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러시아 인형극의 형성과 발전

        강수경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코기토 Vol.- No.68

        본 논문은 러시아 인형극이 시대별로 어떻게 발전해왔는가를 살피고 각 시대의 특징들이 이후 시대의 인형극과 기법, 주제, 연행양식 등의 관점에서 어떤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 러시아 민속 풍자 인형극인 “페트루쉬카”와 성탄인형극인 “베르쩹”, 유럽 순회공연단들의 영향을 받은 18세기 근대 러시아 인형극을 각기 살펴보고 결론에서는 이 같은 전통위에 창작된 19세기 러시아 인형극 희곡을 간략하게 언급해 보았다. 대략 17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연행되기 시작한 러시아 민속 풍자 인형극인 “페트루쉬카”와 이보다 조금 늦은 시기 연행이 시작된 “베르쩹”은 각각 서유럽과 동유럽의 영향 아래 발전되었다. 그러나 이들 인형극이 관객들에게 보여준 신랄한 풍자와 해학은 러시아적 토양 위에서 형성된 것이다. 이로 인해 러시아 인형극의 연행기법이나 기술은 상대적으로 발전하지 못했다. 18세기에는 공식연극의 시작과 함께 공식 인형극이 유럽 순회공연단들에 의해 정부의 지원 아래 활발하게 연행을 하게 된다. 이탈리아의 광대 풀치넬라가 등장하던 인형극은 18세기 중반 이후에는 러시아 광대인 페트루쉬카가 등장하게 되면서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페트루쉬카” 인형극이 성립하게 된다. 당시의 인형극은 러시아 민화인 루복과 18세기 즉흥극의 영향을 입으면서 발전한다. 19세기에는 “페트루쉬카”와 “베르쩹”, 유럽 인형극단들의 “영국-독일 희극”의 영향 아래 러시아 최초의 인형극 희곡이 전문 작가에 의해 창작되기에 이른다.

      • KCI등재

        디지털인형극 모델에 대한 연구

        정기수,이재령,허만억,한경석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8 No.2

        인간을 축소하고 환상화한 것으로부터 출발한 인형은 많은 예술가들에 의해 작품화되기 시작하면서 완구에서 예술작품으로 인식이 바뀌었다. 그 중에서 조형적 물체(人形)로 조작되는 드라마의 형식을 가 진 인형극은 움직임만으로도 극적 소통을 이루며 인간을 초월 하는듯한 환상적 분위기를 가진다. 하지만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인형극에 대한 낮은 인식과 인간배우의 한계를 훌쩍 넘어서 있는 인형배우가 그 이상으로 확장되지 못하고 아동인형극으로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관련 자료의 부족으 로 인해 새로운 실험과 전문적인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이재령, 2019). 이러한 열악한 환경을 벗어나기 위하여 인형극의 특성은 부각시키되 아동 위주의 관객을 좀 더 확장하여 성인에 이르기까지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인형극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꾸고 열악한 인형극의 현실 을 극복하기 위해 지금까지와는 다른 차원의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차원의 접근 방식으로 기존의 인형극 공연을 놀이를 동반한 체험 콘텐츠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형 조작을 위해 손이나 도구를 직접 이용하는 방식이 아닌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제어하는 이 방식은 디지털 기술이 발달 한 현 시대의 흐름과도 일치하며 천이나 헝겊 등을 이용하여 만든 전통적인 인형과는 달리 로봇, 완구, 드론 등을 활용 할 수도 있다. 또한 인형을 비롯한 이런 공연 재료들을 관객들과 직접 제작하여 극에 참 여할 수도 있다. 더불어 인형극의 개념과 유래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하여 인형극에 대해 이해하고 인형 극의 종류를 나누는 기준에 대한 근거를 바탕으로 디지털인형극의 장르를 정의하며 인형극의 구성요소 에 대한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디지털 인형극의 구성요소를 정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 롭게 제시하는 디지털인형극이 기존 인형극과 마찬가지로 공연의 절차와 방법이 올바른 가에 대한 증명 을 선행연구와 실험결과를 통해 증명하고자 한다. The doll, which started from the miniaturization and fantasy of humans, began to be made by many artists, and the perception changed from toys to art. Among them, the puppet show, which has a form of drama manipulated with a figurative object, achieves dramatic communication with movement alone, and has a fantastic atmosphere that transcends humans. However, despite these merits, the puppet actors, who have a low awareness of puppet theater and the limits of human actors, cannot be expanded beyond that and cannot escape from the limits of children's puppet theater.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related data, new experiments and professional studies are also insufficient.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related data, new experiments and professional studies are also insufficient. In order to escape this harsh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ppet show should be emphasized, but there is a need to further expand the audience focused on children and develop them into contents that can participate from adults to adults. Therefore, a different dimension of approach is needed to change the way we view puppetry and overcome the reality of poor puppet theater.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xisting puppet show as an experiential content model accompanied by play with a new dimension of approach. This method of controlling a doll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ather than using a hand or a tool directly for the manipulation of the doll, is consistent with the current trend of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Alternatively, robots, toys, and drones can be used. This model is defined as a digital puppet show in this paper, and it is intend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uppet show performance and a new genre of cultural art by presenting a method of performing the digital puppet show.

