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arcia의 청소년 자아정체성 발달 모형에 따른 가톨릭 청년의 종교적 자아정체성과 종교성 관계 연구

        김동기 한국종교교육학회 2011 宗敎敎育學硏究 Vol.37 No.-

        본 연구는 Marcia의 모형에 따른 종교적 자아정체성을 발달을 고찰하기 위하여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청년기에 종교적 자아정체성이 연령과 더불어 발달해감에 따라 유예나 성취 상태는 증가하고, 혼미나 유실 상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둘째, 종교적 자아정체성 발달은 내재적 종교정향, 외재적 종교정향, 추구적 종교정향 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셋째, 종교적 자아정체성 발달은 신앙성숙 가운데 수직적 주제, 수평적 주제, 일반적 주제 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가톨릭 청년(1,872명)이며 5개 집단으로 나누어 발달 경향을 검증하였다. 조사도구는 종교적 자아정체성 상태 측정 문항, 종교정향 척도, 신앙성숙 척도 등이다. 주요 결과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첫째, Marcia의 자아정체성 상태를 종교적 자아정체성 상태로 대체하여 척도화한 네 가지의 정체성 상태 가운데 유예와 성취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유실과 혼미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율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Allport의 종교정향에서 외재적 정향보다 내재적 정향에서 종교적 자아정체성이 의미 있는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Batson의 내적 정향이 외적 정향보다 종교적 자아정체성 발달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셋째, 종교적 자아정체성은 신앙성숙 정도 차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수직적 주제를 지향하는 사람이 수평적 주제를 지향하는 사람보다 더 뚜렷한 종교적 자아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종교개혁자 루터에게 나타난 기독교 교육적 함의 - 예수의 인자 자의식과 성도의 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 -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7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으며, 한국교회의 침체와 성도감소, 특히 교회학교, 중고등부와 청년부의 쇠퇴를 보며, 청소년, 청년기의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자아정체성 확립의 중요성을 되새겨 봄으로, 이로 인한 다음세대인 교회학교와 청년층의 부흥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논문의 필요와 목적이다. 본 연구는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가 어떠한 역사적 정황과 생애적 상황 속에서 자아정체성을 찾아나갔는지를 심리학적으로 살펴보며, 그 본(本)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인자정체성속에서 한국교회와 성도들의 정체성위기를 돌파 할 기독교 교육적 제언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역사적 인물인 루터의 자기발견 내지는 개성화가 선행연구인 청년루터에 대한 역사적 심리학적 연구를 시도한 에릭 에릭슨(Erik H. Erikson)이 말한 자아정체성(self-identity)과의 관계들을 통해 살펴보며, 그 대안적 제시로 오늘날 한국교회 성도의 그리스도인 자아정체성확립이라는 과제 속에 예수의 인자정체성을 통해 그 실마리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루터라는 종교개혁자의 개혁사상이 인간 마르틴의 자아 정체성과 함께 어떻게 확립되어 나갔는지를 먼저 선행연구인『청년루터』를 통해 살펴보고,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의 이러한 자아정체성의 갈등과 부모의 이미지 속 하나님에 대한 투사들을 어떻게 극복하고, 자기발견 내지는 개성화를 이루었는지를, 칼 융(C. G. Jung)이 말하는 “의식,”과 그리고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의 요소들 속에 루터를 대입시켜 보며, 분석 심리학적 측면으로 다루어 볼 것이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 어떠한 정체성을 가져야 하며, 또 어떠한 정체성을 가진 그리스도인으로 자라나는 세대를 양육해야 할 것인가?’ 이 실천신학적이고 기독교교육학적인 질문들의 대답을 위한 분석으로 본고는 랄프 타일러(Ralph W. Tyler)가 말한 교육학의 두 체(screens) 중 하나인 심리학을 사용할 것이다. 기존 발달심리학, 그중에서도 사회적 발달심리학으로 역사속의 인물 루터를 탐구하였던 에릭슨의 선행연구를 본으로 하여 융의 분석심리학의 주장들을 빌려와 페르조나를 벗고, 그림자를 극복하여, 자기를 찾아 개성화를 이루어 종교개혁의 대업을 이루었던 루터의 전인적 정체성 확립의 모습 속에서 그가 역사적으로 갈구했던 성경 속 예수님의 인자로서의 메시야정체성의 본을 통하여 그 해답을 찾으려는 것이다. Facing the 500 year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this study will explore an alternative to reform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Christians with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We Korean Christians have experienced an absence of self-identity as Christians. What should we Christians identity with? And how should we Christian teachers teach the next generation, with a healthy identity based on a sound theological confession?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questions,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components: First, through a psychological approach, this study will explore how Martin Luther's identity is to be established by Erik Erikson's theory. Second, applying Luther's case to C. G Jung's elements of personal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this paper will deal with the process of Luther and how he had overcame his shadows in his period of growth and found 'the self' through individualization. Third, in order to get a clue to solve the task of the identity crisis of Korean Christians, this paper will explore the son of man Christ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systematic theology and biblical theology. Luther was a man who fought to overcome his complex with a balance between archetype and complex and his shadow with a balance between ego and shadow. He tried to get over distorted images of parents and God in personal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Finally, he accomplished the Reformation, finding a balanced, harmonized, and holistic self. With the help of Jung's psychological perspective, I will trace a historical person, Luther, in this study, based on the psycho-historical study of Luther by Erik Erikson and theological approaches about the Son of Man Jesus as precedent studies. Through Martin Luther's case study, examining how he looked forward to his identity, I would like to offer several suggestions about 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ir identity crisis for Korean Christians with a role model of Jesus Christ's Son of Man identity.

