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율장학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도 분석 연구

        유평수(Yu Pyeong-su),최은이(Choi En-hee) 교육종합연구원 2005 교육종합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교내 자율장학의 전반적인 사항, 운영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이 변인별(성별, 규모별, 지역별, 직위별, 그리고 학교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교내 자율장학의 활성화 방안의 자료를 제시하는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의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373명에 대해 자료분석을 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 자율장학에 대해 그 개념을 교사들이 전반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고, 그 중점적 기능은 교수․학습의 개선으로 주체는 교사이다. 둘째, 장학 담당자들은 교내 자율장학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보이지만, 자율장학에 임하는 교사의 자세는 다소 소극적이다. 교내 자율장학의 주된 저해요인은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인한 연구 시간 부족, 그리고 장학에 대한 부정적 의식이다. 셋째, 중등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재 연구시간은 평균 1일 1시간 정도이고, 1년 간 수업연구 횟수나 다른 교사의 수업을 참관하는 횟수는 년1-2회 정도이다. 넷째, 장학 담당자는 교과에 대한 전문지식과 수업 지도 능력을 갖춰야 하며, 원만한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또한 교내 자율장학 개선을 위해서는 자기 장학과 각종 연수를 강화하고, 교수․학습 여건 개선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해 도움을 얻고 싶은 대상은 동 교과 또는 동 학년 동료 교사이다. 다섯째, 중등 교원에게 자기 성장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교과 교육 연구 활동, 직무나 자격 연수 참여이고, 자율장학은 그에 비해 자기 성장 면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교내 자율장학의 유형 중 유익한 형태는 자기 장학과 동료장학이며, 장학 담당자가 실시하는 약식장학은 가장 유익하지 못한 형태이다. 여섯째, 교내 자율장학이 활성화를 위해 교내 자율장학의 담당자인 교장․교감은 건강한 학교 풍토 조성과 장학자로서의 전문성을 증대하고 각종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A purpose of the study is showing the improvement of the point at issue, Which is being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about the recogniti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roblem of self-supervision in secondary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ts contents were set up as follow: First,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eachers recognition and a backing key figure of self-supervision such as sex, scale, region, position, school. Second,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 of self-supervision in background characteristic. Third, showing the improvement plan of self-supervision. As practicing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put in operation, the subject of a questionnaire were 400 secondary teachers in the Cheollabuk-do. 373 of the Questionnaires were taken statistics. The questionnaire used this study was made out revising by asking advice of a tutor and finding items related it in the theory, a bibliography and a preceding study on the logical base. The substance of questionnaire was made three fields such as general recognition of self-supervision in school,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 the improvement plan. Statistic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 materials were compiled and analyzed with SPSS/PC+10.0 for the purpose of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n performed x2-test(chi-square) to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group, with a significance lever of p<.05, p<.01, p<.001. The several significa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most if secondary teachers are found to recognize that self-supervision in the school is necessary and helpful for improving teaching skills. Secondly, although responsible teachers for learning promotion have much interest promotions of learning in the school, they participate in self-supervision with preparation in the negative. Key figures of hamper are shortage of study through too heavy work, negative recognition for learning promotion. Thirdly, studying time in average for professional extension is about an hour a day and the number of time that teachers have teaching research or visit a class is about once or twice an year. Fourthly, responsible teachers for learning promotion have to get a professional knowledge of a subject and guidance ability. It is considered good human relationships and leaderships. Self-supervision in the school need to be reformed towar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methods and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settings. Also it need to enhance self-promotion and in-service training through visiting other classes. Teachers should try to teach with excellent teaching skills and read professional text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a class. Fifthly, research activities for subject, official and qualifying training is the best ways to secondary teacher. It is real that voluntary learning promotions focus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guidance, instruction-based and coworker-oriented learning promotions are mainly performed. Sixthly, The man in charge of self-supervision, principal and vice-schoolmaster must create for sound school natural features and augment the specificity. It needs the diffusion of diverse educational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learning promotion in the education institution. It is considered good human relationships and leaderships to prepare the foundation of self-supervision. They also should prosecute their studies for years such as attending graduate school, reflecting on oneself about their own classes. Judging from the results above, Firstly, Study range needs to include a group such as principal, vice-schoolmaster related promotion of learning and professional school inspector and analyze the improvement plan of autonomous supervision having a through grasp of the problem of self-supervision in school.

