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수연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6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8 No.-
Diese Arbeit zeigt eine neue Moglichkeit, im traditionellen Fremdsprachenunterricht die autonome Lernfahigkeit von Lernern zu entwickeln, um die Lernerautonomie zu vergroßern und die Lerneffektivitat und Motivation zu erhohen. Kooperatives Lernen kann durch verschiedene Methoden in Verbindung mit der Entwicklung der Lernerautonomie geschehen. Dazu braucht man die flexiblen und kreativen Fahigkeiten der Lehrkrafte, die im Rahmen des Lehramtstudiums entwickelt werden sollten. Kooperatives Lernen bietet die Moglichkeit, dass die Lerner eine der jeweiligen Lernstufe entsprechende Verantwortung ubernehmen, wobei gleichzeitig Interaktionsprozesse stimuliert werden, die dazu fuhren, dass die Lerner bestimmte Sozialfahgkeiten erwerben. Diese Arbeit zeigt die konkreten Methoden des kooperativen Lernens, damit auch andere Lehrkrafte diese didaktische Methode in ihrem eigenen Unterricht verwenden konnen. In dieser Arbeit wird dargestellt, wie man im Rahmen des kooperativen Lernens zu einem Text eine Aufgabe stellen und dazu Arbeitsblatter entwickeln sowie Rollenkarten schreiben kann. Die einzelnen Stufen des kooperativen Lernens werden hier im Detail erklart. Die Rollen der Lerner in der Gruppe sind verschieden: Einer ubernimmt die Rolle als Zeitmesser, der andere die Rolle des Protokollanten, der dritte die als Materialholer usw. Wenn jeder einzelne seine Rolle und seine Aufgabe nicht bis zum Ende ausfuhrt, kann die Gruppe nicht zu Ergebnissen kommen und nicht daruber berichten. Diese Form des kooperativen Lernens kann für die Lerner und für die Lehrenden attraktiver sein als das Lernen mit absoluter Lernerautonomie, weil die Lernumgebung mit der Aufgabenstellung für beide Seiten - Lerner und Lehrende - positive und effektive Auswirkungen hat. Diese Arbeit will einen Beitrag dazu leisten, dass kooperatives Lernen größere Verbreitung findet. Weitere Studien sollten aber die Effektivität und die konkreten Ausführungsmethoden tiefergehend erforschen und vorstellen.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에 대해 책임을 지는 능력을 소유한 자이다. 이러한 능력을 가진 학습자는 학습목표, 학습내용,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평가의 면에서 혼자서 모든 것을 결정하고 전체의 학습과정을 통찰하면서 학습목표에 도달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무엇을언제, 어느 정도의 시간간격으로 어떤 학습자료를 가지고 얼마나 공부하는지를 스스로 결정하고 자신의 학습성과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능력은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고는 습득하는 것이 불가능해 보인다. 대부분의 경우, 학습자들은 학습자 자기주도성이라는 개념을 알지도못 하고 알 수도 없다. 또한 교사양성기관의 예비교사들도 자기 주도성을 증진시키는 교수방법에 대해서 접해 본 적 없는 것이 거의 대부분의경우이다. 외국어 습득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역할이 중시됨에 따라서 학습자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백세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평생교육의 현장에서 자기주도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우리나라의 제도권 교육에서는 자기주도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학생들도 학습에 대한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 하여 오직 사교육에만 의지하고 있다. 곧,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학습에 책임이 있음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에 학생들이 접근하지 못하므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자기주도성은 매우 희박하다. 자기주도성은 성장이나 발전과 관련된 학습이나 특정 능력을 습득하기 위하여 우리가 의도적으로 도달하고자 노력하는 학습목표이다. 현대외국어교육의 최대목표인 의사소통능력을 습득하기 위해서 어떤 자기주도성을 가져야 할까? 본 연구는 자기주도성의 학문적인 의미와 사회적 역할, 자기주도성을 개발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학습자들은 자신의 학습에 대해 과연 책임을 지려고 하는 것일까? 최근 연구결과는 이론적인 ‘전권적인’ 자기주도적 학습과 이와 연결되어있는 ‘절대적’ 학습자 자기주도성은 교육현장에서 성공하기가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래서 최근의 자기주도성 연구경향은 전권적인 자기주도성을 어떻게 강화할 것이 아니라 블렌디드 러닝, 학습스타일 판단에 따른 학습전략 개발, 동기강화, 자기주도성을 개발할 수 있는 제도권 내의 교수법 개발 등으로 선회하는 경향이 짙다. 이는 전권적인학습자 주도성에 대한 교육에는 부작용만 많이 있었다는 것이 이미 밝혀졌기 때문이다(Vgl. Holec 1981: 8; Little 1997: 231). 본 논문에서는 제도권 수업내에서 어떻게 자기주도성을 강화하면서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에 책임을 더 많이 지고 자신의 학습과정을 의식적으로 받아들여 효과적인 학습을 할 것인지에 대한 실질적 방법을소개하고 이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이끌고자 한다. 본 연구가 추구하는 것은 독일에서의 이미 이루어진 자기주도성에관한 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현장에서 어떻게 자기주도성 강화교육이 이루어져야하는지를 실질적으로 연구한 교수방법을 소개한다. 제도권 교육기반에서 자기주도성을 강화할 수 있는 여러 교수방법가운데에서, 협동학습을 중점적으로 소개하고, 독일어 교육현장에 적용시키는 실질적인 방법을 교재의 예를 가지고 설명한다. 본 논문을 통해 협동학습 이 어떤 구체적 실현방법을 통해 학습자들이 효율적으로외국어를 습득하는지, 어떤 책임을 학습자 ...
