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의 관련성 : 변화추이 및 인과적 방향성 검토
양명희,이경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2
많은 연구들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가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여 이들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습장면에 나타나는 자기조절적 현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자기조절 수준에 따른 성취도 변화 추이와 이들 간의 인과적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조절 전략을 잘 활용하는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은 시간에 따라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자기조절학습 상위집단이 학업 성취도가 높고 성취도의 평균 성장률도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과 학업 성취의 두 변수간의 상호적 인과관계를 볼 때, 자기조절학습은 이후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학업성취도 또한 이후의 자기조절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영향력의 크기는 성취도가 이후의 자기조절학습에 주는 영향력이, 자기조절학습이 이후의 성취도에 주는 영향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일 시점에서 설명할 수 없었던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련성에 대한 새로운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제시되어 있다. Despite the extensive research on self-regulated learning, more studies are needed that use longitudinal design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and change of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major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KELS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of 6,224 students in KEL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bo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table over time. Secondly, students who showed a higher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chieved more over time, compared to students who had a lower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Thirdly,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vice versa. The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was greater than the other way around. Implications of findings in this study are discussed.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멘토의 피드백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심현(Sim Hy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멘토의 피드백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를 규명한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경상남도 농산어촌 35개 초등학교의 4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멘토의 자기조절학습요소 피드백은 자기주도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행사하며, 자기주도적은 자기조절 학습 중 인지조절, 메타인지조절, 동기조절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는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 학습의 동기조절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조절, 메타인지조절, 행동조절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6개월 동안 멘토가 직접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수행한 결과를 측정하였으며, 온라인 학습에서 멘토의 자기조절학습 요인의 피드백이 자기주도학습과 학업성취의 변화를 이끈 요인을 밝혀 차후의 수업활동에서 활용가능성을 높였다는 사실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ntor self - regulated learning sub - factors on students self - 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realize this aim, 457 elementary schools in 35 rural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in Gyeongsangnam - do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ntor s self - regulated learning factor feedbac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 - directedness. Self - directed mediates between cognitive control, meta - cognition control, motivation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self - 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hird, motive control of self-regulated lear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but cognitive control, meta-cognitive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This study measured the results of a 6-month interaction with a mentor.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the self - regulated learning process of self - regulated learning factors in online learning revealed the factors that led to the change of self - 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is significant because i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use in learning activity.
이명진(Lee,Myung-Ji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39
이 연구에서는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교육학 분야에서 다루어져야 할 자기조절 연구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자기조절 연구들의 문제점으로는 자기조절의 정의와 용어의 불명확성, 자기조절 과정에 대한 직접 측정도구의 낮은 사용성, 그리고 탈맥락적이고 통합적인 자기조절 훈련 프로그램의 희귀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연구자들 간에 자기조절의 개념과 용어의 통일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자기조절의 인지 및 행동의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접근성이 높고 해석이 용이한 자기조절의 직접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자기조절 역량향상을 위하여 탈맥락적이고 범주 통합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학교장면 뿐 아니라 다양한 맥락에서 한 개인을 자기 조절적 인간으로 만들기 위한 실제적인 훈련 방안을 제공할 것이며,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스스로 학습하는 인간을 만들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on self-regulation,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usses future challenges for self-regulation in education studies. The main problems with self-regulation research are diverse interchangeable terms and fuzzy definitions of self-regulation, absence of a direct measuring method of self-regulation, and absence of a self-regulation practice program and teaching guidelines. In order to solve three problems, firstly, researchers should consolidate the terms and definitions of self-regulation. Secondly, researchers need to develop a direct measuring method that is accessible and easy to interpret the results of. Lastly, researchers should develop embodied teaching guidelines for improving self-regulation. This research will lead people to self-regulate in learning and everyday life, and will be the basis of people learning, which is the eventual goal of education.
