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통데이터모델 기반의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안윤애,조한진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1

        Recently, medical IT solutions are being provided on a distributed environment basis. In Korea,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can share medical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has been recognized and studied. The existing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is being built using only medical information of its own within the hospital. This makes it difficult for existing systems to achieve good results in terms of efficiency and accuracy of decision support. In ord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common data model in medical field. To explain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proposed model, we describe the development scenario of the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diagnosis of colorectal cancer. We also propose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can be used in various hospitals and improv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system. 최근 의료IT 분야 솔루션들이 분산 환경 기반으로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도 분산 환경에서 의료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인식되어 연구되고 있다. 기존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병원 내의 자체적인 의료정보만을 사용하여 구축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시스템은 의사결정지원의 효율성 및 정확성 측면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렵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의료분야의 공통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모델을 설계하고 구축방안을 제시한다. 제안 모델의 적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대장암 진단을 위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개발 시나리오를 기술한다. 또한 성공적인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을 위한 필수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여러 병원에서 공통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시스템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생애 마지막 단계에서 공유된 의사결정을 통한 연명의료결정 모델 연구

        권경은(Kwon kyeung eun) 한국생명윤리학회 2019 생명윤리 Vol.20 No.1

        2018년 2월 4일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다. 의료현장에서는 연명의료결정법이 생기기 전후 모두 가족에 의한 결정이 주를 이루고 있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는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죽음은 한사람의 고유한 사건이면서 가족과 사회의 공동체적 사건으로 의사와 환자 그리고 가족의 공동 숙고과정을 거쳐 준비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공유된 의사결정을 통한 연명의료결정모델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생애 마지막 연명의료 결정은 의사의 충분한 설명하에 환자의 의향과 가치관을 존중하여 가족과 충분한 대화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본인이 의식이 있을 때 결정하도록 연명의료계획서 시기를 앞당기고 공유된 의사결정 수가마련과 함께 생애 마지막 단계의 경제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연명의료 교육전문가 양성을 통해 가족에게 필요한 죽음교육 및 현장 의료인 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On February 4, 2018, the Act o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Making for Patients in Hospice palliative care and dying process was implemented. In the medical field, decisions are made by family members both before and after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Making law, and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decision-making process in respect of patients" self-determination. Death is a unique event, a family event and a community event that needs to be prepared together with a process of meditation by doctors, patients, and families. This study is a study that suggests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Making model through shared decision mak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End of life medical care decisions should be made with full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intentions and values and sufficient dialogue with the family, with the doctor"s full explanation. In order to support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o accelerate the period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medical plan and decide on the consciousness. And death education and on-the-job training for the family should be activated through nurturing medical education specialists.

      •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 광주 도시평가모델시스템 사례

        양동우,김용훈,김영미,김현진,오병철,윤원태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기후위기 도시 미기후 미시적 공간차원에서 탄소배출 및 흡수에 대한 현실을 과학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미시적 단위에서 인공건조물 및 식생의 관리가 바람길, 열환경 관리의 핵심인 상황에서 미세격자단위로 미기후를 관리하는 것은 필수이다. 본 연구는 공간적으로 광역시 단위에서의 도시 상세환경을 반영한 미기후 관리를 위하여 의사결정시스템의 개념구축과 의사결정시스템 구축으로 기대되는 효과를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정보 수집가공생산활용에 있어 종합성, 상세성, 즉시성, 접근성, 확장성을 보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국제기후환경센터가 2018년 구축한 도시평가모델시스템(Urban Assesment Model Systems, 이하 UCMS)의 사례를 통해 도시열환경 및 대기환경 정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설계방식 및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연구를 통해 열환경 및 대기환경정책 관련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세 가지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UAMS는 바람길 표출 공간단위를 세분화하고 기구축된 정보를 최대로 활용하고 있다. 둘째, 해당 시스템은 정보 수집 및 가공에 있어 개별 건축물 또는 상세격자 단위로 공간적 상세화를 담보하고 있다. 셋째, 도시건조환경으로 야기되는 영향력을 열환경 및 대기질로 확장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시범운영 장소가 제한적인 관계로, 적용대상지역을 확장하여 미기후 연구역량을 제고하는 것이 향후 과제이다.

