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남성의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자아이미지와 의복배색선호

        임지영(Ji Young Lim),김주애(Ju Ae Kim),장정아(Jeong Ah Jang),김민채(Min Chae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인 영향요인이 되는 인구통계적 특성을 개인이 가지고 있는 태도나 느낌의 집합체인 자아이미지와 더불어 의복의 배색선호행동과 관련하여 연구함으로써 다양하고 세분화된 남성복 시장에 객관적인 감성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자아이미지와 의복배색선호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인구통계적 변인, 자아이미지, 의복배색선호로 구성되었다. 인구통계적 변인 척도는 연령, 결혼여부, 학력, 직업, 월소득, 거주 지역, 패션관심도로 구성되었다. 자아이미지 측정은 Gutman, J와 Mills, MK가 사용한 자아상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의복배색선호는 셔츠와 타이가 조합된 자극물 사진과 이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는 의미미분척도를 사용하였다. 평가자는 서울·경기지역과 부산·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은 SPSS 13.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성인남성의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집단 간에 자아이미지와 의복배색선호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이미지는 비교적 연령이 높아질수록 미혼일수록, 고학력일수록, 자유롭거나 타인과의 접촉이 잦은 직업일수록, 월소득이 낮을수록, 서울·경기지역 일수록, 패션에 관심이 높을수록 자신을 ‘세련된’, ‘현대적인’, ‘특이한’, ‘모험적인’, ‘사교적인’, ‘군중 속에 두드러지는’, ‘생활스타일이 다양한’ 이미지로 지각하였다.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의복배색선호도는 비교적 연령이 높아질수록, 기혼일수록 동일, 톤 온 톤, 톤 인 톤, 콘트라스트1 배색을 선호하였고 부산·경남지역이 서울·경기지역보다 톤 인 톤 배색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에 관심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톤 온 톤 배색이나 톤 인 톤 배색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집단모두 톤 온 톤 배색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provide the objective emotional data for diversified and segmented men`s clothes market by study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is the individual influence factor, together with the self-image, which is the aggregate of the individual attitude and emotion, related to the coloration preference behavior in the clothes. Therefore, the degree of the self-images and the degree of the color preferences in clothe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are intended to verify. The measuring tools of the study are composed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 self-image, and the coloration preference in clothes. The demographic variable scales are composed of the age, the marital status, the academic background, the profession, the monthly income, the residential region, and the interest in fashion. The self-image was measured by using self-image measurement tools used by Gutman J. and Mills, M.K. The coloration preference in clothes was measured by using the stimulus pictures taken from shirts combined with ties, and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o measure the response. The assessment was conducted from the adult male subjects lived in the Seoul-Gyeonggi region and the Pusan-Gyeongnam region,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3.0 Statistical Packag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represented in the self-image and coloration preference in clothes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adult males. The self-image was perceived as more ‘sophisticated’, ‘modernized’, ‘unique’, ‘adventurous’, and ‘social’ images, and ‘distinguished forms among the crowd’ and ‘diversified lifestyle’ image in the peoples of relatively older, singles, higher academic backgrounds, the liberal professions or the professions of frequently contact with others, lower monthly income, Seoul-Gyeonggi residents, and having higher interest in fashion. In the color preference in clothes, the people of relatively older ages and married represented to prefer the same, tone-on-tone, tone-in-tone and contrast1 coloration, and the people of Pusan-Gyeongnam region represented to prefer tone-in-tone coloration than those of Seoul-Gyeonggi region. The group of the people not interested in fashion appeared to prefer tone-on-tone and tone-in-tone coloration than the group of interested in fashion. Coloration of tone-on-tone represented as the most preferred coloration for all the groups of demographic variables.

