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의 근대 불교와 서양철학

        윤종갑(尹鍾甲),박정심(朴正心)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5 No.1

        한ㆍ중ㆍ일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 근대 불교의 특징은 서양철학과 자연과학에 입각하여 불교를 새롭게 재해석하고 정초하여 보편학으로서의 불교철학을 건립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이론적으로 뿐만 아니라 제도와 사회구조에 직접 대입시켜 실천적인 불교로 거듭나는 것이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서양철학과 근대 과학은 동아시아의 근대 불교에 결정적인 영양을 끼쳤다. 특히 칸트(Kant, Immanuel, 1724-1804)의 도덕율과 자아론, 그리고 자연과학의 인과율은 불교철학을 건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뼈대가 되었다. 즉 한ㆍ중ㆍ일 근대 불교를 대표하는 일본의 이노우에 엔료(井上圓了, 1858-1919)와 중국의 량치차오(梁啓超, 1869-1939), 그리고 한국의 한용운(韓龍雲, 1879-1944) 모두, 칸트 철학과 자연과학의 인과율에 토대해 불교철학을 정립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들 세 학자는 제도와 형식(법칙)으로서는 서양철학과 자연과학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였지만, 이념과 가치로서는 오히려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불교를 통한 동아시아의 전통과 기강을 되살리려고 하였다. 그 결과 이노우에 엔료의 순정철학(純正哲學)과 국가주의, 량치차오의 유식철학(唯識哲學)과 계몽주의, 그리고 한용운의 유신철학(維新哲學)과 만민공생주의(萬民共生主義)라는 이른바 개량주의적·군국주의적 근대가 활개치게 되었다. 따라서 동아시아의 불교는 철학적이고 과학적인 근대 불교를 기획하였지만, 국수적이고 계몽적인 차원에 머무르면서 여전히 구습(舊習)의 체질을 벗어버리지 못한 미완의 근대를 연출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근대 일본불교의 서양사상의 수용과 전개 -정상엔료(井上円了)를 중심으로-

        원영상 ( Yong Sang Won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7 No.-

        근대 일본은 메이지(明治) 혁명을 계기로 근대국가의 형성 과정에서 서양의 문물을 급속도로 받아들인다. 화혼양재는 그 대표적인 대응방식이다. 이 시기 불교계는 신정부 주도의 폐불훼석으로 인해 위기에처해 있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활동한 대표적인 인물이 이노우에 엔료(井上円了)이다. 그는 서양의 사상을 수용하여 불교의 개량과 부흥을 목표로 동양대학의 전신인 철학관을 세워 활동하였다. 이러한 이면에는 불교야말로 근대사회를 이끌 수 있는 동양의 사상이자, 서양 사상에 대응할 수 있는 철학을 지니고 있다는 확신이 있었다. 또한 護國愛理를 내세워 불교가 국가의 보호 아래 새롭게 발전할 기회로 인식한 것이다. 이노우에는 자신의 교상판석을 통해 불교가 철학과 종교의 양면을 다수용할 수 있다고 보는 일종의 통합사상인 불교통일론을 내세운다. 그는 서양사상과의 관계를 여러 측면에서 수용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佛敎進化論, 排耶論, 佛敎心理學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첫째, 그는 서양의 진화론을 소위 우주진화론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 즉, 불교의 불생불멸론을 기반으로 우주의 진화와 퇴화가 영원히 반복되는 大化를 주장하였다. 이러한 논리는 국가주의의 입장에서 평화와 전쟁의 순환이라고 하는 전쟁긍정론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다음의 배야론은 진화론이 그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이노우에는 창조설을 시작으로 기독교를 비판하며, 불교적인 입장에서 이론과 실이익이라고 하는 측면에서 기독교에 대한 불교 우위론을 주장하였다. 이는 종교의 자유를 허용한 근대의 상황에서 불교가 전통과 변화의 경계에 서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노우에는 불교심리학을 세워 미신타파와 같은 계몽운동을 일으켰다. 이를 위해 妖怪學을 정립하였다. 분류학으로부터 시작된 요괴학은 眞怪라고 하는 불교의 깨달음의 경지에까지 이르는 방대한 학문적 체계를 확립했다. 이러한 목표는 불교가 轉迷開悟를 통해 근대과학적인 우수성을 입증하는 것에 있었다. 비록 국수주의로 귀결되기는 했지만, 동서 문명의 교차시기에 불교를 기반으로 서양사상을 자기화하여 대응하고자 한 이노우에의 활동은 동아시아의 다른 어느 지역에서보다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따라서 향후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이라는 입장에서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불교비교학적 고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Japan in modern time after Meiji(明治) Revolution accepted Western civilization at a rapid pace in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state. Wakonyosai(和魂洋才) was the typical corresponding method. In that time, Buddhist circle was on the edge due to Haibutsukishaku(廢佛毁釋) which was spearheaded by Meiji new government. Inoue Enryo was a representative man those who tried to break the impasse. He who was aiming at improvement and rehabilitation of Buddhism, accepted Western thought, and established Tetsugakukan(哲學館) which named changed to Toyo(東洋) University in Tokyo. He had confidence that Buddhism was Oriental philosophy and thought which can lead modern society indeed, and cope with Western thought. He also thought that time a great chance in which Buddhism can come a long way under the protection of nation. Inoue produced a new theory about the Idea of Buddhism Unification, which can accept both sides of philosophy and religion. Especially, he systemized the theory of Buddhism evolution, the idea of exclusion against Christianity, and Psychology of Buddhism. Firstly, he looked at the theory of evolution from universal evolution, in which evolution and degradation based on No birth and No death repeats eternally. He called it Taika(大化). This theory turned into the idea of affirmation of warfare from nationalism, that is, circulation of peace and war. Secondly, the theory of Buddhism evolution became the rationale for the idea of exclusion against Christianity by him. Inoue criticized, including the doctrine of creation, Christianity. And he claimed the supremacy of Buddhism in theory and real gain in society. It means that there was Buddhism between tradition and change in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Religious freedom was permitted in modern time. Lastly, Inoue theorized the Psychology of Buddhism for a mass-education campaign like doing away with superstition, and founded the theory of demon. This was aiming at demonstrating the superiority of Buddhism as modern science. The activity of Inoue who accepted and made use of the most western thought with Buddhism for modernization of Japan for the time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although he strongly supported nationalism, was particularly active than persons in other asia areas. Therefore, it requires the comparative study hereafter for the response of Buddhism to Western civilization in East asian Buddhism.

