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생태전환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에 대한 중등 음악교사의 인식 조사

        박송희(Songhee Park) 한국음악교육학회 2024 음악교육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생태전환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에 대한 중등 음악교사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생태음악교육 실태 를 파악하고, 생태음악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생태음악과 관련한 문헌들을 고찰 하였으며 중등 음악교사 321명을 대상으로 생태음악교육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SPSS 29 프로그램을 활용하 였으며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의 일반적 배경과 생태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음악과 생태는 관련이 있으며 음악은 생태적 위기를 심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여기는 등 생태전환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가능성 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그리고 생태음악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의 비율은 낮았으나, 관련 연수에 대한 실천 의지는 높은 편이었다. 한편 다수가 ‘생태음악’ 등의 용어에 대한 정립과 생태음악 수업 사례 소개 및 생태음 악 수업 프로그램 개발을 요구하였다. 교사의 일반적 배경 중 성별, 근무지의 학교급, 근무지의 지역 유형은 생태음 악교육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근무지 환경이 자연친화적이라고 느끼는 것은 음악과 생태 의 관계가 높다고 인식하는 것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direction for ecological music education through an investigation on music teachers’ perception regarding music education as a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analyzing literature related to ecological music and conducting a survey on ecological music education of 321 music teachers.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29,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dditionally, the t-test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ackground and their perception of ecological music education.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music teachers positively perceived a potential behind music as a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believing music and ecology were related, and therefore music could be used to resolve ecological crisis. Furthermore, although many teachers didn’t teach music classes related to ecology, most of them had willingness to receive training about it. On the other hand, they indicated a need for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such as ‘ecological music’, an introduction of example cases for ecological music classes, and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music education programs. Also, perceiving that the workplace was nature-friendly had a positive impact on perceiving that music and ecology were related.

      • 유아 음악교육 실태 및 부모의 인식: 대전시를 중심으로

        안미영 ( Mi Young Ahn ) 한국달크로즈유리드믹스학회 2010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Vol.4 No.2

        본 연구는 유아 음악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조사 연구해 봄으로써 유아기 음악 교육에 바람직한 방향 정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둔다. 이와 같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 유아 음악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1-1. 유아 음악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1-2. 유아기 음악교육은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2-1.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2.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 다섯 개 구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10곳에 취원 중인 만 4, 5세 유아의 어머니 465명이다. 연구를 위해 사용 된 유아기 음악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실태 질문지는 김민선(2006), 윤지영(2005), 이영희(1999) 등의 관련 연구를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유아교육기관의 부모에게 2007년 7월 20일부터 8월 20일에 걸쳐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각 연구문제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유아의 성에 따른 부모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반수 이상의 부모들이 음악적 소질과 환경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환경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부모는 여아의 부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교육의 실시여부와 종류를 알아본 결과 많은 유아들이 음악교육을 받고 있거나 받을 예정이라는 응답으로 부모들이 자녀의 음악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여아의 경우 남아보다 더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가 받고 있는 음악교육의 종류로는 남아, 여아 모두 피아노, 바이올린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연령은 남아, 여아 모두 만3∼5세가 가장 많았으며 자녀에게 음악교육을 실시하는 목적 역시 음악적 소양을 키우기 위하여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실시 정도에 대한 계획으로는 취미 정도로 받아들여지고 있어 현재 우리나라가 처해 있는 교육 여건을 그대로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음악교육의 실시로 얻어지는 효과로는 정서발달을 도모한다가 남아, 여아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hildren`s music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 parents` recognition about it by the gender of their 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usic education in childhood towards desirable dire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ings: 1.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hildren music education? 1-1.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children music education?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actual condition of children music education by the gender of children? 2. What is the parents` recognition on the children music education? 2-1. What is the parents` recognition on the children music education?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arents` recognition on the children music education by the gender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5 mothers who had their children aged 4 and 5 from 10 chil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5 districts in Daejeon. The questionnaire was made with reference to the relevant studies of Minsun Kim (2006), Jiyoung Yoon (2005), Younghee Lee (1999), etc.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etween July 20, 2007 and August 20, 2007 and collected afterward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oduc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nd chi-square () was implemented for analysing the difference of the parents`s recognition by the gender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185 children out of 465 have taken music education and even 154 parents whose children do not take music lesson now, reported that they planed to let their children take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Second, there was not any gender difference in the actual condition of children music education. In addition to that,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in the parents` recognition on the music education by the gender of children. It was found that the main reasons why parents let their children take music education were because it makes children`s elementary knowledge of music develop (48.2%) and because it is helpful to the school education in the future (26.7%). However, parents tended to consider the music education as a hobby in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it, which showed the realities of music education in Korea. Parents responded in a highly-positive way on the result of the music education irrespective of the gender of children.

