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란 전후 한강학단(寒岡學團)의 활동과 성주지역 사족사회의 동향

        김형수 ( Kim Hyeongsu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7 No.-

        16세기 성주지역은 남명 조식의 고제인 김우옹과 남명과 퇴계의 문하에 모두 출입한 정구, 퇴계문하에 출입한 이순 등이 활동하면서 학문적으로는 남명학파와 퇴계학파의 중간지대에 속하였다. 성주지역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주둔지였으므로 매우 큰 피해를 입었다. 성주지역의 한강학단은 송원기, 이순, 배상룡 등이 의병에 참가하기도 하였으나, 성주를 수복한 것은 정인홍의 역할이 컸다. 그렇기 때문에 임란 이후 성주지방은 정인홍의 강력한 영향력 하에 있었다. 정구와 그의 문인들로 구성된 한강학단은 임진왜란 이후 천곡서원을 중건하고 여씨향약에 기반한 통독지회를 개최하는 등 성주지방을 蘇復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정구의 향촌사회 소복책은 예안, 상주 등 퇴계학파가 여러 지역에서 실시하였던것과 같은 예교중심의 소복책이었다. 정구의 문인인 송광계도 동약을 실시하는 등 향촌사회의 정비 노력을 경주하였다. 정구 자신도 또한 동약을 실시하여 향촌사회를 재정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임란 이후 성주지역은 남명 문하의 적전을 표방한 정인홍의 강력한 영향력하에 있었다. 정구 자신은 1610년 발생한 박이립 사건으로 인하여 성주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 한강학단은 박이립이 정인홍의 사주로 인하여 고변하였다고 인식하였으며, 정구는 결국 1620년 칠곡의 사빈에서 생을 마감하여야 했다. 정구 사후 정구의 문인들로 이루어진 한강학단은 광해군 14년 정구의 강학지인 회연백매원에 회연서원을 창건하고 인조 5년 정구를 배향함으로써 성주지역에서 한강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었으며, 인조반정 이후 『한강집』 등을 편찬, 출간하여 정구가 의도하였던 향촌사회의 재건 방안을 공인받고자 하였다. 인조반정 후 정인홍을 중심으로 한 대북세력이 몰락하자 성주지방은 정구의 한강학단이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고, 성주 한강학단은 퇴계학맥으로 접맥되어 정치적으로 남인을 표방하게 되었다. The Seongju formed an academic intermediate area between Nammyoung school(南 冥學派) and Toegye school(退溪學派) because Kim Uong(金宇?) of Nammyoung school, Jeong Gu(鄭逑) of Nammyoung and Toegye schools, and Lee Sun(李淳) of Toegye school did active works in the area. Seongju suffered big damage as a base of Japanese military during Japanese invasion in 1592. Although the Hangang school ties of Song Wongi(宋遠器), Lee Sun(李淳), and Bae Sangryong(裵尙龍) in the Seongju area participated in volunteer troops, Jeong Inhong(鄭仁弘) played a considerable role in recapturing Seongju. The situation had led Jeong Inhong to get powerful influence in the area after Japanese invasion in 1592. Jeong Gu and his scholars rebuilt Chunguk Seowon(川谷書院) after the war. They also focused on recovering the Seongju area with holding a Yeo clan’s Hyangyak based perusal meetings. Song Gwanggye(宋光啓) of Jeong Gu school made great efforts to establish hyangchon society with implementing Dongyak(洞約). Jeong Gu also tried to reestablish the society through Dongyak. However, the Seongju area was under Jeong Inhong’s strong influence after Japanese invasion in 1592. Jeong Gu had to leave Seongju because of Park Leelip affair in 1610. The Hangang circle recognized that Park Leelip had reported treason for Jeong Inhong’s instigation. Eventually, Jeong Gu ended his days at Sabin of Chilgok in 1620. Hangang school ties(寒岡學團)’s scholars regained its academic status in the Seongju area as founding Hyiyeon Seowon at th Bakmaewon in the 14th year of Gwanghaegun’s reign and enshrining Jeong Gu in the Seowon in the 5th year of King Injo’s reign. The circle tried to be authorized as a way for reestablishing the local society with publication of‘Hangangjib(寒岡集)’. The Hangang school ties(寒岡學團)’s scholars took the leadership as Daebuk(大北)’s power had been brought to ruin after the coup of 1623. The Hangang school ties’s scholars of Seongju professed Namin politically with carrying on the legacy of Toegye school.

      • KCI등재

        한강(寒岡) 정구(鄭逑)에 관한 한국사 분야의 연구 회고와 전망

        정재훈 ( Jae Hoon J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嶺南學 Vol.0 No.25