      • KCI등재

        한국프로야구 구단의 회원과 비회원의 성향 차이 분석: A 프로구단의 사례를 통하여

        김상호 ( Sang Ho Kim ),유의동 ( Eui Dong Yoo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8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한국프로야구 경기 관람객 대상으로 회원유무에 따라 관람결정요인별, 인구통계학적 변인별, 그리고 관람행동적 변인별 차이를 분석하여 회원과 비회원의 성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6년 프로야구 경기장을 방문한 관중들 중 홈팀을 응원한 1,10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실시하였고, 그 결과 불성실한 응답자 46명을 제외한 총 1,054명의 표본을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방법은 윈도우형 SPSS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검정(Chi-square)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개의 관람결정 하위요인들 중 경기관련요인과 경기장관련요인에서 회원과 비회원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회원이 상대적으로 팀, 선수, 스타플레이 등의 경기관련요인을 보다 더 고려하는 반면, 비회원은 상대적으로 경기장관련요인을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람결정요인이 프로야구 경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회원은 경기관련요인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반면 비회원의 경우에는 경기장관련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차이를 보면, 연령, 교육수준, 직업 변인에서 회원과 비회원의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즉 상대적으로 회원은 30세 이상, 대졸출신, 회사원과 자유업 종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네 개의 관람행동적 변인(교통수단, 동행인) 모두에서 회원과 비회원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ifferences between members and non-members on decision factors affecting spectator attendance, demographic profiles, and spectating behaviors. A total of 1,100 subjects were selected by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Finally, a total 1,054 usable data were used after eliminating 46 inappropriate responses. As for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t-test, multiple regression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ith Chi-square test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2.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members and non-members on one (product-related factor) out of four subordinate factors under the decision factor affecting spectator attendance. Second, while members tended to perceive that the ``product-related`` factor was most influential on satisfaction about watching professional baseball games, non-members showed that the ``place-related`` factor was most influential.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members and non-members on three (age, educational degree, & occupation) out of five demographic variables. Fourth,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members and non-members on all spectating behavior variables (accommodation type, type of accompanying person, method to gather game-related information, and method to purchase game tickets.

      • KCI등재

        직무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Ⅱ) :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영향 및 규준 수립 Demographic Variables and Norm

        이동수,김지혜,한우상,우종민,강동우,고영건,연병길,김이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6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Osipow와 Spokane(1992)의 직무 스트레스 모형에 기초한`직무 스트레스 검사(Occupational Stress Inventory)`를 표준화하고 규준을 작성하기 위해서 성별, 연령, 직업기간, 직종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서 직무 스트레스의 경험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규준을 작성하였다. 방 법: 한국직업사전 직업분류에 따라서 7개 직종군의 805명(남성 76.5%, 여성 23.5%)에게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성별, 연령, 연봉, 직업기간, 일반직종, 직급 차이, 일반직/특수직, 사무직/근로직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경험과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후,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남성, 여성 집단 각각의 규준을 작성하였다. 결 과: 1) 남성과 여성은 직무 스트레스의 경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대처 행동에서 서로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여성은 직무 자체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는데, 남성집단에 비해 역할 불충분(RI), 역할 모호성(RA), 사회적 지지(SS), 직무 긴장(VS) 척도의 수준이 높았으며, 남성은 여성에 비해 역할 과부하(RO), 책임감(R) 척도의 수준이 높았다. 2) 다음으로 연속변인으로 측정한 연령, 연봉, 직업기간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으로 연령이 많고, 연봉이 높고, 직업에 종사한 기간이 길수록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문제가 적고, 적절한 대처자원을 가지고 있었다. 3) 일반적인 직종에 따라서 직무 스트레스의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연령, 연봉, 직업기간을 통제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는데, 남성집단, 여성집단 모두에서 일반적인 사무직종 내에서는 직무 스트레스의 경험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직종 내에서 직급에 따른 고유한 효과는 없었다. 다음으로 일반 사무직종 이외에 경비회사 직원, 직업군인(장교)과 같은 특수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직무스트레스 경험이 일반 회사원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직종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일반 사무직과 기능 근로직에 대한 비교에서도 직종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일반 사무직종 내에서 직종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경험의 차이는 적지만, 특수직종과 기능직을 비교하였을 때는 직종에 따라서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앞선 분석결과에서 가장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난 변인인 성별을 기준으로 한국판 직무 스트레스 검사의 규준을 작성하였다. 결 론: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경험과 반응은 성별, 연령, 연봉, 직업기간, 직종, 직급 등의 여러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라 서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 개인의 스트레스 경험과 반응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개인의 인구 통계학적인 특성에 대한 폭넓은 탐색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규준을 이용하여, 개인의 스트레스 경험을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검사의 결과를 적절한 임상적 개입을 위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job stress experience and established the norms of the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Methods: The normative group consisted of 805 adult workers who represent seven major job class in Korea. K-OSI were administered to normative group and data were analyzed by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Results: To explore the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on K-OSI, we considered several factors such as age, sex, duration of employment, job class, job position and so 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e found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K-OSI. Compared with men, women showed higher scores in Role Insufficiency, Role Ambiguity, Social Support, Vocational Strain Scales and men showed higher scores in Role Overload, Responsibility Scales. 2) Generally, a person who was older, earned higher salary, more duration of employment experienced job stress and had more coping resources. 3) In general, white-collar workers, job classes and job position had little effects on job stress. But other workers such as security guards, military officers were different from general white-collar workers in K-OSI. Conclusions: Because men and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K-OSI, we constructed norms according to sex. K-OSI would be an useful instrument to identify one`s job stress experience and develop intervention plan.