      • KCI등재

        주식 투자자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도구

        김성동(Sung-D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주식시장에는 많은 투자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점점 더 많은 사람이 주식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식시장에서 위험을 회피하고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의사결정을 해야한다. 즉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종목 선택, 적절한 매수-매도 가격의 결정, 그리고 적절한 보유기간 등을 결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주식 투자자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도구를 제안한다. 즉, 개인 투자자가 직접 기계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주가예측 모델을 생성할 수 있게 하고, 적절한 매수-매도가격과 보유기간 등을 결정하는 것을 도와주는 도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도구는 과거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자 자신의 성향에 맞는 투자에서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로서 주가데이터 관리, 기계학습 적용을 통한 주가예측 모델 생성, 투자 시뮬레이션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스스로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기술적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가예측 모델을 만들고 테스트 할 수 있으며, 적절한 예측모델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해 봄으로써 실제로 어느 정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 평가하고 적절한 매매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제안하는 도구를 이용하여 주식 투자자는 기존의 감정적 판단에 의한 투자가 아닌 객관적 데이터에 의해 검증을 거친 주가예측 모델과 매매정책에 따라 주식투자를 할 수 있어 이전 보다 나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There are many investors in the stock market, and more and more people get interested in the stock investment. In order to avoid risks and make profit in the stock investment, we have to determine several aspects using various information. That is, we have to select profitable stocks and determine appropriate buying/selling prices and holding period. This paper proposes a data mining tool for the investors’ decision support. The data mining tool makes stock investors appl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generate stock price prediction model. Also it helps determine buying/selling prices and holding period. It supports individual investor’s own decision making using past data. Using the proposed tool, users can manage stock data, generate their own stock price prediction models, and establish trading policy via investment simulation. Users can select technical indicators which they think affect future stock price. Then they can generate stock price prediction models using the indicators and test the models. They also perform investment simulation using proper models to find appropriate trading policy consisting of buying/selling prices and holding period. Using the proposed data mining tool, stock investors can expect more profit with the help of stock price prediction model and trading policy validated on past data, instead of with an emotional decision.

      • KCI등재

        퍼지 집합을 활용한 건물 사전 보수작업 대상 선정 지원모델

        고태우,박문서,이현수,김현수,김수영,Ko, Taewoo,Park, Moonseo,Lee, Hyun-Soo,Kim, Hyunsoo,Kim, Sooyo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1

        건물의 사전 보수작업은 시설물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성능을 유지하고 향후에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효과적인 사전 보수작업 수행을 위해 보수작업이 필요한 대상을 명확히 선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작업 대상이 가지는 상태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작업 대상의 성능 측정은 하나의 평가 기준에 대한 평가 보다는 여러 개의 평가 기준들을 동시에 고려한 평가가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측정값이 부정확한 평가 기준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본 연구는 다양한 평가 기준을 이용한 사전 보수작업 대상의 성능 측정과 효과적인 작업 대상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모델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작업 대상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을 선정하고 기준별로 측정값을 종합하여 의사결정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건물의 상태 측정 시,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의 애매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의 불확실성을 보완하고자 퍼지 집합을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의사결정자는 보수작업 대상 선정 과정에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모델은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의도에 따른 다양한 절충값을 얻을 수 있어, 의사결정자별 상이한 평가 방식을 반영할 수 있다. Preventive maintenance of buildings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interest in that it is able to maintain the performance building has and to prevent a problem occurred in future. For improved preventive maintenance work, it should be performed to select works order clearly and preceded the accurate measurement for the state of works order. when measuring the conditions, measurement of the state of work order considering the various criteria is more effective than to measure by only criterion. But, there are something hard to evaluate exactly between the criteria because of decision-maker's subjective judgment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research proposes decision making support model to determine preventive maintenance works order using Fuzzy-sets. By using Fuzzy-sets when measuring state of work objects, it can be reduced vagueness of judgments by decision-makers. This model can be used as a tool for objective evaluation of preventive maintenance work orders and offer the guideline to perform decision-making.

      • KCI등재
      • KCI등재

        대공간 지붕철골공사 양중공법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지원모델

        차민수 ( Cha Min-su ),이명도 ( Lee Myung-do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8 No.5

        본 연구는 대공간 지붕철골공사의 양중공법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지원모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 및 전문가자문을 통해 6개의 상위요인과 19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양중공법 선정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AHP분석을 통해 요인별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한 결과, 6개의 상위요인 중 현장조건(0.237), 19개의 하위요인 중 여유공지의 유무(0.118)가 양중공법 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장관리자가 공법대안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및 절차를 수립하고 최종적으로 현장적합도지수를 제시해줌으로써 의사결정지원모델을 구축을 완료하였다. 구축모델의 검증을 위해 대공간 현장 경험자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수행한 결과, 제시된 모델이 공법선정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프로젝트 초기 공법선정 과정에서 현장 관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selecting a lifting method of large spatial roof construction. First, we deducted influential factors consist of 6 factors and 19 sub-factor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expert’s advices. Seco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 was calculated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As a result, ‘site condition(0.237)’ among 6 factors and ‘available space of the site(0.118)’ among 19 sub-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lecting lifting method. In addition, methods and procedures were established for evaluating alternatives of lifting methods for each influential factor. A decision support model was completed by providing the Site Suitability Index(SSI) of each lifting method. Finally, we got advices form experts who were actually in charge of the works for large spatial construction project to validate the model.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to be useful in selecting the lifting meth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upport the decision making of on-site managers when they select the lifting method on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 미국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소비자주도모델의 수정안

