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옥(李鈺)의 문학에 나타난 생태 글쓰기와 그 의미

        박수밀 ( Su Mil Park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본고는 문무자(文無子) 이옥(李鈺, 1760-1815)의 작품에서 생태 글쓰기의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한 것이다. 먼저 생태 글쓰기의 개념을 점검하고이옥에게서 생태 글쓰기를 살피려는 근거를 알아보았다. 이옥은, 작가는 의지적 주체가 아니며 천지만물이 작가를 빌려 글을 쓰게 하는 것이라 한다. 그리하여 이옥의 문학에 나타난 생태 글쓰기의 양상을 셋으로 나누어 살폈다. 첫째, 이옥은 만물은 제각기 모두 다르고 각자의 방식대로 살아간다고 한다. 이옥의 글에 흔히보이는 반복과 열거 표현은 모든 존재가 가치 있고 동등하게 관심 받아야 한다는 이옥의 생태적 세계관을 반영한 글쓰기이다. 둘째 이옥은 벌레의 존재성을 통해인간의 모습을 투영한다. 이옥은 인간과 벌레를 같은 종(種)으로 바라보아 모든존재는 동일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벌레의 생태에서 인간의 모습을 병치시키고 인간의 내면을 성찰케 하는 글쓰기를 수행한다. 셋째, 이옥은 사물의 입장으로 돌아가 사물의 입을 빌려 이야기하는 의인화 방법을 쓴다. 본래 의인체 산문은 사대부들의 지적인 교양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옥은 사물의 본질을 담아내기 위해 의인화를 활용했다. 다음으로, 연암 박지원과의 비교를 통해 이옥의 생태 글쓰기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옥과 연암은 사물을 대하고 바라보는 시선이 유사했다. 둘은 쓸모없다고 배척했던 존재에게 더 관심을 갖고 이들을 배움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둘은 차이가 있었다. 연암의 생태 글쓰기가 인간과 사회를 교정하고 개선하는데 있다면 이옥의 생태 글쓰기는 사물자체가 갖는 아름다움, 사물의 생태적 특성에 의미를 두었다. 그런 점에서 이옥은 고전문학사에서 특별하게 심미성을 지향한 작가라 하겠다. This study is to reveal the aspects of ecological writing in Ee Ok’s works, and to find its meaning. First of all, it reviews the concept of ecological writing, and researches for the basis to investigate into his ecological writing. It is divided into three aspects of ecological writing in his literature. Firstly, EeOk considered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are different and survive by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own ways. The way of repetition and enumeration expression in his writings proves that all existence is valuable and worthy of deep concern as his ecological point of view. Secondly, he reflected a feature of human being through the existence of insect. He considered human and insect as the same species keeping the same attribute. So he placed the ecology of insect and the features of human in juxtaposition, carried out his own writing to introspect human inner world. Thirdly, Ee Ok stands on the position of things and talked as they talk in their position in a way of personification. Basically the prose of personification had been a way of representing intellectual refinement of noble men. But Ee Ok’s personification was to include the nature of things. After all, this study searches for the meaning of Ee Ok’s ecological writing, comparing with Yeon Am, Park Ji-Won’s ecological writing. Ee Ok and Yeon Am have similar point of view toward and about things themselves. Both have deep concern and interest in the things considered as worthless by others, took them as the objects for learning. But there is different point. Yeon Am’secological writing tended to rebuild and develop human and society, but Ee Ok’s ecological writing found the meaning on beauty of things themselves and on their ecological features. In this sense, Ee Ok is an aesthetic writer in a specific position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

