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교통일교육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김병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04

        본 논문에서는 학교통일교육의 형식적 교육과정을 현황과 한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과 구성 요소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학교통일교육의 잠재적 교육과정 구성 요소를 밝히고 학교통일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과제와 제도 및 수업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통일교육지침서와 도덕과 교육과정 통일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학교통일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등을 살펴보고 교육과정 편성과 영역별 일관성 등의 측면에서 한계를 논하였다. 이어서 기능이론, 갈등이론, 해석학 등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개괄하고 학교 밖 사회 환경, 학교의 생태, 학교의 인적 요소 등의 측면에서 학교통일교육의 잠재적 교육과정 구성 요소를 밝혔다. 그리고 학교통일교육 내실화를 위한 과제로 학교 밖 사회 환경 개선을 통한 분위기 조성, 학교의 생태 변화를 반영한 학교문화 혁신, 잠재적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 등을 제시하였다. 논의를 종합하면서 학교통일교육의 잠재 영향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 및 수업 개선방안으로 통일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통일교육지원법 개정, 현장 적합성을 높이기 위한 학교통일교육 지침의 개선, 잠재 영향 강화를 위한 도덕과 통일교육의 강조점 및 수업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 호우특성과 재해영향을 고려한 호우재해위험도 분석

        윤준성,고준환,Yoon, Jun-Seong,Koh, June-Hwan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7 지적과 국토정보 Vol.47 No.1

        호우 예측 정확도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호우재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기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의 부족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WMO에서 제시한 영향예보 핵심개념인 재해, 취약성, 노출 개념을 활용하여 지역별 호우잠재영향을 평가하고 호우발생과 연계하여 호우재해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노출과 취약성 변수로 호우잠재영향을 구성하였고, 호우재해지수는 호우특보 기준에 따라 선정한 3개의 변수를 선정하여 산정하였다. 호우잠재영향 지수의 가중치는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호우재해지수는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정하였다. 호우잠재영향지수와 실제 호우피해액과의 상관분석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증명되어 호우잠재영향지수는 실제의 피해양상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호우재해위험도는 호우잠재영향지수와 호우재해지수로 구성된 위험도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호우예특보를 위한 호우영향분석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고 지역별 호우방재대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pite the improvement in accuracy of heavy rain forecasting, socioeconomic costs due to heavy rain hazards continue to increase. This i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weather. In this study, the risk of heavy rain hazard was analyzed using the concepts of hazard, vulnerability, and exposure, which are key concepts of impact forecast presented by WMO. The potential impacts were constructed by the exposure and vulnerability variables, and the hazard index was calculated by selecting three variable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heavy rain warning. Weights of the potential impact index were calculated by using PCA and hazard index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same weigh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otential impact index and damages showed a high correl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otential impact index appropriately reflects the actual damage pattern. The heavy rain hazard risk was estimated by using the risk matrix consisting of the heavy rain potential impact index and the hazard index.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the impacts analysis study for weather warning with spatial/temporal variation and it can be used as a useful data to establish the local heavy rain hazard prevention measures.

      •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미래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향 : 육상풍력 발전사업의 현황과 추진방향

