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한국어 단일언어 아동과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유형 연구

        홍지혜,임동선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 Vol.18 No.4

        Purpose: The results of the standardized tests did not reflect the unique language development of bilingual children raised in various cultures and environments. Thus, it was not appropriate to discriminate between naturally occurring linguistic differences and language disabilities in bilingual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groups not by their language but by their language ability. Method: An unclassified group of 40 children age five to eight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group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a) language processing tasks(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processing speed measures); (b) language sample analyses(semantic, grammatical, and word-length measures). The Latent Profile Analysis(LPA) is used to divide subtypes of participants based on their language ability. Results: Four statistically significant subtypes were identified. Type 1 showed low performance overall in language processing and language sample analysis, and Type 2 was superior overall in language processing and language sample analysis. Type 3 had good language processing performance, but average mean word length was low and lexical diversity was high. Type 4 had low level of language processing performance, average mean word length and grammaticalit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lassifying children simply into two groups, those with and without language impairment or those who speaks Korean or English may lead to mis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There was a unique subtype of bilingual children, who showed differences in performance in terms of language processing ability, grammatical errors, and lexical diversity. Thus,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s such as lexical diversity and grammaticality in bilingual children’s language sample. 연구목적: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가진 말-언어적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표준화된 검사는 한계가 존재한다. 말-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언어능력을 파악하고 하부 유형의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이중언어 아동이 보이는 언어차이(language difference)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생활연령 5;6-7;10세 한국어 단일언어 아동(20명)과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20명)을 대상으로 언어처리 과제(음운작업 기억, 음운처리 속도)와 언어표본 분석(평균발화길이, 어휘다양도, 문법오류)을 실시하였다.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LPA)를 통해 분류 가능한 잠재적 유형의 수와 특징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하위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비슷한 성향을 보이는 하부유형의 언어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었다. 결론: 언어처리와 언어표본 과제의 수행력을 기반으로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LPA)을 실시했을 때, 언어적 능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하위 유형을 구분 할 수 있다. 이에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평가에 있어 언어처리 능력뿐만 아니라 아동이 사용하는 두 개 언어의 양적․질적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한 5-7세 아동의 언어능력에 따른 집단 탐색

        이현정,김영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언어능력에는 하나의 패턴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에 따라 다양한 언어능력 유형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아동들의 수행 패턴을 바탕으로 유형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방법: 아동 언어능력의 잠재집단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서 5-7세 아동 147명이 참여했다. 아동의 언어능력에 따른 잠재집단의 수와 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언어의 차원을 구성한다고 여겨지는 음운, 의미, 구문 영역과 인지적 언어처리 영역인 처리용량과 처리속도 측면에서 아동의 언어능력을 살펴보았다. 각각의 영역은 음운인식 과제, 수용 어휘력 검사,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 및 빠른 이름대기 과제로 측정했다. 결과: 본 연구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언어 과제에 기반해서 4개의 아동 언어능력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먼저 모든 과제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수행을 보였던 “우수 집단(15.7%)”, 모든 과제에서 평균 수준의 수행을 보였던 “평균 집단(65.8%)”, 그리고 모든 언어 과제에서 점수가 낮았으나, 상대적으로 빠른 이름대기 과제의 수행이 낮았던 “낮은 처리속도 집단(12.3%)”과 모든 언어 과제에서 점수가 낮았지만 특히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의 수행이 낮았던 “낮은 구문능력 집단(6.2%)”이었다. 논의 및 결론: 5-7세 아동 언어능력의 잠재집단은 크게 아동의 수행 수준에 따라 나누어지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전체 언어 과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행을 보인 아동의 경우, 서로 다른 프로파일을 가진 잠재집단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취학 전 아동의 언어능력 잠재프로파일 분석

