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용주의 장애인 고용 인식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성규,양숙미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0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1

        본 연구는 고용주의 장애인 고용인식 척도개발에 관한 기초연구이다.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관한 인식척도는 개발되어 있으나, 고용주의 장애인고용에 관한 인식척도는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인식에 관한 문헌조사와 고용주 대상 심층면접을 통하여 장애인고용인식에 관한 범주를 설정하였다. 척도의 구성내용에 대해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구성개념과 문항의 적절성을 검증 받았다. 이렇게 선정된 장애인 고용에 대한 인식 범주를 중심으로 고용주의 장애인 고용에 관한 인식 척도에 관한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친 예비척도를 측정도구로 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의 난이도를 조절하고, 부적절한 문항들을 걸러냄으로써 척도를 개발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172개 설문지 중 부적절한 설문지 15개를 제외하여 157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고용주의 장애인 고용에 관한 인식 척도는 전체 모형의 유의성 검증결과 KMO 값은 .824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Bartlett 검정결과 유의확률이 .000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의 4개의 요인의 총 분산설명력은 63.887%로 나타났다. 전체 요인 값은 대부분 .50이상을 보여 각 변수의 타당성이 보장되고 있으며, 4개 요인이 적합한 요인으로 묶여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용주의 장애인 고용에 관한 인식 척도는 작업수행에 대한 우려 4문항, 장애인 고용관련 비용 4문항, 다른 사람들의 반 응 5문항,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4문항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의미는 고용주의 장애인 고용에 관한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것이며, 표준화된 척도를 활용함으로써 고용주의 인식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한국판 정서 인식 수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소연(So-Youn Lee),박기환(Kee-Hwa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정서인식 수준을 실행기반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로 정서인식 수준 척도를 번안하여 한국어판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정서인식수준척도(LEAS)는 개인의 정서인식 수준을 제 3의 평정자가 신체감각, 행동경향성, 단일정서, 복합정서, 그리고 복합정서의 조합이라는 5단계로 평가한다. 방법 임상 및 상담심리 전문가 3인의 번역후 이중언어 사용자의 역번역 및 원저자 확인을 통해 한국판 정서인식척도(K-LEAS)의 시나리오를 확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대학생으로 총 218명의 자료가 분석되었고, 2명의 평정자가 K-LEAS 점수를 평정하였다. SPSS를 이용해 척도의 평정자간 일치도, 내적 일치도를 분석하였고, 타당도 분석을 위해 TAS-20, TMMS, DASS-21, NEO-PI-RS와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과 언어-문화간 LEAS 점수차를 확인하기 위해 t-검증 및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K-LEAS는 높은 평정자간 일치도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또한 K-LEAS는 TAS-20, TMMS 등 기존의 자기보고식 설문지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고, NEO-PI-RS 중 개방성과만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K-LEAS는 우울, 불안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국가별 비교에서 한국 대학생의 LEAS점수는 미국 대학생의 점수와 비슷하고, 일본의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K-LEAS는 충분한 신뢰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기존의 자기보고식 정서인식 척도와는 수렴타당도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K-LEAS가 자기보고식 척도와는 다른 차원의 정서인식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시사된다. 그동안 한국의 정서관련 연구는 주관적인 자기보고식 설문 연구에 지나치게 의존해 온 경향이 있는 바, 보다 객관적으로 개인의 정서인식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수행 기반의 평가도구로서 K-LEAS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Scale (LEAS) was developed to assess the emotional awareness construct, based on a cognitive-developmental persp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LEAS (K-LEAS) and prov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hrough data from 218 university students, inter-rater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K-LEAS were analyzed. Criterion validity were analyzed by the relationships with TAS-20, TMMS, DASS-21 and NEO-PI-RS. Results The results Showed high inter-rater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K-LEAS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ASS-21 and total score of TAS-20, except externally-oriented thinking subscale in TAS-20. K-LEA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nly openness among NEO-PI- RSsubscales. In addition, women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men on K-LEAS, supporting the cross-cultural consistency in gender difference. In comparison between countries, the level of emotional awarenes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as similar to that of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and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s Although K-LEAS has sufficient reliability, it does not show convergent validity with existing self-report scale, which is suggested that K-LEAS measures emotional awareness ability in a different dimension from the self-report scale. Until now, Korean emotional research has tended to rely too much on self-report questionnaire research, and K-LEA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ool to evaluate individual emotional awareness ability not only in a subjective manner but also in objective performance.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용 장애학생 인권인식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춘영 ( Lee¸ Chun Young ),이재욱 ( Lee¸ Jae Woo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의 장애학생 인권인식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장애학생 인권인식의 개념과 이를 구성하는 요소를 탐구하여 예비특수교사들의 장애학생 인권인식을 진단할 수 있는 측정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UN아동권리협약」의 4대 기본권을 기초로 장애학생 인권인식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6개 하위 영역 36개 문항의 척도를 구성한 다음 예비조사와 본 조사에서 전체 312명의 예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한 자료가 인권인식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지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를 분석하고, 내적일관성 신뢰도계수를 산출하여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발달보호권, 생존권, 비차별권, 참여표현권, 최선의 이익 5개 영역 20개 문항으로 인권인식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 척도를 통해 인권인식을 분석한 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의 인권인식은 매우 높은 수준이었고, 통합교육에서 장애친구와의 친밀도가 장애학생 인권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 결과들은 4대 기본권을 기초로 5개 영역의 장애학생 인권인식 척도가 유용할 수 있음을 밝혔으며, 최근의 특수교육 추세 및 통합교육의 유효성에 기인한 혜택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This study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n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by prospective disabled student teachers, and it is aimed to develop a measurement scale that can diagnose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exploring the concept of and components of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four basic rights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 scale of 36 items in 6 sub-areas was construct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the recognition of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a total of 312 prospective disabled student teachers in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e main survey.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collected data are suitable for measuring human rights awareness, a factor analysis are conducted to analyze validity, and calculate an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efficient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Through these analysis process, the scale of human right awareness for 20 items in 5 areas of rights on developmental protection, survival, non-discrimination, participatory expression, and best interest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human rights awareness through this scale,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prospective disabled student teachers was very high, and the influence of intimacy with friends with integrated education on human rights awareness of disabled students was relatively important. This study suggested that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ults of using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construct an integrated education policy an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human rights awareness scal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5 areas based on the 4 basic rights could be useful, and it was discussed in terms of the recent trends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benefits resulting from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education.