        이영준,김현구,박원서,박성우,박종윤,강유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기본연구보고서 Vol.2020 No.-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이 2019년 9월 26~27일에 개최한 “신재생 에너지 확대와 미래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분야별 전문가들이 발표한 내용을 정리함 ㅇ 육상풍력 발전사업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의 성공적 추진에 필요한 관련 연구 현황 및 산업계의 입장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정리함 - 제1장: 육상풍력발전의 기본적인 현황 및 환경적 쟁점 사항 - 제2장: 육상풍력 발전사업의 기술적 입지조건 분석을 통한 잠재량 산정 - 제3장: 육상풍력발전의 국내외 시장 및 기술동향 - 제4장: 지자체 주도형 계획입지의 필요성 및 도입방안 ㅇ 자연 보존과 청정에너지의 확대와 관련하여, 다각적 측면에서의 논의와 객관적 사실에 근거한 올바른 인식개선을 통해 이 두 가지가 상호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함 2. 육상풍력 발전사업의 환경적 쟁점 사항 □ 육상풍력 발전시설이 주로 입지하는 고지대 능선부는 식생이 우수하고 산림생태계가 잘 보전되고 있는 지역이 대부분임 ㅇ 주요 능선축에 인접한 육상풍력사업의 입지와 관련하여 지역 및 광역생태축과 이를 이루고 있는 우수한 자연생태환경의 보존이 환경적 관점에서 핵심 검토사항임 ㅇ 산줄기를 따라 설치되는 풍력기와 관리도로에 의해 생태계 단절 및 교란, 지형 훼손, 토사 유출, 생태계 생물종 변화 등 우려됨 ㅇ 풍력터빈이나 송전선로보다 풍력기 관리를 위해 설치되는 관리도로에서 가장 심각한 환경적 영향이 발생하며, 자연 서식지 상실, 숲 또는 기타 자연 서식지의 파괴, 토양 침식 및 산사태와 같은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남 Ⅱ. 육상풍력 발전사업의 기술적 입지조건 및 시장 잠재량 1. 국내 풍력발전 현황 □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보급은 1997년 12월에 「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됨 ㅇ 2002년 5월부터 발전차액지원제도(FIT: Feed-In-Tariff)가 시행되었고, 2004년 12월 개정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약칭 「신재생에너지법」)으로 제도적 뒷받침이 강화됨에 따라 풍력단지(wind farm)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함 ㅇ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2009∼2018년)의 풍력발전 연간 이용률은 22.6±2.0%로, 일본 19.5%, 중국 22.6%, 독일 18.7%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덴마크 27.2%, 스페인 25.2%, 영국 27.1%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임 2. 국내 풍력발전 잠재량 □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자원 잠재량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공단이 신재생에너지 백서를 통하여 격년으로 발표하고 있음 ㅇ 시장 잠재량은 기술적 잠재량에 경제적 요인과 지원정책 및 규제정책 영향요인을 추가로 부과하여 산정함 ㅇ 우리나라 풍력발전의 평균 이용률은 IEA Wind 회원국 중 중위권인 22% 수준으로, 이는 우리나라의 풍력자원이 풍력발전에 부적합할 정도로 빈약하지 않다는 것을 반증함 ㅇ 하지만 풍력발전사업 인허가 과정에서 환경영향평가 및 주민동의 절차 등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어 경제성이 해외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인 수단이 필요함 Ⅲ. 육상풍력발전의 국내외 시장 및 기술동향 1. 해외 풍력발전 시장 동향 □ 2018년 현재, 세계 풍력시장의 누적 설치규모는 약 591GW에 달하며, 전 세계 총 전력공급의 약 5.6%를 담당하고 있음 ㅇ 풍력발전기 설치에 소요되는 건설공사 관련 투자비용을 합산하면 전체 풍력시장 규모는 약 1,000억 달러(한화 약 120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임 2. 해외 풍력발전 기술 동향 □ 2000년대에 들어와서 1MW급의 풍력터빈이 개발되었고, 2010년 이후 2~3MW급으로 커졌으며, 2019년 현재 육상풍력 기준으로 4MW 및 5MW 발전용량의 신규 모델들이 출시됨 ㅇ 풍력발전의 발전단가는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10년에 육상풍력의 발전단가는 MWh당 약 90달러이었으나, 2018년에는 약 50달러 밑으로 낮아지고 있음 ㅇ 유럽퓽력발전협회 자료에 따르면, 유럽지역에 설치된 풍력터빈은 평균 용량이 2014년에 약 2.8MW급이었으나, 2018년 현재 약 3.6MW급으로 대형화되고 있음 3. 국내 육상풍력 현황 및 과제 □ 2000년대 초부터 시작된 국내 풍력발전의 보급실적은 약 20년간 누적된 실적임에도 불구하고 총 1.3GW에 불과한 실정임 ㅇ 세계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0.2%에 그쳐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매우 취약한 상태임 ㅇ 국내 설치된 풍력발전기 중 국산 터빈의 점유율은 2010년에 5.9%에 불과하였으며 나머지는 모두 외산 수입 터빈을 사용하였으나, 2018년 말에는 국산 비중이 52.3%까지 높아짐 ㅇ 풍력발전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풍력발전을 둘러싼 환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의 전환 등을 통하여 입지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 Ⅳ. 지자체 주도형 계획입지의 필요성 및 도입방안 1.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및 현황 □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지자체 주도형 계획입지 도입방안을 제안함 ㅇ 국내 재생에너지의 보급 현황 및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국내외 유사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함 ㅇ 풍력발전은 입지규제 및 주민 수용성 문제 등으로 인해 2018년 보급 규모가 목표대비 84% 수준인 168MW, 2019년 상반기에도 목표대비 20.4%인 133MW에 그치는 등 원활한 보급·확산이 지체되고 있음 ㅇ 주요 육상풍력사업 80건의 장애요인을 분석한 결과, 입지 문제가 45%, 주민 수용성 확보의 어려움이 20%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이와 관련하여 부지를 계획적으로 조성하여 수용성과 환경성을 사전에 확보하고자 「신재생에너지법」을 개정하여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계획입지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음 2. 