      • KCI등재

        의복배색 선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임지영 ( Ji Young Lim ),김민채 ( Min Chae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어떤 변인들이 의복배색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지 경로분석을 통해 관련변인을 밝히고자한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자아상 변인, 의복배색 선호도로 구성되었고, 데이터 분석은 SPSS 14.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아상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본 결과, ‘평범한-특이한’과 ‘안전위주인-모험적인’ 그리고 ‘한결같은-창조적인’, ‘내성적인-사교적인’으로 나타났다. 동일 배색 선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결혼과 연령 그리고 연구직, 학력이 직접적 영향을 주었으며 자아상의 변인은 전혀 나타지 않았다. 톤 온 톤 배색 선호에는 예술직과 ``평범한`` 이미지가 직접적 영향을, 미디어 접촉도와 연구직 및 기술직, 연령은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톤 인 톤 배색 선호에서는 연령과 교직, 지역 그리고 학력, 예술직, ``안전위주인`` 이미지가 직접적 영향을, 미디어 접촉도와 기술직, 소득 그리고 법무직, 교직 및 연구직과 연령은 간접적 영향을 주었다. 컨트라스트 배색 선호에서는 연령과 결혼, ``창조적인``과 ``사교적인`` 이미지가 직접적 영향을, 미디어 접촉도와 예술직, 연구직, 기술직, 소득, 연령은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유채색과 무채색 배색 선호에서는 학력과 ``안전위주인`` 이미지가 직접적 영향을, 소득과 미디어 접촉도, 법무직 및 교직 그리고 기술직과 연구직, 연령은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related variables through path analysis which variables impact on preference of color combination for cloth subjecting on adult male. As measuring tools, we organized demographical variable, self-image variable, and preference of color combination for cloth. Data were analyzed regression analysis by SPSS 14.0 statistical package.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factors impacting on self-image are ``common-unique``, ``safety emphasizing - adventurous``, ``constant - creative``, and ``introverted - sociable``. Variables directly impact on preference of uniformed coloration are marriage, age, researching position, and academic career and there was no variable of self-image. In tone-on-tone combination, artistic positions and ``common`` images have a direct impact and media contacting degree, researching & engineering positions, and age have an indirect impact. In tone-in-tone combination, age, teaching, region and academic career, artistic, ``safety-emphasizing`` images have a direct impact and media contacting degree, income, and judicial affairs, teaching & researching, and age have an indirect impact. In contrast, age, marriage, and ``creative`` & ``sociable`` images have a direct impact, and media contacting degree, artistic, researching, & engineering positions, income, and age have an indirect impact. In chromatic & achromatic colors, academic career and ``safety-emphasizing`` image have a direct impact, and income, media contacting degree, judicial affairs, teaching, researching, & engineering positions, and age have an indirect impact.

      • KCI등재

        농촌지역 노인의 주관적인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생활습관과 사회심리적 변인에 대한 연구

        김희영(Kim, Heuiyung),정봉교(Chung, Bongkyo)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본 연구는 농촌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생활습관을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316명의 농촌 지역 거주 노인들이 연구보조원의 도움을 받으면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생활습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성공적 노화에 관한 설문에 응답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과 AMO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남성에서는 연령, 음주 및 사회모임 그리고 여성에서는 일과 운동이 성공적 노화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남성이 여성보다 낮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높은 사회적 지지와 성공적 노화를 나타내었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 및 성공적 노화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에 사회적 지지는 성공적 노화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졌다. 사회적 지지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매개하는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생활습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가 갖는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parameters, life style and successful aging and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sociopyschological stress on successful aging in elderly people. 316 elderly people were sampled in rural area. With the aid of survey assistants, participants complete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PWI-SF), Medical Outcome Study-Social Support survey(MOS-SSS) and Successful aging scale. Demographic , life style data were also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AMOS statistical procedures. Age, drinking and social group predicted successful ageing significantly in elderly man, but work and exercise predicted successful ageing significantly in elderly women. Elderly m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sociopsychological stress, higher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than elderly women. Sociopsychological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but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Social support had the partial mediation role between sociopsychological stress and successful aging. Finally, the implication and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인지기능과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의 관계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의 조절효과