        이옥(李鈺)의 문학에 나타난 벌레, 꽃, 물의 표상

        박수밀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2 No.-

        본고는 이옥의 문학에 나타난 벌레, 꽃, 물의 표상을 분석하여 이옥의 미의식, 존재와 관계에 대한 세계관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는 이옥의 꽃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옥은 꽃 자체의 미적 특질에 주목한 작가였다. 일반의 사람들이 꽃의 향기와 자태에 주목하는데 반해 이옥은 꽃에서 변화와 소멸을 발견했다. 그가 꽃에서 느끼는 미적 체험은 아름다움이 사라지는 소멸의 애상감이었다. 애상감과 무상성이라는 이옥 문체의 특질은 문체반정의 상처 이전에 이미 이옥 안에 내재한 근원적인 감수성이었다. 다음으로는 이옥의 벌레에 대해 살펴보았다. 존재와 관심의 층위에서 이옥은 벌레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 작가였다. 이옥은 벌레에게서 연민을 느끼고 배움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옥은 벌레와 인간의 처지를 역전시켜, 벌레가 인간의 어리석음을 질책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물아균시(物我均視)는 이옥의 사물 인식을 규정짓는 말이었다. 사물과 나를 균등하게 보는 입장은 나와 벌레는 존재론적으로 같다는 생각으로 심화되었다. 이옥은 벌레와 인간의 존재성을 나란히 놓음으로써 작은 존재들을 존중하고 이들에게서 무언가를 배우려 하였다. 다음으로는 이옥의 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옥이 사랑한 물은 노자(老子)의 물이었다. 이옥의 유약하고 조용한 성격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유약하고 고요한 노자의 물을 사랑하게끔 이끌었다. 노자의 물에 나타난 유약함과 고요함은 여성의 성질이기도 했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옥의 감성이 여성적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옥이 사랑한 노자의 물을 통해 그 연관성을 확인했다. 이옥의 벌레, 꽃, 물의 표상을 통해 살핀 그의 미의식, 존재와 관계에 대한 통찰, 차별 없는 시선, 유연한 감성이 작품에 어떤 방식으로 펼쳐지고 있는지를 계속해서 살펴갈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ize the symbol of worm, flower and water in Ok Rhee’s literature, and to understand him more deeply. Firstly, it reveals the flower of Ok Rhee’s. He paid attention to the aesthetic feature of flower itself. People usually catch the beauty of flower in its scent and figure, but Ok Rhee found change and extinction in flower. His aesthetic experience from flower is an aesthetics of extinction. His feeling about beauty is based on his grief for extinction. Grief and transience, the feature of his writing style, is his fundamental feeling before his suffering of restoration policy. Next it reveals Ok Rhee’s worm. He had deep concern on worm. He had compassion on it and learned from it. Furthermore, he changed both’s position and considered that worm rebukes people. ‘Mul-A-Kyun-Si’(which means equal viewing self as things) is definition of his ontology. His position of equal viewing self as things is connected with his thought that self (I) and worm is the same in ontology. He placed the value of worm and people in the same place, considered small things preciously, tried to learn something from them. Finally it reveals the water of Ok Rhee’s. His water was of Noh-Ja. He was weak and quiet. This characters had him love the weak and quiet water of Noh-Ja’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 weakness and quietness of Noh-Ja’s water was those of women. It will more progressively be developed to study how to reveal his aesthetic sense, his deep insight of existance and relationship, his equal view and his flexible feeling in his works.

      • KCI우수등재

        李鈺의 글쓰기에 나타난 ‘情’의 의미와 文體

        민희주(Min, Hee-joo)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2

        이 글은 李鈺의 글에서 중요점을 차지하는 ‘情’의 의미를 구체화하고 ‘情’을 바탕으로 한 글쓰기가 갖는 의미를 究明하였으며, 이에 따른 이옥의 문체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옥의 글쓰기는 외부세계와 마주침으로 시작한다. 그 마주침으로 신체 사이에서 ‘情’이 소통하는데, 이 때 ‘情’은 관습이나 학습에 의해서 규정된 것이 아니라, 신체에 진동을 울리는 규정할 수 없는 역동적 에너지이다. 외부세계의 ‘情’이 글 짓는 자의 신체를 통과한다고 했을 때, 기존의 연구는 이를 통해 작자의 역할을 ‘가탁자’라는 의미만으로 논의를 진행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이 과정에서 작자의 ‘신체성’이 참여한다고 바라보았다. 작자의 신체성의 참여는 삶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경험을 관념의 시선으로 해석해서 감각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세계를 날 것 그대로 경험하고 온 몸으로 감각하게 한다. 이 점에서 이옥의 ‘情’은 감정으로 환원되는 것이 아니라 실재의 삶을 그대로 살게 하는 ‘장치’로써 역할을 한다. 이옥은 자신의 삶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글로 그대로 담게 되는데 이는 그 때, 그 곳에서 이옥의 삶의 흔적들이다. ‘情’을 장치로 한 글쓰기는 관념의 인위를 탈각하고 날 것 그대로 경험하게 하기 때문에, 그 흔적들은 이옥이 실존한 증거가 되고 이 증거는 바로 살아있음의 다름 아니다. ‘情’을 장치로 한 이옥의 글쓰기는 자신과 타자의 관계성의 영역에서는 비움 · 관찰 · 앎의 자각이라는 자기 실천을 발생시키고, 타자와 타자의 관계에서는 거짓 아닌 소통을 이야기하게 하는 허위가 아닌 ‘眞’ 추구의 장치로써 그 역할을 한다. ‘情’을 장치로 한 글쓰기는 글 짓는 자가 현재 경험한 삶의 영역을 그대로 드러내야 하기 때문에 글의 소재는 이옥의 일상생활에서 벗어날 수 없고, 그것을 표현하는 언어 또한 일상의 언어를 벗어나기 어렵다. 이옥은 자신의 문체가 아니면 세상을 표현할 수 없었던 것으로 이옥에게 문체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다. 따라서 ‘情’을 장치로 한 글쓰기는 이옥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날 것 그대로 경험하게 하고 이를 있는 그대로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게 한다. 그것들을 구성하고 있는 글쓰기 장은 그 실재가 고스란히 나타나는 진실 말하기 공간으로 결국 이러한 과정은 세계 속에서 자신의 삶을 구성해 나가는 이옥의 주체화 방식의 일환이라 하겠다. In this article, characteristics of affection by Lee Ok was materialized and the meaning of writing with affection was investigated. Lee Ok’s writing was initiated by the meeting with the outside world. With the meeting, affection between the bodies is communicated and the affection is not established by the custom or learning but it is the dynamic energy to deliver the vibration in the body. Considering the affection in the outside world past the body of the writer, the role of writer had been discussed only with the meaning of pretext in the previous studies. In this article, it was focused on participating in the writer’s body during the process. Participating in the writer’s body is important for the experience in the course of life not to sense it upon interpretation in view of concept, but to experience the outside world lively and to sense it with the whole body. Lee Ok put the things in his life in writing which was the trace of his life. This trace is the proof of his existence and the proof is live. Lee Ok’s writing with affection generated self-practice of emptying, observation, and knowing in the area of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s and told the communication in the area of relationship between others. Hence, the affection that was mentioned in Lee Ok’s writing significantly plays a role of the device not to revert to the feeling. That means it plays a role as the tool to pursue truth not false. Since the writing with affection should show the current life experienced by the writer, the subjects of the articles could not be deviated from Lee Ok’s life and the words to express them could hardly been out of his daily language. Lee Ok could not express the world without his own writing style and it was not the matter to be selected instead of something. In writing with the tool of affection, there was no artificial force. Therefore, Lee Ok’s writing is his own trace of life at that time and his writing space is the one he tells the truth. After all, this process is part of Lee Ok’s subjectification ways as the existence in the world.