        본고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학자였던 한강(寒岡) 정구(鄭逑)에 관해서 한국사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의 추이와 앞으로의 연구 전망에 대해 살핀글이다. 정구는 조선 중기의 영남을 대표하였던 대학자이자 경세가였다. 영남 학문의 연원이 되는 퇴계를 기준으로 할 때도 그의 대표적인 제자 가운데 하나였다. 따라서 그에 대한 연구는 조선시대의 영남의 학문과 사상, 영남사림의 실천을 염두에 둘 때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더구나 정구의 학문은 영남을 넘어서 기호의 남인에게 전파되어 전국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고 있는 형편이다. 종래 한국사 분야에서 정구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그의 학문적 위상을 고려하여 그가 관심을 가졌던 예학, 지리학, 영남학파 내에서의 위상, 사학사, 경세관 등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개인에 대한 연구가 동시기 관련 학파에 관한 연구의 대표성을 띤다는 점에서 그에 대한 주목은 앞으로도 계속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정구의 예학에 대해서는 당대에서 정구의 주장과 후대에서 주목되는 그의 주장을 구분하여 살필 필요가 있다. 또 이론만이 아니라 예학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천하였는지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예의 실천과 관련하여 그의 지방관으로서의 경험을 연결하여 살필 필요도 있다. 또한 정구가 관심을 가졌던 읍지의 편찬이 동시기 사림들이 향촌사회에 대해 가지고 있던 구상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살필 필요가 있다. 읍지의 편찬은 앞으로 지방을 이끄는 방향을 제시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정구는 영남의 좌도와 우도, 영남남인과 기호남인의 매개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므로 그 문인들에 대한 입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Examined in this study are Korean historical studies done upon Hang’gang(寒岡) Jeong Gu(鄭逑), who was a renowned philosopher and scholar in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lso included in this article is a contemplation made upon future research prospects. He was a significant scholar representing the Yeongnam region and had a vision of how to govern the world. He was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disciples of Twegye Yi Hwang. He is a crucial figure in the studies of the Yeongnam region’s academic traits, philosophy and the actions made by the Yeongnam Sarim circle. Jeong Gu’s studies spreaded to the Southerners in the Giho region as well, and had country-wide influences. Past studies on him, in the area of Korean history, examined many aspects of his, such as his ritual protocol studies, his geographical works, his status in the Yeongnam school, his historical writings, and his perception of the world and his ideas that concerned how to govern it. More studies need to be done in the future. Especially, studies of Jeong Gu’s ritual protocol theories should try to differentiate his arguments which were considered important during his time, from his other arguments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today. And not only his theories but also how he tried to apply them to real life situations, especially during his services as a local governor, should be examined as well. Jeong Gu was very much interested in publishing local county almanacs, which shows how the people of the time viewed the local communities. This aspect of his efforts should be examined more in the future, because all these almanacs signified which kind of direction would be taken in the governance of local regions. Jeong Gu also served as a sort of intermediary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Yeongnam region (Jwa-do and Wu-do provinces), and between the Southerners in the Yeongnam and Giho regions. So more studies should be done upon Jeong Gu’s disciples as well.

      • KCI등재

        식민지기 테니스의 문화접변 -경식정구에서 연식정구로-

        김동명(Kim, Dong-Myung)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4 No.-

        이 글은 일본제국주의 지배 하 식민지 조선에서 일어난 테니스의 문화 접변을 분석하였다. 테니스의 문화접변은 경식정구에서 연식정구로 변화해갔는데 구체적인 접변과정은 다음과 같다. 구평형은 경식정구로 1900년대 초반 주로 경성에 거주하던 소수의 외국인과 조선인 개화파와 학생들을 중심으로 행해졌다. 이후 점차 늘어난 재조일본인들이 연식정구를 선호하고 경식정구에 필요한 고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부분적인 해체가 시작되면서 경식정구는 동요했다. 부분적인 해체를 막기 위해 외래문화요소로서 일본으로부터 연식정구가 재조일본인들에 의해 전파・제시되어 1910년대에 재조일본인과 약간의 조선인에 의해 행해지면서 일단 수용되었다. 새롭게 수용된 연식정구에 대해 국제성의 부족, 조선인의 소외, 고비용과 특권층만의 향유라는 저항이 생겨났다.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전 조선규모 대회의 창설, 도쿄조선인학우회 정구단의 원정경기 등이 행해졌다. 이는 재래의 문화요소가 변하면서 새로운 문화요소와의 조직적 적합성을 높여 연식정구가 재해석된 것이다.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연식정구는 다수의 재조일본인과 조선인이 경성과 지방을 불문하고 직장과 학교, 지역 등에서 많은 관중이 참여한 가운데 행하는 활기찬 스포츠문화로 재구성되어 신평형을 이루며 정착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acculturation of tennis in colonial Korea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e acculturation of tennis changed from lawn tennis to soft tennis and the specific process was as follows. The old equilibrium was lawn tennis centered on a small number of foreigners and Korean enlightened party and students who lived in seoul in the early 1900s. Since then the partial decline began with the preference of the increasing Japanese resided in Korea in soft tennis and the high cost and technical difficulties required for lawn tennis. In order to stop the partial decline, the soft tennis was spread and presented as an element of foreign culture from Japan and it was performed by the Japanese resided in Korea and some Koreans in the 1910s, it was accepted. There was a resistance to the newly accepted soft tennis, lack of internationality, alienation of Koreans, high cost and enjoyment of privileged people. To overcome the resistance, the creation of the national scale competition, the away game of tennis club by the association of Korean students in tokyo, etc. were carried out. This is a reinterpretation of the soft tennis by enhancing the organizational suitability with new cultural elements as th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change. In the mid-1920s, the soft tennis was restructured and became the new equilibrium into a lively sports culture in which many Japanese resided in Korea and Koreans played in workplaces, schools, regions, etc., regardless of seoul and provinces, with a large crowd watching.