이정은(Jung E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생 개인, 수업 및 학교, 부모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탐색함으로써 학생의 자기주도성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 도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방법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6차 자료를 활용하여 2018년도에 고등학교 1학년인 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각 영역별 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주도성과 각 영역별 변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OVA 분석을 실시했으며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자기주도성과 각 영역별 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학교의 소재 지역 및 학교 유형에 따라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관련 변수의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별시와 대도시 학생이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자기주도성이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개인 요인은 자기이해, 자아정체감, 호기심·모험심, 탐구심 및 스포츠 관련 문화적소양이었다.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및 학교 요인은 학생참여형수업과 학생의견반영 수준이었다.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요인은 학업지원과 정서지원이었다. 결론 학생 개인, 수업 및 학교, 부모 등의 다양한 차원에서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 강화를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directednes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by di-viding them into three areas: individual students, teaching method and schools, and parents. The theoretical basis for deriving specific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students' self-directedness was presented. Methods Using the 6th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ed-ness and variables in each area was analyze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and Scheffe's post hoc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self-directedness and variables in each domai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variables in each domain. Results The level of self-directedness and related variables of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ype of school. Students in metropolitan and large cities showed higher levels than those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ownships.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elf-directedness than female students. The individual factors affecting high school students' self-directedness were self-under-standing, self-identity, curiosity/adventurousness, inquiring spirit, and sports-related cultural literacy. Teaching method and school factors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self-directedness were student participation-type classes and the level of student opinion reflection. Parental factors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self-directed-ness were their parents’ academic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Conclusions Methods for strengthening high school students' self-directedness should be sought at various lev-els such as individual students, teaching method and schools, and parents.
교육대학원생의 자기주도성 및 자기효능감이 경력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송기자,김성길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4 사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생이 지각하는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경력개발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주도성이 자기효능감에, 자기주도성과 자기효능감이 경력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3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성(평균 4.1)과 경력개발역 량(평균 3.89)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고, 자기효능감(평균 3.66)은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성의 하위요인으로부터 전반적으로 영향을 받고, 자기주도성의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은 학업적 효능감, 사회적 효능 감, 자기조절 효능감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개발역량은 자기주도성의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의 사회적 효능감, 자기조절 효능감으로부터 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원생의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경력개발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ward self-initiative,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o further analyze the factors, based on those findings, that self-initiative had effects on self-efficacy and self-initiative and self-efficacy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o achieve these,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395 students and graduat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using SPSS 26.0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initiative mean 4.1)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mean 3.89) were above average, and self-efficacy(mean 3.66) stayed at the average level. Second, self-efficacy was generally influenced by the sub-factors of self-initiative, and the self-concept of being an efficient learner with self-initiativ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efficacy, social efficacy, and self-regulation efficacy. Thir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was positive(+) influenced by love and passion for learning, self-concept as an efficient learner, social efficacy, and self-regulation effica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paper had suggested measures to increase self-initiative, self-efficacy,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의 매개역할
김요완 ( Yo Wan Kim ),박종선 ( Jong Sun Park ),전광호 ( Kwang Ho Je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의 매개역할을 확인하고자 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이 다차원적인 개념이고, 자기를 거짓 자기로 인식하지 않기 위해서는 자기주도성이 매개역할을 해야 한다고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소인 자기인지·정서와 자기지속력이 자기주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주도성이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 2,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실제 학습성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빈도분석을 통해 응답자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크론바하 알파값(Cronbach`s alpha)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에 대한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분석결과, 자기효능감은 자기인지·정서와 자기지속력이란 뚜렷한 차원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가설검증 결과,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에게 있어서 자기인지·정서가 자기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력(경로계수=0.19, t=5.38)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자기지속력이 자기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력(경로계수=0.62, t=15.60)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한편,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이들 간의 관계(경로계수=0.12, t=4.89)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어 자기주도성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자기효능감이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자기주도성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이 검증되었고, 학습상황에서 자기주도성의 중요함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clarify the mediating role of the self-dir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assumed that "self-cognition.emotion" and "self-holding" of the self-efficacy give positive impact on the self-direction, and the self-direction does on academic achievement.In this study, 2,103 adult learners in a cyber ??university were surveyed and their actual accomplishment data were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were identified with an analysis of frequency, the reliability of this data was verifi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and the validity through the exploratory se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sector analysis.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 conclusion, self-efficacy contains the "self-cognition?emotion" and "self-holding", these give positive impact on the self-direction, and self-direction does on academic achievement. This verifies that the self-direction roles as the mediating role o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elf-direction is very important in learning situation.