      • KCI등재

        근대 일본불교의 서양사상의 수용과 전개 - 井上円了를 중심으로 -

        원영상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7 No.-

        Japan in modern time after Meiji(明治) Revolution accepted Western civilization at a rapid pace in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state. Wakonyosai(和魂洋才) was the typical corresponding method. In that time, Buddhist circle was on the edge due to Haibutsukishaku(廢佛毁釋) which was spearheaded by Meiji new government. Inoue Enryo was a representative man those who tried to break the impasse. He who was aiming at improvement and rehabilitation of Buddhism, accepted Western thought, and established Tetsugakukan(哲學館) which named changed to Toyo(東洋) University in Tokyo. He had confidence that Buddhism was Oriental philosophy and thought which can lead modern society indeed, and cope with Western thought. He also thought that time a great chance in which Buddhism can come a long way under the protection of nation. Inoue produced a new theory about the Idea of Buddhism Unification, which can accept both sides of philosophy and religion. Especially, he systemized the theory of Buddhism evolution, the idea of exclusion against Christianity, and Psychology of Buddhism. Firstly, he looked at the theory of evolution from universal evolution, in which evolution and degradation based on No birth and No death repeats eternally. He called it Taika(大化). This theory turned into the idea of affirmation of warfare from nationalism, that is, circulation of peace and war. Secondly, the theory of Buddhism evolution became the rationale for the idea of exclusion against Christianity by him. Inoue criticized, including the doctrine of creation, Christianity. And he claimed the supremacy of Buddhism in theory and real gain in society. It means that there was Buddhism between tradition and change in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Religious freedom was permitted in modern time. Lastly, Inoue theorized the Psychology of Buddhism for a mass-education campaign like doing away with superstition, and founded the theory of demon. This was aiming at demonstrating the superiority of Buddhism as modern science. The activity of Inoue who accepted and made use of the most western thought with Buddhism for modernization of Japan for the time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although he strongly supported nationalism, was particularly active than persons in other asia areas. Therefore, it requires the comparative study hereafter for the response of Buddhism to Western civilization in East asian Buddhism. 근대 일본은 메이지(明治) 혁명을 계기로 근대국가의 형성 과정에서 서양의 문물을 급속도로 받아들인다. 화혼양재는 그 대표적인 대응방식이다. 이 시기 불교계는 신정부 주도의 폐불훼석으로 인해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활동한 대표적인 인물이 이노우에 엔료(井上円了)이다. 그는 서양의 사상을 수용하여 불교의 개량과 부흥을 목표로 동양대학의 전신인 철학관을 세워 활동하였다. 이러한 이면에는 불교야말로 근대사회를 이끌 수 있는 동양의 사상이자, 서양 사상에 대응할 수 있는 철학을 지니고 있다는 확신이 있었다. 또한 護國愛理를 내세워 불교가 국가의 보호 아래 새롭게 발전할 기회로 인식한 것이다. 이노우에는 자신의 교상판석을 통해 불교가 철학과 종교의 양면을 다 수용할 수 있다고 보는 일종의 통합사상인 불교통일론을 내세운다. 그는 서양사상과의 관계를 여러 측면에서 수용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佛敎進化論, 排耶論, 佛敎心理學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첫째, 그는 서양의 진화론을 소위 우주진화론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 즉, 불교의 불생불멸론을 기반으로 우주의 진화와 퇴화가 영원히 반복되는 大化를 주장하였다. 이러한 논리는 국가주의의 입장에서 평화와 전쟁의 순환이라고 하는 전쟁긍정론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다음의 배야론은 진화론이 그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이노우에는 창조설을 시작으로 기독교를 비판하며, 불교적인 입장에서 이론과 실이익이라고 하는 측면에서 기독교에 대한 불교 우위론을 주장하였다. 이는 종교의 자유를 허용한 근대의 상황에서 불교가 전통과 변화의 경계에 서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노우에는 불교심리학을 세워 미신타파와 같은 계몽운동을 일으켰다. 이를 위해 妖怪學을 정립하였다. 분류학으로부터 시작된 요괴학은 眞怪라고 하는 불교의 깨달음의 경지에까지 이르는 방대한 학문적 체계를 확립했다. 이러한 목표는 불교가 轉迷開悟를 통해 근대과학적인 우수성을 입증하는 것에 있었다. 비록 국수주의로 귀결되기는 했지만, 동서 문명의 교차시기에 불교를 기반으로 서양사상을 자기화하여 대응하고자 한 이노우에의 활동은 동아시아의 다른 어느 지역에서보다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따라서 향후 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이라는 입장에서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불교비교학적 고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한국에서의 불교의 근대화