      • KCI등재

        정구 선수의 소속별 스포츠상해 관련 요인에 대한 분석

        정구열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정구선수의 소속별 스포츠 상해관련 요인 분석을 하여 최종적으로 정구 지도자와 선수들의 스포츠 상 해에 대한 재활과 향후 대처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소속별 정구 선수 179명에게 스포츠 상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상해 유형에 관한 분석결과 근육통과 인대손상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소속별 상해원인 분석결과 환경적인 요소에 서는 소속별 모두 장소에서 상해유발 요인으로는 훈련강도와 훈련방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빈도에 의한 차이를 보 였다. 재활치료에 관한 분석결과 중 재활치료 장소로 병원과 한의원에서 주 1-2회의 치료횟수에 대한 유의한 빈도 차이 를 보였으며, 상해 후 경기 복귀 기간에 대한 결과는 고등부와 대학부는 1주미만, 일반부는 2-3주에 통계적으로도 유의 한 빈도에 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속별 상해 인식대한 분석결과에서는 고등부는 ‘아니다’ 와 대학부와 일반부에서 ‘그렇 다’ 재 상해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고등부는 ‘없다’ 대학부와 일반부는 ‘있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빈도에 의한 차이를 보이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정구 선수들의 스포츠 상해 방지를 위한 기술의 특성을 과학적으로 분석 및 체계적이 며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 하는데 노력을 하여야 하며, 지도자들 또한 선수들의 상해 예방을 위한 교육 및 훈련 지도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orts injury-related factors at each teams in soft tennis players and provide information on rehabilitation and further coping methods for sports injuries for soft tennis coaches and play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179 soft tennis players at each tea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injur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 result of analyzing injury types showed high frequency in muscle pain and ligament injury. As a result of analyzing injury causes at each teams, first, environmental elem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places at each teams and second, injury causing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training intensity and training methods. For the results of analyzing rehabilit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in hospital and Oriental medicine clinic for rehabilitation place and once or twice per week for rehabilitation frequency. For the periods for return to play after injur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was found in less than one week for high school and university teams and in 2-3 weeks for general teams. For injury perception at each team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in 'No' for high school teams and 'Yes' in university and general teams. For re-injury at each teams, whi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in 'No' for high school teams and in 'Yes' for university and general teams. In conclus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scientif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echniques to prevent sports injuries and develop systematic and effective sports programs for soft tennis players. Moreover, coaches should receive education and training coaching to prevent players’sports injuries.

      • KCI등재

        정구의 『한강집(寒岡集)』에 나타난 심의제도 연구

        이영주 ( Lee Young Joo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4 동양예술 Vol.64 No.-

        본 연구는 『한강집(寒岡集)』제9권의 「잡저(雜著)」심의제조법(深衣製造法)에 나타난 정구(鄭逑, 1543년∼1620년)의 심의제도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정구는 주자의 심의제도대로 심의를 제작했을 때 심의의 형태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유교의 철학적 상징성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이론적인 오류와 착용 시 실용성과 심미성이 떨어지는 실질적인 구성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에 정구는 역대 유학자들의 심의설을 정리하고 직접 심의를 지어 입으면서 심의제도에 관한 이론적, 실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심의 형태 자체가 직령(直領) 교임(交衽)이면서 방형(方形)의 곡겁(曲袷)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구조의 구성 방법을 탐색하였고 결국 상의(上衣)와 하상(下裳)에 연결되는 긴 섶을 부착한 심의를 고안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특징의 정구의 심의제도가 조선시대 심의의 변천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구의 심의는 당대에 절대 준칙으로 여겨졌던 주자의 심의에 최초의 변형을 가한 것으로 주자학에 대한 무조건적인 맹종을 피하고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는 것에 조선 유학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 둘째, 조선시대 대부분의 예서와 복식 관련 저서가 경문 해석을 위주로 한 이론중심의 연구였던 것과 달리 정구는 심의 실물을 제작하는 실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직령심의의 상의와 하상에 연결되는 긴 섶을 부착하여 몸을 깊숙하게 감싸며 신체를 전체적으로 가려주고, 형태 자체가 직령교임인 안정적인 구조의 심의제도를 제시하였기에 이는 복식 구성학적으로 의미가 깊다. 셋째, 섶을 임으로 해석한 정구의 견해는 이후의 여러 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 결과 조선의 심의가 직령심의와 방령심의로 양대 산맥을 이루며 계승 발전되는 데 중요한 단초(端初)를 제공하였기에 정구의 심의는 한국 복식사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정구의 심의제도는 지금까지 심의에 관한 선행 연구들에서 하나의 사례로 언급되었을 뿐 전문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는데 정구의 심의제도의 특징과 그의 심의제도가 조선시대 심의의 변천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Jeong-gu's (鄭逑, 1543- 1620) Sim-ui institution as detailed in the Jabjeo Sim-ui production in Book 9 of Hangangjip (寒岡集). Jeong-gu, while following Zhu Xi's Sim-ui institution, aimed to address theoretical inaccuracies that failed to properly convey Confucian philosophical symbolism and to improve the impractical and unaesthetic construction methods. To achieve this, Jeong-gu consolidated previous scholars' Sim-ui studies, crafted and wore Sim-ui himself, and conducted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on the Sim-ui institution. Consequently, Jeong-gu explored methods to construct a stable structure that maintained the Goggeob (曲袷) while overlapping the Jikryeong (直領) collar, ultimately devising a Sim-ui with an extended Seop attached to the top and skirt. The significance of Jeong-gu's Sim-ui institution for the evolution of Sim-ui in the Joseon Dynasty is as follows. First, Jeong-gu’s Sim-ui holds substantial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Joseon scholarship. It was the first to modify Zhu Xi's Sim-ui, which was then considered an absolute standard, thereby avoiding blind adherence to Neo-Confucianism and promoting new interpretations. Second, unlike most Joseon Dynasty texts on Sim-ui, which focused solely on theoretical aspects, Jeong-gu engaged in practical research on the actual production of Sim-ui. This practical approach led to the creation of a Jikryeong Sim-ui with an extended Seop that covered the entire body, resulting in a stable Sim-ui institution with an overlapping Jikryeong collar, noteworthy for its dress composition. Third, Jeong-gu’s interpretation of Seop as Im influenced numerous subsequent scholars. His contributions are highly valuable for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ostume, as they marked a pivotal step in the evolution of Joseon's Sim-ui into the two main forms: Jikryeong Sim-ui and Bangryeong Sim-ui. Jeong-gu’s Sim-ui institution has been referenced in previous studies but has not been professionally examined in depth. This study's significance lies in its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Jeong-gu's Sim-ui institution and its role in the evolution of Sim-ui during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寒岡 鄭逑의 武屹精舍 建立과 著述活動