      • KCI등재

        대학생의 세계시민성, 진로정체성과 자아정체성 간의 관계

        최유선,손은령,박소리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global citizenship, career identity and self-identity. We surveyed 280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scores than male students on global citizenship.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career identity scales and self-identity scales in gender. 1st year students and 4th year student showed a higher scores than 3rd year students. Students wit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wed a high scores in global citizenship and self-identity.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reer identity. Second, global citizenship showed correlations with the self-identity. The career identity scales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global citizenship and the self-identity. Global citizenship and career identity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self-identity as well. Through this, we can learn that global citizenship and career identity helped to enhance self-identity. This can be the understanding of college students’ self-identity development. Especially, the result that global citizen education helps global citizenship, career identity, and self-identity suggests that specific and practical variety of education beyond theory and knowledge in schools are needed. 자아정체성은 자신이 누구이며, 무엇을 하고 어떻게 살아가야하는지에 대한 것으로 평생에 걸쳐 형성되나 대학생 시기를 획득의 중요한 시기라고 본다. 이에 최근 대학교육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세계시민성과 자신의 진로와 직업세계를 이해하는 진로정체성이 자아정체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지역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80명(남 131명, 여 14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t-test와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성별에서는 세계시민성(여>남)이 차이를 보였고, 진로정체성과 자아정체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년에서는 세계시민성(4학년이상, 1학년>3학년)과 진로정체성(4학년이상>1학년)은 차이를 보였고, 자아정체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4학년 이상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세계시민교육의 유경험은 세계시민성과 자아정체성에서 높게 차이를 보였으며, 진로정체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세계시민성은 자아정체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정체성은 세계시민성, 자아정체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세계시민성은 자아정체성에 정적․부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정체성은 자아정체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세계시민성, 진로정체성이 자아정체성 함양에 도움이 됨을 알았다. 이는 대학생들의 자아정체성 발달에 대한 이해가 되며, 특히 세계시민교육이 각 변인에 도움을 주는 결과로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자아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

