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의 구성요소로서 음색(音色)의 중요도에 대한 변천과정

        홍요섭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3 음악교육공학 Vol.- No.17

        본 연구는 음악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음색의 중요도가 낭만시대부터 현재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관한 것이다. 서양음악의 역사에서 음고(音高)와 리듬은 오랫동안 음악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로 기능해 왔었다. 낭만시대에 들어오면서 색채적음향이라는 이전의 음악에서는 존재하지 않던 개념을 자신들의 음악에 이입하려는 작곡가들이 나타난다. 이때부터 음색은 다른 음악적인 요소들과 더불어 음악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시작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음악에서 음색의 중요도는 점차 커지는 양상을 보인다. 70년대에 들어서면 음색이 다른 요소들 보다 더 중요하게 취급되는, 즉 음악의 핵심요소로 작용하는 배음렬음악이 등장하기에 이르게 된다. 논문의 본론에서 다루어지는 연구의 방법은 색채적 음향을 추구한 것으로 인정되는 작곡가들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음향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작품들의 연구순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음색의 중요도가 점차 커지는 만큼 그것에 맞추어 정하였다. 본론에서 논의되는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론에 앞서서 ‘음색의 정의’와 ‘음의 물리적인 특성’을 두어 배경지식을 얻는 과정으로 마련하였다. 예술에 있어서 변화란 새로운 아이디어의 도출을 위한 많은 노력과 그것을 실현하려는 강한 의지에서 이루어진다. 이 연구를 통하여 색채적 음향을 만들어내려는 작곡가들의 탐구정신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음에 대한 물리적인 특성과 음악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음색의 의미를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time serial change in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imbre as an ingredient for music from the Romantic period to present. In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pitch and rhythm have worked as the core elements of music for a long time. Since the advent of Romantic period, some composers appeared to bring colored-sonority in their musics. But the colored-sonority was a strange concept that didn't exist in the previous music. Since then, timbre began to play an important factor with the other elements of music. As times go by, the importance of timbre turns up to get bigger and bigger. With the beginning of 1970s, a spectral music came to emerge, where the timbre as the core element was regarded more importantly than the other elements. The methodology for the body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timbre-oriented composers from the viewpoint of sonority. The order of research in the works is set on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e timbre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of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discussed in the body, 'the definition of timbre'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are firstly introduced as a process to get the background knowledge. The change in the arts is achieved by a strong will to realize a new idea based on a lot of efforts to create it. Through this research, I can learn a exploration spirit of the composers to develop the colored-sonority, and I can get a chance to newly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und and the meaning of timbre as the element of music.

      • KCI등재

        전통 관악기와 서양 관악기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 비교 연구

        주신혜(Shinhye Joo),정현주(Hyunju Chong)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9