        정우락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9 남명학연구 Vol.28 No.-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ason and the process for Hangang Jeonggu(1543-1620) to establish 'Muheul-jeongsa' in 1604 at the age of 62, his writing activities there, and a historical development thereof. His personal belongings as well as several thousand books collected or published by him were preserved in Muheul-jeongsa. Subsequently 'learned men(sunbi)' in Yeongnam created a series of 'Muheul culture' through academic activities including reading books and discussing scholarly subjects. Nevertheless, an understanding and attention on the Muheul culture from academics and local government are insufficient currently. Thus this study was launched to pinpoint certain negligence regarding Muheul-jeongsa and t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an all-out life cultural research centered around Muheul-jeongsa. Jeonggu was interested in 'Muheul-dongcheon' from early on and a major reason for him to choose Muheul as a place to settle in his later years was a desire of 'cultivation through reading' based on 'solitude consciousness(避地意識).' He tried to cultivate himself through reading even by politely turning down invitations from closest friends. He once was appointed to a public official such as 'deputy delegate for Andong(Andong-daedoho-busa)' however, he was also engaged in writing in diverse areas during his 7 to 8 years' of residence in Muheul. His writings during this period include Yeomrak-gengjakrok, Susa-uninrok, Goksan-dongamji concerning Neo-Confucianism(Sung Confucianism), Gyeonghyun-sokrok, Wharyeong-amji, Chiran-jeyo, Gogeum-inmulji, Yoosun-sokrok concerning historical biography, and Bokjuji which was a local newspaper. Through his writing activities, he tried to clarify the origin of Jujahak based on a 'Philosophy of Benevolence(仁思想)' of Confucius, and its transplantation in Chosun,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developments. Muheul-jeongsa was built with enormous care including a personal supervising of Jeonggu on a construction site. It was located closely in Manweoldam among nine valleys of Muheul(武屹九曲). Initially various annex facilities existed including the centering Seowunam with three-room thatched cottage, Sancheonam with two-room thatched cottage, Biseolgyeo, and Jayiheon. After Jeonggu passed away, Muheul-jeongsa went through several changes and challenges such as an expansion into the 36-room thatched Muheul-jeongsa in a different location with a library(Jangseogak). Four entities of the Jeongsa established in 1922 and a 'small kitchen(庖舍)' remain up to date. The year of Gapjin 1784 especially(the 8th year of the King Jeongjo reign) saw Muheul-jeongsa newly built led by his offspring and a renovation for the entire Muheul valley. To commemorate this event, a painting of 'Muheul Nine Valleys'(武屹九曲圖) was produced and a variety of poems were created. Muheul-jeongsa has its significance in its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Muheul culture not only during lively activities of Jeonggu but throughout the later generation of many learned men who visited here for exploration. Contemporaries of Jeonggu visited Muheul-jeongsa, mainly disciples of Jeonggu, based on a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fter Jeonggu passed away, many learned men paid their homage to Jeonggu by visiting the place as part of the exploration. Most of all, Muheul-jeongsa contained Geongssi-jangseo collected and written by Jeonggu in its library(藏書閣) of Seowunam so that it played a significant role for reading and discussing academic subjects for the learned men. 본 연구는 鄭逑(寒岡, 1543-1620)가 무흘정사를 건립하게 된 이유와 과정, 무흘정사에서의 저술활동, 무흘정사의 연혁 등을 두루 고찰한 것이다. 무흘정사에는 정구의 유품뿐만 아니라 그가 수집․편찬한 수 천권의 서적이 보관되어 있었으며, 영남의 선비들은 이곳에서 책을 열람하고 강학활동을 하는 등 일련의 ‘무흘 아카데미’를 형성하였다. 최근에는 무흘정사의 書目 일부가 고문서의 형태로 발견되기도 했다. 사정의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학계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부족한 것이 실정이다. 본고는 여기에 일정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무흘정사를 중심으로 한 무흘의 본격적인 생활문화 연구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기획된 것이다. 무흘동천에 대한 정구의 관심은 이른 시기부터 있어왔는데, 그가 만년에 무흘행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避地意識에 기반한 독서양성이었다. 평소 친분이 두텁던 벗의 방문까지 정중히 사양하면서 독서를 통한 養性을 실천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정구는 安東大都護府使 등의 관직을 맡기도 하지만 7-8년동안 이곳에서 보내면서 다양한 분야의 저술활동을 전개한다. 성리학 분야의 「염락갱장록」ㆍ「수사언인록」ㆍ「곡산동암지」, 역사전기 분야의 「경현속록」ㆍ「와룡암지」ㆍ「치란제요」ㆍ「고금인물지」ㆍ「유선속록」, 지방지 분야의 「복주지」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 같은 저술활동을 통해 그는 공자의 仁思想에 근간을 둔 주자학의 연원과 그 조선적 계승을 道脈에 입각하여 명확히 하고자 했다. 무흘정사 건립에는 정구가 직접 공사감독을 할 만큼 많은 정성을 기울인다. 그 위치는 무흘구곡 가운데 와룡암과 만월담 사이에 있었으나 만월담에 더욱 밀착되어 있었다. 1604년 건립 당시에는 초가 3간으로 된 서운암을 중심으로 하여 2간의 산천암, 비설교와 자이헌 등 다양한 부속시설들이 있었다. 정구가 세상을 뜬 후 무흘정사는 위치를 달리하여 36간의 무흘정사와 3동의 장서각으로 규모가 확대되기도 하였고, 여러 곡절을 거치면서 현재 1922년에 세운 4간의 정사와 庖舍 약간 동이 남아 있다. 특히 1784년(갑진, 정조8)에는 후손이 중심이 되어 무흘정사를 새로 짓고 무흘구곡 전체에 대한 정비작업을 하였다.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무흘구곡도」를 그리고 다양한 시를 짓기도 한다. 무흘정사는 정구가 활동할 당시는 물론이고 이후 많은 선비들이 이곳을 탐방하면서 무흘 문화를 만들어갔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정구 당대에는 사승관계를 형성하는 제자들이 이곳을 주로 찾았고, 정구가 세상을 뜬 후에는 정구를 추모하는 많은 선비들이 답사객이 되어 심방하였다. 무엇보다도 무흘에는 정구가 수집하고 저술한 이른바 鄭氏藏書가 장서각 서운암에 보관되어 있어 영남 선비들의 독서와 강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 대구지역 구곡(九曲)과 한강 정구