      • KCI등재

        제32회 춘천인형극제의 교육적 특성 고찰

        오판진 ( Oh¸ Pan Ji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어린이들이 인형을 조작하면서 공부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다. 그러나 어린이들이 인형놀이를 직접 하는 것과 다른 인형극 공연을 관람하는 것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으로 진행된 제32회 춘천인형극제 인형극 작품의 교육적인 특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32개의 참가작에 어떤 교육적 특성이 나타나는지 연행 이론으로 구명하기 위해 언어 텍스트, 연희 텍스트, 문화적 컨텍스트 층위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언어 텍스트 층위의 특성으로는 ‘언어 이해력 증진’과 ‘풍부한 서사 체험’, ‘건전한 정체성 형성’이 있고, 연희 텍스트 층위의 특성에는 ‘시각적 리터러시’, ‘청각적 리터러시’, ‘실감 나는 언어 표현’이 있으며, 문화적 컨텍스트 층위의 특성으로는 ‘전통문화의 이해’, ‘새로운 공연문화 향유’, ‘공연 감상 예절’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래서 어린이들이 음성언어와 함께 신체언어와 이미지언어 등 비일상적인 풍부한 언어표현을 만날 수 있고, 국내와 국외의 다양한 서사에서 느낄 수 있는 즐거움을 체험할 수 있으며, 인형이라는 효과적인 형상을 통해 인간과 세상을 바라보는 가치관을 바르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평소에 보기 어려운 인형이나 무대장치, 조명 등이 사용되는 수준 높은 인형극 무대와 배우들의 실감나고 세련된 대사와 음향, 음악 등이 조화롭게 어울리는 통합된 공연예술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우리의 전통문화를 배경으로 한 인형극과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창의적인 인형극을 관람함으로써 세계 속에 살아갈 예절 바른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다. 제32회 춘천인형극제 인형극 작품 속에 이런 교육적 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학교와 가정에서는 어린이들이 공연을 감상할 때 이를 고려하여 관람하길 바란다. 아울러 춘천인형극제 인형극 작품에 또 다른 측면의 특성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이어져서 춘천인형극제 인형극이 관객들과 뜻깊은 만남을 이어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attributes of the 32nd Chuncheon Puppet Festival works which was conducted online.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layers of language text, chronological text, and cultural context to determine what educational attributes appeared in 32 participating works as a theory of engagement. As a result, the attributes of the language text layer include “improvement of language comprehension”, “experience of rich narrative”, “formation of sound identity”, “audible literacy”, “real language expression” and “experience of traditional culture”, “new performance culture”. Therefore , children can meet unusual rich language expressions such as body language and image language along with voice language, experience the joy of various narratives at home and abroad, and form values that view humans and the world correctly through the effective shape of puppets . In addition, you can experience a high-quality puppet show stage where puppets, stage equipment, and lighting, which are difficult to see, and integrated performing arts that harmonize actors’ realistic and sophisticated lines, sound, and music. In addition, we can form a polite Korean identity to live in the world by watching puppet shows set in our traditional culture and creative puppet shows that have not been seen before. Since these educational attributes appear in the 32nd Chuncheon Puppet Festival works, schools and families should consider them when they appreciate the performance. In addition, follow-up studie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other aspects of the Puppet Festival of Chuncheon will be followed, and it is expected that the Puppet Festival of Chuncheon will continue to meet with the audience.