      • KCI등재

        <심생전〉 이해의 새로운 시각

        신희경(Shin, Hee-ky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장서각 Vol.0 No.37

        이 글은 〈심생전〉이 문체반정 이전에 창작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문체반정과 충군 이전의 이옥 작품들을 통해 〈심생전〉 창작 당시 이옥의 의식 지향을 살펴봄으로써 〈심생전〉의 창작 배경과 주제 의식을 새롭게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Ⅱ장에서는 매화외사의 평에 주목하여 〈심생전〉의 성격과 『情史』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서당 선생이 겪은 동창의 이야기를 이옥이 듣고 작품화했다는 것이 지금까지 〈심생전〉 창작 배경과 동기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이다. 서당 선생의 이야기에 대해 이옥은 “새로운 이야기”이며 “『情史』와 비슷한”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사대부가의 여성이 아닌 소민이 자각에 의해 정절을 지킨 것은 자체가 기이한 것이었으므로 서당 선생이 들려준 심생의 이야기를 이옥은 ‘新說’이라고 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옥은 『情史』가 정이 천지 만물의 근원이며 유대를 맺어 나가는 핵심 인자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편찬된 책인 것을 인식하고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보유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이옥은 『情史』의 지향과 의식면에서 유사성을 말하고 있으며 기이한 남녀의 진정을 소재로 〈심생전〉을 창작하였고 이를 근거로 매화외사의 평에서 “『情史』의 보유”를 말한 것이다. Ⅲ장에서는 이옥이 성균관 유생으로 입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음을 전제로 하여 〈심생전〉 창작 이전 이옥의 행적과 글들을 통해 입신에 대한 이옥의 생각을 추론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심생전〉에 나타나는 이옥의 창작의도와 지향을 살펴보았다. 〈심생전〉은 양반 남성과 중인 여성의 비극적인 사랑을 통해 봉건적 신분관계의 비인간적 폭력성을 보여준다고 이해되어 왔다. 이옥은 문체반정 이전에 과거를 통해 입신하려는 의지를 가진 인물이었다는 점에서 궐녀를 향한 심생의 열정은 이옥이 가진 과거와 문장에 대한 열정으로 읽힐 수 있다. 또한, 논찬부가 가진 일반적인 기능을 고려할 때 서당 선생의 교훈은 학동에게 주는 권면의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심생전〉은 있는 세계의 모순을 거부하고 있어야 할 신분 해방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는 작품이라는 평가는 재고되어야 한다. 그간의 논의는 이옥이 출사를 꿈꾼 사대부로서 유가적 이념에 충실한 인물이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의 처지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동안 입신을 꿈꾸며 경서를 공부한 이옥이 신분해방의 세계를 지향하는 작품을 창작하였다는 것은 어불성설이기 때문이다. 〈심생전〉에 나타난 비극은 이옥이 가진 생래적 의식이 구현된 것이며 이 것은 자신의 처지를 투영하면서 작품화한데서 온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옥은 출신과 정파가 열악한 자신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정조의 인선 정책에 기대를 걸고 있었기에 지속적으로 과거에 응시하면서 입신을 희망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태생적 한계와 성향으로 인해 좌절에 대한 두려움도 가지고 있었다. 〈심생전〉은 진실로 이루고자 하는 뜻을 세우겠다는 욕망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패할 수 있다는 좌절에 대한 두려움이 나타나는 작품으로 입신 욕망에 대한 이옥의 분열된 자아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The thesis noted that 〈sim-saeng-jeon〉 was created prior to Munchebanjeong(文體反正) and explores the orientation of Lee Ok during the creative period through his works prior to Munchebanjeong. The thesis aims to establish a new version of the creative background and theme consciousness of 〈sim-saengjeon〉. In Chapter 2, I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sim-saengjeon〉 and 〈Jeong-sa (情史)〉. It is extraordinary that somin (小民), who is not a woman of sadeabu (士大夫), is chastity personifie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teacher mentioned the story of Simsaeng was called “新說” Also, Lee Ok was aware that 〈Jeong-sa〉 is a book compiled on the basis of the idea that Jeong is the core of the universe and is the core builder of the world. Based on this, he mentioned 補遺. Chapter 3 suggests that Lee Ok was trying to achieve himself as a student of sung-kyun-kwan. And examines the movements and works of Lee Ok before the invention of 〈sim-saeng-jeon〉. Prior to Munchebanjeong, Lee Ok was a man who was willing to advancement through the 科擧. In this sense, simsaeng’s passion for 厥女 can be read with passion for the advancement of Lee Ok. Considering the general functionality of nonchanbu (論贊部),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teacher’s moral intention is to have the intent of hard work. The evaluation that 〈sim-saeng-jeon〉 aims to be a quest for social status should be reconsidered. So far, the debate is overlooking that he was a loyal figure in the study of Confucianism. Nevertheless, he had fears of frustration, due to his own inherent limitations and tendencies. However, he also had fears of frustration due to his own inherent limitations and tendencies. 〈sim-saeng-jeon〉 is a work that shows the divided ego of for his craving for fame.