        원영상(Won Yong Sa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3 No.-

        본 논문은 근대불교계의 개혁론을 어떻게 새롭게 이해할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출발한 논의이다. 동아시아의 근대 불교계, 특히 중국, 일본, 한국의 경우 입장은 달라도 새로운 문명의 유입과 사회의 변동에 따라 전통과의 관계 정립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각자 고민하고 있었다. 한국은 조선시대에 쇠퇴한 불교계의 근대적 정체성 확립과 국운의 쇠퇴와 식민지화를 극복하기 위한 저항적 민족주의의 노선을 걷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선각자들의 불교개혁론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백용성(白龍城), 박한영(朴漢永), 한용운(韓龍雲), 박중빈(朴重彬)의 불교개혁론을 중심으로 전통과 근대불교라는 관계를 고찰하고 있다. 이러한 개혁론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불교계가 취한 불교개혁적 관점과도 연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불교계 또한 식민지 하에서도 서구 문명에 대한 대응, 불법의 시대적 사명, 불법의 사회화와 미래의 전망, 전통불교의 개혁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혁론을 피력하고 있다. 특히 서구문명의 유입을 필두로 관습과 생활문화의 변화, 공동체와 새로운 형태의 국가 출현 사이의 간극이 드러나는 사회적 상황에서 불교개혁론은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었다. 식민지 하에서는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과 함께 불교를 통한 식민지 통치 전략에 대해 실질적인 불교개혁을 통한 대응 또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원불교의 경우, 전통에 귀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교단 창립을 시도하고 있지만, 불교사상 등의 내적인 측면을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대승불교의 역사가 보여준 불법승 삼보의 재구성을 통한 불교개혁을 완수하고 있으며, 회통성과 같은 한국불교의 성격을 실질적으로 확립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근대불교개혁론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의미는, 불법을 근대적 지(知)의 세계로 어떻게 승화시킬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불교개혁론이 지향했던 학문의 발전에 대한 담론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개혁론을 주장했던 선각자들은 실제로 전 생애를 통해 근대적 불교결사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을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will discuss how to newly understand the reformation theory of modern Buddhist communities. The modern Buddhist communities of East Asia,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na, Japan and Korea, had different perspectives, but were concerned with the issue of how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raditions in the wake of the arrival of a new civilization and changes in societies. Korea had to adopt the position of resisting democracy in order to establish the modern identity of the Buddhist community that declined in the age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overcome the decline of national destiny, and Japanese colonization. While doing that, Buddhist reformation theory formulated by leading figures contained various meanings.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theory of Buddhist reformation of Baek Yong-seong, Park Han-yeong, Han Yong-un, and Park Jung-b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Buddhism will be examined. These reformation theories are connected with the point view of the Buddhist reformation of Japanese Buddhism that took place after the Meiji Restoratio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also, even under Japanese colonialism, formulated reformation theories in different guises such as the response to Western civilization, the mission of Buddhadharma of the time, socialization of Buddhadharma and prospects of the future, and reformation of traditional Buddhism. Especially, in the social situation where gaps appeared as a result of changes in customs and life culture, and the community was faced with a new type of n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 theory of Buddhist reformation sought a new way out. Under colonialism,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Buddhism to the Korean Peninsula, responses arose through Korean practical Buddhist reformation against the colonial ruling strategy of Japan through Buddhism. And in the case of Won-Buddhism, it tri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order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traditional Buddhism, and yet, inherited and embraced the inner aspects of Buddhist thought. Finall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Three Jewels, namely, Buddha, Dhamra, and Sangha, that the history of the Mahayana Buddhism revealed, it completed the Buddhist reformation and practically established the nature of Korean Buddhism that featured such characteristics as communicative penetration. Another meaning that can be seen in the theory of modern Buddhist reformation was that the discourses for the development of studies that the Buddhist reformation theory aimed at were conducted from the view point of how to sublime Buddhadharma into the world of modern knowledge. It also needs to acknowledge that these pioneers who put forward the theory of reformation practically led the modern Buddhist association movement through their whole life.

