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동지역 박물관을 중심으로
김혜영,김세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4 예술경영연구 Vol.0 No.30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sugges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in museum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and examine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First of all,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nd relative theories were considered. As the result, forms of establishing sense of place can be divided into two cases such as implement of placeness with memories and images of formative historic·cultural assets or changing, regeneration, of existing awareness on the space by giving new placeness intentionally.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museums in Jeong-dong with both of the two forms and research model was drawn by predictors of outcome such as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place attachment,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which verifi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in museums of Jeong-dong were divided into physical, active·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detailed hypothesis which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and place attachment, physical factors such as location,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ttractiveness of appearance and comfort of internal environment made the most effects on placeness forming. Second, the placeness of museums in Jeong-dong was divided into place identity and place dependence so as to explain with place attachment. As the result, place attachment of museums in Jeong-dong can be explained with only factors related to place identity. Place identity is the attachment caused by emotional and symbolic reasons rather than functions of the place. It indicates, visitors of museums in Jeong-dong feel that the place they visit is deeply related to themselves and very special, furthermore, visiting of the place explains and feels who they are. Third,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recognized by visitors visiting museums in Jeong-dong made an effect on the value perception whose medium was place attachment. The effects tha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made on the value perception directly without mediating effect of place attachment didn’t show significant value. Finally, in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perception of museum visitors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s which are the final dependent variable of this research model, visiting satisfaction, recommendation intentions and revisiting opinion were increased as the value perception of visitors was higher. Particularly, revisiting intention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value perceptionthe mostly, so the necessity to form place attachment of museums wasconfirmed once again.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mplied are as follows. First, process and degree of contributing to place attachment must beconsidered rather than establishment of detailed factors so as to connec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to positive results such as revisiting, satisfactionand recommendation. Second, place attachment is made when they can interpret and experience byadding active·behavioral factors such as history, time, etc. to physical factors. In this sense, historic·cultural assets are very useful to form placeness ofmuseums. There are a few studies on placement in the field of domestic museums. So,research model drawn by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reliability and validityof relatively following researches. In the future, in-depth and objective studiesmust be conducted for museums which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andqualitative studies which consider various variables are 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과 관람객을 도시발전의 수단, 혹은 서비스의 차원에서 측정하고 평가하는 기존의 정책과 마케팅 계획과 다르게 박물관이라는 장소와 관람객 사이에서 정서적으로 가치를 지각하고 장소성을 이끌어내는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근거에서는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제시하고 이 요인들이 장소애착을 매개로 하여 가치지각과 관람행위의 결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검증하였다. 우선 국내외 사례와 관련 이론을 고찰한 결과, 장소성 구축의 형태는 유형의 역사·문화 자산이 가지고 있는 기억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장소성을 구현하거나, 의도적으로 장소성을 새롭게 부여하여 그 공간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전환, 즉 재생하는 두가지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형태가 동시에 발현되고 있는 정동지역의 박물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애착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세부 가설에서 정동지역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물리적, 활동·행태적, 심리적 요소로 구분하였을 때장소성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위치와 대중교통의 편리성, 외관의 매력성, 내부 환경의 편안함과 같은 물리적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성을 장소애착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장소정체성과 장소의존성 요소로 구분한 결과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애착은 그 장소의 기능보다는 감정적, 상징적인이유로 애착을 갖게 되는 장소정체성과 관련된 요소만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을확인하였다. 셋째, 정동지역 박물관에 방문한 관람객이 인지한 장소성 형성요인은 장소애착을 매개로 하여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의 매개효과 없이 직접적으로 지각된 가치에 주는 영향은 유의한 값이 나오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박물관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와 본 연구모형의 최종종속변인인 관람행위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는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방문만족도, 추천의도, 재방문의사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박물관은 기능적이고 물리적인 필요 이상의 의미가 존재하는 장소이므로 그 가치를 평가할 때 장소성 관점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장소성 형성구조가 후속 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확보에 기여하기 바란다.