      • KCI등재

        자기인식척도(SAS)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정미,박홍석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lf-Awareness Scale(SAS) which examines the measurement of self-awarenes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research, nine preliminary questions in three sub-factors were suggested. Prior to this investigation, Delphi tests were conducted on panels composed of 10 psychological counseling specialists to verify content validity, and content understanding survey of 28 college students in Seoul city were conducted to validate face validity.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three correlated factors of intrapersonal, interpersonal, & Environmental self-awareness were extracted, and the results of criterion-related validity test were correlated with related variables and showed satisfactory size.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SAS was a three-factor structure model with good fit in the evaluation of the measurement model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nally, in the cross validation test through the model comparison between the parameter estimation group and the cross validation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 and the covariance were the same in the two groups. The three factor measurement model of the SAS has also been found to fit well with the data of the new sampl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A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ere verified, and the three - factor structure measurement model and its cross validity were proved. 본 연구는 자기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문항을 개발하였고, 문항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10인의 전문가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이해도 평가를 위해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적 자기인식, 대인관계적 자기인식, 환경적 자기인식의 3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준거타당도 검증 결과 관련변인들과 모두 양호한 크기의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모형 평가에서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어 자기인식척도가 3요인구조를 가진 측정모형임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모수추정집단과 교차타당화집단 간 모형비교를 통한 교차타당성 검증에서 두 집단의 모형이 요인계수와 공분산까지도 동일하다는 것이 확인되어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자기인식척도의 3요인 측정모형이 새로운 표본의 자료에도 잘 부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써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자기인식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가 검증되었고, 3요인 구조의 측정모형과 그 교차타당성이 입증되었다.

      • KCI등재

        한국의멸종위기종복원인식척도(K-ESRAS) 개발및타당화연구

        정영인(Chung Youngin),현지연(Hyun Jee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본 연구는 한국의 멸종위기종 복원 인식 척도(K-ESRAS: Korea s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Awareness Scale)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척도의 개발은 예비문항 개발, 예비검사, 본 검사, 최종척도개발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멸종위기종 중 대형 식육목 복원 가능지역인 강원도 지역주민과 수도권지역주민으로, 해당 지역에 3년 이상 거주한 만 19세 이상으로 예비검사는 148명, 본 검사는 307명이다. 연구절차는 먼저 예비문항 개발을 위해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문항을 개발하였고, 2단계에 걸쳐 질적 내용타당도 검증과 양적 내용타당도 검증 절차를 통해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은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멸종위기 동물과 인간생활의 연관성, 멸종위기 동물에 관한인식, 멸종위기 동물 복원에 관한 인식, 지역사회와의 문제 인식, 멸종위기 동물 복원에 관한 태도, 멸종위기 동물에 관한 태도 등 6개의 하위요인과 24문항의 척도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멸종위기종 복원인식 척도 개발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Korea s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Awareness Scale(K-ESRAS). The whole process include the development of preliminary questions, preliminary test, main test and final scale. The study subjects were residents of Gangwon-do, an area where endangered large carnivore species can be restored, and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They were 19 years of age or older who had lived in the area for 3 years or more. The 148 were included in the preliminary test however in the main test, 307 people were included. As for the research procedure, first,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for preliminary question development, a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quantitativ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procedures in two stag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eliminary questions was tes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ndangered animals and human life, awareness of endangered animals, awareness of restoration of endangered animals, and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Six sub-factors and a 24-item scale were developed, including problem perception, attitudes toward endangered animals restoration, and attitudes toward endangered animal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development of Korea’s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awareness scale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단축형 연령통합척도 타당화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연령통합인식 관계: 연령집단 간 비교