      • KCI등재

        李鈺(이옥)의 인간학 -傳(전)을 대상으로-

        정환국 ( Hwan Kuk Jung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2

        이 글은 李鈺의 傳문학을 분석하여 그의 인간에 대한 관심을 인간학의 차원에서 해명해보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인간학이란 이옥이 인간을 학적으로 접근했다는 취지에서 붙인 용어가 아니다. 그보다는 이옥이 인간에 대한 이해를 다양한 인물들의 면모를 통해서 드러내 보이기도 하고, 또 이 과정에서 그 자신 인간으로서의 자기정체성을 고민하고 있었다는 점을 부각시키기 위함이다. 이옥의 전은 편수와 입전 대상의 다양성 면에서 이미 주목 받았거니와, 그 형식도 자유로운 편이다. 특히 애착이 가거나 불편한 현실에 처한 인물의 경우, 수시로 評을 집어넣거나 감탄어를 연발하는 등 남다른 자기 글쓰기를 추구하였다. 그 입전 대상은 거개가 운명 앞에 선 小民들이거나 선택의 기로에 놓인 시정인들이었다. 이들은 불가피한 운명 앞에서 과감하게 자신을 던져 충렬을 실천하기도 하고, 복잡한 시정사회 안에서 自守와 상실의 표상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이옥은 이런 인물들에게서 운명 앞에 머뭇거리고, 삶의 기로에서 방황하는 인간의 생래적 조건에 대한 고민을 계속하였다. 따라서 그의 전의 전반적인 정조는 ‘연민’과 ‘애상’이다. 이처럼 인물에 대한 감성적 이해가 이옥 전의 특장인데, 이에 따라 이념의 굴레에 닫혀 있던 인물들이 하나둘씩 그틀을 깨고 원래 ‘자신’으로 깨어나는 인상이다. 그렇다고 과도한 감정을 분출한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이옥은 해당 인물들에 대한 도덕적, 윤리적 입장을 버리지는 않았다. 그가 여성을 소재로 한 작품도 많이 남겼고, 남녀의 진정을 강조했지만 그렇다고 인간의 성적 욕망까지 긍정한 사례는 보이지 않는다. 당연히 전통적인 관습과 윤리 규범안에서 응시하되, 인간에게 놓인 본연의 조건을 함께 고민한 셈이다. 이런 이옥의 인간학을 ‘감성의 에토스’라고 잠정적으로 규정해 둔다. 이것이 윤리 규범 안에서 사유하되, 좀 더 인간의 본성과 그 관계성을 성찰하고자 한 이옥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이라 하겠다. 이제 탈중심적, 해체적이라는 용어로 재단되어 온 이옥과 그의 글쓰기에 대해 다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때다. This writing intended to interpret his interest in human in the dimension of Human studies through analysis of Jeon(傳) among his works. Here, meaning of Human studies do not tell that Lee Ok approached human academically. Rather, this means that Lee Ok understood human through aspects of various figures shown on his works. So Human studies is used to stress that he deeply thought about self-identity as a human being in the process. Jeon of Lee Ok has been in the spotlight because its form is free, number of works is many, and various figures appear on the works. Especially, he pursued his own unique writing, for example, inserting comments at times for figures whom he gave attachment or who were in unsatisfied reality, or was impressed saying exclamation etc. Most of figures shown on his Jeon were lower middle class people or ordinary people. They even dare to plunge into life before unavoidable destiny to practice royalty and fidelity. Or they repeat self-defense and trouble caused by loss in the midst of society of ordinary people. Through such figures, he continued to think over about human original appearance that is reluctant before destiny and is wandering about in the crossroads of life. So, general overall emotional color of his Jeon is ‘compassion’ and ‘sadness’. In the end, to say about characteristic of Jeon written by Lee Ok, it can be summarized as emotional understanding about figures. Furthermore, this should draw attention that figures closed by fetters of ideology break conventional frame one by one and find ‘self’. But Lee Ok was not excessively emotional in his writing. He basically did not leave from moral and ethical position about figures on his works. He wrote a number of works with materials of woman, stressed true affection of man and woman, but an example has not been found where human sexual desire is recognized. This means that naturally he stared at something within traditional customs and ethical norm but on the other hand, deeply thought human original problems. This study tentatively defined such Lee Ok`s Human studies as ‘emotional ethos’. This is a new method for understanding about Lee Ok who tried to deeply reflected on human nature and relationship though within ethical norm. It would be necessary to give more careful thinking and interpretation for Lee Ok and his writing which have been studied only with terminologies such as ‘Decentering’, ‘Deconstruction’ until now.

