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国中小学国际理解教育的实施现状与发展动向

        姜英敏(강영민)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5 글로벌교육연구 Vol.7 No.4

        中国的国际理解教育起始于20世纪90年代,并随着世界范围内全球化进程的加剧和中国对外开放程度的提高呈现出日新月异的发展趋势。中小学是国际理解教育的主要实施场域,在课程设置、课程内容、方法等方面都体现出中国的特有模式。本文系统梳理中国中小学国际理解教育的发展历程和现状,并通过个案分析其特征,指出近年来的发展动向,从而为相关研究提供参考。 1990년대에 발족된 중국의 국제이해교육은 국내 대외개방정책의 확대와 세계적인 글로벌 추세의 영향에 힘입어 일취월장의 발전을 이루어왔다. 특히 국제이해교육의 주요 실시 주체인 초중등교육은 교육과정 설치, 내용, 방법 등 면에서 중국특유의 패러다임을 나타내고 있는 바이다. 본문은 중국 국제이해교육의 발전과정 및 현황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사례를 예로 초중등학교 국제이해교육의 특징을 분석하고 근년이래의 새로운 발전 동향을 지적하여 관련분야 연구를 위해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현주 이소한의 한시 연구 - 가계문학 계승양상을 중심으로

        이명희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8 No.-

        This researcher examined poetic literature of Hyunjuj Lee So Han(玄洲 李昭漢), a son of Wolsa Lee Jung Gui(月沙 李廷龜) by dividing into contents from an angle of succession of family literature. The quantity of poem of 『Hyunjujib』 is not much more than Lee Jung Gui(李廷龜) or Lee Myung Han(李明漢), but it includes effects of family literature as they are. Three fathers and sons, Lee Jung Gui(李廷龜), Lee Myung Han(李明漢), Lee So Han(李昭漢), are very famous to such an extent as to be worthy to stand with Samso (三蘇) of Tang Dynasty(當代). And, literature achievement of three fathers and sons is continued to palsang(八相) and the effects are found in his grandson, Myungam Lee Hae Jo(鳴巖 李海朝).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of Lee Jung Gui(李廷龜) family, they have God-given talents and are not bound by artificial setting or elaboration. Of course, literature of the next generation was not better than that of Lee Jung Gui, Lee Myung Han, and Lee So Han. However, they naturally studied style of poetry through family style giving and receiving poems among family members and poems of Lee Jung Gui who was Munhyung(文衡) of Ting Dynasty. So, they show similar tendency in spite of a few individual differences, so they are very significant from an angle of succesiion of family literature.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Lee Jung Gui family is improvisation based on God-given talents. So, there are lots of Gujum(口占) that is written extempore. Therefore, there are a few negative effects that they are far from writer’s sincerity gradually through flourish or elaboration. So,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Jinsi(眞詩) pursued by Kim Chang Hyub and Kim Chang Heup. But, poetic object becomes dependency of pleasure, so shows similar artistic concept. It’s general characteristic and limitation of family literature of Lee So Han and Lee Jung Gui. Therefore, poem of Lee So Han influenced by family literature shows hommage reappearance borrowing same poetic words or poetic structure. The tendency preferring landscape was succeeded and fun is focused to describe landscape and Lee Jung Gui’s tendency to reappear experience is added. That’s why Lee So Han played the pipe on Chunwangbong of Jirisan Mountain. Therefore, poem of Lee So Han shows true characteristics when approaching from an angle of succession of family literature. This study reminds us to examine family literature in general, not a person, in consideration of the tradition of Ting Dynasty focusing on family style or family studies. 본 연구는 月沙 李廷龜의 아들인 玄洲 李昭漢의 시문학을 내용별로 나누어 가계문학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玄洲集』에 수록된 시는 이정귀와 이명한에 비하여 분량이 많지 않으나 가계 문학의 영향을 그대로 담고 있다. 이정귀, 이명한, 이소한 三父子는 當代에 三蘇에 비견될 만큼 문학적 명성이 높았다. 그리고 三父子의 문학적 성취는 그대로 八相에게까지 이어졌으며 손자인 鳴巖 李海朝에게서도 그 영향을 찾을 수 있다. 이정귀 가계의 문학은 천부적인 자질을 가지고 태어나 인위적인 설정과 조탁에 매달리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물론 후대의 문학이 이정귀와 이명한, 이소한을 능가할 만큼의 실력들을 갖추지는 못했던 듯하다. 그러나 그들은 지속적으로 그들만의 가풍을 면면히 이어나갔다. 當代의 文衡이었던 이정귀의 시를 모범으로 삼아 가족 간에 서로 시를 주고받으며 자연스럽게 시풍을 학습하였다. 간혹 미세한 개별적인 차이는 있겠지만 유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가계 문학의 전승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정귀 가계 문학의 중요한 특성은 천부적인 자질을 바탕으로 한 즉흥성이다. 그래서 즉흥적으로 지어진 口占이 많은 편이다. 때문에 지나친 수식이나 조탁을 통하여 작가의 진정성에서 멀어지는 폐단이 적었다. 또한 金昌協과 金昌翕이 추구한 眞詩와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 그러나 시적 대상이 흥의 종속물로 기능하여 비슷한 意境으로 표출된다는 지적을 받기도 하였다. 이는 이소한을 비롯한 이정귀 가계 문학의 대체적인 특징이자 한계이다. 가계문학의 영향을 받은 이소한의 시는 동일한 시어와 시적 구조를 차용하는 오마주적 재현이 많았다. 산수를 애호하는 부친의 성향을 물려받은 데다 산수를 묘사함에 있어 흥이 중심이 되는 감성까지 덧붙여 여기에 이정귀의 경험을 재현하고자 하는 경향이 추가된다. 이소한이 지리산 천왕봉에서 피리를 불게 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소한의 시는 가계문학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때 그 진면모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본 연구는 가풍이나 가학을 중시하였던 當時의 전통을 고려하여 한 사람이 아닌 한 가계의 문학을 총체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는 점을 일깨워주는 사례이다.

