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기결정성 이론의 코칭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한주,김현수 한국코칭학회 2016 코칭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코칭과 자기결정성이론의 관계를 고찰하고 적용점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 시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결정성 이론을 이루고 있는 인지평가이론, 유기체통합이론, 인과성지 향이론, 기본심리욕구이론, 목표내용이론 및 관계동기이론의 핵심적인 내용을 기술하고, 코칭 과의 관련성 및 적용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기결정성 이론의 인간관은 인본주의 철학을 기 반으로 한 코칭 패러다임과 맥을 같이하며, 자기결정성 이론이 코칭철학에 심리학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둘째, 코칭 과정에서 자기결정성 이론을 고객과의 관계 맺기 및 목표 설정에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자기결정성이론으로 코칭의 중요 기술인 경청, 질문, 피드백과 고객의 기본심리욕구와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코치의 개입은 고객의 자 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충족시키는 차원에서 활용할 때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코칭 환경과 코치 자신에 대한 이론의 적용과 관련하여, 단기성과에 대한 압박의 해결과 코치 자신의 심리 적 욕구를 보살피는 노력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자기결정성이론은 코칭의 학문적인 토대 를 강화하고, 실제 코칭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주목해야 할 이론이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Theory(SDT) to Coaching. SDT is comprised of six sub-theories, and each theory was developed to explain motivation-based phenomena. Those sub-theories are Cognitive Evaluation Theory, Organismic Integration Theory, Causality Orientations Theory,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Goal Contents Theory, and Relationships Motivation Theory. Four directions were proposed for the application of SDT to Coaching. First, the SDT‘s human-being perspectives and Coaching’s Humanism philosophy can be compared, and it can be suggested that SDT may provide psychological evidence for Coaching. Second, SDT can be utilized for Coaching in the process of making effective coaching relationship and setting optimal coaching goals. Third, SDT could possibly explain how coaching skills like active listening, questioning, and feed-back can fulfill the basic needs of clients. Finally, it was discussed how SDT can be applied to a coach him/herself and the coaching environment. Short-term performance pressures and the pressures of accountability are formidable impediments to effective coaching.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se pressures and take care of the coach him/herself by fulfilling the coach‘s basic psychological needs as well. SDT is worth further study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of coaching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 KCI등재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성화 프로그램이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남희,이태희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3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성화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무동기군과 외재적 동기군, 부과된 동기군, 확인된 동기군, 내재적 동기군 모두 특성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에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이 높아졌으며, 특성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는 동기군 중에 특히 내재적 동기군이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은 특성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에 자기결정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특성화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며, 특성화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기결정성이 점차 내면화되어 자기결정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따라서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특성화 프로그램 실시에 있어 자기결정성이론의 통합적 적용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특성화 프로그램 설계시 방향 설정과 운영 시에 기초자료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서비스 접점에서의 고객참여, 그 자발적 결정요인과 서비스 품질에의 영향 : 자기결정성이론을 중심으로

        서문식(Suh, Mun Shik),안진우(Ahn, Jin Woo),노태석(Rho, Tae Se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10 소비문화연구 Vol.13 No.2