      • KCI등재

        체코 인형극의 전통과 퍼핏 애니메이션

        유선비(Yu, Sun-Bee)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31 No.-

        체코의 애니메이션은 그려서 만드는 만화 영화가 발전을 할 당시 인형을 등장인물로 내세우거나 인형을 실사와 접목하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낸다. 체코에서 퍼핏 애니메이션이 발전한 이유는 체코 인형극의 전통과 관련하여 해답을 얻을 수 있다. 체코의 인형극이 유랑극단의 시기, 아마추어 인형극 연기자들의 시기를 거처 전문 인형극장의 시기를 지나면서 체코인들의 정서에 가장 중요한 예술 장르의 하나로 자리를 한 데에는, 한 때 체코인들이 그들의 언어로 접할 수 있었던 유일한 예술 장르라는 점도 있지만 오스트리아제국의 지배 하에서 민족의 부흥(18세기 말부터 19세기 중반까지)을 위해 노력할 때 민족과 자국 문화의 자긍심과 아름다움을 일깨워주는 중요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체코 인형극의 전통은 다른 나라와는 차이가 있다. 물론 20세기에 들어서 민족적인 강조와 부흥에 인형극이 하나의 장르로서 확고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는 여느 다른 유럽의 나라와 유사한 양상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그 이전부터 인형극이 체코인들 자신들의 언어로 접할 수 있는 공연예술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했고, 민족부흥기를 거치면서 민족과 자국의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심어주어 한 나라의 문화 안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점은 확실히 다른 점이다. 이런 일련의 전통과 발전은 20세기 초반 유럽 인형극의 중심에 서서 인형극의 발전을 이끌 수 있었던 중추가 되었다. 바로 이런 점이 세계인형극 협회가 프라하에서 만들어지는 기반이 되었고, 현재까지도 인형극의 전통을 고수하고 전문 인력을 꾸준히 양성하면서 세계의 인형극을 대표하는 나라로서의 면모를 유지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런 체코 인형극은 특히 이르지 트른카의 손을 거치면서 퍼핏 애니메이션의 독특한 장르를 만들어냈다. 먼저 그는 인형극에서 나타낼 수 있었던 ‘인형’이라는 오브제가 가지는 공간적인 특성을 화면으로 옮겨와 새롭게 바꾸어 놓았다. 그의 작품 경향은 체코의 인형극의 전통과 경향과 상당 부분 닮아있다. 인형을 다양하고 독특하게 표현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인형극이 단순히 흥미를 주는 것에서 벗어나 체코 문학에서 가장 아름답고 사랑받는 작품들을 인형극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오랜 고전들도 꾸준히 사랑받고, 어려운 작품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준다. 이뿐만 아니라 나라가 외침을 받았을 때 문학을 비롯한 공연예술들이 금지될 때도 애국적인 내용을 담은 작품들을 선보이며 계속해서 민중을 일깨웠다. 트른카의 작품은 아름답거나 독특한 감성이 표현되는 인형들이 트른카 만의 기술과 만나퍼핏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The paper shows characteristic features of Czech animated film which is well known abroad as a puppet animated film. Czech puppet theatr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in other countries. It is connected not on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ilm industry but mainly with traditions and history of the Czech country. There is a long tradition of the puppet theatre in Bohemia which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Vagabond theatrical troupes can be considered as the first phase. Different groups of the travelling theatre were formed then and their members often had also other occupations, they usually performed in Czech language and in the countryside. Gradually famous family groups came into existence, such as the Kopecký's family. Matěj Kopecký made an effort to give a good quality level to the Czech puppet theatre so that it could play as important role as other artistic genres. Hi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Czech puppet theatre was considerable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of Czech national revival. The second phase is that of the amateur groups. Family and amateur puppet theatres were established at that time, they started to perform for children and their emphasis was on the educational function. For example, Josef Skupa founded Divadlo Spejbla a Hruvínka, and it was moved later on to Prague. His theatre is known in the world since he created quite distinctive puppets, he offered an interesting repertoire and the theatre performed in given language in particular country. The third phase is that of professional theatres, starting from 1949. Professional, stable theatres were established in different towns, such as the Central puppet theatre. When the film industry started its development in the field of the Czech animated film a new puppet animation was created, namely by Jiří Trnka. an excellent graphic who put emphasis on the story so that the animation could have not only outer, formal meaning but also inner sense. Czech puppet animation tradition of puppet theatre and created special animated film which is connected with the folk creativity as well as with the Czech national proud.

