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기관 청렴도 자가진단모형 개발 : 도시개발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방준용,김종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4

        Ethical management has been considered a party element in some respects to public institutions, where the pursuit of public interest is the reason for their existence. However, it is true that the government and society's demands for ethical management have become stricter as the organization's main management goal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for the balanced pursuit of profitability and public interest. Against this backdrop, public institutions have put much effort into managerial aspects to ensure a high level of institutional integrity, and are mainly evaluated by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Public institutions are rigorously assessed as being operated with national taxes, all public agencies strive to receive excellent evaluations, and a systematic integrity management system is needed to obtain a good integrity assessment. Self-correctness diagnosis for integrity management is an essential element, but due to the National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s strict guidelines on self-diagnosis, many institutions have difficulty diagnosing integrity.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 more systematic, self-diagnostic model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and conducted a demonstration study on the Metropolitan Development Corporation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First of all, we identified the status of checklists for self-diagnosis of integrity and the level of influencing factors as a prior indicator of integrity by modifying the basis of the integrity determination model to suit public institutions. While complying with the guidelines for self-diagnosis of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we sought to develop a model for self-diagnosis of practical integrity for the management of integrity of public institutions. The new model for self-diagnosis is divided into external integrity and internal integrity. In case of external integrity, it is more rigorous than the internal integrity of the measuring guidelines of the Commission, and it should be conducted to assess external stakeholders. In the case of an internal integrity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isk of corruption of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integrity based on the results of an interview. 공익성 추구가 조직의 존재 이유인 공공기관에게 있어서 윤리경영은 어떤 측면에서는 당위적 요소로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공공기관의 수익성 및 공익성에 대한 균형적 추구를 강조되면서 수익성 추구 또한 공공기관의 중요한 경영목표가 되면서 윤리경영에 대한 정부 및 사회의 요구가 보다 엄격해진 것이 사실이다. 이에 공공기관들은 높은 수준의 기관 청렴도를 위해 경영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주로 국민권익위원회의 평가를 받고 있다. 공공기관은 국가의 세금으로 운영되고 있음에 따라 엄격한 평가를 받고 있으며, 모든 공공기관들은 우수한 평가를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우수한 청렴도 평가를 받기 위해 체계적인 청렴도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청렴도 관리를 위해 자체적인 청렴도 진단은 필수적인 요소이나 청렴도 자가진단에 대한 국민권익위원회의 엄격한 가이드라인으로 인해 많은 기관들이 청렴도 진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권익위원회의 가이드라인에 근거하여 보다 체계적인 청렴도 자가진단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며, 전체 공공기관 대상 자가진단모형 개발에 앞서 도시개발공사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청렴도 자가진단을 위한 체크리스트 현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청렴도 결정모형에 대한 기존 문헌을 고찰하고, 공공기관에 적합하게 청렴도 결정모형을 수정하여 청렴도의 선행지표로서 영향요인의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청렴도 자가진단모형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도 자체진단 가이드라인을 준수함과 동시에 공공기관의 청렴도 관리를 위한 실질적인 청렴도 자가진단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청렴도 자가진단모형은 외부청렴도와 내부청렴도로 구분되며, 외부청렴도의 경우 권익위의 측정 가이드라인에 있어서 내부청렴도에 비해 더욱 엄격하고, 공공기관의 외부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여야 함에 따른 진단의 어려움에 기인하여 설문 등의 조사방식보다는 상시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하도록 제안하였다. 내부청렴도 조사의 경우, 고위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고위공직자 부패위험성을 진단하고, 청렴도 영향요인 진단모형에 근거하여 기관 내부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선택형 항목 및 개방형 항목을 통한 설문을 진행하고, 진단결과에 근거하여 인터뷰 기반의 정성적 조사를 통해 결과에 대한 원인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도록 권고하였다.