        박선운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2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in the national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South Korea. However, the concept remains understudied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iming to encourage rigorous discussion for content selection regarding self-identity,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eight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used in South Korea. Three different identity theories of psychology and sociology―identity theory, social identity theory, and personal identity theory―were use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were not able to provide concrete definition or even properly introduce the elements of the concept of self-identity. While emphasizing on the exploration of students’ future roles, the textbooks overlooked the perspective of developing a social identity, hindering the evolvement of a comprehensive viewpoint of self-identity. The theory of looking-glass-self was frequently mentioned in the textbooks, but there is a potential risk of building a false understanding of the alluded concept.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and theories concerning self-identity in social studies textbooks must be critically examined and reconstructed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holistically explore and comprehensively develop their own self-identity.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국가 교육과정 및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자아 정체성 확립을 중요한 교육 목표 중 하나로 언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과교육 내에서 이에 대한 논의는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 자아 정체성의 ‘어떠한’ 내용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자아 정체성을 설명하는 세 가지 이론인 일반 정체성 이론(identity theory), 사회 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ry), 개인 정체성 이론(personal identity)을 살펴본 후, 세 이론의 관점에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집필된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자아 정체성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자아 정체성은 포괄적이고, 비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으며, 미래의 역할 탐색을 강조하고 사회 정체성 관련 내용은 제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아 정체성과 관련하여 거울자아 이론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아 정체성 발달과 확립을 돕기 위해 사회과교육에서 자아 정체성의 다양하고 통합적인 관점을 반영하며, 보다 심화된 논의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 KCI등재

        현대 한국교회 청소년의 기독교 신앙 자아정체성을 위한 기독교 교육적 책임

        강문규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심리 사회적 발달 심리학자 에릭 에릭슨(Erik H. Erikson)은 사람의 인생 사이클을 8단계로 나누고 그중 다섯 번째 단계에 속하는 청소년기를 자아정체성이 정립되는 시 점이면서 동시에 정체성 혼란이 오는 기간으로 설명하였다. 이는 곧 심리적인 위기를 묘사하는 것이지만, 동시에 학자들은 이를 비관적이고 회의적인 관점으로만 보지 않 고 오히려 자아의 성장과 성숙의 변환점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구 체적으로 표현하자면 정서적인 혼돈과 갈등 가운데서 본인의 정체성을 확정하여 미래 의 자신을 디자인해 나가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사람이라면 필히 갖추어져 있어야 하는 요건인 자아정체성은 인간의 발달이 평생 에 걸쳐서 계속된다는 심리적인 발달이론의 근거에 의하면 지속적으로 작용되는 심리 적 요소로 분석된다. 특히 청소년들이 본인들의 현존에 대하여 확고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미래에 더 나은 건강한 삶을 위해 당연히 필요한 것이다. 현대 사회를 경험하고 있는 교회 성도들이 세상과 차별되는 크리스챤으로서의 기독교 신앙적인 정 체성을 구성하고 계속적인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조치하는 문제는 일반인들의 것보다 심각하고 시급하게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청소년기는 육체적인 성장과 더불어 사회 심리적으로도 변화하는 시기이다. 이 시 기는 자아가 본격적으로 구성되는 때이므로 인생의 여러 과정에서 제일 핵심적인 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에릭슨은 청소년기를 되어져야 하는 본인의 형태와 삶의 개념 을 인지하기 위해 몸부림치는 정체성 위기로 규정하였다. 에릭슨이 언급한 것에 기초 하면 청소년기는 단지 성인으로 변화해 가는 불안정한 유형을 가진 단계가 아니라 자 아정체성이 확립되는 시기이다. 현대 청소년을 위한 교육은 전반적으로 인격적인 면을 지향하기보다는, 급속도로 변화하는 산업과 사회 상황에 적응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교육의 본질이 심하게 훼손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청소년들은 인간의 생명과 인성을 경시하는 경향 을 보이며, 원래 인간이 지향해야 하는 본연의 의(義)가 사라져 가고 있는 상황에 이 르렀다. 이러한 것을 시정(是正)하여 인간 원래의 모습을 재현하고 근본적으로 인간이 지니고 있어야 하는 근원적인 의를 회복하는 교육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기독교 청 소년에게 있어서 신앙적인 자아정체성에 대한 기독교 교육의 책임이 절실하다는 것에 대한 인지는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상기 논문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기독교 신 앙적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하여 기독교 교육적인 관점에서 논의하려고 하는 목적과 더불어 그들의 건전한 신앙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현대 한국교회가 기독교 교 육적인 책임을 지고 그에 대한 역할수행을 촉구하는 것에 그 중점을 두고 있다.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al psychologist Erik H. Erikson divided a person's life cycle into eight stages and identified the fifth stage as adolescence, which is a period when self-identity is established and identity confusion can be experienced at the same time. This description may imply a psychological crisis, but some scholars recognize it as embodying a turning point for self-growth and maturity, rather than consider it only from a pessimistic and skeptical point of view. More specifically, the crisis can serve as a driving force in establishing one's identity in the midst of emotional confusion and conflict and designing the future self. Self-identity, one of the essential human conditions, works throughout one's life,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al theory that human development continues over the whole life cycle. In particular, it is definitely necessary for adolescents to establish a solid self-identity regarding their presence in order to lead a better and healthier life in the future. It is also thought that measures for helping believers who have faced with changes in modern society to establish their identity based on their faith as Christians,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the secular world, and maintain it should be of greater importance and urgency than measures for non-believers. Adolescence is a period involving social and psychological changes along with physical growth. During this period, one's ego is constructed substantially, which makes it the most essential phase among the various stages of life. Erikson defined adolescence as the identity crisis that involves a struggle to recognize what one should become and the concept of life. From his perspective, adolescence is not just a stage of instability found in the transitional process to adulthood, but a period when self-identity is established. Education for modern youth has been tilted to adaptation to rapidly changing industrial and social conditions, rather than character building, thus severely degrading the essential value of education. Some of the consequences are proclivity for belittling human life and dignity in many adolescents and the loss of the sense of righteousness that humans should pursue. It is thus required that these problems be rectified and education be conducted to help restore the original human condition and the fundamental sense of righteousness that humans must hav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Christian education has a heavy responsibility for the formation of faith-based self-identity in Christian adolescents. This study therefore focuses on discussing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 faith based self-identity in adolescents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and urging today's Korean Churches to take responsibility for promoting Christian education and play a due role in providing such education in order to help establish a sound identity based on faith.