양용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5 사고개발 Vol.11 No.3
Self-regulated learning(SRL) along with intelligence, motivation and previous knowledge has appeared as a major factor of academic achievements. Recently, it is known that whereas the variance of intelligence affect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akes a part about 10% point, the one of SRL does about 18% point. It suggests that SRL could be a new strategy to make the difference narrow amo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its components, and acquisition models of SRL to explore the conditions of instruction for developing SRL ability. The components of SRL have explored with a variety of factors by researchers, but in this study they are presented as included in the categories of cognition/meta-cognition, motivation/affection, and behavior/contexts. The acquisition models of SRL are examined with a circular phase model(forethought→ performance→ self-reflection) and a sequential developmental model (others-regulation→ co-regulation→ self-regulation). The conditions and strategies of instruction for developing and facilitating students’ SRL abilities are presented based upon those SRL’s components and acquisition models. And on the basis of conditions and strategies of instruction presented i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on SRL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re suggested. 자기조절학습은 지능, 동기, 선행지식과 함께 학업성취의 새로운 주요한 변인으로 등장하였다. 최근에 지능은 학업성취에 미치는 변량이 10% 정도인데 비해서 자기조절학습은 약 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Veenman. 2011). 이것은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자간 학업성취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새로운 도전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래서 이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의 조건을 탐구하기 위하여 자기조절학습의 개념 및 구성요소와 습득모형을 탐색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을 구성하는 요인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인지/초인지, 동기/감정과 행동/맥락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로 정리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의 습득모형은 순환적 단계모형(전사고→수행→자기성찰)과 순차적 발달모형(타인조절→공동조절→자기조절)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와 습득모형을 통해서 자기조절학습의 능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주요한 수업의 조건과 전략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의 조건과 전략을 바탕으로 장차 자기조절학습의 교수-학습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온라인·오프라인 자기조절학습 비교와 상호 영향에 관한 연구
김주현(Ju-Hyun Kim),이경숙(Kyung-Sook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6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오프라인 자기조절학습과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을 비교하고 두 변인 간 상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하였다. 방법 충청남도 A시와 Y군 소재 4개 학교의 고등학생 952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자기조절학습과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그리고 하위 변인, 성적 수준, 자율학습장소에 따른 학습시간을 측정하였다. 비교 연구를 위해서 SPSS 22.0 version을 통해 상관분석,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하였고, 오프라인 자기조절학습 및 하위 변인과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및 하위 변인 간 양방향 상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성별 비교에서 여학생이 온라인 자기조절학습과 온라인 행동조절에서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평균 점수가 높았다. 둘째, 성적수준 비교에서는 오프라인 자기조절학습, 인지조절, 행동조절 그리고 온라인 행동조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자율학습장소에 따른 학습시간 비교에서는 오프라인 자기조절학습,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온라인 행동조절에서 통계 결과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오프라인 자기조절학습과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간 상호 영향 연구결과는 서로 양방향으로 영향을 주며,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유사한 수치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고등학생들이 오프라인 자기조절학습과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사가 수업 방법 설계와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에 따라서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offline and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ontext of COVID-19, and to examine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hese two variable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on 952 high school students across four schools located in A City and Y County of Chungcheongnam-do, measuring self-regulated learning and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sub-variable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spot according to self-study time. For comparative research,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hrough SPSS 22.0 version,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off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its sub-variables and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its sub-variables. Results First, in the gender comparison, female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s in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online behavior control than male students. Second, in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comparison, offline self-regulated learning, cognitive control, behavior control, and online behavior contr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the comparison of learning time based on self-study spots,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significant in offline self-regulated learning,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online behavior control. Finally, the results of the mutual influence study between off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showed that they influence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was similar.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need systematic guidance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 design and the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o that high school students can actively use self-regulated learning and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무엇이 소비를 후회스럽게 하는가? : 자기조절능력과 비이성적 소비행동을 중심으로