국내외 사례 □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국가 또는 전담기관에서 발전개발예정지구를 지정하고, 공모를 통해 사업자를 선정하는 등 국가 주도의 계획입지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음 ㅇ 이들 국가는 계획입지제도를 통해 체계적인 신규 풍력발전사업을 발굴하여 난개발을 방지하고, 사업자가 안정적인 사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함 ㅇ 인허가 절차 간소화 및 계통연계 지원 등을 통해 사업 추진을 촉진하고, 입찰을 통해 재정부담을 완화하며,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주민들의 수용성이 높은 풍력발전 단지를 개발하여 운영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음 ㅇ 국내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303조 및 제304조에 근거하여 계획입지제도와 유사한 풍력발전지구 지정제도를 운영하고 있음 3. 계획입지제도 도입방안 □ 계획입지제도는 풍력, 태양광 등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지자체 주도로 체계적으로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로서, 주민 수용성 및 환경성을 사전검토하며, 사업자의 개발이익이 지자체·지역주민과 공유되도록 설계하여야 함 ㅇ 지역주민 참여가 가능한 마을공모 방식을 병행하고, 지구개발 기본계획 심의 전에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지구개발 실시계획 승인 전에는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여 사전에 환경성을 검토하여야 함 Ⅴ. 결론 및 제언 □ 향후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지속가능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산능선부를 따라 집중되는 육상풍력사업의 입지 타당성 검토 시 환경가치, 경제성, 사회적 수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함 ㅇ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서는 녹색가치 간의 충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및 해법이 필요함 ㅇ 산림 및 생태계를 훼손하는 재생에너지사업이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모델이 될 수 없다는 사회적 공감대도 확산되고 있음 ㅇ 국내 풍력 보급실적은 세계 시장 점유율 0.2%로 신규 설치 규모도 매년 약 100~200MW에 불과하여 사실상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매우 취약한 상태임 □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를 중심으로 그동안 불거진 후유증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고 있음 ㅇ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관련 부처를 통하여 ‘육상풍력 입지지도’를 마련하고 발전사업 허가 이전에 입지컨설팅 실시를 의무화하도록 함 □ 환경 보존과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상호 공존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및 해법이 필요함 ㅇ 환경적 영향을 고려하여 가용한 입지와 규모를 파악하여 보급 목표를 설정한 후, 영향이 낮은 지역부터 우선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함 ㅇ 계획입지제도 등을 도입하여 개발가능지역을 대상으로 자연보존 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부터 입지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사업을 확대 추진하는 전략이 필요함 Ⅰ. Introduction 1.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This report summarizes the presentations made by experts at the ‘Great Discussion on Future Changes Related to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held on September 26, 2019 organized by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ㅇ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research and the industry’s position necessary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nation’s renewable energy supply policy in relation to onshore wind power ㅇ to discuss various aspects of nature conservation vs. expansion of clean energy and improve awareness based on objective facts. 2. Environmental issues in onshore wind power □ Most of the high-altitude mountain ridges where onshore wind power are located have excellent vegetation and well-preserved forest ecosystem. ㅇ Major mountain ridges correspond to the regional ecological axes related to the preservation of the excellent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ㅇ Concerns about the disruption of ecosystems due to wind turbines and management roads installed along mountain ridges that would cause damage to the terrain, soil runoff, and changes in local species are the major issue. Ⅱ. Technical Requirement for Location and Market Potential of Onshore Wind Power 1. Status of domestic onshore wind power □ The supply of renewable energy in Korea began in earnest in December 1997 with the enactment of the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nd Dissemination Promotion Act. ㅇ The FIT (Feed-In-Tariff) has been in effect since May 2002. ㅇ The annual utilization rate of wind power generation in Korea for the last 10 years (2009-2018) is 22.6 ± 2.0%. 