      • KCI등재

        강원도 어린이집 자율장학 운영 및 지원과 지원 방안에 대한 교원의 인식

        유준숙(Jun Suk You),김현정(Hyeon Jeong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강원도 어린이집 자율장학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강원도 어린이집자율장학 운영과 지원에 관한 어린이집 교원의 인식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를 위하여 강원도 어린이집 교원 425명을 대상으로 자율장학 운영과 지원, 지원방안 에 대한 인식과 근무기관 유형, 교육경력, 직위, 근무기관의 평가인증 유무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어린이집 교원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율장학 운영과 관련하여, 자율장학을 실시하는 어린이집은 강원도 전체 어린이집 중 절반 정도이며, 자율장학의 결정은 교직원협의회에서 이루어지며, 자율장학에 참 여하는 교원들은 자율장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율장학 효과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자율장학 지원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교원들은 보육행정기관의 장학 자료 및 정보 제공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자생적 연구모임도 장려되지 못하고, 지역 도서관 및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실질적으로 어린이집 교원의 자율장학활동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자율장학 지원방안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교원들은 보 육전문장학사, 지역의 전문가(교수)와의 멘토링을 통해 자율장학에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으며, 도서관과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의사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state of self-supervision, the obstacles to self-supervision and the activation plan for self-supervision at a Child Care Cent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rei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425 members of a Child Care Center``s staff(directors and childcare teachers) in Gangwondo. The data is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a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x2 examination using SPSS 19.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operation status of self-supervision, 49.6% of the subjects conduct self-supervision. A meaningful difference is found in type, educational background, and certificate of evaluation at the Child Care Center. Second, obstacles to selfsupervision include being overburdened with work, lack of interest, lack of positive support and participation by teachers, and an insufficient reflection of teachers’needs. Such findings imply that an operation plan and evaluation must be made and a person in charge of self-supervision must specialize in education for efficient operation of self-supervision. For activation of self-supervision at the Child Care Center, adequate conditions are required, such as improvement of environment, financial support, strengthening of on-the-job training. Also necessary are the providing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study meetings for self-supervis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ing environment for the Child Care Center as per implementation of self-supervision and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within the childcare administration. This way financial support and various educational support can be rendered to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to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s better self-supervision.

      • 유치원의 원내자율장학에 대한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

        구국정,김정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공립, 사립유치원의 교사를 대상으로 원내자율장학에 대한 운영 실태와 인식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공·사립유치원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남과 부산지역의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27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을 사용하여 근무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내자율장학의 개념, 목적, 그리고 필요성에 대해 공·사립유치원 교사들모두 대체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원내자율장학은 교수-학습 지도가 어려울 때 가장 필요성을 느끼고, 수업개선을 가장 큰 목적으로 인식하였는데 공립·사립유치원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원내자율장학의 운영 실태에서 자율장학은 90% 이상 실시하고 있고, 가장 많이 실시되는 장학의 유형은 수업장학으로 나타나 공·사립 유치원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실시 횟수, 의사결정권자, 지도방법에 대한 평가, 교사의 참여도 등에 있어서는 공·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율장학의 활성화 방안에서 원의 여건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학 유형에 대해 공립유치원은 자체연수를, 사립유치원은 수업장학이라고 하여 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한 계획 및 필요한 사항에서도 공·사립유치원 교사 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사들이 자율장학의 필요성을 느끼는 만큼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유아교육의 현장 여건 마련과 다양하고 체계적인 행정적 협조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가정 어린이집 자율장학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정해정 ( Hae Jung Jeong ),손은령 ( Eun Young S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연구논총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자율장학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원장을 포함한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인식한 가정 어린이집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 보육교사가 인식한 가정어린이집 자율장학의 실태와 요구, 보육교사가 인식한 가정어린이집 자율장학에 대한 활성화방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정도는 낮았지만 보육활동의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의 정도는 높았다. 보육교사들은 자율장학담당자가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보유하기를 원했으며, 자기성찰 후 장학담당자의 소감발표를 통한 피드백 방식을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42.4%가 자율장학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들은 동료장학을 가장 적합한 장학형태로 인식하였고, 장학의 방법 중``수업연구``, ``초임교사지도``는 중요하게 인식하고는 있었으나 그만큼 실행되지는 않았고, ``반성적 저널쓰기``, ``동료 간 수업연구 및 공개``의 중요도는 중간정도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행도는 낮았다. ``간헐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지도·조언``은 중요도 인식보다 실행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상급학교 진학하기``는 중요도, 실행도 모두 낮게 나타났다. 장학내용면에서는 ``영유아문제행동지도 및 생활지도``, ``상호작용과 교수법``, ``안전한 보육환경`` 순으로 원했다. 셋째, 가정어린이집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인식전환 및 적극적인 참여 동기부여가 필요하며, 중앙행정기관에서 연구비, 프로그램 개발비 등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대체교사, 보조교사를 지원해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행정기관차원에서는 기관특성에 맞는 장학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 그리고 장학 관련자료 및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eacher`s need, performance level and priorities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home daycare center. 243 home daycare center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eachers generally knew the concept of autonomous supervision and they perceived the purpose of supervision as the revision of daycare and education. They preferred the feedback method through presentation of their reflection. Second, 64% of teachers performed the autonomous supervision and peer supervision was selected the proper method of supervision in home daycare center. But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was high in some areas in peer instruction research, mentoring, writing a reflective journal. The most wishful areas of autonomous supervision was guidance to problematic children, interaction and teaching method, safe caring environment. Third, teachers wanted to get a fund from the government and to cowork with intern teacher or substitut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of management of supervision to home daycare teachers were discussed with relation to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학교장의 變革指向的指導性과 校內自律獎學의 關係硏究