        Service, unlike goods, requires customer participation in service delivery and producing process necessarily. Due to the fact that service quality depends o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ustomer participation, many a researcher has paid much attention to the variable of customer participation. However, some studies on customer participation examined the environmental variables in business aspects as antecedents of customer participation; some others considered only superficial variables regarding customer aspects. Even though it is important for us to know why customers psychologically participate in service encounter, many existing researches have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on these psychological reasons for customers to participate in service settings. This paper focuses on customers' psychological aspects which refer to the basic elements of voluntary participation. The fact that customer’s self-determination can influence the effect of relationship strategy a firm implements means that self-determination composed of autonomy, confidence, relatedness can address the way a customer participates. It also can have an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ultimately. We’d like to find out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customer participation through this approach which self-determination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service success or relationship development. In other words, we can learn how customer participation triggered by self-determination influences customer's behavior and emotion in service encounter. Further, we can get a kind of global framework whether it can improve service quality or not. As results, we found out that autonomy, confidence, and relatedness which consist of self-determination had all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participation significantly. Customer participation could improve not only perceived customer’s encounter satisfaction positively, but service quality as well. In addition to these main effects, the higher self-determination and customer participation are, the higher perceived customer's encounter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re. It means that self-determination could be good antecedents of customer participation, customer’s behavior in encounter,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Since customer participation, encounter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can be influenced by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determination, firms want to improve service quality need to provide the individualized choice rights during service producing and delivery process with their customers without hindering their efficiency. 서비스 산업에서는 유형적인 재화와 달리 생산 및 전달과정에 고객참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고객참 여의 내용과 질에 따라 궁극적으로 서비스 품질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서비스 산업에서의 고객참여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고객참여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고객참여의 선행변수에 대해 기업측면의 상황적 요인과 같이 단순한 환경적인 변수들과 고객측면의 피상적인 변수들에 대해서만 살펴 보고 있다. 심리적으로 어떠한 이유에서 고객들이 더욱 서비스 상황에 참여하게 되는지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 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부분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자발적 참여의 근본적인 원 인이라 할 수 있는 고객의 심리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고객의 자기결정성 여부에 따라 기업이 수행하는 관계전략에 대한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은 자율성, 유능성, 관 계성을 구성요소로 하는 자기결정성에 따라 고객참여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고, 서비스 품질도 궁극적으로는 영 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고객참여의 심리적인 요인에 대해 파악하기 위함이며, 자기결정성 의 여부가 서비스의 성공과 관계발전의 중요한 결정인자라는 사실에 기반을 둔 것이다. 즉, 자기결정성에 의한 고객참여가 접점들에서의 고객행동과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더 나아가 지각된 서비스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전체적인 프레임워크를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 자기결정성의 구성요소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은 모두 고객참여를 향상시키는 주요한 고객의 심리적인 선행요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고객참여는 고객의 지각된 접점만족을 거쳐 서비스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자기결정성과 고객참여가 높은 집단일수록 접점만족 및 서비스 품 질을 더욱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접점에서의 고객행동과 지각된 서비스 품질에 자기결정성의 선행적인 역할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기결정성이라는 고객의 심리적인 요소에 의해 고객참여행동이 많 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기업의 효율성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고객에게 개인화된 선택권을 제공하는 것이 지각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자기결정성이론의 HRD 적용에 대한 논의

        정승환 ( Seung Hwan Jung ),장형심 ( Hyung Shim Ja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5 HRD연구 Vol.17 No.3

        동기이론 중 하나인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따르면, 인간은 심리적인 성장과 통합을 향하여 능동적으로 자아(self)를 발달시키려는 유기체적 존재이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을 바탕으로, HRD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자기결정성이론의 다섯 가지 미니이론인 인지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 유기통합이론(organismic integration theory), 인과지향이론(causality orientation theory), 기본심리욕구이론(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목표내용이론의(goal content theory) 기본가정과 핵심적인 내용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자기결정성이론의 여섯 가지 HRD 적용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율적 인간관에 대하여 강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자율성과 성과와의 관계, 자율성과 독립성과의 관계를 기술하였다. 둘째, 외재적 보상을 재고할 것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외재적 보상의 효과와 보상의 숨겨진 대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셋째, 자율성을 촉진하는 환경에 대해 논의하였다. 넷째, 유능성 증진을 위한 피드백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유능성에 대한 진보를 자각하는 것과, 유능성과 칭찬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섯째, 조직가치의 동일시와 통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욕구와 조직 리더의 관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I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human beings are those who want to develop themselves actively through the psychological growth and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HRD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bove all, basic assumptions and critical points of five mini-theories(cognitive evaluation theory, organismic integration theory, causality orientation theory,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and goal content theory) of self-determination theory were described. Through those, the six critical poin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were proposed to HRD application. First, we emphasized the view of autonomous human nature. Specifically, we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nomy and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independence. Second, we proposed to reconsider the extrinsic rewards and explained the hidden cost of reward. Third, we discussed the environment to promote autonomy. Fourth, we described the role of feedback promoting competence. Specifically, we explained the awareness of progressive compet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ence and praise. Fifth, we discussed the integration and identification of organizational values. Finally, we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needs and organizational leaders.