      • KCI등재

        Smart Education, Creating Music Education Contents : Songs that Express How Beautiful You Are

        Hye Seung Shin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5 이화음악논집 Vol.19 No.2

        스마트 미디어 시대, 스마트교육을 위한 인프라 기반조성이 활성화되어 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스마트교육의 개념을 음악교육에 적용하여 ‘음악교육콘텐츠’를 창작해 보고자 함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음악교육콘텐츠는 교육에 적용될 정보와 자료를 단순히 디지털화 하여 제공하는 차원이 아니라 인문학적 재구성을 통해 스토리텔링의 형태로 구축된 콘텐츠로 개발되어야 한다. 이로써 혁신적인 음악지식의 재생산은 물론 다른 교과들과의 간학문적 성격의 교육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한 걸음 더 나아가 교육을 넘어서 새로운 형태의 문화향유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를 표현하는 노래들을 핵심으로, 시대의 변화와 함께 이 노래들과 연관된 정황들을 추출하여 제시된 지식들 간에 서사적 연결을 갖도록 음악교육콘텐츠를 기획해 보고자 하였다. 시대의 어떤 단면을 대변하는 노래 한곡 한곡은 정적인 음악작품으로서만이 아니라 하나의 동적인 사건이기도 한 복합적 사회문화 현상이기 때문에 다양한 학문과의 융합을 보여주는 중요한 교육 소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를 표현하는 각 시대의 노래들을 통해 노래 자체만이 아니라 음악을 만들고 향유했던 역사적, 문화적 맥락과 함께 텍스트의 사회학적인 상황을 디지털 환경 안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기술기반과 음악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교육에 활용하고자 하려는 이 시도를 통해 음악교육의 의미와 역할이 더욱 확대되길, 또한 음악을 중심으로 타 예술분야, 문학, 역사 등과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융・복합 학습콘텐츠로서 시대가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특히 음악교육콘텐츠를 통해 학습하는 과정이 마치 놀이와도 같은 상황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즉 놀이와 학습이 함께 어우러진 교육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디자인함으로써 창의력을 길러주는 미래 지향적인 교육모델로 자리 잡게 되기를 기대한다.

      • 미국 공립학교 음악 교육의 새 방향성에 대한 고찰 : 협력 프로그램을 통한 현대음악 교육

        윤은혜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5 음악예술연구 Vol.5 No.1

        본 논문은 현재 미국 공립학교 음악 교육의 열악한 상황 때문에 생긴 음 악 교육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들과, 이런 문제의 해결을 돕기 위해 자발적 으로 생겨난 협력 교육 프로그램 (partnership program) 이 제시하고 있 는 현대음악을 통한 새로운 교육 방법을 관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새로 작곡되는 현대 음악들의 소리와 박자의 구성은 대중들에게는 종종 이해가 어려운 음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학교 음악 프로그램에서도 현대음악 에 대한 교육은 활발하지 않았었다. 2001년 미국에서 발표된 새 교육제도 의 영향으로 공립학교의 음악교육 과목이 점점 줄어들게 된 이후로 학생들 이 음악을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더욱 낮아지게 되었으며 그로인해 학 생들은 현대음악에 대해 더욱 어려워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현대음악을 전문으로 연주하는 음악인들은 앞으로 그들의 음악을 이해하고 들어줄 대 중이 대폭 줄어들 것을 인지하고 전문 연주 단체들을 중심으로 협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 하단에는 New York과 Chicago의 공립학교들과 협력 교육을 활발히 하고 있는 International Contemporary Ensemble (ICE)의 교육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ICE가 추구하는 현대 음악을 통한 음악교육이 미국의 공립학교와의 협력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어떻게 지도 되고 있는지에 대해 나눈 얘기를 소개하고 있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raises the issue of music education within the American system of public education. Music and art programs in many public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gradually decreasing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No Child Left Behind educational policy in 2001. Compounding the problem of classical music's lackluster appeal to the general population and in particular, young students, is the lack of opportunity to study the discipline through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Because of this, the genre is foreign to most young people; putting professional performance organizations especially those that specializing in modern music and independent musicians in danger of losing their audience. In the article, the author makes the case for robust partnership programs between underfunded public schools and professional modern music organization. This study urges professional musicians and performing organizations to seriously consider employing this fresh, innovative model of music education. By doing so, they will not only strengthen music programs in public schools but also secure future generations of enthusiastic audience members to preserve the genre of modern classical music.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w approach to classical music education, the author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Dr. Jacob Greenberg, a director of education in International Contemporary Ensemble (ICE).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태도, 인식 및 효능감 조사연구