        국승오(Gug Seung O)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6 교육연구 Vol.20 No.-

        본 연구는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성과 교내 자율 장학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서 학교 현장에서 교내 자율 장학의 활성화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 연구를 통해 지도성의 개념, 변천 과정을 살펴 보았으며,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성 이론의 형성 배경, 개념, 특성과 요인, 측정 도구에 대해 살펴 보았다. 그리고 교내 자율 장학의 이론으로 장학의 개념, 교내 자율 장학의 개념과 특성, 기능과 영역, 형태와 과정을 살펴 보았으며, 교내 자율 장학의 하위 변인으로 시행 여건, 시행 계획, 실행, 평가의 내용을 파악 하였다.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성과 교내 자율 장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내 자율 장학에서의 학교장의 역할과 자질, 학교장의 노력을 살펴보았고, 선행 연구를 통해 두 연구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에 따라 교내 자율 장학의 효과성이 달라짐을 알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성은 교내 자율 장학에 영향을 미치며, 교내 자율 장학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성을 증진시키는 일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plans to activate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by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and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teachers had relatively positive perceptions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It was understood That the union promotion was most adopted by the principals among the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cond, the teachers had generally positive perceptions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Third, there were slight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between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utonomous supervision on school, which implies that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the teachers have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they have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consequently, it was prov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had significant impacts on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Thus it’s necessary to promote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s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 KCI등재