      • KCI등재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내면성’이 근대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 찰스 테일러의 『자아의 원천들』을 중심으로

        강윤형 한국동서철학회 2024 동서철학연구 Vol.0 No.111

        이 글은 근대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아우구스티누스의 ‘내면성’이 미친 영향을 찰스 테일러의 관점을 통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테일러는 현재 우리가 갖는 자아라는 내적 심연, 즉 내부/외부와 같은 위치 구분이 우리가 자신을 해석하는 많은 방식 중 하나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내면화’는 근대 이전 아우구스티누스를 통해 내면성으로 제기되었는데, 그에게 내면성은 하나님의 빛을 향해 자기 안으로 찾아가는 자기 인식에 해당한다. 자기 인식이 중요한 것은 이것이 인간 스스로 생각하는 일인칭 관점의 시작점이라는 데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플라톤의 이데아 정식을 수용하여 내면성을 구축한다. 데카르트는 이를 새로운 의미의 ‘코기토’로 전환하였고, 이로써 아우구스티누스와 거리두기를 통한 ‘생각하는 나’가 구성된다. 구성이라는 의미에서 내면화는 실제의 세계가 아닌 만들어진 일종의 기획이었다. 그리고 이는 계속해서 도덕적 이상과 시대의 요구를 받아들이며 하나의 세계상을 만들어 내며 지금에 이른다. 테일러는 이것이 바로 근대의 자아정체성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자아정체성은 고정된 것이 아닌 시대의 흐름에서 개인이 선택하는 어떤 표현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사람의 자아정체성은 데카르트의‘나는 생각한다’라는 거리두기에 의한 이성의 합리성에만 의존할 수 없다. 사람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자신이 살아가는 문화, 즉 언어, 습속, 사회적 가치관 등을 통해 자아정체성을 정립한다는 점에서 완전한 의미에서 개인은 존재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개인과 자아정체성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이룬 변화는 일인칭 차원으로의 전환이 보다 고차적인 상태로 접근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는 점, 그리고 도덕의 원천들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있어 의지를 통한 새로운 반성의 경로를 열었다는 점이다. 이로써 우리는 인간을 근본적 반성성에 의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도덕적 선택을 하는 존재로 평가하게 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내면성은 근대 자아정체성을 다양하게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근대 자아정체성과 관련하여 아우구스티누스의 내면성은 새롭게 평가되어야 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정체성 지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차이