        본 연구는 전통 관악기와 서양 관악기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20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음악 감상 과제가 포함된 온라인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총 64명의 대상자는 전통 관악기인 피리와 대금, 서양 관악기인 오보에와 플루트의 음원을 듣고 각 악기의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의 하위 요인인 이완도, 정서적 역동감, 무게감, 질감, 명료도, 친숙도 총 여섯 가지 항목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응답 결과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전통악기 및 서양악기와 리드 여부에 따른 네 가지 관악기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의 하위 요인 중 이완도와 질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리드가 없는 관악기인 대금과 플루트, 서양악기인 오보에와 플루트의 음색이 더 부드럽고 이완도가 높은 것으로 지각하였으며, 네 가지 관악기 음색에 대한 이완도와 질감의 상호작용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드 여부에 따른 전통 관악기와 서양 관악기 음색 간의 정서 지각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리드가 있는 피리의 음색은 오보에의 음색보다 이완도가 낮고 정서적 역동감이 높게 느껴지며, 거친 음색으로 지각하였다. 리드가 없는 대금의 음색은 플루트의 음색보다 무거운 음색으로 지각하며 덜 부드러운 음색으로 지각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네 가지 관악기 음색에서 지각된 정서의 차이를 전통악기 및 서양악기와 리드 여부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직접적인 연관성을 밝힌데 의의가 있다. 이를 근거하여 전통 악기 및 서양 악기와 리드 여부에 따라 관악기 음색에서 지각되는 다양한 정서를 이해하는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ived emotion of instrumental timbre between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 wind instruments. In the study, 64 participants, adults in their 20s participated via online access. An original music was composed for the experiment that controlled all the musical components such as melodic progression, rhythmic idiom, and musical form, except the instrument that played the main melodic line. The composed music was recorded by Piri, Daegum, Oboe and Flute respectively. The participants listened to four excerpts of music and were asked to record six questionnaires that inquired about factors under perceived emotion, which were degree of at ease, dynamics, thickness, textural quality, clarity and familiarity. The research procedure was reviewed and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before administration.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erceived emotion of timber between Western or Korean wind instruments. and further between reeded or reedless wind instruments.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interaction in the perceived emotion factors among the four instruments. The Korean reeded wind instrument Piri showed less degree of at ease and stronger textural quality than the Western reeded wind instrument Oboe. The Korean wind instrument, reedless Daegum showed thicker and stronger textual quality than Western Flut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timbre of the sound, music, determined by instrumentation induce different perception of emotion during listening. Depending on the musical heritage and how sound is produced by the instrument(reed), the emotional quality of sound timbre is perceived differently. The results provided essential data on the emotion perception following the previous studies that suggested the instrumental timbres significantly affect the listener’s emotional response of the music.

      • KCI등재

        ‘음색’, 음악적 매개변수로의 자리매김 과정에 대한 연구

        신인선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음악이론포럼 Vol.23 No.1

        쇤베르크(A. Schönberg, 1874-1951)의 《다섯 개의 오케스트라 소품》(Op. 16, 1909) 가운데 제3번 <색깔>(Farben )로 시작되어 1960년대 리게티(G. Ligeti, 1923-2006)의 《아트모스페레》(Atmosphères , 1961)를 통해 음악 구성의 매개변수(Parameter)로 등장한 ‘음색’(Klangfarbe)은 19세기까지 음악 이론의 연구 대상이 아니었다. 역사적으로 음높이 그리고 음가와 분리할 수 없는 부수적인 소재였던 ‘음색’에 대한 많은 연구가 1960년대 등장한 ‘음색작곡’(Klangfarbenkomposition)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으로 ‘음색’이 결코 부수적인 음악 요소가 아니었음을 이론적으로 명료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음색’이라는 관점으로 음악을 관찰하여 18-19세기 작곡가들이 이 매개변수를어떻게 다루었는지, 그 비중의 정도 그리고 음색과 다른 음악 매개변수와의 관계성 변화를 우선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음과 관계된, 선율, 화성 조성과의 관계 속에서 음색 그리고 리듬과 음색의 관계를 관현악법을 통해 확인하는 작업을 포함한 제1장은 20세기 ‘음색’의 주요 매개변수로의 자리매김의 역사적 과정을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음의 연속을 통해 얻어진 ‘선율’을 대신하는 ‘음색 선율’ 또는 ‘주제’를 대신하는‘음색 주제’를 넘어 ‘음색’ 그 자체가 형식을 이루는 과정을 20세기 전후 창작된 작품분석으로 확인시켜준다. 또한 작품분석은 ‘음색’이 주요 음악적 매개변수로 자리매김 하는 과정이 ‘악기고유 정체성 해체’에 종착점을 두었다는 결론을 이끌 수 있게 하였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음고’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구체화 한 음색작곡과 악기의 특수주법과 연결된 음색작곡이라는 두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그 분류는 ‘쇤베르크/드뷔시-리게티-배음렬음악 작곡가들’ 그리고 ‘베베른-케이지/펜데레츠키-카겔’에 이른다.