2. Potential of domestic onshore wind power □ New and Renewable Energy White Paper published every other year ㅇ Market potential is calculated by adding economic and support policy influences and regulatory policy impacts to the technical potential. ㅇ In the process of licensing the wind power project, the economic feasibility is relatively low due to excessive time and cost required b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rocedures for residents' consent. Ⅲ. Trends in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and Technology in Onshore Wind Power 1. Trend of foreign markets □ As of 2018, the cumulative installed capacity of wind power worldwide is about 591 GW, accounting for about 5.6% of the total global power supply. ㅇ The total wind power market will be approximately $100 billion (about 120 trillion won) if construction-related investment costs for installing wind turbines are added. 2. Trend of technology □ In the 2000s, 1 MW was first developed. Since 2010 and it has grown to 2 MW to 3 MW. As of 2019, new models with 4 MW and 5 MW power generation capacity had been released. ㅇ The unit price of wind power generation continues to decrease. In 2010 it was about $90 per MWh, but in 2018, it is fell below $50. 3. Status and issue of domestic onshore wind power □ The supply of domestic wind power, which began in the early 2000s, is only 1.3 GW in total. ㅇ Domestically produced turbines accounted for only 5.9% of the whole wind turbines were installed in Korea in 2010, but at the end of 2018 the proportion of domestic products increased to 52.3%. ㅇ It is important to secure sites for wind farms by changing the perception on environmental values of wind power. Ⅳ. Introduction of a Planned Location System Led by Local Governments 1. Goal and status of renewable energy supply □ The introduction of a planned location system led by local governments is proposed to promote the supply of renewable energy in Korea in order to secure residents’ acceptance and environmental feasibility in advance ㅇ The supply in 2018 was only 168 MW, 84% of the target. In the first half of 2019, it was only 133 MW(20.4% of the target). ㅇ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80 major onshore wind power projects, 45% had location problems and 20% had difficulty in securing residents' acceptance. 2.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 In foreign cases, the government or state agencies designate a planned development zone and select a developer through a public offering. ㅇ They find new wind power projects systematically through the planned location system to prevent reckless development as well as enable developers to secure project stability. ㅇ Jeju Province operates a system for designating wind power zones similar to the planned location system. 3. Introduction of a planned location system □ It is designed to review the environmental feasibility and residents’ acceptability in advance and to share the benefits of development with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 In connection with the government's policy to expand renewable energ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feasibility of the location of onshore wind power projects along the mountain area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value, economic suitability, and social acceptability. □ The government is preparing various systems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renewable energy mentioned above wit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the center. □ Various policies and solutions are needed to ensure that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enewable energy expansion coexist. □ An expansion strategy is needed to promote the wind power project by prioritizing regions which are classified as relatively lower grade zones by introducing a planned location system.