        김정현 한국생애학회 2013 생애학회지 Vol.3 No.1

        미국 홈케어의 소비자주도모델(Consumer-directed model)은 홈케어 이용자가 주도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함으로써 홈케어 이용자의 가치와 선호를 반영하여 이용자 욕구에 대한 맞춤형 돌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소비자의 권위와 책임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인지 기능의 손상이 있는 사람에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선행연구는 인지 손상이 있는 사람도 특정 선호 생활양식이 있으며 일관적이고 정확하게 이를 표현할 수 있다고 보고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경증 치매 노인도 소비자주도모델의 수혜자가 될 수 있도록 소비자주도모델을 수정한 ‘독립적 소비자 의사결정 지원서비스(Supportive Services for Independent Consumer Direction)’를 제안한다. 독립적 소비자 의사결정 지원서비스의 3가지 목표는 1) 소비자로서 치매노인의 권리를 보장하고, 2) 홈케어의 질을 향상시키며, 3) 경증 치매노인의 자기 주도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독립적 소비자 의사결정 지원서비스는 경증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소비자로서의 능력 사정서비스를 제공하며, 지불방식과 서비스 제공자 탐색에 대한 교육,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법적 문제에 대한 상담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홈케어 서비스의 질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는 전문가, 가족, 여타 이익집단과 다를 수 있으므로 소비자주도모델에 대한 평가는 소비자의 평가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이러한 방식은 소비자의 권리보장을 위해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을 기반으로 개발된 독립적 소비자 의사결정 지원서비스를 한국에 적용하기 위해 실천적 함의를 제시할 것이다.

      • 에너지자원의 환경관리전략 : 해양에너지 개발을 위한 전략환경평가방안 연구(2) 해상풍력사업의 입지선정을 중심으로

        김태윤,김충기,맹준호,장선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사업보고서 Vol.2015 No.-