정혜선(Chung, Hyesu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장소 이미지를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관련 영역의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는 장소 이미지의 의미와 형성에 대하여 이론과 개념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특정 장소 이미지에 대한 형성요인 조사는 배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장소’와 ‘이미지’에 관해 각각 문헌연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소 이미지를 디자인적 관점에서 고찰 및 분석하였다. 또한, 장소 이미지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 현황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련 경력 10년 이상의 디자인 실무자 9인을 심층 인터뷰하고 그 의견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내용 및 결과로 첫째, 장소연구 중 장소 이미지를 주축으로 하는 연구의 비율은 낮은 편이지만, 점차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장소 이미지를 디자인 관점에서 해석하면, 간접 접촉을 통해 누적된 이미지인 공유 멘탈모델(mental model), 직접체험 시의 이미지인 감각 · 지각 · 인지, 경험 후의 통합된 이미지인 개인적 의미형성의 차원으로 논의할 수 있었다. 셋째, 전문가 인터뷰 결과 면접자들은 장소를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서로 합의가 이루어진 곳으로 간주했지만, 장소 이미지는 체험자의 관점과 경험이 주축이며 형성되는 데 경험 · 공간 · 인간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장소 이미지 관련 프로젝트에서 디자이너에게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기술지식, 시장분석, 사회 이슈에 대응하는 역량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eaning and formation of place image from designers’ perspective and to explore what the required competencies for designers in related areas. The scope of this study is research about the meaning and formation of place images, and has ruled out image formation factors of specific place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research about ‘place’ and ‘image’, analyzed place image from designers’ perspective. Also, we conducted a status analysis of thesis and dissertations on places image. Finally, individual interview with nine professional designers was conducted for further analysis and conclusion.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thesis which focus on places and images was rather low compared to the number of such studies, but has shown a gradual increase. Second, the images of plac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 shared mental model which means accumulated images, emotional response images based on sensor, perception and cognition, and an emotional experience image where people attach personal meaning to places. Third, the results of experts interview revealed their perception that places are naturally formed spaces where a consensus is made among people. On the other hand, they suggested that the places images are mainly affected by th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 who experience the places and hence experience, space, and humans are key factors to form the images of places. In addition, there were views that designers who work on projects related to the images of places need to have communication skills, technical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analyze markets and respond to social issues.
장소성 형성의 프로세스 연구- 《여학생일기》에 나타난 식민지 대구를 중심으로 -
강민희(Kang, Minhee)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58 No.-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공간에는 가변성이 존재하고, 이로 인하여 같은 공간이라도 개인적・사회적, 정치적・문화적, 시간적 맥락 등의 요인으로 인해 변모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특정 공간과 시간이 중첩되면 장소성이 단일한 것처럼 여겨지거나 맥락으로 이해되는 경향도 있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근본적으로 공간 내에 다양한 장소성을 정위하는 층위와 방식에 관한 이론적 검토 및 사례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문제는 이러한 한계를 마주하더라도 극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학생일기》는 그간 언급되어 온 식민지 대구의 단선적 성격을 극복하는 데 효과적이고, 장소성이 행위 주체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기존의 이론을 입증하는 데에도 적합해 보인다. 따라서 연구자는 1) 환경적 요소와 인간의 구체적인 경험, 그에 따른 의미 부여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공간을 인식할 필요가 있고, 2) 장소성의 형성 프로세스는 개인의 사고와 행위가 시대성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가정에 따라 텍스트를 장소성의 영역에서 분석, ‘K양’이 바라보는 식민지 대구의 의미를 읽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타자에 의해 갑작스럽게 들이닥친 근대적 변화가 문화정치에 의해 내면화한 식민지 대구에서 ‘학교’는 ‘교육을 통해 개인을 충실한 식민지민과 황국신민으로 키워내는 관문’이었고, 식민지 대구는 ‘K양’을 비롯한 대구부민에게 ‘신성성과 기원이 중첩된 장소’라는 장소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prior research, the researcher found that location characteristics could be changed depending on personal, social, political, cultural, and time context.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ace the fact that, a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ertain spaces and time overlap, place characteristics seem to be single or tend to be understood in context.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theoretical examination and lack of examples of layers and methods of locating various locality in space. The problem is that it is not easy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is situation, the Diary of Female Students(女學生日記) is effective in establishing a value system that overcomes the unilateral nature of the colonial city of Daegu, and proves that lo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identity of the actor. Therefore, researchers need to recognize space as a ‘place’ where environmental factors, human experience, and consequent meaning are combined. 2)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ndividual thoughts and actions are not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time, they want to read the meaning of Daegu. As a result, ‘school’ is a gateway to raising individuals to loyal colonists and royal subjects through education in Daegu, a place where sacredness and origin overlap with Daegu residents, including ‘Female Students K.’