        정순둘,임정숙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1

        This study validates an abridged version of the age integration scale by Chung et al. (2015), which constitutes sub-dimensions of age flexibility and age heterogeneity-from Riley et al. (1994)-and observes disparities in the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among different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1,433 people in the "Age Integration and Generation Integration Survey" data, with the support of the Social Science Competency Enhancement Project (SSK)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is paper analyzed the data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group factor analysis, and a compare means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ale was abridged to 13 items from 28, of which eight items concern age heterogeneity and five concern age flexibility. Second, the multi-group analysi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younger, middle, and older age groups, therefore allowing the scale to be used among all age groups. Third, whe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younger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age integration, age heterogeneity, and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Middle-aged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age integration, age heterogeneity, and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social status. Older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 of age integration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education level, and social status. They also showe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social status an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ge heterogene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olitical and practical measures to promote perception on age integration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정순둘 등(2015)이 개발한 연령통합척도를 Riley 등(1994)이 개념구성한 연령유연성과 연령다양성을 하위요인으로 한 단축형 연령통합척도로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척도의 실용성을 확보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징에 따른 연령통합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한 사회과학역량강화지원사업(SSK)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 조사’자료의 총 143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다집단 요인분석, 평균비교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는 총 28문항에서 13문항으로 수정되었으며, 연령다양성 8문항, 연령유연성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청년, 중년, 노년 집단으로 분류하여 다집단 요인분석에서 연령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 연령에서 사용가능성이 확보되었다. 셋째, 연령집단 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연령통합인식 차이에서 청년집단은 거주지역에서만 연령통합인식, 연령유연성, 연령다양성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집단에서는 거주지역과 계층인식에서 연령통합인식, 연령 유연성, 연령다양성 차이를 보였다. 노년집단은 연령통합인식에서는 거주지역, 교육수준, 계층인식이 유의미하였으며, 연령유연성에서는 거주지역과 계층인식, 연령다양성에서는 거주지역과 교육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령통합인식 향상을 위한 연구를 위한 방향과 정책 및 실천을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 인식 척도와 차별 지각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허연주,이민규,이진영,신아현,박준호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지역과 세계 Vol.46 No.2

        In this study, social stigma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perception scale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based on social representation. Additionally, differences between the scal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total 257 data points, 131 were used to conduc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126 were used for cross-validation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2 items consisting of four factors were selected for the social stigma recognition scale, whereas eight items consisting of two factors were selected for the discrimination perception scale. Meanwhile, fro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oth scales showed reasonable fi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tigma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perception based on age.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tigma recognition according to gender but not in discrimination perception.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regions wa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본 연구는 사회적 표상에 근거하여 일반인들의 시선에서 정신질환자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 인식 정도와 차별 지각 정도를 측정하고자 사회적 낙인 인식 척도와 차별 지각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척도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총 257명의 자료 중 131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126명은 교차타당화를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사회적 낙인 인식 척도는 4개 요인으로 구성된 22개의 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또한, 차별 지각 척도의 경우 2개 요인으로 구성된 8개의 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두 척도 모두 타당한 적합도를 나타냈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보면 연령에 따른 사회적 낙인 인식과 차별 지각의 차이가 유의하였고, 성별에 따라 사회적 낙인 인식의 차이는 유의하였으나 차별 지각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지역에 따른 차이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학생과 초등예비교사의 생태 인식 비교 연구