      • KCI등재

        한문(漢文) 교과(敎科)의 교수학적(敎授學的) 내용(內容) 지식(知識) 개발(開發)을 위한 중학교(中學校) 한문(漢文) 수업(授業) 이해(理解)

        백광호 ( Kwang Ho Baek ) 청람어문교육학회 2008 청람어문교육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the characteristic aspects by observing the Sino-Korean class in middle school. and to find out Sino-Korean`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shown from classes taught by Sino-Korean teach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ino-Korean class at a middle school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 Jeong`s instruction centered on students` activities and led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The properties of teacher Jeong`s instruction may be said to be the same as the methods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e sentences after learning the sentences first and then finding the answers to students` answers. This article intended to find out the Sino-Korean`s PCK through close interview and teaching shown from the Sino-Korean class. And The researcher suggests `stucher` means `The Teacher who teach the subject as well as study the field`.

      • KCI등재

        『皇城新聞 』소재 한문소설 「別界採探」 연구

        조상우(Jo Sangwoo)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5 No.-

          The present paper examines a short story titled 〈Byeolgye chaetam(Exploring the Strange World, 別界採探)〉 focused on three aspects: the social backdrop of its creation, types of its characters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First, the social backdrop of the story"s creation is considered by examining the theaters at that time as well as articles about Yeonheungsa Theater(演興社) appearing in the Imperial Capital News(『皇城新聞』) and the Korean Daily News(『大韓每日申報』). Second, the story"s character patterns are discussed focused on three protagonists--Yi Si-jong(李侍從), Major Bak(朴參領) and the mistress(別室). Finally,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is explored by comparing its characters with those appearing in both the previous and contemporary novels, in the process of which 〈Byeolgye chaetam〉 is evaluated to have been a story that attempted to disclose the evil influences of the new waves of thought and things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scholars" ways of thinking.<BR>  〈Byeolgye chaetam〉 was so titled because the world described in the novel was largely different, in a quite negative way, from that of the contemporary people, especially Confucian scholar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sume a connection between the male protagonist Yi Si-jong and the real-world Yi Jun-yong, the infamous pro-Japanese politician of the time. The author may have created this work as an indirect way to voice his negative opinion of the person when a direct criticism was not possible.<BR>  The present study concludes that the author of 〈Byeolgye chaetam〉 wrote this work to show its reader, especially Confucian scholars, the evil influences of the new waves of thought and things that held sway over Korea during the period of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work is that the author attempted to create a new work of literature that reflected the social conditions of his time.