      • KCI등재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환경자극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및 영향 변인 간 관계

        하문선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4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latent profiles of home environment stimulu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a result of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the final four latent profiles were found to be most suitable: stimulus excellent group (66.4%) with the highest level of all home environment stimuli; stimulus moderate-family cohesion-deficient group (23.2%) with the moderate level of home environment stimulus and low family cohesion; stimulus moderate-physical support-deficient group (6.7%) with the moderate level of home environment stimuli and low physical support; and lowest stimulus-emotional support-deficit group (3.6%) with the lowest home environment stimulus and emotional support.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isting differences in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based on the latent profi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motional symptoms, hyperactivity, and inattention levels.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 gend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but communication ability, household income,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Notably,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ability,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and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stimulus excellent group. This study has empirical implications in the sense that it identified the existence of various sub-latent profiles based on home environment stimulu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onfirm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daptation for each profile.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n profile classification in a more three-dimensional and integrated wa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study’s resul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환경자극에 대한 다양한 잠재프로파일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및영향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결과, 잠재프로파일은 최종4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정환경자극 수준의 모든 요인이 가장 높은 자극우수집단(66.4%), 가정환경자극 수준이 보통이며 가족통합이 낮은 자극중-가족통합부족집단(23.2%), 가정환경자극 수준이 보통이며 물리적 영역이 낮은 자극중-물리적지원결핍집단(6.7%), 가정환경자극수준이 가장 낮고 정서적 지지가 낮은 자극하-정서적지지결핍집단(3.6%)이 나타났다. 또한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본 결과, 정서증상과 과잉행동 및 부주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한 결과 성별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의사소통능력, 가구소득, 모의 결혼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모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극우수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환경자극에 따른 다양한 이질적인 하위 잠재프로파일이 존재함을 파악하고 각 유형별 적응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잠재집단 분류에 있어서 개인 특성 및 환경적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실증적 함의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창의융합형 인재의 정서 핵심역량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노영주(Youngju Noh),김재철(Jaechul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창의융합형 인재의 정서 핵심역량 하위요인인 행복감, 진로성숙, 창의인성, 시민참여에 따른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잠재계층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교육종단연구 1차 년(2017년)에 표집한 3,000명(초4, 중1, 고1 코호트) 중 2020년에 고등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4년 차 학생이었다. 대상자 표집은 유층표집법(stratified sampling)으로 대구광역시를 8개 행정구역으로 나누고 구역 내 학교는 무선표집 하였으며, 표집층 별 학교 수는 전체 학생 수 대비 해당 표집층에 속한 학생 수에 비례하여 결정하였다. 고등학교는 계열에 따라 일반계고, 특수목적고, 특성화고, 자율형 공립고를 구분하여 학생 수에 비례하여 결정하였으며, 최종 남학생 979명(52.5%), 여학생 897명(47.8%) 총 1,876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정서 핵심역량 측정도구는 대구교육종단연구에 사용된 행복감, 진로성숙, 창의인성, 시민참여 관련 총 49문항을 이용하였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 요인(3개 요인), 가정 요인(5개 요인), 학교 요인(5개 요인)으로 구분하고 해당 문항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Mplus를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잠재계층의 수는 3개로 분류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잠재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요인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정서 핵심역량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 요인에서는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셋째, 학교 요인에서는 친구의 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 요인에서 자기효능감은 전반적 하위군에 비해 상위군이 월등한 영향을 미치고, 친구의 지지와 협력학습이 교사의 지지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교와 교육 당국은 부모⋅자녀의 의사소통과 친구⋅교사의 긍정적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잠재계층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프로그램 구안과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위한 실제적 논의를 통해 학생들의 정서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효율적 전략 마련과 실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classes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by sub-factors such as happiness, career maturity, creative personality, and citizen participation as emotional core competencies of talents with creativity-convergence. Methods Among the 3,000 students (cohort of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1st grade in middle school, and 1st grade in high school) who were selected in the first year of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7),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th-year studen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n 2020. The target marking was stratified sampling method, which divided Daegu Metropolitan City into eight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 schools in the area were tabulated wirelessly, and the number of schools in each target layer wa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target lay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High schools wer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by dividing them into general, special-purpose, specialized, and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ir affiliation, and 979 boys (52.5%) and 897 girls (47.8%) A total of 1,876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emotional core competency measurement tool used a total of 49 questions related to happiness, career maturity, creative personality, and civic participation used in the longitudinal study of educa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were largely divided into individual (3 factors), family (5 factors), and school (5 factors) factors, and the question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was confirmed to be most appropriate when classified into three,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dividual factors,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very important effect on emotional core competencies. Second, in the family factor, communication with parents had the greatest influence. Third, in the school factor, support from friends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In particular, in the individual factors,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uperior effect on self-efficacy in the upper group compared to the overall lower group, and the support of friends and cooperative learning had a greater effect than the support of teachers. Conclusions School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and teachers, an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ise and apply customized progra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nt classes. Efforts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and practice efforts to cultivate students' emotional core competencies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자해 심각도와 정서조절곤란 수준에 따른 잠재계층유형 분석: 영향요인 및 유형별 심리적 디스트레스 차이