      • KCI등재

        자기결정성이론의 외국어 교육 적용 방안에 대한 탐색과 고찰

        김수진,장형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2

        Challenge for many foreign language instructors is to provide students with an enjoyable, interesting, and meaningful classroom environment that can richly support their learning and autonomous motivation. Self-determination theory provides a framework for how foreign language instructors can do this,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irst to overview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n to provide specific examples of how this theory can be implemented in a foreign language course. In so doing, the article seeks to help foreign language instructors connect with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o put its principals into effective classroom practice. 학생들의 학습 및 학습동기를 촉진시키는 자율적이고 즐겁고 의미 있는교실 환경의 조성은, 거의 모든 교수자들에게 어렵고 도전적인 일이다.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은 이와 같은 수업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에 주목하여, 자기결정성이론의 원리가 어떻게 외국어 교육에 적용될수 있는지 탐색하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자기결정성이론의 핵심을 개관하였다. 그리고 외국어 학습에서의 내재 동기(intrinsic motivation)와 자율적 외재 동기(autonomous extrinsic motivation) 및 내재화(internalization)에 대해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어 학습자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를 촉진하는 외국어 수업 환경 조성에 방향성을 구체화한 실천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의 핵심 원리와 방대한 선행 연구 결과들이 보다 자율적이고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 동기의 활성화 및 외국어 수업 환경의 조성에 유용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자기결정성 동기이론에 의한 독서동기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병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3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measurement tool of reading motivation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SDT is not simply divided into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SDT resides along a continuum, with amotivation, external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integrated regulation, intrinsic motivation. SDT addresses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of various extrinsic motives. This study analyzed motivation factor of the measurement tool such as MRQ (motivations for reading questionnaire), MRP (motivation to read profile) ERAS (elementary reading attitude survey, RSCS (reading self-concept scale). The study re-classified analysis results based on SDT. Ultimately, this study was proposed measurement tool of reading motivation using SDT has 6 area, 30 items. 이 연구는 자기결정성 동기이론을 적용하여 독서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기결정성 이론은 단순히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양분하지 않고, 개개인의 자율성 혹은 결정성에 따라서 무동기, 외적 조절, 주입된 조절, 동일시 조절, 통합된 조절, 내재적 동기 등 6가지로 구분하였다. 자기결정성 동기이론은 동기 유형을 세분화하여 다양한 외재적 동기를 어떻게 내면화할 것인가에 중점을 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RQ, MRP, ERAS, RSCS와 같은 기존의 독서동기 관련 측정도구를 분석하고, 이를 자기결정성원리에 의한 6개 범주로 재분류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성이론에 의한 독서동기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독서동기 측정도구는 자기결정성의 원리에 의거 6개 영역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KCI등재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유형 분류 및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

        정은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국내 대학생 683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하위요인 수준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일원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하위요인 따른 유형은 ‘보통형’, ‘자기결정형’, ‘비자기결정형’의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하는 것이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 검증 결과, 진로적응성은 ‘자기결정형’, ‘보통형’, ‘비자기결정형’ 순으로 유의하게 높은 반면, 취업소진은 ‘비자기결정형’, ‘보통형’, ‘자기결정형’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자기결정형’ 유형은 가장 바람직한 유형이므로 이 유형에 속한 학생들이 ‘자기결정형’을 유지하여 순조롭게 직업세계에 정착할수 있도록 꾸준한 점검과 관리를 실시해야 한다. ‘비자기결정형’ 유형의 경우, 진로적응성은 가장 낮은 반면 취업소진은 가장 높아위험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대학에서는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진로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보통형’ 유형은직업 세계에 진출에 대한 동기가 아직 분명하게 형성되어있지 않으므로 이들이 자기결정형으로 변모할수 있도록 적극적인 진로 개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여대생의 절주 행위 예측 모형 검정 :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