        박서현(Park, Seo Hyu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anguage abilities of preschool children through the lens of the four language components of LQH: alphabetic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and processing, morphology, and vocabulary. Moreover,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group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The results established three latent profile group models. Group 3, ‘Language Proficiency Group’, displayed relatively superior task performance in all language tasks, Group 2, ‘Language Mixed Proficiency Group’, showed distribution similar to the average with some deviation both below and above the average in certain domains, and Group 1, ‘Language Proficiency Subgroup’, featured below-average performance in all language tasks. The majority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effectively demonstrated average language task performance, but also a below-average performance in elision, rapid naming tasks,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Notably, Group 1 had low achievements in all language tasks, and all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e use of the potential profiles for exploring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LQH에서 제시하고 있는 네 가지 요인인 자모지식, 음운인식 및 처리, 형태론, 어휘력을 기반으로 취학 전 아동의 언어능력을 살펴보고 잠재프로파일 분석으로 잠재집단유형을 구분하여 각 잠재집단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3개의 잠재집단 모형이 최적의 모형으로 선택되었다. 모든 언어과제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과제 수행능력을 보였던 ‘집단 3: 언어능력 우수집단’, 평균과 유사한 분포를 보이고 있지만, 특정 영역에서는 평균 이하 또는 평균 이상의 수행수준을 보인 ‘집단 2: 언어능력 혼합집단’, 모든 언어 과제에서 평균 이하의 낮은 수행 능력을 보인 ‘집단 1: 언어능력 하위집단’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다수의 아동이 평균 수준의 언어 과제 수행능력을 보였지만, 초성탈락, 사물명명-속도, 수용 및 표현 어휘력에서 평균 이하의 수행 능력을 보여주었다. ‘언어능력 하위집단’의 경우 모든 언어과제에서 낮은 성취를 보였으며, 그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취학 전 아동의 언어능력 잠재집단유형과 언어 영역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유치원 교사의 교사 유아 상호작용 유형 및 예측요인

        박미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교사의 개인적 요인과 프로 파일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수도권 지역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409명을 대상으로 2024년 1월 10일-1월 31일까지 수행 되었다. 유치원 교사와 유아 상호작용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 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사-유아 상호작용 프로파일 유형을 확 인하고, 교사의 개인적 요인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상호결합 정도에 따라 4개 유형 으로 도출되었다.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모두 매우 낮은 ‘소극적 상호작용형’은 전체 유치원 교사의 5.62%, 전체 적인 상호작용 수준은 낮은 경향을 보이지만 정서적,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언어적 상호작용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언어적 상호 작용형’이 43.03%, 평균 수준의 상호작용을 보이고 있으면서 정서적 상호작용이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보다 다소 높은 ‘정서적 상호작용 중심형’이 26.41%,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모두 높은 ‘적극적 상호작용형’이 24.94%로 분류되었다. 교사의 개인적 요인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잠재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이 교사-유아 상호 작용 잠재프로파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유치원 교사를 단일집단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집단내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다양 한 집단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 개선을 위해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kindergarten teachers with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CI) an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sonal factors and T-CI profiles. Methods The survey fo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10 to January 31, 2024, targeting 409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in the metropolitan area. We composed T-CI of kindergarten teacher into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and analyzed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ir T-CI level. The types of T-CI profiles derived from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ere identified,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factors on the T-CI profil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we classified four T-CI profiles: the ‘passive interaction type’, which had very low levels of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related to T-CI, was 5.62% of all kindergarten teachers, the ‘non-verbal interaction type’, which had relatively low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levels, was 43.03% of all, the ‘affective interaction-centered type’, which had average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26.41% of all, the ‘proactive interaction type’, which had relatively high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24.94% of a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teacher's personal factors on the T-CI profile,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age, education, and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CI profil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various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T-CI within the kindergarten teacher group, rather than considering the kindergarten teacher as the ‘cohort group’ in relation to T-CI. We also suggest that customized approach considering the profi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CI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언어-문학영재의 시적 언어능력 활성화 방안