        신혜경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5

        This study investigates pre-service music teachers’ experiences, understanding,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as the central focu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in which 140 pre-service music teachers participat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multicultural attitudes do pre-service music teachers have? Second, what do pre-service music teachers understand by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what is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efficacy in a multicultural teaching environment? Fourth, what are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on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articularly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showed a positive multicultural attitude overall. Regarding the teachers’ multicultural views, there were statistically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daily interest groups dealing with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teachers understood the basic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neral. Third, the teachers showed a generally high level of multicultural efficacy; they tended to show a greater teaching efficacy level in multicultural attitudes, perspectives, and relationships factors than nurtur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problem finding and solving abilities, and developing multicultural teaching materials. Fourth, the teachers agreed that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human relation-centered. In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music teacher train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also provided. 본 연구는 중등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태도와 인식, 교수효능감에 관한 다면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2)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어떠한가? (3)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4)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음악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은 어떠한가? 중등예비음악교사 140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여러 특성 변인 중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관심 여부에 따른 다문화태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다문화교육 이해도에 관하여 예비음악교사들은 다문화교육 대상의 범위와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습성취도에 대해서는 높은 이해도를 보인 반면 다문화교육에 의한 역차별 현상과 다문화교육의 초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해도를 보였다. 셋째,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효능감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태도, 관점, 인간관계 항목에 비하여 비판적 사고, 문제의 발견 및 해결, 교재개발 관련 내용의 문항의 효능감이 낮았다. 특성 변인 중 예비교사들의 다문화태도에 의한 다문화교수효능감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음악교사들은 다문화교육과 다문화음악교육의 목표에 대하여 모두 조화로운 현 사회유지 및 발전에 목표를 두어야 한다는 관점에 우선순위를 두었으나 하위 순서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최성환(Sung-hwan Choi),이진아(Jin-a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개방적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여 과거 혈연중심의 단일민족주의와 서구문화에 대한 편향적 태도에서 벗어나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다인종?다문화 세계에 살아갈 청소년 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다문화 교육이 요청되고 있다. 음악을 포함한 문화예술 활동은 다양한 문화적 유산과 자원이 서로 평등하게 공존하고 소통할 수 있으며, 다양성이 인정되고 실현될 수 있는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는 “다양성이 없이는 인류가 진정으로 살아갈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서 여러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해야 한다. 또한 민족 전통 속의 정체성과 잠재력을 북돋워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타문화와 교류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화예술활동은 다문화 사회에서 타문화의 이해와 공존을 위한 가장 자연스럽고, 쉽게 융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이다. 그동안 한국 다문화교육에서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나 구체적 방법론 보다는 다른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음악교육부분에서는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연관된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내용은 부족하였다. 무조건적 동화를 지향하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이 아니라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사회의 통합, 소통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의 고유한 사회적 배경과 한계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한국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시대흐름에 맞는 음악을 추구하는 문화교육’의 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먼저 문화예술교육의 위상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한계점을 살펴본 다음, 문화의 본질과 관련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우리의 정체성과 관련된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전망과 더불어 한국 전통음악의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한 다문화사회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교육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려한다. 한국 전통음악은 다문화사회에서 다른 문화권의 음악과 함께 이해되고 발전시켜야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한국 전통음악을 소개하고 교육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넓게는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세계화라는 불가피한 변화 속에서 한국 전통음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콘텐츠화’ 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ro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at multi-cultural society. Facing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need to be free from deflective attitude about Western culture and nationalism and recognize the world from the position of multiculturalism. So new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youth generation who will live in the multi-racial?multi-cultural world is required. Culture, art and music could naturally occupy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heritage and resources co-exist without discrimination. Levi-Strauss claimed that human race cannot truly live without diversity. We should preserve diversity of various cultures in multi-cultural society. Also by encouraging potential and identity for their uniqueness within ethnic tradition, we should create a new culture interchanging of various cultur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eantime did not have enough content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of our culture. Music education course for the communication and unity of society is in nee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lti-culture is also essential. Additionally more detailed methods to reflect enough in the textbook and Korean traditional music’s directivity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ecessary. This study attempts to look very closely at the status of culture, education of arts and the limitation of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the music education that’s related to essence of a culture and our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role of music in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sian music together with the brightness of future and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be worthy when it is understood and developed together with music of other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Furthermore by accepting education theory of multiculturalism the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ignificance of culture art education where the coadaptation of traditional music of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done systematically with keep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Making cont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Korean music market of the flow of globalization.