      • KCI등재

        李鈺의 觀物論的 사유와 花潭學

        조성산(Cho, Sung-sa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80 No.-

        본 글은 이옥(李鈺, 1760∼1814)과 소옹(邵雍, 1011~1077)․서경덕(徐敬德, 1489~1546)의 사상을 비교해봄으로써 그들이 얼마나 많은 공통점을 가졌는가를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소옹과 서경덕의 사유가 이옥과 같은 소북(小北) 가계의 지식인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소옹과 서경덕은 기(氣) 밖에서 따로 궁극적인 원리를 찾을 수 없으며, 오직 기를 통해서만 궁극적인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사유는 관물(觀物)이라는 용어로 정의되었다. 이옥에게서도 이 관물론적인 사유가 발견되었다. 이옥이 기의 현상인 정(情)에 관심 가졌던 것은 이것이 궁극적인 원리를 관찰하기에 가장 좋은 소재였기 때문이었다. 이옥은 관물을 위하여 관인(觀人)→관정(觀情)→관남녀지정(觀男女之情)→관녀(觀女)→관열녀(觀烈女)로 논의를 심화시켜갔다. 이옥은 같은 이유로 현실과 밀착된 언어인 향어(鄕語)와 속어(俗語)에도 관심을 가졌다. 이옥에게 향어와 속어는 궁극적인 원리가 자연스럽게 발현된 언어였다. 이옥이 남녀의 정과 향어, 속어에 관심을 가졌던 사상적 배경에는 이와 같은 소옹․서경덕의 관물론적 사유가 자리잡고 있었다.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Yi Ok’s (李鈺, 1760-1814) thinking with that of Seo Gyeong-deok (徐敬德, 1489-1546) to identify common ideas. Through this, it seeks to assess the influence of Seo Gyeong-deok’s reasoning on the Sobuk (小北, or little Northerners) faction’s intellectuals—such as Yi Ok—in the late Joseon Dynasty. Seo Gyeong-deok believed that the ultimate principle of the universe could only be found through Qi (氣)’s phenomenon, and not outside of it. Therefore, Seo Gyeong-deok argued that the ultimate principle of the universe was naturally derived from Qi’s phenomena. This reasoning is echoed in the works of Yi Ok, who was interested in aspects of the Qi’s phenomenon such as true emotion, as he considered it the best material for observation of the ultimate principle of the universe. In particular, the natural manifestation of the ultimate principle that Seo Gyeong-deok mentions was expressed in terms of true emotion that, for Yi Ok, was not artificial. For this reason, Yi Ok was interested in local languages and slang. To him, local languages and slang were natural expressions of the ultimate principle.