      • KCI등재

        현대 프랑스어 모음체계 변이현상을 반영한 이중음색모음 발음지도 방안

        박은미(PARK Eun-Mee)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5 프랑스문화연구 Vol.31 No.-

        En français contemporain, on parle d'un changement affectant le système des voyelles à double timbre depuis quelques années. Ces voyelles à double timbre comptent quatre paires : les voyelles antérieures non-arrondies /e/ et /ɛ/ comme dans parlé-parlait, les voyelles postérieures arrondies /o/ et /ɔ/ comme dans saute-sotte, les voyelles antérieures arrondies /ø/ et /oe/ comme dans jeûne-jeune et les voyelles centrales /a/ et /ɑ/ comme dans mâle-malle. Ces voyelles constituent un aspect très variable en français contemporain. Nous étudierons la distribution des voyelles à double timbre dans les données parisiennes, les enquêtes d'Aix-Marseille et Roanne. En nous basant sur les voyelles à double timbre, un tel principe de distribution existe, c'est la loi de position qui dicte un timbre fermé en syllabe phonétiquement ouverte, et un timbre ouvert en syllabe phonétiquement fermé. Dans de nombreuses régions de France, surtout dans tout le Midi, la plupart des locuteurs ne différencient pas les voyelles à double timbre : /e/ et /ɛ/, /o/ et /ɔ/ et /ø/ et /oe/. Il existe la loi de position déjà, mais partiellement seulement pour le français parisien. Et aussi dans le français de Roanne, domaine à la joncture des dialectes d'oïl et d'oc, la loi de position est appliquée pour /e/ : /ɛ/, elle n'est pas appliqué pour /o/ : /ɔ/ et /ø/ : /oe/. Le changement des voyelles à double timbre est en cours. Nous proposerons une norme qui permet à un apprenant de FLE d'avoir une prononciation acceptable qui ne choque pas l'oreille des locuteurs natifs. D'abord, Nous apporterons des précisions sur la loi de position qui est appliquée pour les voyelles à double timbre dans la plupart des contextes. Ensuite nous montrerons les différences et les concordances concernants l'opposition des voyelles à double timbre : des paires minimales. En conclusion, nous expliquerons la perte d'opposition phonologique graduelle avec le temps surtout /A/, mais également /E/ et /Ø/, et dans un mesure pour, pour /O/.

      • 음색 ; 왜 돼지는 그토록 당차고 비교적 밝고 음악적인 특색을 가진 비명을 지를 수 있는가에 대한 고찰 및 관계되어지는 음향 물리학적 이론

        이동재 공주영상정보대학 1999 논문집 Vol.6 No.-

        우리가 그냥 느끼는 누군가의 목소리 음색들은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또 다른 새로운 소리로 만들어지기 위해서 인간이 진화든 퇴화든 인간과 자연, 기계의 연관작용에 의해 조금씩 변화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천 년 후의 일반적인 목소리와 현재의 목소리는 분명히 차이가 있고, 천 년 후의 사람들이 현재 우리의 목소리를 재생기계를 통해 듣는다면 확연히 차이를 느끼게 되고 우리 자신이 우리 스스로에게 스스로의 목소리를 느끼는 음색 자체가 그네들이 우리의 소리를 들을 때는 확연하던 음색들이 그네들에게는 1000년 전의 목소리라는 것은 식별할 수 있을지 몰라도 우리가 개들의 목소리를 식별할 인지 능력을 훈련받지 않아 멀리서 짖는 개소리가 그냥 개라는 것은 알아도 어떤 종류의 개인지를 모르듯이 그네들 또한 우리 개개의 목소리를 구별하지 못하고 그냥 한 개의 흘러간 목소리로서 전부 일괄하여 인식할 정도일 것이다. 소리의 세계는 우리가 느끼지만 생각이 필요 없는 세계이다. 느끼는 세계가 과연 무엇일까. 우리가 들을 수 있다면 햇빛의 소리는 무엇일까. 죽음의 소리는 무엇일까. 무엇이든 제 목소리를, 자신의 음색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가 들을 수 없는 가청주파수 이외의 소리는 어떤 형태일까. 어떤 사람은 23Khz의 음도 들을 수 있다고 하는데 과연 그 소리는 어떤 소리일까 또한 그 이상의 소리도 들을 수는 없는가. 소리의 세계는 결국 느낌의 세계로 들어가야 하는가. 이러한 것이 연구 과제로 남게된다.