      • KCI등재

        이이다(飯田)인형극제 유대와 명맥(命脈)

        김종희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9

        The text aims to share the historical ​aspect​ ​of a​ region ​based on its​ inflow process, the efforts of local residents, and factors that ​have ​successfully ​contributed to the ​international puppetry festival​. This will be done by ​examining the existence and bond of the ‘Iida Puppet Festa’, ​which is an​ international puppetry festival that has celebrate​d​ its 41st anniversary in 2019. The city of Iida, which is hosting the ‘IIDA PUPPET FESTA’, is a city included in the Ina Vally(Ina-dani) area in Nagano Prefecture. The Inadani area​ is home to ​a cluster of puppetry that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generations​. ​Among​ the 33 locales in Nagano Prefecture that ​have​ had active puppet troupes, 29 were in the Ina Vally. Of the 800 Gasira(pupput heads) found in Nagano Prefecture, 90% are in the Ina Vally, and almost 50% are found in Iida Cit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na Valley holds the largest collection of puppets in Japan. Iida City ​serves as an ​axis of traffic ​that​ connects the ​E​ast(Edo )and ​W​est(Osaka) ​of Japan​. Tobacco, paper, silk industry, bowl, and dried persimmon produced by Ida City were transported to Nagoya City, ​whereas ​puppet shows​, ​fireworks and Edo's Kabuki were ​delivered​ to Iida City. During ​this process, Iida City was influenced by the cities of Edo and Osaka in the late Edo period. ​The entertainment sector of the city blossomed, allowing residents to enjoy shrine ceremonies either as an audience or become hosts for a variety of street performances of their own. At present, there are ​four ​puppet troupes active in the Ina Valley: the Kuroda and Imada puppet troupes in Iida City, the Waseda puppet troupe in Anna Town, and the Furuta puppet troupe in Minowa Town. The members of ​the four ​puppet troupes ​aim to ​preserve the traditions of puppetry​, ​perform at events​ held by their local shrines, and teach activities​,​ such as puppet show guidance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Ningyōjōruri, which is a treasure of nation tangible folk cultural property, is being handed down by local citizens until three people master Saninzkai who manipulates one puppet elaborately. And this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the existence and the bond of the Ida puppet show, which has a historical sense, as the home to cluster of a new puppet show of international exchange where tradition and modern coexist. 본문은 2019년, 41년째를 맞이하는 일본의 대표적인 이이다인형극제((Iida Puppet Festa)의 유대와 명맥에 주목하여 나가노현 이나다니(長野県伊那谷) 일대가 인형극의 집성지가 될 수 있었던 유입과정을 검토하였다. 오늘날 이이다인형극제가 국제적인 인형극 페스티벌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었던 요인들 가운데 역사적 기반으로 볼 수 있는 것은 40여년 보다 훨씬 오래전인 300년 전, 에도시대부터 아와지(淡路)와 오사카(大阪) 지역으로부터 인형극이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이이다시 미술박물관(飯田市美術博物館)에 전시된 에도(江戶)시대의 인형극단 33개와 그 가운데 29개의 인형극단이 이나다니 지역에 존재했다는 도표와 인형의 전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지역에 현존하는 가시라(首, 인형머리)만 해도 800개 정도가 되며 그 반수가 이이다(飯田)시내에 있다. 