      • KCI등재후보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국악교육의 방향

        권덕원(Kwon Doug-won) 한국국악교육학회 2009 국악교육 Vol.27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에 개정된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국악 교육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국악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과 방법을 탐색해 보는 데 있다.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크게 활동, 이해, 생활화 영역으로 구분되어있다. 이는 국악 교육에서도 음악적인 활동을 더욱 강조하고, 국악에서 핵심이 되는 개념의 학습을 중시하며, 또한 학생들이 각자의 생활에 국악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해 나가도록 지도하는 것이 기본 방향임을 의미한다. 새로운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국악 교육의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 학교 국악 교육은 국악의 본질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국악의 특별한 가치를 학생들이 탐색할 수 있는 수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로, 미래 사회를 대비하여 국악의 창의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교사와 학생들은 창작 국악에 대하여 열린 마음을 갖고 국악 수업을 통해 창의적인 능력을 발달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로, 교육을 통하여 국악은 서양음악 및 비서구음악과의 관계에서 구심체적인 역할을 찾아야 한다. 다른 나라의 음악에 대하여 배타적인 자세가 아니라 포용적인 가치관을 갖고 다루 되, 동시에 우리 민족의 음악을 음악 활동에서 중심에 놓을 수 있는 인식이 필요할 것이다. 학생들이 여러 음악을 다양하게 이해하면서 그 중에 국악의 역할과 가치를 올바르게 인식하게 될때, 그들이 성장하여 이루게 될 우리 사회는 음악에 대하여 포괄적인 시야를 가지면서도 동시에 민족의 음악적 가치를 실현하고, 또한 음악이 제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바람직한 사회가 될 것이다. The school music curriculum was revised in 2007. This new version will have influence on the school music education as well as o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during 5 year or more.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in Korea have actually begun in 1980s, and it has reached a stable level in 1990s. The music curriculum of 2007 shows more qualified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and it encourages music educators to teach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a close attention. I suggest three points as a direction and strategy for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based the music curriculum of 2007. First, we should explore and teach the indigenous nature and valu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music has a differentiated and peculiar nature and quality that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whole history of Korea. Teacher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need to explore the nature of Korean music and to have students recognize and experienc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 Second, we should develop the creative aspects of traditional music and provide for the future. Traditional music until 20th century will not be enough for 21st or 22nd centuries. The next generation will ask for new music. Third, we need to do our best to place Korean music at the center of all music in Korea. Korean music educators need to have a favorable mind to non-Western music as well as Western music. New music curriculum of 2007 suggests that music educators need to have an open attitude for all kinds of music and an introspective sight to our own music.