      • 여성들의 자가진단에 따른 모발 및 두피관리 특성에 관한 연구

        송정빈(Jeong Bin Song),김진숙(Jin Sook Kim) 한국뷰티산업학회 2017 뷰티산업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모발·두피관리의 자가진단을 통하여 모발·두피에 대한 관리특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한 연구로 모발 및 두피관리 방향을 제시하고 홈케어 조언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모발 및 두피관리 자가진단을 알아본다. 셋째, 모발 및 두피관리의 자가진단구분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넷째, 자가진단에 따른 관리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실증조사를 위하여 서울지역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모발 및 두피관리 자가진단은 두피가 나쁜 상태의 경우보다 건강한 상태의 경우가 더 높았다. 모발 및 두피의 자가진단에 따른 행동관리특성 차이에서는 두피 및 모발관리를 위해 투자하는 시간은 하루에 10분 이내가 가장 많았으며 두피, 모발관리 비용으로 지출되는 금액으로 5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모발 및 두피의 자가진단에 따른 제품관리특성 차이에서는 두피. 모발관리 제품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제품의 효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중화되는 두피모발관리 분야에 대한 관심의 초점이 자가진단에서 비롯됨을 인식하고 자가진단에 따른 관리태도를 분석하여, 앞으로 마련되어야 할 두피모발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도 필요한 것을 보이며, 여성을 포함한 남성 또는 남성과 여성의 비교분석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길 바란다. 제언으로는 미용실이나 자가 샴푸시 사용제품에 대한 성분 분석, 사용법 등이 좀더 자세히 폭넓게 이루어져야하며 이에 대한 지식또한 쉽게 접할 수 있기를 바라며 이는 제품회사와 소비자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두피나 모발에 대한 교육프로그램도 좀 더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hair and scalp through self diagnosis of hair and scalp management, and suggested direction of hair and scalp management and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of home care advice, The study was expected to show the direction of hair and scalp management and serve as a base for home care advic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were carried out. First, we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the hair and scalp management self-diagnosis is examined. Thir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hair and scalp management according to the self diagnosis classification are examined. Fourth, we examine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self-diagnosi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omen in Seoul area were selected for empirical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air and scalp management self-diagnosis was higher in the healthy condition than in the bad condition of the scalp. The difference in the behavioral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hair and scalp according to the self diagnosis is that the time for investing in scalp and hair care is less than 10 minutes per day, and the amount spent on hair and hair care costs was less than 50,000 won. The difference in product management characteristics due to self diagnosis of hair and scalp,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when choosing a scalp and hair care product i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du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etary management characteristics by self diagnosis of hair and scalp, foods that try to eat as often as possible, include bean curd and soybean products, vegetables, meat, fish, dairy products, nuts, eggs, and seafood. Also use hair products, dyeing, and ferm for home care due to self-diagnosis, should use products such as treatment packs to be beautiful in appearance, However, since they are also made of chemical products, they are not the only ingredients that are beneficial to the scalp. Therefore, avoid using a large amount of product, care about proper use and cleanliness including scalp massage.

      • KCI등재후보

        아유르베다 의학에서 자가 진단 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모델

        강윤정(Yun-Jeong Kang),최동운(Dong-Oun Choi)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4

        아유르베다 의학은 인도에서 5년의 훈련기간을 거쳐 실시하게 되었다. 하지만 서양에서는 일정 기간을 따로 정하지 않은 점과 아유르베다의 질병의 진단을 위한 지도자와 치료를 위한 치료사가 분리되어 있다는 점에서 안전한 질병진단이 가능할 것이다 . 따라서 질병의 자가진단을 위한 아유르베다 자가진단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아유르베다 의학에서 지식체계의 시각화와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온톨로지 기반의 생체인식 정보는 맞춤형 진단과 아유르베다 정보를 구조화하여 질 높은 진단과 과학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아유르베다 진단에 관한 개인의 생체정보로 지식을 표현하여 온톨로지로 구축하였고, 구축된 데이터는 개인의 질병을 자가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온톨로지를 기반의 아유르베다를 통한 질병 진단은 추론을 통해 질병의 자가 진단을 보조할 수 있는 서비스로 구현하였다. Ayurveda medicine was carried out through a training period of five years in India. But the West, it will be safe in the sense that the therapist disease diagnosis and treatment for a leader for the diagnosis of diseases of the separate points and did not specify a period of time, Ayurveda is separated. Therefore Ayurveda for self-diagnosis of the disease was to build a self-diagnosis ontology.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framework of knowledge visualization and intelligent service in Ayurveda medicine. Ontology-based biometric information will be able to offer high-quality diagnostic and scientific data in a structured and customized Ayurveda diagnostic information. In this paper, expressed as a personal knowledge of the biological information regarding the diagnosis based on the basic ontology to the ontologies Ayurveda was built, the building data can take advantage of the disease in the individual to self-test. Diagnosis of different diseases through Ayurveda has been implemented as an ontology-based service that can assist with self-diagnosis of the disease through reasoning.