      • KCI등재

        한국어 한자어에 대한 일본어 모어화자의 이해

        조남성(趙南星) 한국일본어학회 2011 日本語學硏究 Vol.0 No.32

        본고에서는 한국어 한자어[24개]에 대한 일본어 모어화자[164명]의 이해와 이 결과의 일본어 어휘 교육에의 응용 일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한자어 중에서 한국어에서는 사용하고 있으나 일본어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은 한자어는 87.2% 정도가 일본어 모어화자에게 이해되고 있지 않다. 이들을 잘못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사소통이 어렵다는 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24문제별 빈도가 높은 유추 어휘[20%(33명) 이상]를 보면 다음과 같다.(?표는 올바른 유추 어휘) 문1.便紙:?手紙[96/164명], トイレットペ?パ?[52], 2.放?:放課後[26], 3.求景:景色[47], 4.膳物:?プレゼント[23], 5.複道:わかれ道[14], 6.女大:?女子大?[83], 女子大生[69], 7.同生:同級生[122], 8.家口:玄?[125], 9.福券:??くじ[83], 福引(き)券[35],10.?束:?結[31], 11.手票:選?[33], 12.?談:?良い話[28], 13.休紙:?トイレペ?パ?[29], 欠席?(け)[29], 14.食口:食道[34], 15.感?:感情[18], 16.問病:病?[25], 17.男便:男子便所[68], 男子トイレ[48], 18.花?:?花札[23], 19.相議:?相談[54], ?議[45], 20.名?:名前[29], 21.問議:質問[51], ?議[38], 22.誠金:給料[24], 23.外上:屋上[44], 空[33], 24.車票:ナンバ?プレ?ト[52]위의 결과는 한국인 일본어교사에게 오용 정정의 객관적 기준을 제공함과 동시에, 어휘 지도에 도움이 되겠다.

      • KCI등재

        방언사전의 방언 어휘 수록 및 기술 현황, 성과와 한계

        이준환(李準煥)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코기토 Vol.- No.77

        이 글은 여태의 국어사전, 전국 단위의 방언사전, 지역 단위의 방언사전을 대상으로 하여, 방언 어휘의 수록 및 기술 현황이 어떠하며, 어떤 성과와 한계를 지니고 있는지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방언사전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하여 전망을 해 보고자 한 것이다. 방언을 대하는 태도를 보면 국어사전에서는 규범적 판단을 바탕으로 방언을 비표준어나 비속어와 같이 다루어 온 면이 있고, 방언사전에서는 국어 연구 자료로서 방언의 가치를 인식하거나 문화유산으로서 방언을 보존의 대상으로 간주해 온 성격이 강하다. 수록 어휘의 개수, 뜻풀이와 용례 등의 제시와 관련해서는 국어사전이나 전국 단위의 방언사전과 비교할 때 지역 단위의 방언사전이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따라서 지역 단위 방언사전의 성과를 상당 부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방언은 이해와 표현의 도구로 쓰이는 살아 있는 것이므로 이런 방언의 현재적 의미를 중시하여 정확한 이해와 표현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방언의 기술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국어사전 속의 방언 어휘나 각 방언사전의 분포에서 보이는 지역별 편중 현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방언에 대한 의식을 개선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는 노력을 통해서 방언이 표준어에 밀리지 않고 각각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생산성을 갖추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야만이 방언이 당당한 하나의 언어로서 서는 데에 방언사전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구마검(驅魔劒)> 연구 : 문학 안팎의 영향과 그 수용 방식의 의의