      • KCI등재

        국내 음악영재교육 내 실용음악 영재교육의 확대방안 모색

        김희선(Kim, Hee Sun) 한국대중음악학회 2021 대중음악 Vol.- No.28

        오늘날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추어 정보화 시대, 지식 기반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영재교육은 2018년 ‘제4차 영재교육 진흥계획’을 시행하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고도화 및 다양화를 추구하고 있다. 음악영재교육 역시 2002년 이후 이러한 국가정책과 함께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 그 세부사항을 살펴보면 실용음악교육의 경우 약 8%의 분포도를 이루고 있는 반면, 대부분 클래식에 주로 치중되어 있는 모습이다. 결과적으로 실용음악교육의 인재 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및 국가적 지원 프로그램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실용음악 영재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음악영재교육 운용 실제의 내용들과 비교분석하여 다음의 다섯 가지 확대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실용음악 영재교육의 저변 확대는 무엇보다 우선시 되어야 한다. 둘째, 기존 음악영재교육의 실기 중심 선발 과정 관례에서 벗어나 실용음악 영재교육만의 특화된 선발기준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실용음악 영재교육의 교육 목적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실용음악 영재교육을 교육할 수 있는 전문교사 양성이 시급하다. 다섯째, 실용음악 영재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지원확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용음악 영재교육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실용음악 영재 발굴을 위한 차별화된 선발과 교육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국가 차원의 제도와 지원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The modern society is changing into an information age and knowledge-based society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is situation, the gifted education has been sought the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the 4th Gifted Education Promotional Plan’ in 2018. Since 2002, the gifted music education in Korea has also been steadily expanding along with the national policies. With looking into details, the applied music education has a distribution of about 8%, on the other hand, the most cases are mainly focused on classical music. As a result, it is still insufficient to support the gifted education and national support program for fostering talent in the applied music education.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necessi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gifted music education with the actual contents of the operation of the gifted music education, and then the following five solution searches for expansion were sought. First,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the gifted education in the applied music should be prioritiz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iate from the conventional practice-oriented selection process of the gifted music education, then the specialized selection criteria for the gifted education in the applied music should be introduc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uitable programs for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gifted education of the applied music. Fourth, it is urgent to cultivate professional instructors who can teach the gifted education in the applied music. Fifth, it is necessary to expand support of the nation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gifted education in the applied music.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gifted education in the applied music, and it aims to expand the necessity of differentiated selection and introduction of an education system to discover the gifted students in the applied music in the future and contribute to finding practical and specific solutions for national system and support.