      • 번식상황자가진단 프로그램을 활용한 농가 번식효율 향상 연구

        손준규,최창용,임현주,윤호백,백광수,정연섭 한국동물번식학회 2012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Supplement) Vol.36 No.2s

        젖소의 고능력화와 동반하여 전 세계적으로 번식효율은 매년 저하되고 있다. 소의 번식효 율에 영향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농가의 사양관리 수준에 따라 여러 가지 번식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의 농가들이 번식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문제점 또 한 파악하지 못하고 적절한 대응을 위한 자가진단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 무엇 보다 번식현황 및 경영진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 낙농과에서 개 발 된 젖소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해 6개 농가 450두를 공시하였으며,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 기술 투입 후 2년 동안 번식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술 투입 전 6개 농가의 평균 분만간격은 438일, 평균 공태일수는 156.8일, 분만 후 첫 수정일수는 98.6일, 평균 수정횟수는 2.1회, 발정발견율은 32.5% 및 수태율은 41.2% 였다.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 기술 투입 후 6개 농가의 평균 분만간격은 409.8일로 약 28일 단축 되었으며, 평 균 공태일수는 129.3일로 약 27일, 분만 후 첫 수정일수는 77.2일로 약 21일로 발정 한 주 기가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정횟수는 2.0회로 기술투입 전후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며, 발정발견율은 47.5%로 기술투입 전보다 약 15%, 수태율에서도 50.5%로 약 9% 정도 높았으며, 모든 번식성정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식상황 진단 프로그램 은 다수 있지만 농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없는 상태에서 누구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엑셀로 된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농가의 문제점을 확인 하고 목표를 세워 노력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추후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적극적 으 로 활용한다면 농가의 번식효율 향상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생각되며, 국내 낙농가들도 분 명한 목표설정, 농가의 번식현황에 대한 정확한 문제점 파악을 통해 번식효율 개선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기술 투입 전·후 6개 농가 번식성적 비교 구 분 평균분만간격 평균공태일수 분만 후 첫수정일수 평균수정횟수 발정발견율 수태율 기술투입 전(평균) 438일 156.8일 98.6일 2.1회 32.5% 41.2% 기술투입 후(A) 408 118.7 72.6 2.0 48.3 53.0 기술투입 후(B) 402 115.5 68.9 1.8 52.0 56.8 기술투입 후(C) 412 132.4 81.5 2.0 43.2 49.2 기술투입 후(D) 417 141.8 81.3 2.0 45.8 45.3 기술투입 후(E) 405 128.6 76.8 1.9 50.6 52.6 기술투입 후(F) 415 138.6 81.9 2.0 45.3 46.2 기술투입 후(평균) 409.8 129.3 77.2 2.0 47.5 50.5

      • 번식상황자가진단 프로그램을 활용한 농가 번식효율 향상 연구

        손준규,최창용,임현주,윤호백,백광수,정연섭 한국동물번식학회 2012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6 No.2

        젖소의 고능력화와 동반하여 전 세계적으로 번식효율은 매년 저하되고 있다. 소의 번식효 율에 영향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농가의 사양관리 수준에 따라 여러 가지 번식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의 농가들이 번식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문제점 또 한 파악하지 못하고 적절한 대응을 위한 자가진단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 무엇 보다 번식현황 및 경영진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 낙농과에서 개 발 된 젖소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해 6개 농가 450두를 공시하였으며,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 기술 투입 후 2년 동안 번식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술 투입 전 6개 농가의 평균 분만간격은 438일, 평균 공태일수는 156.8일, 분만 후 첫 수정일수는 98.6일, 평균 수정횟수는 2.1회, 발정발견율은 32.5% 및 수태율은 41.2% 였다.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 기술 투입 후 6개 농가의 평균 분만간격은 409.8일로 약 28일 단축 되었으며, 평 균 공태일수는 129.3일로 약 27일, 분만 후 첫 수정일수는 77.2일로 약 21일로 발정 한 주 기가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정횟수는 2.0회로 기술투입 전후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며, 발정발견율은 47.5%로 기술투입 전보다 약 15%, 수태율에서도 50.5%로 약 9% 정도 높았으며, 모든 번식성정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식상황 진단 프로그램 은 다수 있지만 농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없는 상태에서 누구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엑셀로 된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농가의 문제점을 확인 하고 목표를 세워 노력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추후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적극적 으 로 활용한다면 농가의 번식효율 향상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생각되며, 국내 낙농가들도 분 명한 목표설정, 농가의 번식현황에 대한 정확한 문제점 파악을 통해 번식효율 개선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수역량 자가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진령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assessment tool that could set related components and measure them in order to measure teaching competency. Methods In order to develop a self-assessment tool for teaching competency, related preceding studies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is, components of teaching competency were extracted. In addition, preliminary questions were formed and 53 questions were formed through expert review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Based on the data collected in the main survey, a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lf-assessment tool for teaching competency. Finall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self-assessment tool for teaching competency were verifie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hree teaching competencies (basic competencies, teaching competencies, and class management competencies) were verified.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ccordingly, the teaching competency self-assessment tool consists of 6 questions for basic competency (understanding of school education, attitude as an educator), 25 questions for class competency (class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execution,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class management competency (learning evaluation, class improvement). , learning counseling) consisted of 17 questions. Accordingly, the teaching competency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48 item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iability of the finally developed item, Cronbach a .964 was found to be goo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developed a self-assessment tool that can measure them based on the constituent factors of teaching competency. Through the teaching competency self-assessment tool, instructors can understand their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help them select teaching support programs suitable for their capabilities. In addition, university institutions such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can use it as basic data to design and operate teaching programs based on the analysis of instructors' teaching capabilities.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수역량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 구성요인을 설정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자가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교수역량 자가진단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교수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역량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 검토와 예비조사를 거쳐 53문항을 구성하였다. 본조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교수역량 자가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교수역량 자가진단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기본역량, 수업역량, 수업관리역량 3가지 교수역량과 각 역량에 대한 하위요인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교수역량 자가진단도구는 기본역량(학교교육에 대한 이해, 교육자로서의 태도) 6문항, 수업역량(수업설계, 교수학습실행, 학생과의 상호작용) 25문항, 수업관리역량(학습평가, 수업개선, 학습상담) 17문항으로 구성되어, 총 48개의 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최종 개발된 문항의 신뢰도를 검토한 결과 Cronbach a .964로 양호하게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교수역량의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자가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교수역량자가진단도구를 통해 교수자는 자신의 강약점을 이해하고, 역량에 맞는 교수지원 프로그램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수학습센터와 같은 대학기관에서는 교수자의 교수역량 분석에 따른 교수지원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교수자를 위한 강의자가진단도구 개발의 타당화 및 관련변인 분석