        박상석(Park, Sang-Seok) 동남어문학회 2020 동남어문논집 Vol.1 No.50

        In the case of Sin-so-seol(新小說), the intrinsic element of each work is how they were influenc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literature and how they responded to them. Lee Hae-jo(李海朝)’s <Gu-ma-gum(驅魔劒, 1908)> was influenced by the Chinese novel <So-mi-chu(掃迷帚, 1905)> and the development of Western medicine at the time. Of the 24 episodes of <掃迷帚>, <驅魔劒> was seem to be particularly affected by episodes 20 and 8, criticizing the act of pursuing ghosts to heal the plague and the act of believing and following feng shui, respectively. As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驅魔劒> used the editorial at the beginning of <掃迷帚> as the content of the characters’ letters. From the sentence level, the literal translation, omit, and abbreviation were combined at that. And the use of <掃迷帚> in <驅魔劒> is closer to homage than plagiarism. Japan, of course, played a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Western medicine in Korea at the time of the advent of <驅魔劒>, but the steady acceptance of Western medicine through China was the basis for this. <驅魔劒> reminds us that China has had a greater influence in and outside literature on the formation of 新小說 than we conventionally think. In <Sin-mun-hak-sa> (新文學史, 1939-1940), Im Hwa(林和) evaluated <驅魔劒> is excellent in reality,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attitude of the work using external influences. Although <驅魔劒> takes the new world represented by Western medicine as the aim of his work, the praise for it has been briefly replaced by the editorials taken from <掃迷帚> and the author’s own comments on Western medicine. Instead, the absolute volume of the work was devoted to criticizing the old world represented by superstition through concrete narratives and descriptions. The author’s strategy was to mention the new world, which is still the object of abstract ideas, to a minimum, and instead draw the old world, which is the object of substance and experience, in very detail. 林和, while giving significance to this characteristic of <驅魔劒>, dismissed it as a lack of politics and sociality, because the reviewer himself was still constrained in the illuminism of the 新小說 era.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驅魔劒> as an embodiment of the universal value as a novel that transcend the times would be an assessment appropriate for this 모든 분야에서 외부의 영향이 막강해진 근대 전환기의 문학 양식인신소설의 경우 문학 안팎으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아 어떤 방식으로 그에 대응했는가 하는 것이 각 작품의 본질적인 요소가 된다. 이해조의 <구마검(驅 魔劒)>(1908)은 문학 안에서는 중국소설 <소미추(掃迷帚)>(1905)로부터, 문학 밖에서는 당시 서양의학의 발전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소미추>의24회 가운데 <구마검>이 특히 영향을 받은 것은 귀신을 쫓아 역병을 치료하려는 행위와 풍수를 믿고 따르는 행위를 각각 비판하고 있는 20회와 8회일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밝힌 대로 <구마검>은 <소미추> 도입부의 논설을작중 인물의 편지 내용으로 활용했는데, 문장 차원에서 보면 여기에 직역·생략·축약이 복합됐으며, <구마검>의 <소미추> 활용은 표절보다는 오마주에가까운 것이다. <구마검>이 반영하고 있는 서양의학의 발전에 작품 출현 당시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건 물론 일본이지만, 그 전의 역사를 보면 중국을통한 서양의학의 꾸준한 수용이 그 바탕이 되었다. <구마검>은 우리가 관습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신소설의 형성에 중국이 문학 안팎에서 끼친 영향이 컸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임화는 <신문학사>(1939-1940)에서 <구마검> 에 사실성(寫實性)과 시정성(市井性)이 뛰어나다고 평가했는데, 그것은 이 작품이 외부의 영향 요소를 활용한 태도와 직결된 문제이다. <구마검>은 서양의학이 대표하는 신세계를 작품의 지향점으로 삼으면서도 그에 대한 예찬은다만 <소미추>에서 가져온 논설과 서양의학에 관한 작자 자신의 논평으로짧게 갈음하고, 작품의 절대적인 분량은 ‘미신’이 대표하는 구세계를 구체적인 서사와 묘사를 통해 비판하는 데에 할애했다. 작자는 아직 추상적 관념의대상인 신세계는 최소로 언급하고, 그 대신 실질과 경험의 대상인 구세계를매우 자상히 그려내는 전략을 취했던 것이다. 임화는 <구마검>의 이런 특성에 의의를 부여하면서도 이를 정치성 및 사회성의 결여로써 폄하했는데, 이는 평자 자신이 신소설 시대의 계몽성에 여전히 제약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구마검>의 현실성을 시대를 초월하는 소설의 보편적 가치를 구현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이 시점에 걸맞은 평가일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시대의 범교과적 문화교육 탐구 - 문학경험을 통한 문화능력의 함양을 중심으로 -