      • KCI등재

        한중일 삼국 근대불교의 민족의식에 대한 비교연구

        원영상 한국선학회 2008 한국선학 Vol.21 No.-

        본 논문은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근대불교의 민족의식을 비교연구한 것이다. 삼국의 근대는 서구과학문명을 비자발적으로 받아들이는 가운데 내부적으로는 봉건적 질서의 해체와 외부적으로는 반제국주의적인 입장에 서야하는 처지가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시차를 두고 삼국은 국민국가의 형성을 목표로 민족의식 형성에 대한 담론을 전개하게 되었다. 불교는 이 과정에서 어떻게 대응해 갔는가가 주요한 논점이다. 본론에서는 첫째, 민족국가의 형성과정에서 전통적인 불교가 주목받은 이유를, 둘째, 불교의 전통인식을 통해 드러나는 민족적 자각에 대해, 셋째, 자본주의의 침투 속에 이를 지탱한 사회진화론에 대한 불교의 입장과 민족의식의 발현에 대해 논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민족국한중일 삼국 근대불교의 가 의식의 형성과정에서 하부구조를 유지하고 있던 삼국의 불교에 있어 먼저 일본은 근대의 법난을 거치면서 국가주의로 경도되어가는 상황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한국은 식민지상황에서 대항적 민족주의 의식형성의 과제를 떠맡게 되었으며, 중국 또한 민족국가 형성에 지식인들에 의한 불교의 재해석을 통해 불교민족주의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근대화의 경로는 다르지만 국민국가의 형성이라고 하는 근대의 과제를 떠안은 불교의 재발견이라고 하는 측면에서 지역적 편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treatise is to compare and study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modern Buddhism centered on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While these three countries reluctantly accept the western science civilization in the modern era, they were forced to disassemble the feudal system internally and embrace the anti-imperialism externally. In that spirit, the topic of discussion is made on how three countries had form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in pursuit of establishing the nation state. The focal point is how Buddhism had responded to this procedure. The main subject discusses the followings : First, the reason why attention was drawn to the traditional Buddhism in the course of forming the nation state. Second, the national awakening that is unfolded by recognizing the tradition of Buddhism. Third, the stance that Buddhism had taken regarding the Social Darwinism that had supported this in the midst of capitalist invasion and the revelation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While Buddhism in three countries where the understructure was sustain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Japan made the participation voluntarily in the course of transforming to the nationalism after going through oppression of Buddhist Monks in modern period. Korea was almost forced to hold itself responsible for formation of the confrontational national consciousness during colonial status. As for China, Buddhist nationalism was formed through reinterpretation of Buddhism by the elites on the formation of the nation state. The course they took for modernization was all different; however, regional gap can be found in light of rediscovery of Buddhism that had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assignments called by the moder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