        강미경(Kang, Mi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자기 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여대생 절주 행위의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2월 29일부터 3월 24일까지이며, 최종적으로 22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자율성 지지는 4.06점(±0.74), 기본심리욕구 중 자율성은 3.90점(±0.66), 유능감 3.50점(±0.81), 관계성 4.10점(±0.66)으로 관계성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났다. 자기결정성 동기에서는 자율적 동기는 3.70점(±0.76), 통제적 동기는 2.42점 (±0.94), 무동기 2.56점(±0.98)으로 자율적 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통제적 동기와 무동기는 중간 점수 수준으로 나타났다. 절주 행위와 관련된 하위 영역에서 음주량 및 빈도에 대한 절제 3.13점(±0.86), 음주 행위에 대한 의존 절제 4.49점(±0.57), 해로운 음주 행위에 대한 절제 4.50점(±0.5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형적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제적 동기 변인을 삭제하였고 수정모형의 적합도가 이상적 모형에 부합하였다. 모형에서 자율성 지지는 기본심리욕구의 변인을 15% 설명하였고, 자율성 지지는 자기결정성 동기의 변인을 13%, 자기결정성 동기는 절주 행위의 변인을 9%를 설명하였다. 자율성 지지는 자기결정성 동기에 직접효과로 절주 행위 영향을 주었고, 절주 행위에는 간접 효과를 나타냈다. 자기 결정성 이론에서 자율성 지지와 자기 결정성 동기는 여대생의 절주 행위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여대생의 음주 예방 및 절주 행위 유지를 위하여 자율성 지지를 강화하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후 검증 연구가 시행 될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ing model of Self-regulatory drinking based on self-determination. Total of 221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from February 29 to March 24, 201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mean score of Autonomy support was 4.06(±0.74), relatedness(4.10±0.66)), Autonomic motivation(3.70±0.76), Harmful alcohol use(3.13±0.86) was most higher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deterministic motivation, Self-regulatory drinking, respectively. Autonomy support explained 15% of variance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support explained 13% of the variance in Self-deterministic motivation. The Self-deterministic motivation explained 9% of the variance in self-regulatory drinking. Autonomy support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Self-deterministic motivation on self-regulatory drinking.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with Autonomy support, and Self-deterministicmotivation significantly explained self-regulatory drinking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Nursing strategies should be focused on Autonomy support and Self-deterministic motivation to help female college students to perform self-regulatory drinking.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develop and evaluate self-regulatory drinking program based on self determination theory to apply to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drinking problem.

      • KCI등재

        자기계발 동기가 혁신행동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인호,탁진국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3 No.4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을 바탕으로 직장인들의 자기계발동기를 파악하고 자기계발동기와 혁신행동 직무열의간의 관계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계발동기가 혁신행동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이 자기계발동기, 혁신행동,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무직, 연구개발직 직장인 22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기계발동기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자기계발동기는 내적동기, 동일시동기, 자기증명동기, 외적동기의 네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자기계발동기와 혁신행동, 직무열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적동기, 동일시동기, 자기증명동기는 혁신행동, 직무열의와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적동기와의 상관계수가 가장 컸다. 자기계발동기의 네 가지 유형과 혁신행동 및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외적동기는 거래적 리더십과 상호작용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중학생이 인식한 학교풍토, 자아탄력성의 궤적,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김은경,강수정,정혜린,이강이,최나야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4

        According to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school climate can be regarded as a context that enables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growth. Moreover, when the psychological growth such as self-resilience is achieved through the school climate, the self-directed learning level of adolescents can, theoretically, be improved in the learning field. To verify these theoretical assumptions, we applied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alysis on 4th to 6th waves of data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panel of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ratings on the school climate, the trajectories of the self-resilience level,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lev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self-resilience level decreased through 4th to 6th waves. Also,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is declining tendency. Second, as the adolescents perceived the school climate more positively, their self-resilience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level increased. In addition, the self-directed learning level was found to be higher as the slope of self-resilience decreased slow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chool climate and the self-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mportant factors for improving the level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evel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 schools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을 바탕으로 중학생이 인식하는 학교풍토, 자아탄력성의 궤적, 자기주도학습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자기결정성 이론 중 기본심리욕구 이론에 기반을 둘 때, 학교풍토는 개인의 심리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맥락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학교풍토를 통해 자아탄력성과 같은 심리적 성장이 가능할 때 학습현장에서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수준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가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2010)의 초등4 패널이 중학교 1-3학년 시기에 해당하는 4-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풍토(4차년도), 자아탄력성의 궤적(4, 5, 6차년도), 자기주도학습(4, 6차년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였고, 이러한 경향에는 개인차가 있었다. 둘째, 중학생이 학교풍토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자아탄력성과 자기주도학습 수준이 높았고, 자아탄력성이 감소해가는 기울기가 완만하면 자기주도학습 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수준 향상에 학교풍토 및 그에 기인한 자아탄력성의 발달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이를 근거로 하여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수준 향상을 위해 학교 및 관련기관에서 어떠한 측면에 힘써야 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