        본 연구는 2개년에 걸쳐 해상풍력단지의 적정입지 도출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모델을 개발하였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해상풍력에너지와 관련된 법령 및 제도 현황을 검토하고 국내외 문헌을 토대로 해상풍력단지 입지선정 시 고려하여야 할 입지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입지항목은 에너지자원 및 경제성, 보전지역 및 경관보호, 인간의 활동,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의 네 개 부문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입지항목별 공간자료를 수집해 제주지역에 시범 적용하였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1차년도 연구를 토대로 에너지자원 및 경제성분석기법의 고도화와 입지항목별 가중치 산정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의사결정지원 모델을 정립했다. 또 이를 서남해안 지역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우선 에너지자원 및 경제성 분석기법 고도화는 데이터와 분석방법의 두 가지 측면으로 접근했다. 데이터 측면에서는 기존 1차년도 연구에서 에너지자원을 파악함에 있어 기상청에서 산정한 풍력밀도를 활용하였으나, 2차년도에서는 터빈 정보에 따라 풍력밀도를 재산정할 수 있도록 해상풍 재분석자료를 입력자료로 직접 사용하였다. 아울러 1차년도에서는 풍력밀도, 수심, 육지와의 거리 정보를 중첩하여 입지 부적합 지역을 제척하였으나, 2차년도에서는 해상풍 자료, 수심, 터빈 정보를 활용해 채득가능풍력에너지양을 1차 산정하고, 이에 기반을 두어 풍력단지 건설비용, 변전소 위치 정보, 풍력에너지 거래가격 등을 종합 산정하여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NPV)를 산정하는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또한 본 분석방법을 기존 시범 적용지였던 제주지역과 서남해안 지역에 적용하였을때, 제주 및 서남해안에 계획된 사업지역을 찾아내고 있었다. 이로써 1차년도에서와 같이 단순히 제척된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구체적이면서도 유의한 정보를 제공할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편 해상풍력건설사업에 있어서 이해관계자의 선호체계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 의사결정지원 모델을 마련함에 있어 이해관계자의 선호체계를 반영할 수 있도록 AHP 기법을 활용한 입지항목별 가중치 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사례지역인 서남해안 지역에서의 설문 실시결과, 에너지자원 및 경제성 >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 인간의 활동 > 보전지역 및 경관보호 부문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성 측면과 더불어 해양환경과 해양생태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해상풍력단지 입지선정시 환경 및 생태 측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는 특정하게 가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결과이므로 분석시나리오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으며, 실제 사업단지 단위에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는 연구과제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연구의 목적이 궁극적으로 전략환경평가 방안으로서의 입지선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의사결정지원 모델은 의사결정자가 최소 광역지자체 단위 수준의 공간스케일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지를 스크리닝하고 입지 적합성이나 규모 등을 판단하는 도구로 활용되는것이 가장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해양 데이터와 의사결정지원 모델은 향후 해상풍력발전단지뿐 아니라 해양에너지 및 해양 개발사업 분야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ecision making support model of selecting a site suitable for offshore wind farm over a period of 2 years. The 1st year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system and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offshore wind farm and deduced sit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selecting a site of offshore wind farm on the basis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The sit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of energy resource and economic feasibility, conservation area and viewshed, human activity, and marine environment and ecology. And spatial data about these according to site factors were collected and applied to Jeju province as a test. The 2nd year study established the decision-making support model by suggesting a scheme of estimating weights according to site factors and sophisticated energy resource and economic analysis method on the basis of the 1st year study. Besides,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was verified by applying it to South Korea’s southwest coast region as a pilot test. Firstly, with regard to energy resource and economic analysis method sophistication, an approach was made in the two aspects of data and method. In case of data, whereas the previous 1st year study utilized wind density estima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grasping energy resources, the 2nd year study directly used sea surface wind reanalysis data as input data so that wind density could be reestimated according to turbine information. Besides, in the 1st year study, unsuitable site areas were excluded by overlapping information about distance from land, water depth, and wind density. In comparison, in the 2nd year, the method was refined by dividing it into the first step of initially estimating exploitable wind energy by utilizing information about turbine, water depth and sea surface wind data, and the second step of estimating Net Present Value (NPV) by comprehensively estimating wind energy market price, sub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wind farm construction expenses on the basis of that. When this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the previous pilot test areas of Jeju province and southwest coast region, the planned project areas in Jeju and southwest coast were identified. Thus, th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more specific and significa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rather than simply presenting excluded information as in the 1st year. On the other hand, it is very critical to understand the preference of the interested parties in offshore wind construction project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a scheme of estimating a weight according to site factor by utilizing AHP technique so as to allow reflection of the preference system of the interested parties in providing a decision-making support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in southwest coast region, the case area, energy resource and economic feasibility was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offshore environment and offshore ecology, human activity and conservation area and landscape protection category.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high level of awareness about offshore environment and offshore ecology together with economic aspect, and suggests that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pect should be considered in selecting a site for offshore wind far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yielded by assuming a specific scenario. Therefore, different results may be produced depending on the type of analysis scenario. And it is inappropriate to apply the method to actual projects becaus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cheme of selecting a site as a means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In other words, it is the most appropriate for decision makers to utilize the decision-making support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as a tool for screening a relatively advantageous site in spatial scale at least at the regional local government level and for judging the site suitability. It is expected that the offshore data and decision-making support model establish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not just in offshore wind farms but also in offshore energy and offshore development project areas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공건설사업의 최적 발주방식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지원모델

        박희택,박찬식,Park, Heetaek,Park, Chansi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7 No.5

        현재 국내 공공건설사업의 발주제도는 입 낙찰제도와 뚜렷한 구분이 없이 혼용되고 있으며, 선정할 수 있는 기준 자체도 단순히 사업예산이나 추정금액에 의해 정해지고 있다. 발주방식은 본래 사업의 특성이나 유형, 목적 등 다양한 요인들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여 결정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예산이나 기간, 획일적인 법 규정으로 인해 탄력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적 발주방식을 선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설문 및 면담조사,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영향요인을 발굴하고, 최종 발주방식 유형별 의사결정지원모델을 제안하여, 실무 적용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의사결정지원모델은 향후 발주방식을 선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함으로써 기존 업무관행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oject Delivery System (PDS) is used in mixed way without clear classification from tendering system and the standard itself that can be selected is set with project budget or estimated cost only. Essentially, the PDS should consider and reflect project characteristics and type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ives of citizens and their welfare. However, the current status is not operated flexibly due to the given budget, period and uniform laws and regula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s a Decision Support Model to select the optimal PDS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The current problem of the PDS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were identified and the application of a decision support model was proposed. Subsequently a decision-making model was suggested for each PDS using the identified factors and linear discriminant function of discriminant analysis. An additional questionnaire survey and actual practical case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model to actual work. It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decision support model and detailed factors according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public organization, ability of person in charge and project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