치된 여러 시설 및 다수의 바위에 새긴 바위글씨를 통해서도 충분히 감지된다. 안의삼동 중 하나인 원학동의 지맥인 학봉(鶴峰)을 상징하는 고학리와 이곳에 각인된 '방학(訪鶴) 정학(停鶴)'의 의미는 해주오씨의 생태적 정착과 서식을 설명하는 경관언어가 분명하다. 장소성이 "어떤 실체로서 존재하기 보다는 담론과 실천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회적 고안물이다"라는 정의를 상기할 때, 주변 지명과 용원정원림 그리고 마을 도처에 산재한 다수의 조영물은 한국적 장소성의 특성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종족집단의 기념비적 장소 전승의 사례이다. 구화공이 고학리에 정착한 이래 해주오씨 종족집단은 서식지 정착단계를 거쳐 장소성 구현을 통한 경관형성단계를 이루었다. 이후 조상숭모와 장소착근 현상이 되풀이되면서 영역성은 확산되고, 장소의 재생산이 이루어졌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도 재실 건립과 유허비 조성 등이 이어졌으며, 해방 이후에도 용원정 건립 등 장소재현의 단계를 거쳐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의 기념비적 종족경관이 펼쳐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소애착(場所愛着)과 장소착근(場所着根)의 결과가 바로 우리가 지각하는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의 종족경관'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종족집단의 장소애착과 장소착근의 현상이 되풀이되어 형성된 영역성 확산의 산물이야말로 종족경관의 실체인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집단 기억 속에 재차 구축 전승되고 있는 고유한 장소에 대한 후손들의 진지한 관심과 사랑 그리고 진정한 장소애착의 정신을 확인하게 된다.

      • KCI우수등재

        장소를 형성하는 공공미술 연구

        박미예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5

        The relationship between a work of public art and place can be understood in various ways, ranging from simply setting a place as abackground to a decisive one in which a work cannot be established without the place. If the context of a place is important to public art,the distinction between ‘site’ and ‘place’ is meaningful. Place-forming public art attempts to understand a place from simply viewing it as aphysical and external ‘site’ to an existential ‘place.’ Place is formed by projecting subjective experiences into anonymous space and acquiringmeaning based on bodily perception. In the similar way, place-specific public art can be a method of opening the meaning of anonymousspace and delivering it to the body. Public art, which forms place in relation to contexts, can be seen in three categories. First, in the spatialcategory public art is perceived from various viewpoint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existing urban fabrics. Place-forming can be discussed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 and the body. Secondly, public art undergoes a change in meaning due to changes in thephysical state of the work over time. In addition, the meaning is sometimes newly created as the community related to the work changes. Ifthe body's particip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ublic art, the meaning of the work changes depending on the body's behavior, and placehas diversity and coincidence. 유형(有形)의 공공미술과 장소와의 관계는 다각도로 이해해야 하는데, 장소를 단순히 배경 정도로 설정하는 것부터 장소가 없이는 작품이 성립하지 않는 결정적인 것까지 다양하다. 공공미술에서 장소 논의는 작품과 장소의 관계로만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오히려 그곳에 작품을 놓음으로써 장소를 형성하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장소를 외부의 대상적 장소인 ‘site’에서 실존적 장소인 ‘place’로 파악하려는 관점이며, 후자의 장소는 감상자가 얻게 되는 경험에 주의할 때 인지할 수 있다. ‘place’로서의 장소는 인간의 경험이 기반이 되며, 익명적 공간에 주관적 경험을 투사함으로써 형성된다. 거기에 서 있는 공공미술을 통해 감상자가 특별한 의미를 경험하게 될 때 생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험은 지각의 주체인 감상자를 중심으로 공간적, 시간적, 활동적인 범주에서 논할 수 있다. 첫째, 공간적 범주에서 기존의 조직들과의 관계 속에 작품이 다양한 시점에서 어떻게 지각되는지를 살필 수 있다. 둘째, 시간적 범주에서 작품이 설치된 이후 어떤 상태에 놓여 이야기를 만들어가는지에 주목해야 한다. 셋째, 감상자의 참여를 통해 만들어가는 활동적인 범주에서 어떠한 장(field)이 펼쳐질지를 예견하는 것이다. 이러한 범주에서 경험되는 장소특정적 미술은 인간에게 실존의 장소를 제공하므로 현대도시에서 거주를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대구 김광석길의 장소 형성과 도시재생 : 지역 예술가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유신(Kim, Yu Shin)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8 No.-