        지한솔,장승민,강연욱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3

        Cognitive functions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re two crucial variables in distinguishing between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dementia. Inconsistent research findings have been reporte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s and instrumental ADL, which may be due to the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s and instrumental ADL in patients with amnestic multi-domain MCI (amMCI, n=167) and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 n=82). To evaluate the global cognitive ability, the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and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2nd Edition (SNSB-II) were administered to the patients as individual tests. The caregivers completed the Korean-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The K-MMSE and the five cognitive domain scores derived from SNSB-II such as attention, language, visuospatial function, memory, and frontal/executive function were used as predictor variables, the score of K-IADL as a criterion variable,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age, sex, and years of education) as moderator variables.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b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g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MMSE, language, visuospatial function, memory, and frontal/executive function scores and instrumental ADL. Years of educ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K-MMSE on instrumental ADL, but no moderating effect was found in sex. The results imply that age and years of education in the MCI and DAT groups moderate the impact of cognitive functions on instrumental ADL, and age especially has a greater moderating effect. 인지기능과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은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변별하는데 있어 중요한 두 변인이다. 인지기능 수준과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의 관계에 관해서는 일관적이지 않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연구에 포함된 대상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이 인지기능 수준과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의 관계에서 어떤 조절효과를 지니는지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 167명과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 8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와 서울신경심리검사 2판(SNSB-II)을 개인검사로 환자에게 실시하였고 한국판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척도(K-IADL)를 환자의 보호자에게 실시하였다. K-MMSE 점수와 SNSB-II에서 산출된 주의집중능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력 및 전두엽/집행기능과 같은 5개의 인지영역 점수를 예측변인, K-IADL 점수를 준거변인, 인구통계학적 변인들(나이, 성별, 교육년수)을 조절변인으로 선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나이는 K-MMSE,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력 및 전두엽/집행기능이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년수는 K-MMSE가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성별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집단에서 나이와 교육년수가 인지기능이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특히 나이의 조절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KCI등재

        소아청소년암 생존자들의 불안 및 우울의 예측 변인 연구

        정경미,이어진,유철주,한정우,김선희 한국건강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7 No.4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소아청소년암의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소아청소년암을 만성질환으로 인식하고, 치료 종료 후 생존자들의 심리적 적응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암 생존자들의 불안과 우울 수준을 파악하고자, 치료 종료 후 2년 이상이 경과한 생존자 71과 연령, 성별을 짝 맞춘 대조군 71명을 대상으로 아동용 불안척도(RCMAS)와 아동용 우울척도(CDI)를 실시하였다. 또한 생존자들의 불안과 우울 수준을 예측하기 위해, 인구통계 변인과 치료 변인들로 구성된 모델의 예측력을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해 검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아청소년 생존자와 대조집단 간에 불안과 우울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소아청소년암 생존자들의 불안 수준에 대한 전체 회귀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에 대한 예측변인 중에는 연령, 재발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예측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우울 수준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성별과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위의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1) to compare anxiety and depression levels of cancer survivors to healthy controls; and (2) to identify significant predictors(including demographic and treatment-related factors) of survivor's depression and anxiety. A total of 71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gender and age-matched healthy controls completed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One-way ANOVA results revealed no group differences for anxiety and depression. For survivors, the prediction model of anxiety was significant, and age and relaps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No significant predictors were found for depress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sex and age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아동 대상 성범죄자, 친족 성범죄자 그리고 강간범 간의 특성 비교: 인구통계적 변인과 범죄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고려진,이수정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1