이처럼 에도시대의 인형조종자들이 이나다니 지역으로 몰렸던 이유는 이이다(飯田)가 옛날부터 동서를 연결하는 교통의 연결 축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문은 이이다에서 생산하는 담배, 화지, 양잠산업, 그릇, 곶감 등이 나고야 방면으로 운반되었고, 이로 인해 경제적 부를 축적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간사이(關西) 지방의 인형극과 불꽃놀이와 에도의 가부키가 이이다로 유입될 수 있었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과정에서 에도시대 후기에 이이다는 동서(東西), 에도(江戸)와 오사카(大坂))의 도시로부터 예능이 전파되어 이이다를 포함하는 이나다니 남부의 시모이나(下伊那) 지역은 민속학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이이다 시내에 300여년의 역사를 가진 구로다닌교(黒田人形), 이마다닌교(今田人形), 아난쵸(阿南)의 와세다닌교(早稲田人形), 시모조무라(下条村)의 가부키(歌舞伎), 등이 지역민에 의해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 이들 인형극단은 지역 신사의 봉납을 위한 공연, 인형극보존협의회 주최의 합동발표회, 페스타(フェスタ, 페스티벌을 뜻함) 참여, 외에 초중등 학교에서 인형극 지도 등의 적극적인 활동을 한다. 민속문화재의 보고라고 할 닌교조루리(人形浄瑠璃) 중 3명이 한 개의 인형을 정교하게 조종하는 산닌즈카이(三人遣い) 조종술이 지역 시민들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는 것은 나가노현 이나다니 일대가 300년 전의 인형극 집성지를 형성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역사적 감각이 살아있는 이이다인형극제의 전통인형극의 명맥과 유대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국제적 교류의 새로운 인형극의 집성지라는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 KCI등재

        휴대용 조립식 인형극장 장치와 디지털 구연동화 콘텐츠 출력매체의 접목에 관한 연구

        차현희,김성택,손범룡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이동이 편리한 간이형 어린이 인형극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입체화와 디지털 구연동화 출력매체의 접목을 통하여 어린이들을 위한 시청각 교재로서의 흥미도 증진과 함께 인형극 내용의 반복 통일성을 원만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휴대가 간편한 조립식 인형극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정이나 유아원 또는 유치원에서 손쉽게 인형극 세트를 설치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어린이들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특징적인 효과를 가진 이러한 본 논문의 연구는 한정된 공간과 제한된 수요층을 대상으로 하던 기존의 인형극 무대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인형극을 대중에게 보급시키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장점들을 만들어 냈다. 향 후, 본 논문의 연구를 토대로 인형극의 무대장치, 인형, 배경, 음성 장치 등에 대한 여러 가지 측면에서의 다각적인 연구들이 이어져 어린이들은 물론 많은 대중들에게 조금 더 다양한 볼거리들을 제공할 수 있는 인형극들이 많이 만들어지길 바란다. This thesis concerns a simple portable children's puppet theater device. It intend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uppet play stage setting that: attracts more attention as an audio-visual material by combining the prefabricated puppet play setting made to be three-dimensional with digital storytelling output media; that easily maintains the puppet plays' consistency in repetition; and that is also portable. The study of this thesis demonstrates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enhanced educational effects on children by enabling easy installation of puppet play stage setting in homes, nurseries, and kindergartens, regardless of the space. It has created many benefits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puppet play settings with limited space and audience group and to spread puppet plays to the public. This thesis henceforth can prompt multilateral studies in stage settings, puppets, backdrops, audio devices, etc. for puppet theaters to create more puppet plays which provide diverse spectacles for both children and the larger public.