      • KCI등재

        해방공간의 음악교육 연구 -『초등 노래책』과 『남녀 중등음악 교본』 1,2를 중심으로-

        권혜근 ( Kwon Hye Keun )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3 No.-

        본고에서는 해방공간(解放空間)의 음악교육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미 군정청(軍政廳)의 교육정책ㆍ교과 편제 등을 살펴보았고, 그 당시 음악교육의 실태와 교육 환경, 교사 양성의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초등음악교과서인 『초등 노래책』 4,5,6학년의 것과 중등음악교과서 『남녀 중등음악 교본』제1권과 제2권을 분석해 보았다. 1945년 8월 15일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 3년 동안 우리나라는 미군정에 의해서 미국의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려는 시기였다. 그 시기에 미군과 우리나라는 서로 당면한 과제 해결에 대한 초점이 달랐다. 우리나라의 음악가들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교육으로 인해 익숙해져 버린 일본적 음악정서에서 우리의 음악적 정서로의 전환을 가장 큰 당면한 과제로 생각하는 반면, 미 군정청은 학교에서의 정상적인 수업을 재계하는 것이 당면한 과제였다. 하지만 서로간은 많은 갈등과 혼란 속에서도 교육의 정상적인 수업을 위해 교사양성(敎師養成)과 교과서(敎科書) 제작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미 군정청의 교육은 적어도 당시의 교육이 민주주의 교육을 표방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겠다. 4,5,6학년의 『초등 노래책』을 분석한 결과, 그 특징은 첫째, 노래만 수록되어 있고 둘째, 한글 교육이 강조되었던 시기로 외국 곡이 보이지 않았다. 셋째, 교과서에 애국가(愛國歌)와 의식가(儀式歌)가 있어 음악시간에 이 곡들을 불러 민족혼을 일깨우려했다. 넷째, 곡의 제목이나 내용이 거의 사물이나 자연에 관한 것이 많았다. 다섯째, 미 군정청 문교부가 발행한 『초등 노래책』의 조성(調性) 특징은 바장조, 사장조, 다장조 중심이었고, 박자는 2/4박자, 4/4박자 곡이 많았으며, 초등학교에서 쉽게 부를 수 있는 한 도막 형식의 곡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국민음악연구회(國民音樂硏究會) 편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1권과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2권은 가창곡뿐만 아니라 음악이론, 기악도 다루고 있는 점이 같은 시기에 가창만 가르치던 『초등 노래책』과 크게 다른 점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우리나라 언어로 된 곡이 전혀 없었다. 그런 점에서 교과서를 위하여 새로 한글로 작사 작곡한 곡들이 수록되었다는 것은 해방공간 교과서의 큰 의의라 생각한다. 특히 이 교과서는 새 교수요목에 준하여 개편하였고, 문교부 제정 용어와 원어(原語)를 게재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1권과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2권의 악곡의 특징으로는 첫째, 다른 나라의 민요가 있는데 우리나라의 민요는 한 곡도 없다. 둘째, 『남녀 중등음악 교본』제1권에는 미국(2곡), 독일(4곡), 스콜틀랜드(2곡)의 민요로 한정되어 있으나,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2권에는 보헤미아, 노르웨이,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미국, 불가리아, 게다가 중국 민요까지 매우 다양한 나라의 민요가 있는 점이 큰 특징이다. 셋째, 한국 작곡가의 경우 몇 사람의 곡으로 한정되어 있고, 한 작곡가의 다수의 작품이 실린 경우도 있다. 그리고 우익적 성향이 강한 작곡가의 곡이 대부분이다. 넷째, 『남녀 중등음악 교본』제1권보다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2권에는 서양민요를 포함한 서양 작곡가들의 곡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도 분석을 통해 살펴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 음악교육사에서 가장 빈약했던 부분인 해방공간의 음악교육에 대해서 소개를 함으로써 한국 음악교육사의 제 모습을 찾는데 도움이 되고, 이후 그러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전개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examines the music education of Korea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known as ``Haebang konggan`` 解放空間. First, research was done on the US military``s education policy and curriculum, on the state and learning environ ment of music education at the time,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Ch``odung Noraech``aek 『초등노래책』(Elementary Book of Songs) for grades 4-6 and volumes 1-2, Namnyo Chungdung Kyobon 『남녀중등교본』(Boys and Girls``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For three years, from August 15th, 1945 through August 15th, 1948,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Migunjongch``ong 美軍政廳) in Korea (hereafter USAMGIK) aimed to establish an American democracy within Korea. However, the approaches to the underlying challenges by the USAMGIK and Korea differed greatly. Although the USAMGIK strived to build a more conventional classroom, Korean musicians, accustomed to colonial education by the Japanese occupation, placed heavier emphasis on exchanging Japanese musical sentiments with Korea``s own. Despite the many conflicts and confusion amongst the two colliding forces, neither refrained from actively supporting the training of teachers and designing of textbooks necessary for a reasonable classroom. Significance of the USAMGIK``s approach to education can, at the least, be placed on the advocation of a democratic education during this time. Upon analyzing the Elementary Book of Songs for grades 4-6,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It is compiled solely of songs. Second due to the emphasis on a Korean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there is a lack of foreign music. Third, by incorporating the national anthem and songs in the textbooks, these songs were sung during music class in an effort to incite patriotism. Fourth, the subject or content of most of these songs revolved around objects or nature. Lastly, as the Elementary Book of Songs was scored by the USAMGIK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ongs were mainly in F Major, G Major, and C Major composed to be easily sung in one part form with a rhythm set to either a 2/4 or 4/4 time signature. In contrast, both volumes of the Boys and Girls``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by the Kukmin umak Yonguhoe 國民音樂硏究會(National Music Research Society) was not only comprised of songs but also included lessons in music theory and instrumental music. Since there were no songs sung in Kore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creation of the textbooks during this period held a great significance in the writing and composition of new songs in Korean. This textbook in particular holds great merit as it published the terminology and native language set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organized in accordance to the new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in the Boys and Girls``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it consists of folk songs originating from other countries, there are no Korean folk songs. Second, in volume 1, there are 2 American, 4 German, 2 Scottish folk songs. Third, volume 2 includes an even bigger variety of folk songs from Bohemia, Norway, Spain, Italy, Germany, America, Bulgaria, and even China. Third, in regards to Korean composers, inclusion was limited to only a few composers and in some cases, several pieces by the same composer were selected. In addition, the majority of these composers demonstrated strong politically conservative right wing tendencies. Subsequently, the amount of music by Western composers, including Western folk songs, was overwhelmingly greater in the second volume than in the first volu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methods of teaching music which were used during one of the weakest parts in the history of Korea``s musical education. These results are submitted in hopes of assisting the Haebang konggan period find its place in Korean musical education history and in anticipation of the development of opportunities for simila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