        지은림(Chi Eunlim),장정아(Chang Jung-A)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가 강의를 스스로 평가하고 성찰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강의자가진단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타당화 및 관련 변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 대학에서 강의를 담당했던 116명의 교ㆍ강사를 대상으로 8개 배경변인 이외에 23개의 자가진단 문항을 필요도와 이행도별로 응답하도록 했다. 다국면 라쉬모형을 적용한 문항 적합도 분석에 의해 이행도에 있어서 한 개를 제외하고 문항들이 모두 타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인분석 결과는 문항을 구성하는 요인이 필요도와 이행도간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반응범주곡선을 이용하여 자가진단도구에서 5점 평정척도를 사용한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적일관성 신뢰도분석 결과는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지만, 필요도에 비해 이행도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한편 자가진단 결과는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보다 실제 이행하는 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자가진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으로는 필요도에 있어서 교수의 소속대학과 연령 및 강좌규모가 있었으며, 이행도에 있어서는 교수의 성별이 발견되었다. This paper develops and validates the self-diagnosis instrument and analyzes the related variables for university instruction to provide professors with the opportunities of self-reflecting their own teaching. The instrument was administered to 116 instructors in a university and consists of 23 items for the two parts of "necessity" and "implementation" respectively. Infit statistics computed by FACETS, which is developed based on many-facet Rasch model, show that items are generally valid for the self-diagnosis of instruction except the item of "scolding students". Factor analysis finds that four factors of instruction process, student management, learning management, instruction method construct self-diagnosis of instruction for "necessity", while five factors of instruction method, instruction performance, instruction content, student management, learning management for "implementation". Also, the examination of response category curves provided by FACETS confirms the validity of 5 point rating scale for the instrument. Meanwhile, the results of administering the instrument reveal that instructors" gender, major, and age and the size of class can influence the level of instruction. As a result, the self-diagnosis instrument developed for university instruction can be a valid tool for evaluating instruc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instruction, bu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for making the diagnosis of ‘implementation’ more objective.

      • KCI등재

        RFID를 이용한 헬스케어 자가진단 지능형시스템 구현

        손희배(Hui-Bae Son),김민수(Min-Soo Kim),이영철(Young-Chul Rhe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RFID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한 후 사용자의 생체신호(혈압, 혈당, 체지방)를 측정하여 자가진단을 할 수 있는 지능형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헬스케어 자가진단 지능형 시스템은 RFID리더기, 생체신호측정기(혈압계, 혈당계, 체지방측정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역할을 하는 컴퓨터, 자가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프린터로 구성된 키오스크형태로 이루어졌으며 데이터베이스에서 보유한 사용자 정보 및 측정된 정보 데이터를 비교분석한 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자가진단할 수 있다. 구현된 시스템은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간단히 자가진단을 할 수 있으며, 회사나 학교 등에서 응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self-diagnosis that can achieve self-diagnosis by measured bio-signal(blood pressure, blood sugar, body fat monitor) after the recognize a user to access using RFID. The implemented healthcare self-diagnosis intelligent system is consist of kiosk structure that is RFID reader, bio-signal measuring instrument(hemadynamometer, glucometer, body fat monitor), computer for a part of database server and printer for print the result of self-diagnosis. It can achieve self-diagnosis of a user after compare and analyze the measured data and information of a user from database. The implemented system can make simple self-diagnosis even if not take a physical examination at hospital and apply to company, school, etc.