        조애리,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1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cop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ccording to their ego identity statuses. 336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Kyong-k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dministered the Korean Version of Extended Objective Measure of Ego Identity Status Ⅱ(EOM-EIS Ⅱ) and the Korean Version of Coping Strategy Indicator(CSI).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ho are in the achievement and moratorium statuses used more problem-solving focused strategy than those who were in the diffusion and foreclosu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ing social support seeking and avoidance strategies.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achievement status was related with problem-solving focused strategy, and inversely related with avoidance strategy, while diffused status was related with avoidance strategy and inversely related with problem-focused strategy. The foreclosed status was inversely related with problem-solving strategy, and moratorium status was related social support seeking and avoidance strateg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dividuals in more mature ego identity status would cope with stressful situations more actively and effectively.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정체성 지위와 그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차이를 검증한 연구이다. 경기도와 서울에 소재한 교육대학과 일반대학의 학생들 336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정체성 지위 검사와 스트레스 대처전략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아정체성 지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자아정체성 지위와 학교 유형,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을 위해 다변량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아정체성 지위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아정체성 성취 지위와 유예 지위에 있는 학생들이 조기완료, 혼미 지위에 있는 학생들에 비해 문제해결중심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 전략과 회피 전략에서는 자아정체성 지위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정체성 지위와 학교 유형,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자아정체성 지위와 스트레스 대처전략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성취 지위의 경우는 문제해결중심 전략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회피중심 전략과는 역상관을 보였다. 혼미 지위의 경우는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과는 역상관이, 그리고 회피중심 대처전략과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기완료 지위는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과는 역상관이 있었으며, 유예 지위는 사회적지지 추구 전략과 회피전략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살펴볼 때 성취나 유예와 같이 성숙한 자아정체성 지위에 있는 개인들이스트레스 상황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대처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도덕적 정체성과 자아해석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효과