박미예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5
The relationship between a work of public art and place can be understood in various ways, ranging from simply setting a place as abackground to a decisive one in which a work cannot be established without the place. If the context of a place is important to public art,the distinction between ‘site’ and ‘place’ is meaningful. Place-forming public art attempts to understand a place from simply viewing it as aphysical and external ‘site’ to an existential ‘place.’ Place is formed by projecting subjective experiences into anonymous space and acquiringmeaning based on bodily perception. In the similar way, place-specific public art can be a method of opening the meaning of anonymousspace and delivering it to the body. Public art, which forms place in relation to contexts, can be seen in three categories. First, in the spatialcategory public art is perceived from various viewpoint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existing urban fabrics. Place-forming can be discussed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 and the body. Secondly, public art undergoes a change in meaning due to changes in thephysical state of the work over time. In addition, the meaning is sometimes newly created as the community related to the work changes. Ifthe body's particip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ublic art, the meaning of the work changes depending on the body's behavior, and placehas diversity and coincidence. 유형(有形)의 공공미술과 장소와의 관계는 다각도로 이해해야 하는데, 장소를 단순히 배경 정도로 설정하는 것부터 장소가 없이는 작품이 성립하지 않는 결정적인 것까지 다양하다. 공공미술에서 장소 논의는 작품과 장소의 관계로만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오히려 그곳에 작품을 놓음으로써 장소를 형성하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장소를 외부의 대상적 장소인 ‘site’에서 실존적 장소인 ‘place’로 파악하려는 관점이며, 후자의 장소는 감상자가 얻게 되는 경험에 주의할 때 인지할 수 있다. ‘place’로서의 장소는 인간의 경험이 기반이 되며, 익명적 공간에 주관적 경험을 투사함으로써 형성된다. 거기에 서 있는 공공미술을 통해 감상자가 특별한 의미를 경험하게 될 때 생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험은 지각의 주체인 감상자를 중심으로 공간적, 시간적, 활동적인 범주에서 논할 수 있다. 첫째, 공간적 범주에서 기존의 조직들과의 관계 속에 작품이 다양한 시점에서 어떻게 지각되는지를 살필 수 있다. 둘째, 시간적 범주에서 작품이 설치된 이후 어떤 상태에 놓여 이야기를 만들어가는지에 주목해야 한다. 셋째, 감상자의 참여를 통해 만들어가는 활동적인 범주에서 어떠한 장(field)이 펼쳐질지를 예견하는 것이다. 이러한 범주에서 경험되는 장소특정적 미술은 인간에게 실존의 장소를 제공하므로 현대도시에서 거주를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다.
덕수궁 돌담길의 역사문화가로 장소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양유선,손용훈 한국조경학회 2019 한국조경학회지 Vol.47 No.3
Today, Deoksugung Doldam-gil, which is a well-known area in Seoul, has become a mixed place as many places reaching a critical age have been converted into parks.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Deoksugung Doldam-gil was deficient in that the user, an essential variable, was not considered when assessing the place. Based on that,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perception of the places in Deoksugung Doldam-gil and to analyze factors to further enrich the place to visitor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representative idea of Deoksugung Doldam-gil is "the distance you want to go" and that has influencing factors, such as vehicle restrictions and the improvement of the walking environment. The analysis of classifying the variables that make up the perception of the place, physical environments, activities and meanings showed high awareness in, “streets of green (3.95)” and “stone walls of curves (3.88).” In the category of activities, "walking activities in the inner city (4.01)" and "love and romance (3.57)" were high. These results seem to reflec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s and the familiar image of the place were important. Fiv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to provide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place perception,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and the place atmosphere of Deoksugung Doldam-gil. These factors confirm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green landscape' and 'historicit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analysis reflects vital space, visual experience, and free walking conditions to be important, and these variables are present in urban parks. It also indicates the long-accumulated image and behavior near the site of Deoksugung Palace, inclu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gnitive perception of Deoksugung Doldam-gil and the formation of the atmosphere of the place were strongly recognized. It found that there was a need to reflect the value and importance of ‘green’ in the future as culture or in the use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related to heritage. This study presented a direction to be no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user's place awareness, but considered only a fraction of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ultidimensional sense of place and location recognition, and thus must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오늘날 서울에서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덕수궁 돌담길은 역사유산으로서의 장소 인식과 공원으로서의 장소 인식 등 혼재된 장소성을 지닌 곳이다. 그러나 덕수궁 돌담길과 관련한 기존 연구는 장소성에 중요한 변수인 이용자를 배제한 채 장소성을 논하였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덕수궁 돌담길 장소 인식과 이에 미치는 요인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분석․해석하여 장소성을 더욱 풍부하게 해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로 덕수궁 돌담길의 대표 이미지는 ‘걷고 싶은 거리’로 차량 통제 및 보행환경 개선이라는 제도적 요인이 작용된 것으로 해석된다. 장소성을 형성하는 변수들을 물리적 환경, 활동, 의미로 분류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푸른 녹음의 가로수(3.95)’, ‘곡선의 돌담길(3.88)’이 높게 나타났다. 활동의 범주에서는 ‘도심 속 산책 활동(4.01)’이, 의미에서는 ‘사랑과 낭만(3.57)’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로공간이라는 장소적 특성과 기존에 친숙하게 받아들여지던 장소이미지가 반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요인분석을 통해 5개의 요인을 추출하여 장소인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했으며, 각 요인들과 덕수궁 돌담길의 장소적 분위기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녹지 가로경관’과 ‘역사성’에 대한 높은 상관성을 확인했다. 이는 녹음으로 위요된 공간, 시지각적 체험, 자유로운 보행 여건 등이 반영되어 도심 속 공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덕수궁이라는 역사문화유산에 영역이 포함되기에 오랜 시간 누적된 장소적 이미지와 행태가 반영된 결과이다. 덕수궁 돌담길 장소 인식 요인 및 장소적 분위기 형성에는 녹지와 관련된 것들이 강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역사문화가로 또는 유산과 관련된 보존 및 관리활용에 있어 녹지에 대한 가치 및 중요도를 반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장소 인식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으나, 장소 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는데 있어 다차원적 장소성의 일부분만을 고려했기에 추후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홍미영(Mi-Young Hong),양정임(Jong-Im Yang) 한국관광학회 2024 관광학연구 Vol.48 No.2