        어린이집 자율장학의 현황 및 요구도 : 근무기관유형과 교육경력에 따라

        김갑순,김민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effective plans for voluntary supervision by examining different types of child-care centers, teachers’ experiences through observing current status and demands of the child-care teachers' voluntary supervision.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operated 299 employees of 64 different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he Kyung Gi reg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for 'Current Status on Practice' showed that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more often practiced voluntary supervision than private child-care centers did. Reading and discussing related books were preferred. The voluntary supervision practiced more often to the more experienced teachers but their participation showed less. They wanted teaching practice methods for the voluntary supervis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s of voluntary supervision and participation frequency between experienced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In terms of 'Demanding Frequency on the Voluntary supervision',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wanted to use lectures from outside speakers or workshops about twice a year. The common answers were that their heavy workloads required improvement to be able to activate the voluntary supervision. On the other hand, teachers at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had the frequency difference compared to teachers at private child-care centers?The teachers who were less experienced at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evaluated themselves through their teaching and utilizing related books and then expected outcomes from children. However, teachers who were more experienced came to rely on outside speakers, related knowledge or theories instead.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유형과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자율장학의 현황과 자율장학에 대한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자율장학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어린이집 64곳의 보육교사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시현황’에 있어, 국공립이 민간에 비해 자율장학을 더 빈번하게 실시하고 있으며 형태에 있어서도 서적을 읽고 토의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경력이 높아질수록 더 자주 자율장학 실시하지만 참여 빈도는 낮으며, 자율장학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내용을 알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율장학의 형태나 1회당 참여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장학에 대한 요구도’에 있어서는 다수의 교사들이 연 2회 정도 외부 강사의 강의나 워크숍을 원하고 있으며, 과중한 업무를 개선해야 자율장학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공통적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들은 민간 어린이집 교사들에 비해 희망 실시 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이 낮을수록 자신의 수업에 대한 평가나 참고서적을 활용하고 유아평가에 대한 내용을 기대하는 반면, 고경력자는 외부 강사의 강의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관련 지식이나 이론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어린이집 자율장학의 운영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권순애(Soon Ae Kwon),조안나(Anna Cho)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2 사회심리발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 자율장학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와 I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44부의 설문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대부분이 어린이집에서의 자율장학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장학 활성화 방안으로 자율장학의 적극적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다양한 장학프로그램의 제공과 재정적 뒷받침의 증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율적인 장학유형으로 자기장학의 활성화를 들었으며, 교직역량의 강화를 위해 교육연수 참여, 자기장학모형의 개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율장학을 실시에서 준비과정을 최소화하고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효과적인 장학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고 자율장학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인 제안과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to identify teachers'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autonomous supervision management of daycare centers and how to activate th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0 teachers working at 40 daycare centers located in Y city and I city, Gyeonggi-do, and a total of 244 copies of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most teachers are importantly aware of and implement autonomous supervision in daycare centers. Second, it indicated the need to provide various scholarship programs and increase financial support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in autonomous supervision as a way to activate autonomous supervision. Third, it was necessary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training and develop a autonomous supervision model to strengthen teaching capacity. Fourth, it also emphasized the promotion of autonomous supervision through the preparation of high-quality scholarship programs, information provision and training at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Based on the results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ies that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fant teachers will be needed and suggest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내 자율장학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및 자율장학 과정단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윤희,정혜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teacher efficacy across self-supervision status in kindergarten and the effects of self-supervision process on teacher efficacy. To do this, 341 teachers in D city were surveyed; the survey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have experienced self-supervision in kindergarten, they reported a positiv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y recognized that self-supervision had been democratically conducted. Also, the practices of self-supervision have been conducted once or twice per semester, and the implementation level of self-supervision process was generally represented normal. Second, teacher efficacy appeared normal, and teachers in daycare center showed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eachers in kindergarten did. Third, teachers who experienced self-supervision, showed positive satisfaction, and recognized democratic self-supervision reported higher teacher efficacy. Finally, teacher efficacy was affected by self-supervision process: ‘evaluation’, ‘common implementation’, ‘plan’, and ‘practice of informal supervision’. 본 연구는 원내 자율장학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및 자율장학 과정단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D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부분의 교사가 원내 자율장학을 경험하였으며, 만족도는 긍정적이었고, 장학의 지도방법은 민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원내 자율장학 유형을 모두 한 학기에 1∼2회 정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으며, 자율장학의 과정단계 실천 정도는 전체적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통수준이었으며,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내 자율장학을 경험하고, 높은 만족도를 보이며, 민주적인 지도방법으로 인식한 교사가 높은 교사효능감을 보였다. 넷째, 원내 자율장학의 과정단계에서는 ‘평가’, ‘공통 실행’, ‘계획’, ‘약식장학 실행’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과 관련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과 실태