      • KCI등재후보

        인형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김호중 미래유아교육학회 200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공연중심의 인형극활동(공연중심, 놀이중심)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나누기, 돕기)에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방법이 더 효과적인지 인형극활동 경험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계속 유지시키는지를 밝힘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만 4세~6세 유아 60명을 20명씩 세 집단에 임의적으로 배치하여, 한 집단에게는 공연중심의 인형극활동을, 또 다른 한 집단에게는 놀이중심의 인형극활동을 2주에 1회씩 5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나머지 한 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인형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연중심의 인형극활동과 놀이중심의 인형극활동 중 놀이중심의 인형극활동이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인형극활동 경험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kinds of puppet play activities(based on performance and based on play) on the prosocial behavior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ighty young children who were selected from one daycare center in Seoul. The age of the subjects ranged from 4- to 6-year-olds. Those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uoup. The first group(n=20) received the puppet play activity based on performance, the second group(n=20) received the puppet play activity based on play and the third group(n=20) were set up as a contol. The puppet play activities(based on performance and based on play) were given 5 sessions. However,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didn’t receive any activity. After all the sessions, all the children were individually tested twice on the instruments that were used in Gyehyangsuk’s(1985) research to measure young children’s sharing behavior and behavior in helping other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e’ verification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 First, both kinds of puppet play activity are effective n improving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Second, among the two kinds of puppet play activity, the activity based on play is more effective than the activity based on performanc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Third, the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uppet play activity maintained the improved prosocial behaviors for fifteen weeks.

      • KCI등재후보

        휴대용 조립식 인형극장 장치와 디지털 구연동화 콘텐츠 출력매체의 접목에 관한 연구

        차현희 ( Hyun Hee Cha ),김성택 ( Seong Taek Kim ),손범룡 ( Bum Youig S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이동이 편리한 간이형 어린이 인형극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입체화와 디지털 구연동화 출력매체의 접목을 통하여 어린이들을 위한 시청각 교재로서의 흥미도 증진과 함께 인형극 내용의 반복 통일성을 원만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휴대가 간편한 조립식 인형극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정이나 유아원 또는 유치원에서 손쉽게 인형극 세트를 설치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어린이들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특징적인 효과를 가진 이러한 본 논문의 연구는 한정된 공간과 제한된 수요층을 대상으로 하던 기존의 인형극 무대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인형극을 대중에게 보급시키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장점들을 만들어 냈다. 향 후, 본 논문의 연구를 토대로 인형극의 무대장치, 인형, 배경, 음성 장치 등에 대한 여러 가지 측면에서의 다각적인 연구들이 이어져 어린이들은 물론 많은 대중들에게 조금 더 다양한 볼거리들을 제공할 수 있는 인형극들이 많이 만들어지길 바란다. This thesis concerns a simple portable children`s puppet theater device. It intend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uppet play stage setting that: attracts more attention as an audio-visual material by combining the prefabricated puppet play setting made to be three-dimensional with digital storytelling output media; that easily maintains the puppet plays` consistency in repetition; and that is also portable. The study of this thesis demonstrates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enhanced educational effects on children by enabling easy installation of puppet play stage setting in homes, nurseries, and kindergartens, regardless of the space. It has created many benefits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puppet play settings with limited space and audience group and to spread puppet plays to the public. This thesis henceforth can prompt multilateral studies in stage settings, puppets, backdrops, audio devices, etc. for puppet theaters to create more puppet plays which provide diverse spectacles for both children and the larger public.