        장창영(Jang, Changyoung) 국어문학회 2013 국어문학 Vol.55 No.-

        이 논문은 언어-문학영재의 시적 언어능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언어-문학영재들의 시적 언어능력은 어휘의 선별과 배치, 감수성과 직관력, 상상력과 창의력, 창조성과 실험정신, 형상화와 미적 완성도 등에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 글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언어-문학영재들이 지니고 있는 시적 언어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언어-문학영재들은 시적 언어능력을 작품 창작으로 체화하면서 자신의 능력을 재확인하고 이를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독자적인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한다. 그러므로 때문에 언어-문학영재들이 시적 언어능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실체를 점검하고 단계화를 통해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1단계에서는 사고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정관념 해체, 장면 전환 대응 훈련, 어휘력 강화훈련을 시도하고자 한다. 2단계에서는 경험과 상상력을 구체화하는 표현력 강화훈련과 시야 확장 훈련을 진행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자아 만족감, 원활한 대인관계 형성, 지속성 강화훈련을 시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언어-문학영재들은 상상력의 무한 확장, 언어 표현력의 확장, 정서적 안정감과 긍정적인 심리 변화, 잠재능력 개발에 따른 자아 성취감 형성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살펴본 시적 언어능력 개발과 관련한 요소들은 언어-문학영재들이 언어를 매개로 하여 자신 및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장치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나아가 시적 언어능력 활성화 방안은 언어-문학영재들에게 그들에게 주어진 기회이자 또 다른 가능성을 만나기 위한 우리의 미래 성장 전략이기도 하다. This paper considers about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application plan of the language-literary genius and this meaning.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of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acts in the sorting of the vocabulary and arrangement, susceptibility and intuition ability, imagination and creativity, creativity and experimenting spirit, and patterning and aesthetical percentage of completion compositively. In this paper, the concrete stratagem developing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which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carry in 5 sides tried to be devised.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have some unique experiences in the process that accumulate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with the creation of works, and reconfirm and materialize their own capab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process of intensifying the ability through the leveling in order to activate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of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In the first step, the pliability of thought, fixed idea dismantling, and vocabulary intensified training are attempted. In the second step, the power of expression intensified training and view expansion training are progressed to materialize the experience and imagination. In the final step, the euphoria can be promoted at the writing process by implementing the self satisfaction expansion,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relation with a mentor, the psychological balance sense is maintained with the power of expression Through this,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can expect the feeling of self accomplishment formation by the unlimited expansion of the imagination, the expansion of the ability of lingual expression, the emotional sense of stability, the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and the latent faculties development, and etc. The elements related to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enlightenment looked into in this paper have the meaning in the point that they are the devices which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can communicate with themselves and world by the medium of the language. In addition to that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activation plan is not only the obligation given to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but also our investment to meet the another world.

      • KCI등재

        아감벤의 ‘주권의 논리’: 경계공간사유와 잠재성사유

        엄순영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3

        This article explores the thinking method of sovereignty studied by Agamben, and this thinking method of Agamben is assorted into two kinds, ‘boundary space thinking’ and ‘potentiality thinking’. ‘Boundary space thinking’ is beyond the uncertainty of boundary line claimed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until now. And then to Agamben the lifes in the neither inside nor outside boundary field are interested. He says the boundary space with the different thinking method from now to think properly the lifes regarded as non-existence even though existence. And he argues putting the independent space into the our thinking space. Like this he solves the paradox that a sovereign exists both the inside or outside of law and order. Therefore in the independent boundary space the sovereign can exist regardles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law. ‘Potentiality thinking’ means that existence has self-denial inwards potentially. ‘Potentiality thinking’ is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thinking method as the opposition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appears not outside but inside of it. So law include the external self and self-denial. Wherefore law can exist unceasingly to include denying self potentially. According to him, it is the reason that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 are violated continuously although there is law for it. So he insists that the rule of law cannot realize the human dignity as law cannot get out the destiny of language structure not to rid itself of self-denial potentiality. He proposes new politics free relatively from the language structure. But I point out two defects of his logic of sovereignty in this article. The first, he depreciates ‘construction thinking’ as defining the sovereignty in the language structure. The second, Agamben's sovereignty meaning cannot reflect the present change of sovereignty. The present sovereignty has the decolorized the top decision and the supreme power, and the subject action and participation and th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more and more. Nevertheless the two thinking methods suggested by Agamben will rich the relations between law and philosophy. 본고는 아감벤이 주권연구에서 보여준 사유에 주목하고, 그 사유를 두 가지 사유방법, 즉 ‘경계공간사유’와 ‘잠재성사유’로 보았다. ‘경계공간사유’는 지금까지 언어철학에서 주장해 온 경계선의 불확정성 주장을 넘어선다. 아감벤은 경계선의 불확정성에 머물지 않고 내부도 외부도 아닌 경계선에 존재하는 삶들에 관심을 쏟는다. 존재하면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는 삶들을 제대로 사유하기 위하여 지금과 다른 사유의 방식으로 경계선의 공간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 공간을 독립된 사유공간으로 우리의 사유의 공간에 넣을 것을 주장한다. 이런 방식으로 주권의 역설, 즉 주권자는 법질서의 내부와 외부에 동시에 존재한다는 역설을 해결한다. 경계공간사유를 통해서 주권자는 법의 내부와 외부와 관계없이 그 경계선의 독립된 공간에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잠재성사유’는 존재는 존재 내부에 자기부정을 잠재적으로 내포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사유이다. 잠재성 사유는 존재와 그 존재의 대립적 존재가 그 존재 밖이 아니라 그 존재의 내부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존재와 대립적 존재를 그 존재의 밖에서 대립시켜 왔던 기존의 사유방식과 다르다. 이런 사유에 따라서 법의 외부는 법의 밖이 아니라 법 내부에 법을 부정하는 잠재성으로 법 안에 이미 내포되어 있다. 존재는 자신의 존재를 지속적으로 부정하는 잠재성으로 존재한다. 즉 법은 법의 부정을 지속적으로 자기 내부에 잠재적으로 내포함으로써만 존재할 수 있다. 아감벤이 볼 때 그것이 인간존엄의 가치와 인권을 법제도로 수립했지만 여전히 인간존엄과 인권이 유린되는 현실이 지속되는 이유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감벤은 법은 언어구조의 숙명을 떠날 수 없고, 언어구조의 숙명은 자기부정의 잠재성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법의 지배로는 인간존엄을 실현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는 상대적으로 언어구조에서 자유로운 새로운 정치에서 그 가능성을 찾아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본고는 아감벤의 주권의 논리의 한계로 두 가지를 지적하였다. 하나는 주권을 언어의 논리적 구조에 한정시키고 형성적 사유의 역할을 너무 낮게 평가한 아감벤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둘은 아감벤의 주권개념이 현 시대의 주권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지 못함을 지적하였다. 현 시대의 주권개념은 최고 결정권이나 지배적 의미를 탈색하고, 주체적 실천과 참여, 평등한 주체의 상호 관계적 의미로 전환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아감벤이 제시한 두 가지 사유방법은 법과 철학의 관계를 더욱 풍부하게 할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 분석