      • KCI등재

        실험·실습수업 자가 진단 도구 개발

        박상언,장경원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self class diagnostic tool to manage the quality of experiment/practice class, which are one of the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university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literature analysis of experiment/ practice clas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4 instructors and 5 learners in experiment classes and practice clas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items of the diagnostic tool for the experiment and practice class were constructed, and then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of the items was tested. Afterwards, a diagnosis tool for experiment and practice classes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test results. The experiment and practice class diagnostic tool consists of 3 upper domains, 9 lower domains, and 33 items. The top areas are 1) class preparation, 2) class implementation, and 3) class performance. The sub-domains include 1) preparation of experiment/practice class contents, 2) preparation of experiment/practice class environment, 3) explanation of experiment/practice contents, 4) encourage interest and participation, 5) experiment/practice management and control, 6) collaboration activity management, 7) experiment/practice class environment management, 8) task and assessment management and 9) class performance. The developed self experiment/practice class diagnostic tool will help effectively diagnose and evaluate experiment/practice class, and guide instructors' roles in experiment/practice class. However, since experiment/practice classes vary according to major, department, and subject, there is also a limitation in that the questions of the developed diagnostic tool should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diagnostic tools for various types of experiment/practice class. 이 연구는 대학수업의 중요한 교수・학습 방법 중 하나인 실험・실습수업의 질 관리를 위해 실험・실습수업 자가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험・실습수업에 대한 문헌분석과 실험・실습수업의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실험・실습수업 자가 진단 도구 문항을 구성한 후 문항에 대한 타당도 검사를 거쳐 실험・실습수업 자가 진단 도구를 개발하였다. 실험・실습수업 자가 진단 도구는 3개의 상위 영역, 9개의 하위 영역, 33개의 문항으로 구성된다. 상위 영역은 수업 준비, 수업 운영, 수업 성과이다. 하위 영역은 실험・실습수업 내용 준비, 실험・실습수업 환경 준비, 실험・실습 내용 설명, 흥미 및 참여 유도, 실험・실습 관리 및 통제, 협업 활동 관리, 실험・실습수업 환경 관리, 과제 및 평가 관리, 수업 성과이다. 개발된 실험・실습수업 자가 진단 도구는 실험・실습수업에 대한 효과적인 진단과 평가, 실험・실습수업을 위한 교수자의 역할 안내에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러나 전공 및 교과목별로 실험・실습수업이 다양하므로 개발된 진단 도구의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점도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다양한 유형별 실험・실습수업을 진단 및 평가할 수 있는 진단 도구 및 평가 도구 개발과 활용 사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공무원 인재개발 전략 연구: 부처별 인재개발 수준진단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박성민,오수연 한국인사행정학회 2021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0 No.1

        최근의 인사영역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발전양상과 더불어 코로나 19 패러다임에 기반한 위기관리 및 변화관리적 시각을 고려했을 때, 글로벌 및 민간 영역의 전략적 인재개발 (Strategic HRD)의 관점과 한국 공공영역의 근본적 인재개발의 이론적 틀을 제공해 왔던 국가 인적자원개발 (National HRD) 간의 혼합형 (hybrid형) 접근방식이 더욱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공무원 인재개발 추진전략을 1) 원격형 자기주도형 상시학습제도, 그리고 2) 부처 자율형 인재개발 수준진단 및 평가제도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처 상시학습 자가진단 도구개발을 위한 전문가 초점 집단 인터뷰 (FGI: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전반적인 부처형 인재개발진단 방식과 상시학습제도와 관련한 진단문항을 개발, 적용하였다. 특히 <부처 인재개발 수준진단 및 상시학습 자가진단 도구>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지표가 무엇인지, 이를 실제 적용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해 점검하여, <부처 인재개발 및 상시학습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시행의 적실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결론에서는 인터뷰 분석을 통한 다양한 시사점 제시를 통해 미래지향적 상시학습 수준 진단도구를 제안하고 부처 자율형 인재개발 수준진단 도구의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