기업교육에서 교육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
김한나,이현정 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ffect of self-direction and education qual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job 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executives and employees who were taking long-term education for more than two week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government-consigned corporate education. For this purpos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wo-way ANOVA interac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spss 28.0. The results are as fol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quali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self-direction, first, education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 satisfaction. Second, with control of educational quality, self-direc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There was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education quality and self-direc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quality and job efficacy according to self-direction, first, education quality was foun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in job efficacy. Second, with control of education quality, self-dire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efficacy. Third, there was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education quality and self-direction on job efficacy.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생의 개인적인 특성인 자기주도성에 따라 교육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직무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서울과 경기지역의 기업교육을 수강중인 임직원 1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기주도성에 따른 교육품질과 교육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첫째, 교육품질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품질을 통제했을 때 자기주도성은 교육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교육만족도에 대한 교육품질과 자기주도성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자기주도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교육품질의 높고 낮음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자기주도성이 높은 경우 교육품질이 높을 때 만족도가 높았다. 자기주도성에 따른 교육품질과 직무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첫째, 교육품질이 직무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품질을 통제해도 자기주도성은 직무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무효능감에 대한 교육품질과 자기주도성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자기주도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교육품질의 높고 낮음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자기주도성이 높은 경우 교육품질이 높을 때 직무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초기 청소년기의 자기주도성과 학습동기 간의 관계: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영옥,서경현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ness, self-regul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arly adolescence and to verify the role of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learning motiv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90 (139 males and 151 females) students and all of them were 5th and 6th grade. In this study, self-directedness, self-regul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self-directed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learn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motivation.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behavior control ability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elf-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self–regul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f-directed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motivation and the educational and clinical role of self-regulation on the effe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자기주도성, 자기조절능력 및 학습동기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자기주도성과 학습동기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90명(남:139명, 여:151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성, 자기조절능력 및 학습동기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 주도성이 강한 초등학생일수록 학습동기 수준이 높았으며, 자기조절능력이 더 있을수록 학습동기 수준이 높았다.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기주도성이 행동조절능력 및 정서조절능력과도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는 자기조절능력이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습동기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기주도성이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그 영향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교육적이고 임상적인 역할을 시사하고 있다.
초기 청소년기의 자기주도성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임영옥,서경현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1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자기주도성, 자기조절능력 및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주도성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4개 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86명(남:138명, 여:14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성, 자기조절능력 및 인터넷 중독척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 주도성이 약한 초등학교 고학년일수록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았으며, 자기조절능력이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초기 청소년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기주도성이 자기조절 능력의 하위요인인 행동조절능력 및 정서조절능력과도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구조모형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자기주도성에서 자기조절능력을 거쳐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으로 향하는 매개경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기조절능력이 자기주도성과 인터넷 중독에 대한 효과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그 영향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임상적이고 교육적인 역할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ness, self-regulation, and internet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arly adolescence and to verify the role of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ness and internet addic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6 (138 males and 148 females) students in four regions and all of them were 5th and 6th grade. In this study, self-directedness, self-regulation, and internet addiction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et addiction level was higher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weak self-directedness and the Internet addiction level was higher in the lower self-regulation.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ness of ear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self-regul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self-regulation.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self-directedness and internet addi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f-reg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exercise effective influence on self-directedness and internet addiction and suggest the clinical and educational role of self-regulation on the effect.