      • KCI등재

        4C-STEAM을 활용한 과학인형극 프로그램 개발 전략

        하주일(Ha, Ju Il),김경수(Kim, Kyoung S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7 No.-

        최근 교육계의 화두인 ‘융합인재교육(STEAM)’은 과학기술공학에 대한 흥미·동기 유발과 창의·인성 교육에서 비롯된다. 연구자는 이러한 융합 과학교육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4C(Convergence, Creativity, Communication, Caring)’와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ematics)’의 개념에 ‘인형극’이라는 공연을 융합한 ‘과학인형극 프로그램 개발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는 연구자가 2009년에 초등학교 과학교사 10명과 함께 ‘과학인형극회 꼭두샘’이란 연구회를 조성하고, 현재까지 6년 동안 전국의 초등학생 12,000여명을 대상으로 서울광화문광장 가족과학축전, 제주 과학축전 등 총 50여회의 과학인형극 융합 공연을 기초로 한 것이다. 본 연구는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형 절차에 의해 개발한 전략으로서 과학인형극 프로그램에 적합한 4C 요소를 추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교과간의 ‘내용 융합 단계’, 4C 강화를 위한 ‘융합 미션 단계’, 인형극에서의 ‘과정융합 단계’ 등 3단계의 과학인형극 프로그램 개발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은 ‘상황 제시’, ‘창의 설계’, ‘성공 경험’ 등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이 촉진되고 융합, 창의, 소통, 배려 등의 감성적 인성교육을 체험하게 된다. 나아가 융합인재교육의 다양한 현장형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as an emerging issue being recently addre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starts from the trigger of interests and motivation, and the training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researcher proposed a ‘strategic program development for science puppet show’ in convergence of conceptual 4C (Convergence, Creativity, Communication, Caring)’ and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ematics)’ with ‘puppet show’. The researcher formed a research meeting, ‘science puppet show, Ggokdusaem’ with 10 other science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 in 2009, and performed about 50 science puppet shows (including Family Science Festival in Seoul Gwanghwamun Square, Science Festival in Jeju, etc.) for 12,000 elementary schoolers in last 6 years. This becomes the foundation for this study, a strategic program development. This study is a strategy developed by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model. In this study, 4C components appropriate for science puppet show program were drawn and proposed the 3-stage strategy for developing a program in science puppet show ? ‘contents convergence’ between the subjects, ‘mission of convergence’ to strengthen 4C and ‘process convergence’ in puppet show. This would promote student’s interests and motivations in scientific technology - ‘proposing a situation’, ‘creativity design’ and ‘experiences of success’; thereby, the students would have experiences with the emotional personalities training ? convergence,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Furthermore, this expected to take a part in developing a diverse field-study program in STEAM.

      • KCI등재

        한·중(韓·中) 인형극의 비교연구 : 역사적 전개, 텍스트 및 공연과 관련된 몇 가지 논제

        안상복 한국중국학회 2003 중국학보 Vol.47 No.-

        韓中人形劇的關係到底有什關係? 對這一題目從來少有人作過比較. 因此, 一些韓國學者已往提出的‘中國對韓國的影響說’還沒到立脚點. 爲了解決這一問題, 本文以韓中兩國的傳統人形劇爲對象進行了初步比較和探討. 具體說, 經過從五個論題入手的縱橫比較, 得到了兩國人形劇發展史的大綱. 據此結果, 我達到初步認識 : 韓中兩國人形劇大體上可以說是同一系統, 但是具體內容上也有不少獨有的特性. 兩者的歷史發展情況, 大約至中世, 是大同小異的. 後來分道揚, 至今相差得??. 據本文所得的結果來看, 一些學者提出的在人形劇史上‘中國對韓國的影響說’缺少具體根據. 所以我主張, 這種說法的正確與否, 不如先把握‘西域對中國與韓國影響說’的具體情況, 再說也不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