        백운용 ( Woon Young Baek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8 No.-

        대구지역에는 聾淵九曲, 雲林九曲, 守南九曲, 臥龍山九曲 등 4곳의 구곡이 있다. 이 가운데 농연구곡은 정구의 제자인 최동집과 관련이 있으며, 운림구곡과 와룡산구곡은 각각 정구의 강학처였던 泗陽書堂과 사수동을 원두로 삼고 있어 대구지역 구곡은 정구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운림구곡을 노래한 우성규의 < 用武夷棹歌韻賦雲林九曲 >은 정구의 정신을 되살리는 것이 자신의 학문적 자세를 가다듬고 동시에 당면한 시대적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 정구와 대구지역 구곡의 관련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작품이다. 우성규는 제1곡 ``龍山``에서 나루를 물음[問津]으로써 학문의 자세를 가다듬는 일과 당시 급변하는 시대 상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이어 안개와 노을이 자욱하다고 하여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음을 드러낸다. 그러나 제2곡 ``魚臺``에서 옅은 구름이 걷히고 봄빛이 드리운다고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본다. 이어 제3곡 ``松亭``에서 덤불 속에 우뚝이 서 있는 소나무를 노래하며 추위에도 시들지 않는 굳건한 기상을 본받겠다고 다짐한다. 제1곡~제3곡의 여정을 통해 우성규는 제시한 문제를 마음가짐을 확고히 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다. 이는 개인적 차원의 해결이라 할 수 있다.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연대를 통해 제시한 문제를 해결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우성규는 제4곡과 제5곡에서 사회적 연대를 통한 해결을 모색한다. 제4곡 ``梧谷``의 외로운 오동나무는 고립된 개인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오동나무는 詩想이 거문고로 이어지고 거문고는 다시 ``知己``로 연결되면서 道伴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어 우성규는 물길을 따라 올라 제5곡 ``江亭``에 이르러 수많은 선비들이 영욕에 매이지 않고 고매한 삶을 지향함을 보았다. 이들은 우성규와 뜻을 함께하는 知友들이며, 이들과 연대하여 함께 고민하고 실천한다면 앞서의 문제는 보다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제5곡을 지나면서 제1곡에서 제기된 문제는 다시 한 번 극복되고 해결의 가능성은 더욱 커져간다. 제6곡에서 제9곡까지의 여정은 문제 해결의 구심이 정구라는 점을 노래한 것이다. 제6곡 ``淵齋``는 ``伊洛書堂``을 가리킨다. ``이락``이 가리키는 바는 서사원과 정구이며, 또 주자학이라는 도도한 흐름이기도 하다. 이 두 가지는 사회적 연대의 구심과 매개의 역할을 하는데, 서사원과 정구는 연대의 구심이 되고, 주자학은 연대의 매개가 된다. 주자학을 매개로 한 연대는 제7곡 ``仙차``에서 서사원이라는 구심을 만나고, 이는 더욱 첨예화화여 제8곡 ``鳳巖``에서 정구의 형상을 그려내며 마침내 제9곡 ``泗陽書堂``에서 頂點인 정구를 만나게 된다. 이렇게 볼 때, 우성규에게 운림구곡은 학문의 자세를 가다듬고 학문의 본령을 다시 확인하는 과정이었고, 또 서구열강이 각축하던 당시 도학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었다. 그리고 정구는 그 과정의 도달점이자 문제의 해결책이었다. Daegu·Gyeongbuk region has Gugok wonlim and Gugok-si the most in the nation, which can be called the cradle of Gugok culture, also, in Daegu, Nongyeon gugok(聾淵九曲), Woonlim gugok(雲林九曲), Sunam gugok(守南九曲), and Waryongsan gugok(臥龍山九曲), etc. are existed. Nongyeon gugok is related to Choi, dong-jib, a disciple of Jeong Gu, and Woonmun gugok and Waryongsan gugok are based on Sayang seodang(泗陽書堂) and Sasudong, Jeong Gu`s discipline place, accordingly, Daegu gugok can be said to be closely related to Jeong Gu. Amont them, Woo, seong-gyu`s < Yongmuyidogawoonbuwoonlimgu(用武夷棹歌韻賦雲林九曲) > is based on Jeong Gu with its origin, contextually, it emphasizes that reviving his spirit is a ke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eriod, therefore, it can be said to be the work that most emphasizes the relation between Jeong Gu and Daegu gugok. When analyzing Woo, seong-gyu`s gugok poem, song no.1, no.2, and no. 3 expressed the perception on the problem situation of early 20th century, crisis of study and revolution of time, intending to solve them in personal level. Song no.1, ``Yongsan(龍山)``, suggested the problem situation of that period regarding asking naru [Munjin(問津)], fog and sunset are thick, song no.2, ``Eodae(魚臺)``, felt spring view, and song no.3, ``Songjeong(松亭)``, sang the spirit of pine. This can be said the resolution to strive for study by emulating the firm spirit which does not wither even in the intense cold, which is the metaphor of the problem situation. Song no.4 and no.5 emphasized overcome of crisis through social solidarity beyond individual level. In song no.4, a lonely paulownia of ``Ogok (梧谷)`` was connected with geomungo, again, with ``Jigi(知己)``, importance of ``Doban(道伴)`` was cognized. Also, many scholars of the previous period and the relevant period stood lofty in song no.5, ``Gangjeong(江亭)``. Woo, seong-gyu viewed possibility of problem solving through solidarity with classical scholars, and in advance doubt goes forward to a bigger confidence by being overcome again. The journey from song no.6 to song no.9 continues to the confidence that the center of problem solving is in Hangang Jeong Gu. In song no.6, in the name ``Yirak(伊洛)`` of ``Yeonjae(淵齋)``, it met Seo, sa-won and Jeong Gu, also, the lofty stream of neo-Confucianis. This met Seo, sa-won in song no.7 ``Seonsa(仙차)`` by being concretely realized, eventually met Hangang Jeong Gu as the central part of problem solving in song no.9 ``Sayangseodang(泗陽書堂)`` via song no.8 ``Bong-am(鳳巖)``. For Woo, seong-gyu, Woonlim gugok was a process to straighten the attitude of study and reconfirm the essence of study in the backwater of life as well as a process to search the method to solve social problems, where Jeong Gu was the answer of the problem. Meeting with Jeong Gu via waterway was not limited only to Woo, seong-gyu. Human cannot but face problem situation even as time goes by, and the method to solve this should be learned from the sages of the past. Besides, humane value of gugok is infinite. It could be appli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insight of life, enhancement of social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the ancestors` cultural assets, etc. Accordingly, today it should not be abandoned, but be restored by devising various methods.