        한명숙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6

        I suggest the cross-curricular culture education for student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s Korean society has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 are multi-cultural students whose parent was from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native students who have Korean parents in school. However, an education plan for both native and multi-cultural students has been limited. It is required that they are provided a ‘cultural competence’ to adopt to and live in the Korea society together. ‘Cultural Competence’ is defined as an ability to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various cultures and understand each other. Because cultural education is implemented in different ways in the current curriculum and education system like “rhyzom” from Gilles Deleuze․Félix Guattari, an integrated and cross-curricular approach is required to give them the cultural competence. Therefore, I propose an integrated educational plan using literature which contains various cultures so that both students can experience and understand each different cultures, and then they finally acquire cultural competence from the cross-curricular culture education. 다문화사회가 된 21세기의 한국 학교에는 한국문화에 대한 노출 및 친숙함 정도가 같지 않은 학생들이 모여 있다. ‘한국문화 이해교육’이 더 중요한 ‘다문화학생’들과 ‘타문화 이해교육’이 더 필요한 ‘한문화학생’들이 서로 같지 않은 문화적 배경에 기인한 독자적인 특성을 지닌 채 어울려 살아간다. 이 학생들에게는 새 시대의 역량으로서 ‘문화능력’이 요구된다. 그것은 ‘서로 다른 다양한 문화 및 문화 간 차이를 인식하고 이해하고 존중하며 공동체의 삶을 가꾸어 가는 능력’으로 규정되며, ‘문화이해능력’과 ‘문화통합능력’ 및 ‘문화소통능력’으로 범주화된다. 학생들의 문화능력은 문화교육으로 길러질 수 있으나, 문화 교과가 없는 우리의 현실에서 문화교육은 들뢰즈(Gilles Deleuze)‧가타리(Félix Guattari) 철학의 리좀(rhyzom)처럼, 땅속 감자와 같은 형태로, 각 교과 속에 산재되어 있으며, 서로 연결접속 될 수 있는 ‘다양체’의 속성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문화교육은 국어교과를 비롯한 여러 교과에서 두루 수행하는 범교과적 접근법에 따라 실현될 수밖에 없다. 이에 우리는 문화 혹은 다양한 문화의 세계를 소재 및 주제로 하는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그것이 제공하는 문학경험을 범교과적으로 활용하여 ‘다문화학생’과 ‘한문화학생’의 문화능력을 기르는 문화교육의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LAC 교과목으로서 「명저읽기」 강좌의 방향 설정을 위한 모색