      • KCI등재

        라흐마니노프(S. Rachmaninoff)의 피아노소나타 제2번(op.36) 1악장에 나타나는 색채적 음향

        홍요섭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3

        This study focuses on colored sonority in the revised version of Rachmaninoff's Piano Sonata No.2, op.36, 1st movement. Rachmaninoff had been one of the prominent composers in 20th century. But he is acknowledged not to join the trend of Modernism, sticking to the Romanticism of the 19th century in the musical style. However, I don't think that he was not affected by the trend of the contemporary music, even though he embraced the traditional Romanticism apart from the wave of Modernism. I pay attention to the colored sonority in Rachmaninoff's Piano Sonata No.2 because it has been excluded from the major researches. The concept of timbre surfaced a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among the elements which consisted of the new genre of music in the early 20th century. Comparing with the music of the composers who were interested in the colored sonority leading the trend of the Modernism,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his methodology to extract the colored sonority. But he applied his unique methods to express a variety of timbre on the basis of the methods from the wave of Modernism at that time. It means that he clearly emphasized on the colored sonority in this piece. The most outstanding part of the music that the colored sonority is emphasized is the sound of church bells in the part of the conclusion of the development section that constructs the peak of the entire music. The music cells used in exposition and development sections are the origins of the sound that compose of the church bell sound. The result of these different variations of the cells brings the church bell sound. The key of this study is the close observation and analysis on how these music cells were transformed into the sound shapes through a certain process to the church bell sound in the perspective of the colored sonority. Also,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nge of the timbre which comes from the harmonistic variation and figurations. Hopefully, this study can be an opportunity to open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music of Rachmaninoff which wasn't so appealing in the research of the colored sonority. 본 연구는 라흐마니노프(S. Rachmaninoff)의 피아노소나타 제2번(op.36) 개정판의 1악장에 나타나는 색채적 음향에 관한 것이다. 라흐마니노프는 20세기에 활동했었던 작곡가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유행하던 모더니즘의 조류를 따르지 않고 19세기 낭만주의의 음악양식을 고수한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필자는 라흐마니노프가 당시의 모더니즘의 조류에서 벗어나 낭만주의 전통을 고수하고 있었다 할지라도 당시의 음악적인 조류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필자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소나타 2번에서 주목하는 부분은 많은 연구들로부터 배제되어있는 색채적 음향이다. 20세기 초의 새로운 음악들에 사용된 음악구성의 재료들 중에서 눈에 띄게 나타나는 특징은 음색이라는 요소의 부상(浮上)이다. 모더니즘을 이끌고 색채적 음향에 관심을 가진 작곡가들의 음악과 비교하여 색채적 음향을 만들어내는 방법에 차이는 있을지라도 라흐마니노프는 당시의 모더니즘 조류를 따르는 음악들로부터 영향 받은 기법들과 자신만의 다양한 음색을 표현하는 기법들을 적용함으로서 이 음악에서 색채적 음향을 분명히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음악에서 색채적 음향이 가장 강조된 부분은 이 음악 전체의 절정부분인 발전부의 종결부에 있는 교회종소리를 표현한 부분이다. 제시부와 발전부에 사용된 음악적 세포들은 이 교회종소리를 구성하는 음형들의 뿌리이며 결국 그 세포들이 만드는 다양한 변형들의 결과가 교회종소리로 표현된 것이다. 음악적 세포들이 어떤 음형으로 변형되고 그것에 따른 음향적 변화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그것의 결과물인 교회종소리음향을 만들어 내는지 그것을 면밀하게 추적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이다. 또한 화성적 변화와 음형으로부터 표현되는 음색의 변화도 다루어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색채적 음향의 연구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던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KCI등재