      • KCI등재

        寒岡學派의 硏究現況, 成果와 課題

        추나진 한국동양철학회 2023 동양철학 Vol.- No.59

        Hangang Jeong Gu can be considered a representative Yeongnam regions’s scholar of the late sixteenth and early seventeenth centuries. He was a scholar who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both Emperor Lee Hwang and Jo Sik, and developed his studies especially in the fields of psychology and art. He was a scholar who inherited from the scholastic mantle of Lee Hwang and Jo Sik, and developed his own scholarship, especially focusing on study of mind and study of ritual. He was active mainly in the Yeongnam region centered on Seongju and Daegu. The Yeongnam region was located on the road to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directly suffered the damage. For this reas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ose who led the righteous army activities in the Yeongnam region led the academic world, and among them, there were many figures of the Hangang School, including Jeong Gu. Studies on Jeong Gu have been accumulated for about 40 years, starting in 1985, and are being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nd as the research on Jeong Gu progressed, the Hangang School, which inherited the academic flow of Jeong Gu, was gradually studied. In this paper, research on the Hangang School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external appearance and status of the Hangang School, the aspect of academic transmission of Jeong Gu, the growth and expansion of the Hangang School, and the social practice of the Hangang School. First of all, the denotation and status of the Hangang School were examined through Hoiyeongeupmunjehyeonrok and Bongsanyokhangrok. Hoiyeongeupmunjehyeonrok is Jeong Gu’s literary record, which examines the overall scale and extension of the Hangang School, and through Bongsanyokhangrok, Jeong Gu’s academic influence at the time, as well as the bonds and solidarity within the school can be confirmed. And the aspect of Jeong Gu’s academic transmission was examined through Hangangeonhaeongrok, a collection of Jeong Gu’s words and actio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firm Jeong Gu’s academic thoughts passed down to the Hangang School. In addition, the growth and expansion of the Hangang School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a large number of second-generation and third-generation Confucian scholars in the Daegu region who were active at the time were absorbed into the Hangang School as Jeong Gu moved his lecture center from Seongju to Daegu and Chilgok. In addition, as one of the aspects of social practice of the Hangang School,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righteous armies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Lastly, it contains contents about some tasks in the study of the Hangang School in the future. 寒岡 鄭逑(1543-1620)는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반 영남학계를 대표하는 학자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는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의 학통을 모두 계승한 학자로서 특히 심학과 예학을 중심으로 자신의 학문을 전개하였다. 그는 성주와 대구 등을 중심으로 하는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영남지역은 임진왜란 때 왜적이 쳐들어오는 길목에 위치하여 그 피해를 직접적으로 겪었고, 더불어 의병활동도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일어났다. 그렇기 때문에 임진왜란 이후 영남지역은 의병활동을 이끌었던 이들이 학계를 주도하게 되는데, 이들 중에는 정구를 포함하여 寒岡學派 인물들이 많이 포진해 있었다. 정구에 대한 연구는 1985년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약 40년 정도 축적되었는데, 문학, 역사, 철학 등 다방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정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정구의 학문적 흐름을 계승하고 있는 한강학파에 대해서도 점차 진행되었다. 본고에서는 한강학파에 대한 연구를 크게 네 가지 카테고리, 즉 한강학파의 외연과 위상, 정구의 학문 전승 양상, 한강학파의 성장과 확장, 한강학파의 사회실천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한강학파의 외연과 위상은 『檜淵及門諸賢錄』과 「蓬山浴行錄」을 통해 살펴보았다. 『회연급문제현록』은 정구의 문인록으로 이를 통해 한강학파의 전체적인 규모와 외연을 살펴보았고, 「봉산욕행록」을 통해 당시 정구의 학문적 영향력과 함께 학파 내의 유대와 결속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정구의 학문 전승 양상에 대해서는 정구의 언행을 모은 『寒岡言行錄』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강학파에게 전해진 정구의 학문적 사상들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또한 한강학파의 성장과 확장은 정구가 자신의 강학처를 성주에서 대구, 칠곡으로 옮겨오면서 당시 활동하던 대구지역 2-3세대 유학자들이 대거 한강학파로 흡수되는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한강학파의 사회실천 양상의 하나로 임진왜란 당시 의병활동 전개 양상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끝으로 앞으로 한강학파 연구에 있어서 몇 가지 과제에 대한 내용도 담고 있다.