        Recently, sex offences against children are sharply increasing in Korea. This study reviewed the various concepts related to this matter, specifically pedophilia. Based on empirical data,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pedophiliac sex offenders and incest sex offenders and rapists general sex offenders. Pedophiliac sex offenders were defined by victims' age under 13. Demographic and criminogenic variables presented pedophiliac sex offenders and incest sex offenders were older than rapists and more members got marriage experiences. Pedophiliac sex offenders' age when they start crime was higher than that of rapists and they commit crime by themselves and they use weapon during crime. Incest sex offenders acquired lower score on Static-99, a sex offender risk assessment tool followed by Pedophiliac sex offenders and rapists.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는 매우 흉악한 범죄로 인식되는 바, 최근의 발생율 증가는 우리 사회에서 심각한 우려를 불러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동 대상 성범죄자와 친족 성범죄자, 그리고 강간범 사이의 인구통계적 변인과 범죄관련 변인 등의 특성에 있어 차이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이들 범죄의 발생기제를 조금이라도 설명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소아기호증과 아동치한범을 중심으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자의 유형을 고찰해 보고 그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친족 성범죄자와 강간범의 유형과 특성을 정리하였다. 통계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아동 대상 성범죄자와 친족 성범죄자는 강간범에 비해 연령이 높았으며, 결혼 경험이 더 많았다. 범죄관련 변인 중에서는 아동 대상 성범죄자와 친족 성범죄자가 강간범에 비해 최초 경찰 입건 연령이 더 높았으며, 단독 범행이 더 많았고, 흉기를 사용한 경우가 더 많았다. Static-99를 이용한 재범위험성 평가에서는 친족 성범죄자가 가장 낮은 재범위험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과제를 토의하였다.

      • KCI등재

        소형주택 주거만족 요인 연구

        정연택(Yun-Taek Joung),김재태(Jae-Tae Kim),김종원(Jong-W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는 소형주택의 주거만족요인을 인구통계특성 그룹별로 세분화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그룹은 전체그룹과 그리고 남녀 성별로(2그룹), 연령대별로(3그룹), 기혼과 미혼이라는 혼인별로(2그룹)하여 총 8개 그룹으로 세분화하였고 주거만족요인은 사회적특성, 경제적특성, 접근성, 외부쾌적성, 물리적특성, 생활편리성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소형주택의 경제적특성 요인이 대부분의 그룹에서 주거만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생활편리성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물리적 특성은 전체그룹에서 낮은 영향력을 보이거나 유의하지 않았다. 기타 주거만족요인들은 각각의 그룹별로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factors of small sized housing, according to the costumer groups based demographic aspects. To attain the goal of this study, we set 8 groups (male and female : 2 groups, ages : 3 group, marriage : 2 groups, including whole group : 1) and selected 6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social factor, economic factor, accessibility factor. external comfort factor, physical factor, and convenience of living factor.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economic factor has the sta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 in all the 8 groups, with big positive coefficient. And the convenience of living factor is another important significant determinant in 6 groups. But the physical factor shows low the significant influence or insignificant influence in the all groups. Other factors, such as the external comfort factor, the social factor, accessibility factor. and convenience factor,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oups

      • KCI등재

        여성소비자의 선호의복이미지가 선호향수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최수경(Soo Kyoung Choi),추미선(Mi Seon Ch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소비자의 선호의복이미지가 선호향수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자료수집은 서울, 경기, 광주,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301명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2011년 6월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frequency, F-test,t-test, Duncan test, factor analysis, Cronbach`s α,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호의복이미지의 4개 요인은 품위성, 젊음, 현시성, 매력활동성으로 구성되었다. 선호향수이미지의 4개 요인은 자극성, 상쾌성, 현대성, 낭만성으로 구성되었다. 여성소비자의 인구통계적인 변인에 따른 선호의복이미지와 선호향수이미지는 부분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여성소비자의 선호의복이미지는 선호향수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패션 산업을 위한 마케팅 기획 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women consumers` preferred clothing image on preferred perfume imag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1 women living in Seoul, Gyeonggi, Gwangju,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in June, 2011.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frequency, F-test, t-test, Duncan test,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referred clothing image were composed of four factors, ``elegance``, ``youth``, ``visibility``, and ``attractioctivity``. The preferred perfume image were composed of four factors, ``stimulating``, ``freshness``, ``modern``, and ``romantic``. The preferred clothing image and preferred perfume image according to women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difference partly. Women consumers` preferred clothing image had a influence on their preferred perfume image. The study results are highly expected to be used as valuable sources in marketing plans for fashion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