        박세원,이동훈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4

        In this study, the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used to identify the latent class typ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elf-injury behavior and the level of emotional control difficulty and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latent class type (gender, age, risk factors for self-injury) and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distress (depression, anxiety, somatization) depend on the latent class type. To this end, data from 164 participants who have ever engaged in self-injury from 1,137 adults who took part in an onlin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tential classes were identified as (1) ‘Middle-severity of self-injury/Low-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class 1) (2) ‘Middle-severity of self-injury/Middle-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calss 2) (3) ‘High-severity of self-injury/ High-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class 3). And it was found that gender and age did not affect the latent class significantly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ing factors. But in the case of self-injury risk factors, the experience of adult attachment, social exposure to self-injury, negative emotions were all found to affect the latent class significantly. Finally, levels of psychological distress were highest in the class 3 followed by the class 2 and class 1,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tent class type and psychological di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활용하여 자해 심각도와 정서조절곤란 수준에 따른 잠재계층유형을 확인하고, 잠재계층유형의 영향요인(성별, 연령, 자해 위험요인)과 잠재계층유형에 따른 심리적 디스트레스(우울, 불안, 신체화)에서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1,137명 중 자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16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잠재계층유형은 ‘자해 심각도 중(中), 정서조절곤란 저(低)’집단(class 1), ‘자해 심각도 중(中), 정서조절곤란 중(中)’집단(calss 2), ‘자해 심각도 고(高), 정서조절곤란 고(高)’집단(class 3)으로 총 3집단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잠재계층유형의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별과 연령은 잠재계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자해 위험요인의 경우, 자해에 대한 성인애착(회피애착, 불안애착), 자해에 대한 사회노출, 부정정서 모두 잠재계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잠재계층유형과 심리적 디스트레스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해 심각도 고, 정서조절곤란 고’집단의 우울, 불안, 신체화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자해 심각도 중, 정서조절곤란 중’집단, ‘자해 심각도 중, 정서조절곤란 저’집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했다.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유형 분류와 영향요인 분석 : PISA 2018을 중심으로

        길혜지,박지민,김훈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 according to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explore student individual, parental, school, and teacher factors that affect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types. To this end, 15 year old students data in Korea(6,650 students, 188 schools)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data from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18(PISA 2018).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3STEP method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ze influencing factor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four potential groups were derived from students' digital literacy, which were named ‘low level’, ‘medium level(active device use in school)’, ‘medium level(low device use in school)’, and ‘high level’. Second,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potential profiles based on digital literacy, with the low level group as the reference group, showed that the use of digital devices at home had an effect when considering the individual and parent factors. Third, regarding the school and teacher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school's possess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s and classroom experience of information evaluation had a common significant effect on all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foster students' level of digital literac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discriminatory effects of experiences at home, and teachers' digital literacy skills need to enhanced with the establishing digital infrastructure in schools. 본 연구는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고려하여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개인 및 가정, 학교 및 교사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주관하는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18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 6,650명(188개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R3STEP 방법을 활용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학생의디지털 리터러시에 따른 잠재집단은 4개로 도출되었다. 이를 ‘저수준’, ‘중수준(학교 안 기기활용 활발)’, ‘중수준(학교안 기기활용 저조)’, ‘고수준’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대상자의 61.5%가 저수준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저수준 집단을 참조집단 삼아 분석한 결과, 학생 개인 및 가정수준에서는공통적으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 사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학교 및 교사수준에서는 학교의 디지털 기기보유 및 사용, 정보평가 관련 수업경험이 모든 집단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연구결과는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함양을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경험이 미칠 수 있는 차별적인 영향을 살펴볼필요가 있으며, 학교에서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도 함께 함양할 필요가 있음을시사한다.