장소성은 지리적 공간이 갖는 특별한 성격이나 특성으로 사람들의 방문을 유도하여 지역발전 및 경제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국내 관광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DMZ 지역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생태적 가치와 자연환경에 대한 보존을 위하여 지역이 지닌 장소성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DMZ 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해 장소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23년 7월 20일부터 8월 20일까지 DMZ 방문경험자를 대상으로 현장조사와 온라인조사를 병행하여, 유효표본 207부의 조사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요인이 DMZ 접경지역의 장소애착과 충성도에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장소성 형성요인에서 활동적 요소가 장소애착에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소정체성 요인에서 경제적가치와 생태⋅자연환경적가치가 다른 요소보다 장소애착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적요소와 평화적가치는 충성도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DMZ 접경지역에 대한 장소애착과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물리적요소보다 인적자원 육성에 대한 전략과 체험 활동 등의 강화방안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DMZ 접경지역의 생태⋅자연환경과 역사문화적 가치와 함께 경제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정책과 장소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비물리적 계획도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Sense of place i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geographical space that encourages people's visitation and thereby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reg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revitalization.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policies to promote domestic tourism and economic revitalization,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sense of place regarding the DMZ area, so its ecological value and natural environment can be better preserved. This study tri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y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 sense of place regarding the DMZ area.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place attachment and loyalty regarding the DMZ area. In particular, among the sense of place formation factors, the activity factor had a high influence on place attachment. In addition, of the place identity factors, the economic value and the ecological and natural environmental value had higher impacts on place attachment than others. Lastly, the human factor and the peace value had the highest influences on DMZ loyalt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o increase place attachment and loyalty to the DMZ area, strategies for fostering human resources and strengthening experiential activities are more important than physical factors. In addition, economic value is highly rated alongside the ecological and natural environment value, historical value, and cultural value of the DMZ area, and this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policies and various non-physical plans to strengthen the sense of place regarding the DMZ area.
디지털 사이니지 매체태도가 설치 기대효과와 장소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안전, 빛공해 문제의 조절효과
변혜민(Byeon, Hye Min),심성욱(Shim, Sung Wook)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광고연구 Vol.- No.129
본 연구는 점차 대형화 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현황을 고려하여 대형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수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 매체태도가 경제적, 사회문화적, 관광환경적 설치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디지털 사이니지가 점차 다양한 공간으로 확대되고, 상업적인 측면에 더하여 공공의 공간에서 아트로서 표출됨에 따라 수용자 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장소성 형성(공감체험성, 차별다양성, 예술심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매체태도가 설치 기대효과와 장소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빛공해와 주행 및 보행 안전문제가 조절효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결과에서는 우선적으로 매체태도가 설치 기대효과와 장소성 형성의 모든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절효과로서 설치 기대효과와 장소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빛공해 인식은 대부분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안전 문제는 설치 기대효과와 장소성 형성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후 대형 디지털 사이니지를 설치하고 운영함에 있어 빛공해 기준을 준수하고, 주행 및 보행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최소화 한다면 해당 매체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아지고 다양한 인식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urvey of audiences for large-scale digital signage, taking into account the trend of digital signage, which is gradually increasing in size, and to find out its effect. To this end, the media attitude of digital signage and the influence of the media attitude on the economic, sociol-cultural, and tourism environmental installation expectations were investigated. Next, as digital signage gradually expands to various spaces and is expressed as art in public spaces in addition to the commercial aspect, it is recogniz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may change. The impact of empathy experience, differential diversity and artistic aesthetics on digital signage was also examined. In addition, we tried to examine whether light pollution and driving and walking safety issue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media attitudes on the expected effect of installation and formation of place. In the study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 attitud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the factors of the expected effect of installation and the formation of place. As a moder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light pollution perception had no moderating effect in the effect on the expected installation effect and the formation of place. On the other hand, the safety problem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expected effect of installation and formation of place. In other words, when installing and operating large-sized digital signage in the future, compliance with light pollution standards and minimizing factors that affect driving and pedestrians will increase positive awareness of the medium and help to form various perceptions.