        김주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4

        LAC's pursuing 'broad' education is not just the diversity of miscellaneous studies. Broadness is another name of depth which cannot be reached with the ‘depth’ pursued by major education. This paper is a study for developing course that is called a LAC course of college on the verge of LAC conversion. First of all, the problem facing us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 course for 「Reading Classics」. While solving above problem, will simultaneously provide a clue to the 「The Understanding the World's Intellectual History」. Why should a university student read a book? On a stance of preparing LAC, Masterpiece contains a knowledge prior to instrumental use of major knowledge. Also there is a knowledge after its limited use. The purpose of the LAC curriculum is developing one and several lectures to approach toward the world of various masterpieces. This paper tried to find a way to meet this purpose.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Reading Classics」 curriculum cannot be a study only naive-theoretically seeking academic possibility. It is educational philosophy called ‘Mind of Conversation’ that a core runs through all of these processes and goals. Instead of summarizing the discussions so far, the conclusion sought a way to 「The Understanding the World's Intellectual History」, a subject that should be developed next to 「Reading Classics」. The concept of rhizome text presented by G. Deleuze makes it easy to imagine the possibility of new access. Oedipus, for example, was seemed to be the case. LAC가 추구하는 ‘폭넓은’ 교육이란 단지 잡학의 다양성이 아니라 전공교육이 추구하는 ‘깊이’로는 도달할 수 없는 깊이의 다른 이름이다. 이 논문은 LAC 전환을 눈앞에 둔 대학이 LAC 교과목이라고 할 만한 강좌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 「명저읽기」 강좌를 개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당면 과제이다. 이 당면 과제를 해결하는 가운데서 동시에 「세계 지성사의 이해」로 가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대학생이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 LAC를 준비하는 입장에서 말하자면 명저에는 전공지식의 도구적 쓰임새로 쓸모가 가다듬어진 도구적 지식 이전의 지식과, 그 한정적 쓰임새의 지식 이후의 지식이 있다. 하나이면서도 여럿인 강좌를 개발해서 다양한 명저들의 세계에 접근시킨다는 LAC 교과목 취지에 부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명저 읽기」 교과목 개발을 목표로 하는 이 연구는 순수하게 이론적으로 학문적 가능성만을 타진하는 연구일 수 없다. 이 모든 프로세스와 목표를 관통하는 핵심이 있는데, 그것은 ‘대화의 정신’이라는 교육철학이다.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는 대신에 「명저읽기」 다음으로 개발해야 하는 교과목인 「세계 지성사의 이해」로 가는 길을 모색해 보았다. 명저들의 세계를 영향관계의 인물사 중심으로 재편하는 가운데 지성사의 맥락이 잡힌다고 생각하는데, 들뢰즈가 제시하는 리좀 텍스트라는 개념은 새로운 접속의 가능성을 어렵지 않게 상상해 보게 한다. 예컨대, 오이디푸스의 경우가 그렇다고 보았다.

      • KCI등재

        유가경전해석학과 『논어』의 해석

        안재순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2 No.-

        詮釋學就是關于`理解`的思想傳統及哲學思維. 在這点看來, 无論是近代以前的中國或者西方世界, 都有悠久的詮釋學的傳統. 對中國傳統哲學說起來, 包括≪論語≫的情況, 儒家經典詮釋的方法歸納于兩個路程. 第一是解釋語言的方法. 這就是;고着所謂訓고, 考据, 章句, 詮釋經典. 第二是;闡明經典文本所含的義利, 詮釋經典. 這点是比較接近西方詮釋學. 這個方法是;詮釋者反映着自己時代的問題意識, 主動地疏通于經典的歷史脈絡, 然后理解和詮釋經典. 通過這種活動, 經典持續地擁有永遠的生命力.但是, 雖然經典也是歷史性所産物, 他仍然擁有超越歷史性的, 超越時空的普遍性産物. 所以詮釋者隨隨便便實行自己任意的詮釋, 結果失掉經典原意, 則這就不是詮釋. 將現在-這里的問題意識, 解釋而理解過去-那里的經典文本后, 這個解釋和理解的內容與問題意識仍然普遍地通用于未來-那里的時候, 這就是眞正的經典詮釋. 解釋而理解≪論語≫時, 應該走向這條路, 那就是可以說對≪論語≫的正確詮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