      •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기혼 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전이 잠재계층 및 영향요인 분석

        임한려,홍성표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 Vol.2020 No.9

        이 연구는 잠재전이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여, 기혼 여성관리의 일-가정 전이유형의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잠재집단별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5차, 7차년도 자료를 활용했으며, 기혼 여성 근로자 1,02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과 가정의 관계에서 여성근로자는 전반적으로 일→가정, 가정→일 긍정적 전이 수준이 부정적 전이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전이유형에 따른 5차년도 표본의 잠재집단은 3개, 7차년도의 잠재집단은 4개가 도출되었다. 셋째, 일-가정 전이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5차년도에는 근무시간과 직장 차별 인식이 7차년도에는 근무시간, 직장 차별 인식 및 가족의 일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정 전이유형은 변화할 수 있다. 둘째, 일-가정 전이유형의 변화는 가능하지만, 실제로 변화하도록 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일-가정 부정적 전이를 감소하거나 제거하는 요인 및 긍정적 전이를 촌진하는 요인에 대한 지속적 탐색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일-가정 양립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제도와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이 필요하다. 넷째, 직장 내 성차별을 제거하는 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기혼 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전이 양상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일-가정 전이에 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고, 기혼 여성관리자의 일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및 제도를 마련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들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대한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 요인 분석

        박승민,이주영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6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spects of adolescents’ game addiction, and confirmed whether there is a latent class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game problem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789 students (400 middle school students and 389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a total of 14 latent classes were classified and 7 of them were clinically meaningful. Among the 7 classes, 3 were classified as high-risk classes and 4 as potential-risk class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s of latent class classification, we confirmed that gender, self-control,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lassifying latent classes of game addiction. We also found that these factors affect not only the lev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but also the appearance of addiction patterns look differ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unselors working with adolescent addicted to Internet games or those who study Internet game addiction should be aware of not only the lev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but also its aspects, and take differential approaches.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게임 중독에 있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라 잠재계층이 존재하는지 여부, 청소년들의 게임 문제와 관련되어 있는 변인들이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총 789명(중학생 400명, 고등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총 14개 계층으로 분류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중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계층은 7개였다. 이 중 3개는 고위험계층, 4개는 잠재적 위험 계층으로 분류하였다. 잠재계층 분류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결과, 성별, 자기통제, 친구관계, 학교생활만족도는 게임 중독 잠재계층을 분류함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 변인들은 인터넷 게임 중독 수준뿐만 아니라 중독 양상을 다르게 나타나게 하는 데에도 영향을 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게임 중독을 연구하거나 인터넷 게임 중독 청소년과 작업하는 상담자들에게 인터넷 게임 중독 수준뿐만 아니라 그 양상을 파악하여 차별적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 신기후체제를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 이수측면 잠재영향평가 고찰

        김시호 ( Siho Kim ),장민원 ( Min-won Jang ),황세운 ( Syewoon Hwang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농업은 기후의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산업이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수자원 확보 안정성 및 농업 인프라의 미래 취약성에 대한 예측과 기후변화의 영향 등을 분석하고 적응 및 대응방안을 수립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어촌용수 및 농업생산기반시설 기후변화 영향·취약성평가」를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2021년 RCP 시나리오 기반 1차 취약성평가 결과를 공표한 바 있다. 이 평가에 적용된 미래기상자료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공신력 있는 국가표준시나리오 자료로서 국내 기후변화 관련 연구 자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서 기존 RCP 시나리오의 개념과 함께 미래 사회경제변화를 기준으로 인구통계, 경제발달 등을 고려한 신기후체계 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를 발표하여 최신기후정보기반 미래기상정보를 적용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 합리적인 예측을 위해 다양한 대기과학 기작과 초기·경계 조건을 달리 고려하여 세계 각국에서 개발한 다양한 다중 기후모델 산출물을 적용하여 예측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정 유역면적과 저수량 이상의 경상남도 소재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SSP 시나리오기반 13종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산출물을 적용하여 잠재영향을 재평가하였다. 기본적인 방법론은 기존의 평가와 동일하나 대용변수 변경으로 인한 가중치 재분배를 수행하고 GHG (Green House Gas) 배출 시나리오별 기상자료 특성과 잠재영향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향후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SSP 기반 국가표준시나리오 자료를 적용하여 기존 농업용수 취약성 평가결과를 재평가하고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농업용수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에 대한 보다 과학적인 예측·평가를 통해 취약성 개선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