      • KCI등재

        요하 상류 유목문화의 유입과 변용 : 정구자문화를 중심으로

        이후석(Yi, Hu Seok) 부산고고학회 2020 고고광장 Vol.- No.27

        춘추말~전국초 무렵 요하 상류 일대에는 유목문화가 새로 유입되는 한편 주변 문화와도 일부 복합되었는데, 이는 최근들어 정구자문화로 규정되고 있다. 여러 하위유형이나 유적군이 설정되었는데, 토광묘계 무덤, 동물순생, 초원계통 장식류와 쌍이관이 공통되는 문화요소이다. 유목문화적인 면이 강한 ‘정구자유형’의 계통성이강조되나, 연하도문화의 요소들이 확인되는 ‘철영자유형’의 계층성이 주목되며, 십이대영자문화와 복합되는 ‘수천유형’은 농경문화적인 면도 나타나고 있어 다른 유형들에 비해 가장 많이 변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정구자문화는 정착 과정에서 토착적인 기층문화나 주변 문화와 다양하게 복합된다. 초원계통으로 추정되는합장묘가 보이지만, 간략화된 석관묘도 확인된다. 동물순생은 말·양·소 위주지만, 돼지 역시 확인된다. 또한 야생동물을 표현하는 동물형장식품이 주류지만, 토착적인 장식품도 있다. 청동단검이나 동과, 토기 등의 유물에는 정구자문화의 것과 함께 연하도문화나 십이대영자문화에 속한 것도 확인되고 있어 주변 문화와도 다양하게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정구자문화의 사회 관계에는 철영자유형이 주목된다. 철영자유형의 수장묘는 무덤 규모와 순장, 위신재적 부장유물 등의 측면에서 다른 유적군을 압도한다. 철영자유형의 엘리트층은 연하도문화나 십이대영자문화의 집단들과 교류·경쟁하는 과정에서 권력 기반을 강화하며 정구자문화의 집단들을 주도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 종족 정체성은 흔히 ‘동호 집단’으로 추정되나, 그 중심집단이라 하기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아 현재로는단정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The Jinggouzi Culture appeared during the settling process of nomadic cultures, which were newly introduced to the upstream Liaohe basin from the late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 the early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Its major cultural elements included pit-tombs, burial of domesticated animals with the deceased, steppe style ornamentation, and pots with twin-rings. Various subculture were identified considering the complex relationship this culture had with its surrounding cultures. While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Jinggouzi Assemblage”-which has strong nomadic cultural aspects-are often emphasized, attention is also placed on the aspects of external interaction and hierarchal differentiation from the “Tieyingzi Assemblage,” which has elements from the Yanxiadu Culture. In addition, the “Shuiquan Assemblage,” which is mixed with the Shiertaiyingzi Culture,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assemblages through its aspects of a strong agricultural culture. The Jinggouzi Culture blended with existing native cultures or surrounding cultures during its settling process. While tombs with two or more buried people-which are suspected to be in the Steppe style-are found, the simplified stone coffin tombs that were native to the area are also excavated. Although the domestic animals that were buried mainly included horses, lambs, and cows, pigs were also discovered. In addition, while ornaments in animal forms using wild animal motifs were mainstream, there were also native ornaments. Artifacts such as bronze daggers, bronze halberds, and pottery were found from the Jinggouzi Culture as well as from the Yanxiadu Culture and the Shiertaiyingzi Culture. This shows that the Jinggouzi Culture had various interactions with its surrounding cultures. The Tieyingzi Assemblage is notable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relationships of the Jinggouzi Culture. The tombs of chiefs in the Tieyingzi Assemblage eclipses other cultural assemblage in terms of tomb siz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ceased, and in the prestige artifacts that are buried. It is likely that during the process of interacting and competing with the Yanxiadu Culture or the Shiertaiyingzi Culture, the elite group of the Tieyingzi Assemblage strengthened their power base and led Jiggouzi Culture groups. The identity of that ethnic group is usually assumed to be Donghu groups ;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aspects that have not been determined that would allow us to conclude that they indeed were the central group.

      •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경학관(經學觀)과 학용해석(學庸解釋)