      • KCI등재

        이옥(李鈺)의 「각로선생전(却老先生傳)」: 노쇠한 신체의 발견과 자기 서사

        안세현 ( Ahn Se-hyun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5 No.-

        본고는 李鈺(1760~1815)의 「却老先生傳」을 老化와 自傳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각로선생전」은 족집게를 각로선생으로 의인화하고, 혹자와 나와의 문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은 假傳의 형식을 가탁한 일종의 自傳으로, 50세에 접어든 이옥이 노쇠한 신체를 발견하고 자신의 처지를 우의한 작품이다. 「각로선생전」의 특징적 면모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문체적 파격성이다. 假傳이든 自傳이든 ‘가계-행적-평결`이라는 傳의 서술방식을 준용하는데 반해, 「각로선생전」은 각로선생을 두고 혹자와 나와의 가설적 논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연명의 「오류선생전」 이래 대개의 자전이 작자 자신을 가탁한 제3의 인물을 제시하고 남들과는 다른 자신의 삶을 자부심 있게 그려내는 데에 반해, 「각로선생전」에서 이옥은 자신의 신체적 노화에 놀라고 지나 온 삶을 안타까워하며 여전히 삶의 지향을 찾지 못하는 ‘불안한 자기`를 내보였다. 「각로선생전」의 문체적 파격성은 여기에서 연유한 것이다. 둘째, 노화에 대한 인식에 있어 신체적 변화를 섬세하게 관찰하고 이를 極微하게 묘사한 점이다. 이옥 문학이 지닌 특징 중에 하나가 사물을 미시적으로 관찰하고 이를 섬세한 언어로 묘사하는 것이다. 「각로선생전」에도 이러한 특징이 그대로 나타났는데, 특히 새까만 터럭이 백옥처럼 하얗게 새는 과정이나 몸에 있는 터럭이 새는 순서에 대한 묘사는 극치를 보여준다. 이옥에게 신체의 노쇠함은 추상적으로 인식된 것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다가왔던 것이다. 셋째, 노화에 대처하는 태도이다. 이가 빠지고 머리가 새는 등의 노화는 죽음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징후이다. 대개의 사람들은 노화에 놀라고 이를 지연시키고자 노력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노화를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삶을 반추하며 노년의 삶을 차분하게 준비한다. 그러나 이옥은 지나 온 삶을 정리하지도 못하고, 노년의 삶의 지향점을 찾지도 못하고 머뭇거릴 뿐이다. 이런 점에서 「각로선생전」은 오십 줄에 접어든 이옥 자신의 삶을 가탁한 자전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I analyzed Kangnoseonsaeng-Jeon(却老先生傳) of Lee Ok(李鈺) focusing on the aging and autobiography. Kangnoseonsaeng(却老先生) is the personification of tweezers and Kangnoseonsaeng-Jeon is a kind of autobiography. This works are typically as follows: First of all, Kangnoseonsaeng-Jeon is unconventional style of writing. Lee Ok did not keep the narrative style of jeon(傳) and used hypothetical question and answer. This allows the psychological anxiety according to the aging. The second, Lee Ok was sensitive aware of the aging and described the aging of the body in detail. Descriptions of the process of change in hair color is especially impressive. In addition, Lee Ok has the attitude to cope with the aging differed from others. Generally people accept aging as a destiny and that are trying to mentally mature. But Lee Ok just depressed aging, it was not wisely designed the life of the elderly. In conclusion, Kangnoseonsaeng-Jeon is autobiographical work of Lee Ok entering old age.

      • KCI등재

        이옥(李鈺)산문에서의 "성적쾌(性的快)"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 「夜七」과 「七切」을 중심으로

        김홍백 ( Hong Baek Kim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8

        李鈺(1760~1815)과 그의 작품에 대한 연구에는 연구시각에 있어서의 ''내재적 발전론''과 ''외재적 영향론'' 및 性談論에 있어서의 ''억압''과 ''균열''이라는 이분법적 도식 등이 공히 중첩되어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다소 관념적 도식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제 글쓰기의 ''문체적 층위''에서 이옥 산문의 미학적·윤리적 특질을 보다 선명하게 조명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본고가 주목한 이옥의 글은 「夜七」과 「七切」이다. 이 두 편의 글은 枚乘의 「七發」에서 연원한 七體漢賦와 김성탄 비평본 西廂記의 ''不亦快哉'' 전통 위에서, 기왕의 七體와 ''不亦快哉'' 전통에 존재하지 않았던 ''남녀의 육체적 열망과 성교'' 부분을 새로 삽입하여 여성이라는 성적 대상을 통한 쾌락을 비롯한 현세적 욕망의 다양한 층위를 표현하였다. 특히 「七切」의 경우에는, 글 전체의 구조는 문답체를 통해 당대조선의 현세적 욕망과 유가의 ''玩物喪志''적 금지 욕망이 충돌하면서 ''逆說''의 미학적 효과를 구현해내는 한편, 단락 층위에서는 ''여인의 용모 묘사 - 한시 수창 - 성교''의 3단 구성을 통해 애정전기의 문체적 특징과 상통하는 섬려하고 화려한 문어체와 삽입시의 활용을 비롯, 4언구·3언구·6언구 등의 반복과 열거를 통한 다채로운 구자와 구식을 운용하여 감각적이고 화려한 서정성을 구현하였다. 그런데 「七切」의 결미는 이옥의 대리자인 花石子에 의해 앞에서 열거된 ''性的快''와 같은 현세적 욕망들이 부정되고 급기야 개인의 ''安分''이 ''經世''에의 지향으로 확장 연결된다는 점에서 이채롭다. 이는 私的영역에서의 현세적 쾌락이나 속화된 욕망과 달리, ''士''로서의 사회적 책무의식이 담지되어 있는 公的영역에서의 대사회적 욕망이라 할수 있다. 이런 점에서 「七切」은 앞 7개의 문답 구조 안에서는 客의 ''私的욕망[快]''이 더욱 호소력을 지니고 있다가, 이후 8번째 花石子의 논변에서는 유자로서의 ''公的욕망[快]''이 더욱 호소력을 지니게 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느 한 쪽의 입장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지 않고, 상호 착종되면서 공히 ''快''로서 병존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私的·公的''快''의 병존 양상을 실제 이옥 자신이 꿈꾸었던 욕망의 모순적이고도 복합적인 면모로 파악하였다. A Study on the Literature of Lee Ok(李鈺) are overlapped by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and ''the External Influence Theory'' in the perspective of research and ''Repression'' and ''Crack''(a dichotomy of diagram) in the sexual discourse. To overcome these sorts of diagram, This thesis aimed at examining the aesthetic and ethical peculiarities of Lee Ok(李鈺)'s prose. To achieve this, This thesis focused on the 「Ya Chil(夜七, Seven Nights)」 and 「Chil Jeol(七切, Seven Rebuffs)」of Lee Ok. I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se two prose appropriates ''Chil Che Han Bu(七體漢賦)'' tradition of Mei Cheng(枚乘)'s 「Qi Fa(七發)」and ''Isn''t it delightful?(不亦快哉)'' tradition of Kim Songt'an(金聖嘆)'s Critical Works(『Xixiangji(西廂記)』). Particularly, the conclusion of 「Chil Jeol(七切, Seven rebuffs)」is very interesting. Because temporal desire such as sexual delightfulness(性的 快) of this prose are denied and after all expanded in the social perspective. It is not Personal Desire such as temporal pleasure but Public Desire such as sense of responsibility. But Personal Desire and Public responsibility are coexisted in the entire prose. I argue that these coexistance is compositive aspect of desire in the Lee Ok's prose.