        이 연구는 대구 김광석 다시 그리기길(이하 김광석길)의 형성과정에 참여한 지역 예술가들의 인식과 활동에서 드러나는 특징적 양상과 김광석길의 장소 변화 사이의 관계를 파악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김광석길을 낙후한 도시공간의 물리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기능을 회복하고 새로운 기능을 창출하여 재활성화하는 도시재생의 개념 속에서 이해한다. 김광석길을 연구 사례로 선택한 이유는 이곳이 대구 지역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동시에 도심 속에 새롭게 만들어진 장소로서의 각종 문제점과 모순적인 현상이 압축적으로 드러나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김광석길에 대한 접근은 결과론적인 측면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나기 전후의 경제적, 경관적 변화를 살펴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장소 형성에 관여한 주체의 경험을 통해 장소(Place)가 고정되거나 완전한 형태가 아니라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과정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김광석길 형성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지역 예술가들을 장소 형성의 주체로 설정하여 그들이 어떤 논리와 전략을 펼쳤는지를 살펴본다. 다양한 욕구와 의도가 반영된 장소 형성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도시재생 맥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의 근본적인 원인과 배경을 파악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local artists who with their specific perspective participate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Kim Gwang- Seok Re-drawing/missing Street in Daegu(hereafter Kim Gwang-Seok Street) and the changes in the place of that street. In this study, Kim Gwang-Seok Street is understood in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by restoring the phys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of the underdeveloped urban space and creating new functions to revitalizing. The reason why Kim Gwang-Seok Street was chosen as a research case is that it is a representative tourist attraction in Daegu and also a newly created place where various problems and contradictory phenomena are compressed in the city center. Until now, the approach to Kim Gwang-Seok Street has tended to consider economic and landscape changes before and after gentrification from the consequential aspects.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the subject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Kim Gwang-Seok Street is to confirm that the place is not a fixed or complete form but a process created through interaction with people. Particularly this study set the local artists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ormation of Kim Gwang-Seok Street as the subject of place formation and examine their perspective such as logic and strategy especially practice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By examining specific case of place formation that reflect various needs and intentions,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fundamental causes and backgrounds of various problems arising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 KCI우수등재

        덕수궁 돌담길의 역사문화가로 장소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양유선,손용훈 한국조경학회 2019 韓國造景學會誌 Vol.47 No.3

        Today, Deoksugung Doldam-gil, which is a well-known area in Seoul, has become a mixed place as many places reaching a critical age have been converted into parks.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Deoksugung Doldam-gil was deficient in that the user, an essential variable, was not considered when assessing the place. Based on that,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perception of the places in Deoksugung Doldam-gil and to analyze factors to further enrich the place to visitor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representative idea of Deoksugung Doldam-gil is "the distance you want to go" and that has influencing factors, such as vehicle restrictions and the improvement of the walking environment. The analysis of classifying the variables that make up the perception of the place, physical environments, activities and meanings showed high awareness in, “streets of green (3.95)” and “stone walls of curves (3.88).” In the category of activities, "walking activities in the inner city (4.01)" and "love and romance (3.57)" were high. These results seem to reflec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s and the familiar image of the place were important. Fiv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to provide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place perception,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and the place atmosphere of Deoksugung Doldam-gil. These factors confirm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green landscape' and 'historicit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analysis reflects vital space, visual experience, and free walking conditions to be important, and these variables are present in urban parks. It also indicates the long-accumulated image and behavior near the site of Deoksugung Palace, inclu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gnitive perception of Deoksugung Doldam-gil and the formation of the atmosphere of the place were strongly recognized. It found that there was a need to reflect the value and importance of ‘green’ in the future as culture or in the use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related to heritage. This study presented a direction to be no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user's place awareness, but considered only a fraction of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ultidimensional sense of place and location recognition, and thus must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오늘날 서울에서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덕수궁 돌담길은 역사유산으로서의 장소 인식과 공원으로서의 장소 인식 등 혼재된 장소성을 지닌 곳이다. 그러나 덕수궁 돌담길과 관련한 기존 연구는 장소성에 중요한 변수인 이용자를 배제한 채 장소성을 논하였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덕수궁 돌담길 장소 인식과 이에 미치는 요인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분석․해석하여 장소성을 더욱 풍부하게 해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로 덕수궁 돌담길의 대표 이미지는 ‘걷고 싶은 거리’로 차량 통제 및 보행환경 개선이라는 제도적 요인이 작용된 것으로 해석된다. 장소성을 형성하는 변수들을 물리적 환경, 활동, 의미로 분류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푸른 녹음의 가로수(3.95)’, ‘곡선의 돌담길(3.88)’이 높게 나타났다. 활동의 범주에서는 ‘도심 속 산책 활동(4.01)’이, 의미에서는 ‘사랑과 낭만(3.57)’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로공간이라는 장소적 특성과 기존에 친숙하게 받아들여지던 장소이미지가 반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요인분석을 통해 5개의 요인을 추출하여 장소인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했으며, 각 요인들과 덕수궁 돌담길의 장소적 분위기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녹지 가로경관’과 ‘역사성’에 대한 높은 상관성을 확인했다. 이는 녹음으로 위요된 공간, 시지각적 체험, 자유로운 보행 여건 등이 반영되어 도심 속 공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덕수궁이라는 역사문화유산에 영역이 포함되기에 오랜 시간 누적된 장소적 이미지와 행태가 반영된 결과이다. 덕수궁 돌담길 장소 인식 요인 및 장소적 분위기 형성에는 녹지와 관련된 것들이 강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역사문화가로 또는 유산과 관련된 보존 및 관리활용에 있어 녹지에 대한 가치 및 중요도를 반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장소 인식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으나, 장소 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는데 있어 다차원적 장소성의 일부분만을 고려했기에 추후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학교도서관에 대한 초·중등 학생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이병기,Lee, Byeong-K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2