        박명진 ( Myung Jin Park ),박종철 ( Jong Chul Park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부의도와 관련하여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요인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과거 연구자들은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기부동기가 소비자의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해왔는데, 본 연구는 소비자의 자아해석(self-construal) 성향과 도덕적 정체성(moral identity) 수준에 따라 소비자의 기부 행동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즉, 도덕적 정체성이 소비자의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개인의 도덕성 수준과 더불어 자아(self)의 특성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정체성이 낮더라도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성향을 지닌 사람들의 경우에는 기부의도가 더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도덕적 정체성이 높은 소비자들이 도덕적 정체성이 낮은 소비자들에 비하여 기부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덕적 정체성이 높은 소비자들은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보게 되면 소비자들의 스키마 구조에서 도덕성과 관련된 개념들이 활성화되고, 이렇게 활성화된 도덕성이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자신의 일로 간주하게 만들며, 나아가 다른 사람의 복지를 고려하면서 도덕적 포함 범위를 더욱 넓혀가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제시해준다. 또한, 소비자의 자아해석 유형이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도덕적 정체성 수준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성향을 지닌 사람들은 도덕적 정체성의 수준에 관계없이 기부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독립적 자아해석 성향을 지닌 사람들은 도덕적 정체성 수준이 높을 경우에만 기부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기부와 관련하여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도덕성과 관련된 인식도 중요하지만,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자아(self) 구조의 특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제시해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비영리 기관이나 CSR활동 관련 기업들이 개인이 지니고 있는 도덕적 정체성과 자아해석 성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기부자에 대 한 고객관리 구축 시 기부자의 성향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With growing interest in the influencing factors on donation behavior, this research has examined the roles of moral identity and self-construal on the donation intention. Despite a long tradition of research on donation behavior, little is known about the impact of moral identity and self-construal. To fill this gap in the literature, the research examined how selfconstrual and moral identity, respectively, influence donation intention in an experimental setting. So, this research proposed an individual``s moral traits related to morality and self traits as influencing factors on the donation intention. For the experiment, one hundred fifty-two undergraduate students taking an introductory marketing class participated in the between-subjects design experiment in which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priming condition or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priming condition using the procedure used in previous studies. In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condition(vs. independent self-construal condition),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write down ten ‘We’ priming sentences (vs. ‘I’ priming sentences) associated with travel that they had experienced in the past or expected to experience in the future. After completing the priming tasks, the participants were evaluated with moral identity, IOS, pride, and donation intension scal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two phases. The first phase was H1 analysis. And in the second phase, mediating effects of the pride and IOS(inclusion of other in the self) were examined(H2, H3). According to the results, moral identity positively influenced on donation behavior. Namely, when moral identity was high, consumers`` donation intention tended to be raised. Also, the result of the two-way interaction showed that donation intention of consumers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ended to be raised regardless of moral identity level. However, donation intention of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was raised only when their moral identity was high. Above all, it also provides some insights for the nature of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constructs. Besid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test, there was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ride in the relations between self-construal and moral identity and consumers`` donation intention.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o demonstrate the relevance of moral identity as a predictor of donation intention as well as to suggest self-construal as a moderator these relation. These findings should be useful for managers of nonprofit organizations as well as managers of companies engaging in charitable work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ives. Although fund-raisers cannot change their donors`` moral identities, they can influence the salience of moral identities through advertising and fun-raising campaigns. Moral identity may not be easily measurable in consumers, but it is possible for organizations(nonprofit organizations) to prime moral identity.

      • KCI등재

        블라지(Blasi)의 자아 모델에 대한 비판적 평가

        추병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6 No.1

        도덕적 동기화에 관한 연구와 이론들은 오랜 기간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정서의 역할에 주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도덕적 정체성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도덕적 정체성은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행동을 연결하는 도덕적 동기화의 원천으로 여겨진다. 도덕적 정체성은 한 개인의 정체성에 있어서 도덕성의 중요성 혹은 현저함을 포함하고 있는 용어이다. 도덕적 정체성에 관한 블라지(Blasi)의 자아 모델(self model)은 도덕적 인지로부터 도덕적 행동으로의 전환 그리고 도덕적 판단과 행위의 일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블라지는 도덕 판단이 도덕적 정체성에 근거한 책임감 판단을 통해 여과되어 자기 일관성을 향한 경향성에 의해 행동으로 추진된다면, 도덕적 행동을 더욱 신뢰성 있게 예측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블라지의 자아 모델은 도덕적 정체성이 어떻게 도덕적 행동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해 주고는 있으나, 그것을 직접적으로 입증하는 경험 연구의 부족과 자동적이고 습관적인 도덕적 행동의 기제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블라지의 자아 모델은 이상적 자아와 현실 자아와의 비교 방법, 도덕적 정화의 방법, 부모의 훈육 방법과 봉사 활동의 실천이 도덕적 정체성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eory and research regarding moral motivation has focused on for decades on the roles of moral reasoning and moral emotion. Recently, several scholars are increasingly convinced that moral identity may play an important part in moral functioning. Although several models of morality position a role for identity, Blasi's model of moral identity includes the most elaborated conception of identity and the most detailed linkages between identity and moral functioning. An individual has a moral identity to the extent that he or she has constructed his or her sense of self around moral concerns.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Blasi's self model that links moral identity with moral functioning. Blasi's insightful and intriguing ideas regarding identity and morality have inspired interest in moral identity. But there are several theoretical problems in which Blasi's model could be extended. Finally, I proposed implications of Blasi's self model to moral education. Although Blasi didn't deal with the methods of moral identity formation, there are some educational clues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ral identity in both homes and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