보행예술을 통한 보행공간의 정서적 체험과 장소성 형성에 관한 연구
정형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20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도시의 보행공간은 주로 물리적 이동을 위한 기능적 설계에 초점을 맞춘 결과, 보행자의 정서적 체험과 공간적 상호작용을 제한하는 구조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행공간에서 발생하는 정서적 체험과 감성적 전유의 메커니즘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현대 보행예술이 장소성 형성에 기여하는 방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보행예술이 도시 공공디자인 및 보행 활성화에 미치는 사회적·예술적 영향을 재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계획 및 공공공간 설계의 새로운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청각적 몰입, 시청각적 내러티브, 신체적 상호작용을 주요 매개 요소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 보행예술 작품 9개를 선정하여 정성적 사례 분석과 해석적 접근을 수행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각 작품이 유발하는 공간적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행예술이 보행자의 정서적 몰입과 장소성 형성에 미치는 다차원적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보행예술은 보행공간을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의미가 결합된 장소로 재구성하며, 정서적 체험과 상호작용을 통해 장소적 의미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행예술은 보행공간의 물리적·사회적 기능을 재구성할 수 있는 유효한 전략으로 평가되며, 기존 도시 공간 설계와는 차별화된 접근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보행예술은 단순한 예술적 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행공간의 정서적 가치와 상호작용적 경험을 통해 장소성을 확장하는 매개로 작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보행예술이 도시 보행공간의 장소성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매개체임을 입증하였으며, 이는 도시 공공디자인, 보행 활성화 정책, 공공예술 프로젝트, 그리고 장소 기반 문화 콘텐츠 개발 등 다양한 실무적 영역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지역적·문화적 맥락에서 사례를 확장하고, 정량적 분석을 통해 보행예술의 실무적·학문적 기여를 더욱 심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보행예술은 현대 도시 공간을 재해석하고, 새로운 장소성을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urban pedestrian spaces are often designed with a functional focus on physical movement, resulting in structural limitations that restrict emotional engagement and spatial interactions. These constraints reduce pedestrian spaces to mere transit routes, failing to cultivate emotional and social connections. This study explores the mechanisms of emotional experience and affective appropriation in pedestrian environments, examining how modern walking art contributes to place-making processes. It reassesses the socio-artistic impact of walking art on public design and pedestrian revitalization, ultimately proposing a new theoretical framework for urban planning that integrates emotional and interactive dimensions into public space design. (Method) The study identifies auditory immersion, audio-visual narrative, and physical interaction as primary mediating elements. Using these as analytical frameworks, nine contemporary walking art projects were selected for qualitative case studies and interpretative analysis. The research explores how sensory stimuli within these projects evoke emotional immersion, foster interactions, and redefine spatial meanings. By examining the interplay between sensory engagement and spatial appropriation, the study reveals the multifaceted mechanisms through which walking art enhances emotional experiences and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place identity within pedestrian space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walking art plays a crucial role in reconfiguring pedestrian spaces into meaningful places where individual identity and social meaning converge. By incorporating emotional immersion and sensory experiences into physical movement, walking art transforms pedestrian spaces from functional corridors into engaging and interactive places. This process enhances emotional connections between pedestrians and spaces, offering innovative design strategies that differ from conventional urban planning. Walking art not only reconstructs the social and physical dimensions of pedestrian spaces bu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emotional and sensory elements into urban environments to maximize their potential. (Conclusion)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walking art serves as a powerful medium for enhancing place-making in urban pedestrian spaces by fostering emotional experiences and affective appropriation. Its findings highlight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walking art in urban public design, pedestrian activation policies, public art initiatives, and place-based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scope to include diverse cultural and regional contexts, while incorporating quantitative analyses to validate and deepen the contributions of walking art. Additionally, exploring the integration of walking art with emerging technologies offers significant potential for creating new forms of place-making, enhancing emotional and social interactions in urban public sp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