        고미영,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perceive, practice and need for self-supervision at school related to HE. Questionnaires were sent by E-mail and 150 were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reported using SPSS/win 10.1.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First, middle school HE teachers perceived that self-supervision at school was essential since it promoted self reflection of teachers themselves and improved professional skills. Furthermore, peer-coaching was highly preferred. Second,negative responses to the supervision of principal, vice-principal, and peer teachers overwhelmed positive answers. Information exchange among peer teachers was frequent, yet, approximately 22.6% of middle school HE teachers were still avoiding sharing information process for several reasons. About half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all teachers needed to participate in this process. Third, they pointed out that self-supervision at school was not implemented well because of the lack of time due to the heavy work load, negative and passive attitude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dministration-centered supervision that did not reflect teachers' opinion, and shortage of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support.. HE teachers perceived that peer teachers who were doing good practices were most helpful for the supervision. Also, they preferred self-evaluation at the end of the self-supervision at school. Forth, to improve self-supervision at school, there were very high demands for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additional time, fundamental philosophy toward HE education. Fifth,the purpose and detailed plans of self-supervision were recognized as the results that were democratically derived by the HE teachers. Sixth, class inspection and informal inspection were operated once in a year, and self-training was rarely operated. Peer coaching and self-coaching were operated occasionally. Self-coaching and peer coaching were reported as the most helpful types of supervision. In addition, HE teachers answered that supervision was helpful to teaching method followed by contents, evalu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가정교과관련 교내 자율장학에 관한 인식 및 수행실태를 알아봄으로써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관련 전문성 신장 활동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150부는 SPSS/Win(Ver 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T-test로 분석되었다.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가정교과관련 교내 자율장학 인식에 대해서 대부분(88.0%)의 가정과 교사는 이 장학이 자기반성과 전문성 향상에도움이 되므로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선호하는 장학은 동료장학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교과 교내 자율장학의 목표 선정 및 구체적인 계획 수립에 대해서 반 정도(50.7%)의 가정과 교사들은 이 장학의 목표 선정 및 계획 수립 과정이 가정교과협의회를 거쳐서 민주적으로 결정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내장학의 유형별 실시 횟수의 경우, 수업장학과 약식장학은 1년에 1회 정도이었고, 자체연수는 실시되지 않는편이였다.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은 수시로 이루어졌다. 장학의 유형별 도움의 정도는 자기장학과 동료장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학에 도움을 얻는 분야는 장학유형에 상관없이 가정과교수방법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다음으로는 교과내용, 교육평가, 교육철학 순이었다. 넷째, 교장이나 교감과 동료교사의 장학에 대한 실제적 도움 정도에 대해서는 별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교사와의 다양한 정보공유는 열심히 하는 편이나 아직도 22.6%에 달하는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이 정보공유를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정도(43.3%)의 가정과 교사는 교수-학습개선을 위한 수업공개자로 ‘모든 교사’를 꼽았다. 다섯째, 대부분(70.7%)의 가정과 교사는 가정교과관련 교내 자율장학이 잘 실행되지 않는 이유로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인한 시간 부족, 교수-학습 개선활동에 대한 부정적, 소극적 태도, 교사의 의견이 반영되지 못하는 행정위주의 장학형태,경제적, 환경적 여건부족을 꼽았다. 대부분의 가정과 교사들은 항상 열심히 교수-학습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동료교사를 장학담당자로 가장 선호하며, 교내 자율장학의 수행 후 평가방법으로는 교사 스스로 평가하는 자기 평가를 가장 선호하였다. 여섯째, 교내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해서 잡무경감 및 시간적 여유, 가정교육학에 대한 확실한 철학,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적용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인지,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제공, 도서, 자료, 도구, 장소 등 물리적 지원, 교내가정과 동료교사가 없는 경우 관내에서 가정과 교사들과 연계, 장학담당자(교장, 교감)의 장학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 교내자율장학의 필요성 인식이 특수학교 교사의 수업 질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최성규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1 學校敎育硏究 Vol.6 No.2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S특수학교를 대상으로 교내자율장학 강화를 통한 수업의 질 개선 및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교내자율장학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먼저 교육의 필요성과 교수학습의 정의, 수업설계의 조건,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방법, 그리고 교사의 리더십 함양 등을 연수하였다. 이를 통한 교사의 교내자율장학의 능동적 참여가 미치는 교사의 수업의 질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S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수가 교사의 수업의 질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질문지에 기초한 소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소집단 면담에서 교사들은 교사의 교내자율장학의 필요성 인식은 수업의 질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효과적이었다고 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교내자율장학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연수내용을 논의에 서술하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necessary perception of the school autonomous supervision to develop the special school teachers' teaching quality and competency. Prior to set up the school autonomous supervision, the lecture including the definition and necessary of the education, the condi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leadership were given to the S special school teachers. Four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the S special school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small group interview was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ecessary perception of the school autonomous supervision was to develop the special school teachers' teaching quality; and (b) the necessary perception of the school autonomous supervision was to develop the special school teachers' competenc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perception why the school autonomous supervision was necessary is more important rather than the school autonomous supervision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