      • KCI등재

        李鈺에게 있어서 "여성" -여성 소재 글쓰기의 성격에 대하여-

        정환국 ( Hwan Kuk Ju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7

        이 논문은 문인 李鈺(1760∼1815)의 여성을 소재로 한 글쓰기의 성격을 밝힌 것이다. 이옥의 여성 소재 글쓰기가 당대 다른 문인들보다 압도적이라는 점은 주지하는 사실이다. 이와 관련하여 그 동안 ‘여성정감’의 차원에서 『俚諺』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 대개 남다른 개성의 발현이자 당대 문단의 새로운 국면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이옥이 이언 뿐만 아니라 기타 산문 등 다양한 글쓰기 영역에서 여성을 복합적인 대상으로 응시함으로써 착잡한 시선을 투과시킨 점에 대해서는 아직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요컨대 그 동안 연구에서는 이옥의 여성을 바라보는 지점이 너무 일률적이었다. 실제로 이옥은 이언 등의 한시는 물론, 『鳳城文餘』따위의 소품 산문, 그리고 傳이나 記文등 그의 글 전 영역에 걸쳐 여성을 前面에 배치하였다. 하지만 여기 등장하는 여성은 하나의 像이 아니다. 풍속과 세태 속에서 人情의 척도로 원용하는가 하면, 眞情의 주체로 추어 올렸다가는 어느새 불손한 대상으로 폄하하기도 한다. 심지어 남성 중심의 불편한 사회에서 여성의 희생을 통해 조화로운 정리를 꾀하려는 불손한 의도마저 드러난다. 하지만 이런 층위만 있는 것은 아니다. 애정 소재 등에서는 여성을 내세워 진정한 만남의 난망함과 불가피한 인간의 운명을 논란한다. <北關妓夜哭論>과 <沈生傳> 등이 특히 그렇다. 이처럼 이옥의 글에서 다루어진 여성은 일률적인 모습이 아니라 복잡하며, 다소 착종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작자 이옥의 인간과 사회를 바라보는 시선과 조응하고 있거니와, 그것이 자아정체성의 착잡한 뭉치로 類比되어 드러난 셈이다. 따라서 이옥에게 여성은 경우에 따라 ‘불손한 타자’이기도 했고, 필요에 따라 자신의 흔들리는 슬픈 자아의 한 모습이기도 했다. This study figured out the character of writing with material of woman among texts by a writer Lee Ok. It is well known that Lee Ok often wrote with material of woman far more than other writers. In this regard, studies until now have been proceeded with centered on a poem 『Yieon(俚諺)』 in the dimension of ‘woman sentiment’. The results mostly were understood as revelation of peculiar personality and a new aspect of contemporary literary circle. But Lee Ok dealt with woman, staring at woman as a complex object with complicated eyes in various writing areas such as 『Yieon(俚諺)』 as well as prose etc. Nonetheless, active discussion about this has not been made. In short, studies until now have a limitation that a point to see woman for Lee Ok was too uniform. Actually, Lee Ok arranged woman in front in writings of all categories such as Chinese poem like 『Yieon(俚諺)』 as well as short prose like Bongseongmunyeo, and Jeon(傳) or Gimun(記文) etc. However, woman appeared here is not one image. Woman shows these images_ a case used as a scale of humanity in the midst of customs and social conditions; a case where woman is highly regarded as a subject of true sentiment; on the contrary, a case where woman is depreciated as an arrogant object; as the extreme case, even arrogant intention to aim at harmonious arrangement through woman`s sacrifice in that society of man oriented is revealed. Furthermore, there is another stratum. The writing dealing with affection shows difficulty of true meeting and unavoidable human destiny through woman. ``Bukgwangiyagokron`` and ``SimsaengJeon`` are especially so. Thus, woman shown on writings of Lee Ok is not uniform but complicated, and appears somewhat mixed without consistency. Such appearance corresponds to eyes with which Lee Ok sees human and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appearance discloses, being compared to each other as complicated bundle of self-identity. Accordingly, woman to Lee Ok was sometimes ‘arrogant others’, or according to necessity, reflected his own trembling sad self.