        학교도서관은 공간임과 동시에 장소이다. 가정과 집의 개념이 다르듯이 공간은 물리적 형태를 말하고, 장소는 각 개개인의 경험에 의한 주관적 개념이다. 초 중 고 학생은 사회적, 인지적 발달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학교도서관에 대한 느낌 즉, 장소성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 간에 장소성 형성요인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 이 장소성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의도로 이어지는지 그 과정을 검증하였다. 590명의 초 중 고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설문 데이터는 SPSS 19와 AMOS 19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요소, 활동 행태적 요소, 심리적 요소 모두 초 중 고 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장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비해 물리적 요소, 활동 행태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장소성은 장소애착,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려는 행동의도로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School Library is both a space and a place. The difference between space and place is the same as in the difference between house and home. Space may be described in terms of physical shape. Place is concept that formulated by personal experience. The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different, so the placeness or sense of place may b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and examine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user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place value perception. The data are collected from 590 students and analyzed by SPSS 19 and AMOS 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hysical, activ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 on placeness form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librar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significantly affected more by physical factors, active behavioral factors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confirmed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user behavior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place value perception.

      • KCI우수등재

        DMZ 접경지역의 장소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미영(Mi-Young Hong),양정임(Jong-Im Yang) 한국관광학회 2024 관광학연구 Vol.48 No.2

        장소성은 지리적 공간이 갖는 특별한 성격이나 특성으로 사람들의 방문을 유도하여 지역발전 및 경제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국내 관광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DMZ 지역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생태적 가치와 자연환경에 대한 보존을 위하여 지역이 지닌 장소성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DMZ 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해 장소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23년 7월 20일부터 8월 20일까지 DMZ 방문경험자를 대상으로 현장조사와 온라인조사를 병행하여, 유효표본 207부의 조사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요인이 DMZ 접경지역의 장소애착과 충성도에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장소성 형성요인에서 활동적 요소가 장소애착에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소정체성 요인에서 경제적가치와 생태⋅자연환경적가치가 다른 요소보다 장소애착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적요소와 평화적가치는 충성도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DMZ 접경지역에 대한 장소애착과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물리적요소보다 인적자원 육성에 대한 전략과 체험 활동 등의 강화방안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DMZ 접경지역의 생태⋅자연환경과 역사문화적 가치와 함께 경제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정책과 장소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비물리적 계획도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Sense of place i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geographical space that encourages people's visitation and thereby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reg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revitalization.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policies to promote domestic tourism and economic revitalization,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sense of place regarding the DMZ area, so its ecological value and natural environment can be better preserved. This study tri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y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 sense of place regarding the DMZ area.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place attachment and loyalty regarding the DMZ area. In particular, among the sense of place formation factors, the activity factor had a high influence on place attachment. In addition, of the place identity factors, the economic value and the ecological and natural environmental value had higher impacts on place attachment than others. Lastly, the human factor and the peace value had the highest influences on DMZ loyalt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o increase place attachment and loyalty to the DMZ area, strategies for fostering human resources and strengthening experiential activities are more important than physical factors. In addition, economic value is highly rated alongside the ecological and natural environment value, historical value, and cultural value of the DMZ area, and this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policies and various non-physical plans to strengthen the sense of place regarding the DMZ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