        최석기 ( Seok Ki Choi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8 No.-

        이 논문은 鄭逑(1543-1620)의 工夫論과 經學觀을 개괄한 뒤 『대학』·『중용』 해석에 대해 살펴본 것으로,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정구는 어려서부터 求道的 志向을 하여 博學과 實得을 추구하였으며, 體認·體察·體驗·體行의 공부를 견지하였다. 또한 내면공부에 힘써 思無邪·毋自欺·愼其獨 등을 중시하였으며, 敬을 聖學의 근본으로 보아 敬工夫에 주력하였다. 정구는 道問學·尊德性의 공부를 병행하되 실천방법에 있어서는 敬을 바탕으로 한 存養·省察을 중시하는 經學觀을 견지하였다. 그는 이런 관점에서 『心經』을 학문의 근본으로 삼아 敬의 의미를 발휘하여 『心經發揮』를 편찬하였다. 정구의 학문은 ``敬`` 한 자로 집약되는데 『심경발휘』를 통해 드러내었다. 그는 程敏政의 『心經附註』를 개편하였는데, 가장 큰 특징이 三經·四書·宋儒說을 卷別로 분류하여 心學의 연원과 체계를 명료하게 구별한 점과 四書의 배열도 心之體와 心之用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누어 구별한 점이다. 정구의 『대학』해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심경발휘』 誠意章의 주석을 『심경부주』의 주석과 비교해 본 결과, 17조를 삭제하고 18조를 보충하였는데, 삭제한 설은 天德·誠·自欺 등 형이상학적 내용인 반면, 보충한 설은 毋自欺·愼其獨 등 구체적 실천에 관한 내용이다. 또 正心章의 주석을 『심경부주』의 주석과 비교해 본 결과, 37조를 삭제하고 25조를 보충하였는데, 삭제한 설은 정심장과 관련된 범범한 내용이고, 보충한 설은 정심공부의 핵심인 四有所에 관한 내용이다. 이를 통해 볼 때, 行의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점에 중점을 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문집에 산견되는 『대학』 해석의 특징은, 主敬을 바탕으로 한 誠意·正心의 실천공부를 중시하며, 誠意章 해석에서 毋自欺 등 심성수양을 중시하며, 正心章 해석에서 心之體에 관한 存養工夫가 들어있는 것으로 보며, 齊家治國章 해석에서 齊家에 중점을 두어 化만 말한 것으로 본 것이다. 정구의 『중용』해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심경발휘』에 수록된 제1장의 주석을 『심경부주』의 주석과 비교해 본 결과, 9조를 삭제하고 50조를 새로 발췌해 놓았는데, 삭제한 설은 未發已發에 대한 설이고, 보충한 설은 戒懼·愼獨·中和에 관한 설이다. 특히 未發의 戒愼恐懼와 已發의 愼獨을 存養·省察의 공부로 중시하고 있다. 이는 이론적 고찰보다는 실천적인 측면에 중점을 둔 것이다. 다음 『중용장 구』 제33장 제2절·제3절의 해석을 『심경부주』의 주석과 비교해 본 결과, 3조를 삭제하고 5조를 새로 보충하였는데, 삭제한 설은 이 2절과 연관성이 적은 내용이고, 보충한 설은 愼獨과 戒愼恐懼에 관한 내용이다. 문집에 산견되는 『중용』 해석을 검토해 본 결과, 전대의 설보다 더 심층적으로 해석한 측면이 있으며, 大全本 小註의 설과 文句의 字義를 정밀히 해석하는 성향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summed up the study theories and views of Chinese classics of Jeong Gu(1543-1620) and examined his interpretations of Great Learning and The Doctrine of the Golden Mean.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Being oriented toward the efforts of seeking truth at an early age, Jeong Gu sought after erudition and practical interest and stuck to the study of Chein, Chechal, Cheheom and Chehaeng. He also devoted himself to inner study, placing significance on Samusa, Mujagi, and Shingidok. Regarding Gyeong as the root of Seonghak, he was committed to the study of Gyeong. Those study theories of his were influenced by Jo Shi, his master. He kept the view of Chinese classics of studying both Domunhak and Jondeokseong and placing importance on Jonyang and Seolchal based on Gyeong in the practice methods. Taking that perspective, he found the base of his study in Shimgyeong and published Shimgyeongbalhui by exhibiting the significance of Gyeong. His study can be integrated into "Gyeong," which is demonstrated in his Shimgyeongbalhui. He reorganized Shimgyeongbuju by Jeong Min-jeong. Some of its biggest characteristics are distinguishing the origins and systems of Shimhak clearly by categorizing the Three Classics, Four Books, and Songyuseol by the volumes and dividing the arrangement of Four Books into the Shimjiche and Shimjiyong parts. His interpretations of Great Learn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y compared the Seonguijang annotations of Shimgyeongbalhui with the annotations of Shimgyeongbuju and found that 17 articles were deleted and 18 were supplemented. The deleted ones covered metaphysical content such as Cheondeok, Seong, and Jagi, whereas the supplemented ones covered the content of specific practice such as Mujagi and Shingidok. The study also compared the annotations of Jeongshimjang with those of Shimgyeongbuju and found that 37 articles were deleted and 25 were supplemented. The deleted ones covered common content related to Jeongshimjang, whereas the supplemented ones covered the content of Sayuso, the core of Jeongshim study.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he focused on the specific and practical aspects of action. His interpretations of Great Learning found throughout his collections of works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he placed importance on the practice study of Seongui and Jeongshim based on Jugyeong; second, he placed importance on the practice study of mind cultivation such as Mujagi in his interpretations of Seonguijang; third, he considered Jonyang study about Shimjiche included in the interpretations of Jeongshimjang; and finally, he mentioned only Hwa in the interpretations of Jegachigukjang with a focus on Jega. Those interpretations of his are characterized by his focus on the cultivation of mind based on Jugyeong. His interpretations of The Doctrine of the Golden Mean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study compared the annotations of Chapter 1 in Shimgyeongbalhui with those of Shimgyeongbuju and found that nine articles were deleted and 50 were newly extracted. The deleted ones addressed the theory of Mibalyibal, whereas the supplemented ones did the theories about Gyegu, Shindok, and Junghwa. He put special emphasis on Gyeshingonggu of Mibal and Shindok of Yibal as the study of Jonyang and Seongchal, which indicates that he focused on the practical aspects rather than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study also compared the interpretations of Sections 2 and 3 in Chapter 33 of Jungyongjanggu with the annotations of Shimgyeongbuju and found three articles were deleted and five were newly supplemented. The deleted ones covered the content whose connections to Section 2 were fewer, whereas the supplemented ones covered content about Shindok and Gyeshingonggu, being closely connected to Section 2. The study reviewed the content about his interpretations of The Doctrine of the Golden Mean found throughout his collections of works and found that he did more in-depth interpretations of certain aspects than previous theories and exhibited a tendency of interpreting closely the meanings of theories and phrases in Soju of Daejeon ver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