      • KCI등재

        개인적인 삶에 대한 긍정과 지식의 재배치 - 이옥의 <백운필>을 중심으로

        김경미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8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writing motivation,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writer’s sense of value in Baek Un Pil(白雲筆) of Lee Ok(李鈺, 1760~1815) and consider them in the context of changing values on the knowledge and life experience of the 19th century intellectuals. Baek Un Pil is an encyclopedic work on various kinds of vegetables and animals which were found around the writer’s house. These vegetables and animals are categorized into birds, fish, animals, insects, flowers, grains, fruits, vegetables, trees and grasses, and their names, characteristics, and prices are recorded along with the writer’s own experience of them and proverbs about them. This kind of records can be found in other encyclopedic writing like herbology(本草學). The distinctive feature of Baek Un Pil is that it does not just recor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vegetables and animals but also emphasize their practical and economic value. It shows the writer’s tastes, aesthetic concerns, and the consideration of economic value. Among these, Lee Ok seems to put more emphasis on practical and economic value. This tendency of practical concerns relates with the interests in the livelihood and occupation which were held by other intellectuals at that time. The difference between Lee Ok and other intellectuals is that Lee Ok does not demonstrate the self-consciousness as a Confucian scholar and Confucian thoughts. Instead his concerns are put on more specific things such as how to support his own livelihood, what vegetables are eatable, whether poultry farming is good enough to support the country life, which flowers are pretty, and which herbs are good for medicine. In the preface of this book, Lee Ok mentions that he cannot tell anything belonging to the established knowledge like astrology and geography, men and ghost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stead he attempts to record the knowledge of everyday life. This tendency shows his refusal of the existed abstract knowledge and his intention to reorganize knowledge on the basis of the particular, the ordinary, and the experienced, which reflects the consciousness of focusing on the individual life. This recognition of the value of individual life indicates the understanding of the uniqueness of each individual beings, that is individuality. This tendency is significant in that it implies how the 19th intellectuals who are outside the power led their life. 이 글은 이옥의 <백운필>을 대상으로 그 저작 동기와 서술 태도, 이옥의 의식 지향을 분석하고, 이를 19세기 지식인의 지식에 대한 태도 변화, 나아가 삶의 방식의 변화와 관련시켜 살펴본 것이다. <백운필>은 이옥이 살고 있던 남양 지역, 그가 살던 집 주위의 동식물을 새, 물고기, 짐승, 벌레, 꽃, 곡식, 과일, 채소, 나무, 풀로 분류하여 짤막하게 그 특징이나 성향, 명칭, 가격, 관련된 경험, 속담 등을 정리한 기록이다. 이러한 기록 형태는 본초학을 비롯한 백과전서적 저술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백운필>이 이들 기록과 다른 것은 대상 동식물의 특성이나 심미적 특성뿐만 아니라 가격이나 상품성 등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백운필>에서 이옥은 자신의 삶을 구성하는 세계를 선택적으로 재현하면서 자신의 감정, 심미적 관심, 경제적 관심을 동시에 드러내지만, 이옥은 경제적 문제나 실용적인 면에 더 많은 관심을 드러낸다. 경제적 문제나 일상적인 것에 대한 이옥의 관심은 그 당시 문인 학자들이 생계나 생업에 대한 관심을 가졌던 것과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옥은 이들과 달리 선비로서의 자의식이나 유가적 의식을 드러내지는 않는다. 대신 그는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서 생계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어떤 채소를 심어 먹거리로 삼을지, 양계가 농가의 삶에 얼마나 유용한지, 어떤 꽃이 아름다운지, 어떤 풀이 약효가 있는지 등과 같은 구체적인 지식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 이옥은 서문에서 천문과 지리, 사람과 귀신, 성리와 문장, 석가와 노자 등 기존의 지식 체계에 속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고 하고, 이렇게 일상과 밀착된 지식을 정리했다. 이는 기존의 추상적이고 비일상적인 지식을 거부하고 구체적이고 경험적이며, 일상적인 것들을 중심으로 지식을 재배치하려는 의식의 소산이라 할 수 있으며, 그 근저에는 개인의 삶을 중심에 놓고자 하는 의식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가 보여주는 개인적 삶에 대한 긍정적 의식은 각각의 존재가 갖는 고유함, 즉 개성을 인정하는 의식과 상통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개인 중심적 삶의 방식은 중심에서 이탈한 19세기 문인 학자들이 어떤 삶의 형식을 모색했는가를 보여주는 한 예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