        정다혜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1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construct equivalence of the Verbal Violence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by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compare the latent means across gender and grade. Design/Methodology: For this purpose,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whether the scale had configural, metric, and scale invariance across gender and grade. Latent mea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mean differences on three factors across the groups. The number of subjects was 1,178 from fourth to sixth graders nationwide. Findings/Results: First, through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struct equivalence across gender and grade was verified. Second, the result of the latent mean analysis across gender came out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sixth gra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s in Impulsive-aggress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than fourth and fifth graders. Value: These results imply that this verbal violence scale could be used for elementary students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pre-existing research in that it validates the verbal violence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by testing for construct equivale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 across gender and grade. 본 연구는 정다혜(2018)의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가 성별과 학년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사용 가능한 척도인지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동등성 검증과 잠재평균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전국 단위의 4~6학년 초등학생 1,178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학년과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의 구인동등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언어폭력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언어폭력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충동적 공격성, 자아존중감, 우울 모두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언어폭력의 잠재평균 차이 분석 결과, 6학년 학생들이 4, 5학년 학생들보다 언어폭력의 하위요인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고, 그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과 이중문화수용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변화 연구

        김우진(Kim, Woojin),정지아(Jung, Jeaah),심태은(Shim, Taeeun),이송이(Lee, Songy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된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 이중문화 수용성 및 자아 탄력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언어능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고, 이중문화 수용성은 일관된 변화 없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언어능력의 경우, 년도별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초기값이 높았던 청소년은 언어능력이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 언어능력의 초기값이 낮았던 청소년은 언어능력이 상대적으로 빨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문화 수용성의 경우 일관된 변화 없이 증가와 감소를 보여준 것을 통하여 연령과 발달의 차이보다는 환경의 차이가 이중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 언어 능력과 이중 문화 수용성이 청소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에서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 모두가 자아 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 및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의 변화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개발에 이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lf-assessed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resilience. More specifically, we examined precisely how language proficiency, bicultural acceptance, and resilience changed over time, and further how language and bicultural acceptance hav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resilience.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MAPS(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2012 to 2015 were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 that language proficiency increased with time while bicultural acceptance levels did not show consistent variation and increased and decreased over time. Language proficiency showed time-wise significant increase. The adolescents whose initial value of proficiency were high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while low proficiency increased relatively more steeply. In the case of bicultural acceptance, the result showed inconsistent changes over time, which implies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have effect on the acceptance rather than age or individual developmental differences. Therefore, the two variables’ effect on resilience was significant. It is the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fundamental research material for developing curricular and policy that may help in resilience building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

        제3언어로서의 독일어 학습을 위한 잠재어휘 개발

        주소정 ( Joo¸ So-jung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0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47 No.-