대학 신입생의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 융합적 사고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주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자기 주도성과 융합적 사고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와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의 관계룰 조절하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6월 1일부터 7일까지 수도권에 소재한 4년제 A 대학교 신입생 1,988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성 척도, 문제해결력 척도, 융합적 사고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은 Process Macro 모델 7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상정된 주요 변인들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자기주도성, 문제해결력, 융합적 사고, 사회적 지지 모든 변인들 간상관이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자기주도성과 융합적 사고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문제해결력은 자기주도성과 융합적 사고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된 매개효과의 검증결과 자기주도성과 융합적 사고 간의 관계를 문제해결력이 매개하고, 사회적 지지가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분석결과를 통해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신입생 진입 프로그램 및 학교생활 적용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도출하고, 이를 위한 실제적 방안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비대면 전공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과의 관계 :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
이주연,오재우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비대면 전공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몰입과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관계를 파악 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8월 1일부터 30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습동기는 학습몰입, 학습관련 자기주도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습동기와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의 관계 역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동기과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으로 분석되었으며,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은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 에서 부분 매개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은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에 중요 요 인이므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immers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30,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WIN 22.0 program. The learning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rning immers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immersion ar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self-direction was a partial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immersion. Learning motiva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nursing students' learning immers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refore,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should be prepared for learning immersion. Therefore, nurs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is an important factor for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immersion, and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at should be prepared.
이러닝 환경에서 성인의 자기주도성에 따른 학습전략 활용도의 차이
최경애 한국교육개발원 2009 한국교육 Vol.36 No.2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학습전략의 활용이 요구된다. 성인교육 분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습전략의 활용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과 관련이 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맥락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학습전략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원격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Guglielmino의 검사지를 수정하여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검사하고, 이러닝 맥락에서 사용되는 제 유형의 학습전략 활용도를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학습자들을 자기주도성 상, 중, 하 집단으로 나누고, 세 집단 간에 학습전략의 활용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성인학습자의 학습주도성은 1.21~4.96 수준에 분포하였으며, 학습전략의 활용도는 기억숙달전략을 제외한 모든 전략에서 보통 이상 수준이었고, 수강집중, 동기관리, 전이·적용, 과제수행 등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별로 자기주도성 상, 하 집단은 동기관리가 가장 높고, 중 집단은 효율적 읽기가 가장 높은 등 집단 간에 활용도는 전략별로 차이가 있었다. 자기주도성 상, 중, 하 집단 간에 활용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전략은 시간관리, 동기관리, 메타인지, 구조확인, 수강집중, 상호작용, 정보관리, 이해중심 읽기, 비판적 읽기, 과제수행, 전이·적용전략 등 11개 전략이었으며, 노트하기, 효율적 읽기, 기억숙달 등 3개 전략은 집단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전략 활용도의 사후검증 결과는 동기관리, 수강집중, 비판적 읽기, 전이·적용 등 4개 전략에서는 학습주도성 상-중, 상-하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나머지 7개 전략에서는 상-중 집단 간에만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학습주도성 중, 하 집단 모두 학습전략에 대한 지도를 필요하며, 특히 학습주도성 중 집단이 학습전략에 대한 지도 및 안내를 더욱 절실히 요구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the using levels of learning strategies and adult learners' self-directedness in e-Learning. The subjects were 286 students of cyber graduate school. And they were given a SDLR(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st revised from Guglielmino's and ULLS(Using Level of Learning Strategy) test. The data has been treated with SPSS 12.0 window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ult learners' self-directedness ranged from 1.21 to 4.96. Second, the order of using levels of learning strategies was lecture listening, motivation management, transfer and application, doing assignments, outline check, meta-cognition, time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etc. Third, the discrepancies of the using levels of learning strategies among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 in 11 learning strategies(time management, motivation management, meta- cognition, outline check, listening, transfer & application, doing assignments, interaction, information management, etc.) except 3 strategies(efficient reading, note-taking, memorizing).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learning strategy was motivation management in high and low group of self-directedness, but in mid group, it was efficient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