유현정,김수진,김영림,안보름,전현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2
산업혁명 이후 경제적 풍요로움은 필수재 구매 중심의 소비에서 보다 다양한 욕구충족을 위한 재화 및 서비스 의 구매로 소비의 영역을 확대시켰고 아울러 인간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고도 산업사회를 지 나 정보사회로 진입하면서 소비자들은 넘쳐나는 재화와 정보 중 무엇이 소비자에게 진정으로 필요하고 유익한 것 인지를 평가하고 선택하는 데 점점 더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소비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은 약화되고 순간적인 소 비충동이나 과시적 욕구, 무분별한 타인의 모방 등과 같은 비이성적인 소비행동은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매 후 후회를 야기시키는 요인으로 자기조절능력 및 비이성적 소비행동에 주목하였다. 자기조 절능력 및 비이성적 소비행동이 후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청주시에 거주하는 성인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이성적 소비행동 중 과시소비성향이 구매 후 후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즉, 과시소비를 많이 하는 소비자일수록 구매 후 후회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 변인이 구매 후 후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저학력 소비자일수록 구매 후 후회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능력이 크고, 학생이 다른 직업인에 비해 자기조절능력 수준이 낮았으며,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자기조절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특성에 따른 비이성적 구매행동 분석에서는, 여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비교적 충동소비를 많 이 하고, 소득이 높을수록, 학력수준이 낮을수록 충동소비, 모방소비, 과시소비, 보상소비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자기조절은 비이성적 소비행동 중 보상소비에만 영향을 미치고, 구매후 후회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기非조절은 충동소비와 모방소비, 과시소비, 보상소비의 모든 비이성적 소비행동에 영 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구매후 후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비이성적 소비행동에서는 과시소비가 구매후 후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심적 계정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휘,설하린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5 No.1
People who pursue long-term goal experience the depletion of self-regulatory resources. This study suggests how to control oneself in the state of depletion. When someone experiences ego depletion, self-control becomes difficult. However, standards-setting and self-monitoring can help self-control even after the ego-depletion, by allowing us to use self- regulatory resources efficiently. Especially, mental accounting can make standards and accordingly monitors oneself, so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on self-control in an ego-depletion state. There are two levels of mental accounting; specific and general. We assume that in a state of no ego-depletion, specific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on self-control, while in an ego-depletion state general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That is because general mental accounting triggers less anticipated self-control perception than specific mental accounting, which does not lead to too much pressure on self-control when the self-regulatory resources are already impaired(an ego-depletion state).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as 2(ego depletion existence / or not) x 2 (mental accounting: general / specific) and measured self-control intention of each group. We verified our hypothe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those who experience ego depletion and need self-controlling it is more effective to use general mental accounting than specific mental accounting. 본 연구는 장기적 목표 추구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자기조절자원의 소진 상황에서도 꾸준히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기조절자원이 소진되었을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기 통제를 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기준과 자기 감시가 자기 조절 자원의 소진 이후에도 효율적으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자기조절자원 소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자기 통제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가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자기 감시를 하도록 하는 심적 계정이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을 극복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심적 계정은 계정을 엄격하고 세분화하여 나눈 ‘구체적 심적 계정’과 계정을 유연하고 모호하게 설정한 ‘포괄적 심적 계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 때,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없을 경우에는 ‘구체적 심적 계정’이 효과적일 것으로 가정하였다. 반면 소진이 있을 경우에는 ‘포괄적 심적 계정’이 ‘구체적 심적 계정’에 비해 이후 자기 통제를 더 해야 한다는 예측된 자기 통제 지각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기조절자원의 소진 이후에는 포괄적 심적계정이 자기 통제에 더 긍정적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조절자원소진 여부(유/무) x 심적계정 수준(포괄적/구체적)의 연구 디자인을 설계하였으며, 각 처치 이후 자기통제 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있을 경우보다 없을 경우 자기통제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없을 경우에는 ‘구체적 심적 계정’을,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있을 경우에는 ‘포괄적 심적 계정’을 활용하는 것이 자기통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기적 목표 추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심적 계정이 포함하는 기준과 자기 감시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김갑수 한국정보교육학회 201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9 No.1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에 컴퓨터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컴퓨터 교육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에는 교수 학습 모델이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자기조절 학습을 할 수 있는 자기 조절 학습 모형을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 조절 학습 요소, 자기 조절 학습 단계와 자기 조절 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자기조절 학습 요소는 과제 수준, 일반화, 효율화이다. 