        박현진,고현국,권동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목적 본 연구는 기후 위기와 감염병 유행 등 생태적 인식 함양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미래 사회의 주축인 초등학생과 그들을 교육하게 되는 초등예비교사의 생태 인식 정도가 각각 어떠한지를 검증된 도구를 사용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 352명, 초등예비교사 92명이다. 초등학생에게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용 NEP Scale’ 설문지를 인쇄 배부하였고, 예비교사에게는 ‘신 생태 패러다임 척도(New Ecological Paradigm Scale)’를 온라인으로 투입하였다. 그중 초등학생용 설문지 336부, 예비교사용 설문지 92부를 회수하였고, 해당 자료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과 초등예비교사의 생태 인식 전체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두 개의 하위 요인에서 초등학생의 평균이 예비교사의 평균보다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배경 변인별 생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른 생태 인식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생태 인식 하위 요인 중 일부 평균값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초등예비교사의 배경 변인별 생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른 생태 인식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생태 인식전체 평균과 하위 요인 중 일부 평균값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생태 인식은 연령과 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생태 인식 관련 교육을 설계할 때교수자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아동과 성인은 생태적 세계관을 구축하는 과정이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초등예비교사와 교사는 아동의 생태적 세계관 구축 과정을 이해하여야 한다. 셋째, 생태 인식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므로 그 원인을 다양한측면에서 밝히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worldvie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future society’s main pillars, along wit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will educate them.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that has been verified by many people and is widely used was use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9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 ‘NEP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was printed and distributed. In addition, ‘The New Ecological Paradigm Scale’ was distributed online t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 total 336 questionnair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92 questionnaire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collect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s of the ecological worldvie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owever, the average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wo sub-factors was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of pre-service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cological worldview by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values according to grade level. However, the average values of some of the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cological worldview by background variabl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values according to grade level.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average value of ecological worldview and some of its sub-factors according to gender.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individual's ecological beliefs may be independent of age. Therefore, instructors should consider these characteristics when designing education related to ecological worldview. Second, children and adults may have different processes for constructing an ecological worldview. Thus,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must understand children’s ecological worldview. Third, the ecological worldvie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differ according to gender.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clarify the cause from various aspects.

      • KCI등재

        한국판 상황적 자기인식척도(K-SSAS)의 타당화 연구

        박홍석,이정미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5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Situational Self-Awareness Scale (SSAS) developed by Govern & Marsch (2001) which measure spontaneously occurring fluctuations in self-awareness.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265 college students (Sample 1) and 9 items with 3 factors were extracted as follows; private self-awareness, public self-awareness, and environmental self-awareness. K-SSAS was verifi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item-total score correlation coefficient of K-SASS were satisfactory. K-SSA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correlation with similar measures and was confirmed that it had an appropriate level of construct validity. In order to verify the structural fi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310 college students (Sample 2) and a three-factor model of K-SSAS was supported. In addition, 2 quasi-experimental studies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specificity of the scale to measure the state-like constru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K-SSAS can be used for measuring changes in situational self-awareness in counseling, psychotherapy,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상황에 따른 자기인식 흐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Govern과 Marsch(2001)가 개발한 Situational Self-Awareness Scale을 한국판 척도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SAS 원 문항에 대한 번역․역번역 과정을 거쳐 한국판 상황적 자기인식척도(K-SSAS)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고, 대학생 265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 실시 결과, 원척도와 동일하게 3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양호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나타내었다. 각 하위요인은 원척도와 동일하게 사적 자기인식, 공적 자기인식, 환경적 자기인식으로 명명하였다. 새로운 표본인 대학생 31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정 수준의 적합도를 보여 K-SSAS의 3요인 모형이 지지되었다. 또한, K-SSAS가 상황적 자기인식의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는지 확인하고자 척도개발 당시 Govern과 Marsch(2001)가 실시했던 실험과 유사하게 두 차례의 준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SSAS가 실험조건에 따라 상황적 자기인식의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화된 K-SSAS가 상담 및 교육현장에서의 전문적 개입을 통해 일어나는 참여자들의 자기인식 변화를 측정하고, 나아가 이와 관련된 심리적 기제를 밝히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상담자용 내담자 강점인식 역량평가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권혜경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내담자의 강점을 인식하는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상담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상담자의 내담자 강점인식 역량에 대한 구성개념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자 집단을 구성하여 내용타당도 검증 절차를 걸쳐 36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척도개발을 위해 상담경력 1년 이상 및 석사학위, 상담관련 자격증을 기준으로 상담자 136명의 자료를 확보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척도 타당화를 위해 척도개발과 동일한 조건의 상담자 308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성개념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의 하위요인 및 9개 문항의 척도가 개발되어, ‘강점의 역동성 이해’, ‘내-외적 강점인식’, ‘긍정적 관점 유지’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담자 자기성찰,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 상담자 소진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 개발된 척도의 하위요인과 문항들은 상담자의 내담자 강점인식 역량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psychometric structure of the counselor competency scale designed to measure counselors perceptions of their client’ strengths. Initially,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s was conducted, followed by interviews with 15 experienced counselors to determine the basic concepts of counselor competency in relation to the perception of client’ strengths. Next, 36-items were chosen using content validatio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then conducted with a sample of 136 counselors. This resulted in a 3-factors, 9-items solution: ‘understanding of strength dynamics’, ‘internal-external strengths perception’, ‘maintenance of positive perspective’. To cross validate the derived sub-factor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308 counselors, and convergent and concurrent validities of the scale were assessed. Reliability and validity on scores of the scales were found to be good or adequat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