        한 번도 배운 적이 없으나 선행 언어학습 경험을 토대로 그 의미를 쉽게 추론할 수 있는 어휘를 잠재어휘라 한다. 제3언어 수업에서 잠재어휘는 학습자가 목표어에 빠르고 쉽게 입문하도록 도와주며, 듣거나 읽었을 때 이해 가능한 수동어휘를 효율적으로 확장시키는 데 기여한다. 또한 초급 수업에서부터 실제텍스트 활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독일어 어휘에도 영어학습 경험을 토대로 쉽게 의미추론이 가능한 어휘가 다수 존재하는데, 지금까지 독일어 수업에서는 이와 같은 잠재어휘의 무한한 활용 가능성이 전혀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어휘 의미추론 실험을 통해 독일어 어휘 가운데 한국인 학습자가 잠재어휘로 활용할 수 있는 어휘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개인의 언어학습 경험과 관련된 변인들이 추론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어휘실험I과 II에서 의미추론이 이루어진 총 384개의 어휘 가운데 60% 이상의 추론 성공률을 보인 어휘는 전체 어휘 수의 50%가 넘는 187개 어휘로, 이들 대부분은 상응하는 영어 어휘와 뚜렷한 형태적, 음성적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그 밖에도 문맥적 단서의 유무에 따라 상이한 추론 성공률을 보였으며, 영어 성적이나 학습한 외국어의 종류 및 수와 같은 언어학습 경험에서 비롯된 개인적 변인들이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독일어 학습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당수의 잠재어휘를 독일어 학습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교육과정 기본어휘표에 수록된 어휘를 수동어휘와 능동어휘로 구분함으로써 독일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Unter dem potentiellen Wortschatz versteht man diejenigen Wörter, die man vorher nie gehört oder gelernt hat, aber deren Bedeutung trotzdem beim erstmaligen Lesen oder Hören ohne Schwierigkeit verstanden bzw. erschlossen werden kann. Die Nutzung des potentiellen Wortschatzes ermöglicht den Tertiärsprachenlernenden einen schnellen Einstieg in die Zielsprache, die effiziente Erweiterung des passiven Wortschatzes und zudem den Einsatz authentischer Texte im Fremdsprachenunterricht bereits in der Anfangsphase. Im deutschen Wortschatz besteht auch eine große Anzahl an Wörtern, deren Bedeutung koreanische DaF-Lernende aufgrund der Analogien zwischen Deutsch und Englisch ohne großen Aufwand erschließen können. Somit wurde in dieser Studie anhand des Wortschatztests empirisch nachgeweisen, welche der deutschen Wörter, die mit Englisch phonologische bzw. orthografische Ähnlichkeiten aufweisen, in der Tat als potentieller Wortschatz klassifiziert werden können. Außerdem wurde festgestellt, dass die Variablen aus der individuellen Fremdsprachenlernbiografie die Erschließungskompetenz der DaF-Lernenden beeinflussen. Die Ergebnisse dieser Forschung weisen darauf hin, dass der potentielle Wortschatz durch Aktivierung der Fremdsprachenlernerfahrungen der DaF-Lernenden in der Unterrichtspraxis gezielte Anwendung finden kann und die Wörter auf der Grundwortschatzliste künftig in passiven und aktiven Wortschatz unterteilt und dementsprechend differenziert gelernt werden sollten.

      • KCI등재

        다르마끼르띠(Dharmakīrti)의 언어인식 효용론- 아뽀하(apoha)론을 중심으로 -

        배경아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5

        다르마끼르띠는 언어인식을 언어관습에 기반한 세계라고 보았던 디그나가의 견해를 계승하면서도 개별대상에서부터 언어인식을 통한 개념지에 이르기까지의 인과관계를 강조함으로써 언어가 왜 필요한가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다르마끼르띠는 크게 두 가지 점에서 언어인식의 효용성을 강조한다고 볼 수 있다. 첫째, ‘동일한 결과를 갖지 않는 것의 배제’라는 방식으로 실재하는 개별대상에서 지각, 언어지에 이르기까지 인과관계로 연결되어 있다. 언어인식은 인과효력을 갖는 개별상과의 간접적인 인과관계를 통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한다. 둘째, 잠재인상을 활성화하여 ‘타자의 배제’라는 방식으로 언어표현을 대상과 결합시키는 일차적인 원인은 인간의 ‘의도’이다. 의도에 의해 언어관습의 취사선택이 이루어지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행에 착수하게 된다. 다르마끼르띠는 대상인식의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동시에 인식내부의 잠재인상을 활성화시키는 인간의 의도를 강조한다. 이를 통해 목적을 달성시키는 언어인식의 효용성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