자기조절 학습 단계는 문제이해, 설계, 코딩, 시험, 유지보수이다. 자기조절 학습 모델은 복사하기, 변형하기, 창조하기, 도전하기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 요소들과 성취도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효율화와 일반화가 과제 수준보다 더 높았다. 학습 단계에는 문제 이해와 설계 단계가 다른 단계보다 더 높았다. 학습 모형에서는 변형하기, 창조하기, 도전하기가 구현하기보다 상관관계가 더 높았다. Information and knowledg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computer education is very important. Computer programming education in computer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here are very few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computer programming education. In this paper, we develop a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for students to be self-regulated learning. In this study, we propose self-regulated learning elements, a self-regulated learning steps and self-regulated learning modele. Self-regulated learning elements are task level, generalized level, and efficiency level. Self-regulated learning phases are problem understanding, design, and coding, testing, and maintenance. Self-regulated learning models are to copy, to modify, create, and to challe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Correlations between learning elements and achievement, generalized level, and efficiency level are higher than the task level. At Correlations between learning and achievement, Understanding and design stages are higher than the other stages. At Correlations between learning model and achievement, to transform, to create, and to challenge are higher than to copy.
프로젝트 기반 협력학습이 의대생의 자기조절 학습능력개발에 미친 효과
시지현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1
The study of designing learning contexts where learners can train and develop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projec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context on self-regulated learning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in one medical school. In this learning context, the students worked in a mixed group composed of the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igh, medium and low). It also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co-regulation that occurred during collaboration, their pre and pos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s well.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e relationship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pr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s well. For this, 50 second-year medical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scientific thinking and medical research’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n mixed groups were composed, each group with 5 students, one from the high level, two from the medium level, and two from the low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questionnaire implemented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In the class, the students in a mixed group conducted authentic research for ten weeks. After finishing their research, they filled out the same self-regulated learning questionnaire and co-regulation questionnaire online.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collaborative learning context is effective to develop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the learners with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a similar level of co-regulated activities to the learners with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is co-regulated activities had the cor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uch connection was particularly strong for the students with the medium level of pr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se results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for development of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최근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자가 자기조절학습을 훈련할 수 있는 학습맥락설계에 관한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 의과대학에서 실제적인 의학연구를 진행하는 프로젝트 기반 협력학습에서 소그룹 구성을 자기조절학습능력 상중하 수준의 학습자를 모두 포함하는 혼합그룹으로 구성하여 이러한 학습맥락이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개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상이한 학습자로 구성된 소그룹에서 발생하는 협력조절이 학습자의 사전 사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전 자기조절 학습능력 수준별 자기조절 학습능력 개발 및 협력조절과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는 한 의과대학에서 프로젝트 기반 협력학습으로 설계된 ‘과학적 사고와 의학연구’과목을 수강한 의예과 2학년 학생 50명이 참여하였고 이들은 학기 초에 실시된 사전 자기조절학습검사 점수에 따라 상 중 하 세 집단으로 나누어져 상위집단에서 한명, 나머지 중 하위 집단에서 각각 두 명씩 5명씩 한조를 이루어 10주 동안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프로젝트를 끝낸 후 사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협력조절에 관한 데이터는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상이한 학습자로 구성된 소그룹에서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는 협력학습맥락은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개발에 효과적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와 함께 협력조절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보다 낮은 학습자들도 조절활동에 비슷한 수준으로 참여하게 하며 이러한 협력조절은 자기조절 학습능력개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중간 수준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가진 집단에서 이러한 관계가 가장 크게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개발시킬 수 있는 여러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개발을 위한 교수설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웃도어 의류를 이용한 소비 자기조절초점 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성용,나준희,이용기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