        해금과 바이올린 음색에 대한언어적 표현 분석

        조원주,김준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3 音樂論壇 Vol.30 No.-

        This study is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Haegum’s verbal express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Haegum and Violin. The expressions of Haegum are reported as rough, clear, and taut. The other hand, that of Violin are described as soft, unclear, and relaxed. These timbral features are consistent with spectral analysis. And it is an important result in objectification. 본 연구는 국악기 해금 음색의 언어적 표현에 관한 연구이다. 12명의 피험자를대상으로 실시한 해금과 바이올린의 비교를 통해 해금의 음색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해금은 거칠고, 명확하며, 긴장된 음색을, 바이올린은 상대적으로부드럽고, 희미하며, 이완된 특징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음색의 특성은 해금 스펙트럼 분석에서도 정확히 나타나고 있어 음색표현 객관화에 중요한결과를 보여준다.

      • KCI등재

        18-20세기 관현악곡들의 음색 엔트로피 값 비교 분석 연구

        김진호,이예경,유광목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2 No.-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cept of information entropy, applied to timbral dimension of music.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musical applicability of the entropy concept, borrowed in the domain of timbral analysis of music. We identify each timbral entropy state of the important eleven orchestral pieces composed during 18th, 19th, and 20th centuries. The entropy state is measurable; in this article the measurement result expressed as a specific bit value describes the amount of timbral information. The result is like this: firstly, we introduce the terminology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heory; secondly, introducing precedent research in the field of musicology which borrows the terminology of information theory, and identifying the peculiarity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cedent research, we support the necessity and originality of our study; thirdly, we analyze the timbral dimension of music through the entropy concept; fourthly, we connect the discussion about the musical entropy concept with the discussion about information theory, and the discussion about thermodynamics. Concerning the analysis of the timbral dimension of music through the entropy concept, we identify the fact that the works composed recently have the bigger bit values than that composed formerly. We identify the same phenomenon in the life-cycle of a composer: the bit value of the latter work is bigger than that of the early work. In the first movement of the Beethoven’s Symphony No. 5, the bit value of development section and coda is bigger than that of exposition and recapitulation section. 본 연구는 음악작품의 음색 차원에 적용된 엔트로피 개념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 음색분석 영역에 차용된 정보적 엔트로피 개념의 음악적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18, 19, 20세기에 작곡된 11개의주요 관현악곡들의 음색적 엔트로피 상태를 확인하는작업을 시도한다. 엔트로피 상태는 측정가능하며, 본논문에서의 측정 결과는 비트라는 단위의 특정 값으로 표현되는 음색적 정보량이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엔트로피와관련 용어들을 정의하고, 둘째, 정의된 용어들에 기초한 선행연구를 소개하면서 그 특이성과 제한점을 확인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과 독자성을 옹호하고, 셋째, 그렇게 독특하여 필요한 시도로서 음악의 음색 차원을 엔트로피 개념을 통해 분석하고, 넷째, 음악에까지적용된 엔트로피 개념을 이 용어의 원래 출처인 열역학에서의 논의 및 그로부터 발전된 정보 이론적 논의에 연계시킨다. 엔트로피 개념을 통해 분석한 음색과 관련하여 최근에 작곡된 작품일수록 비트 값이 전반적으로 커져갔음을 확인했다. 한 작곡가의 경우에도 초기 작품보다 후기 작품의 비트 값이 더 컸다. 베토벤의 교향곡5번의 1악장에서는 전개부와 종결구에서 특히 비트값이 컸다.

      • KCI등재후보

        가상악기를 활용한 거문고와 첼로의 음색비교 연구

        성기영 한국교방문화학회 2024 교방문화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거문고와 첼로의 음색을 비교 분석하여 두 악기의 음색적 특성을배음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악기가 가지는 공통된 연주방법중하나인 피치카토 주법을 사용하여 A2, A3, A4음을 녹음하였으며, 음원소스는 가상악기들을 이용하였다. 스펙트럼과 스펙트로그램, 엔벨로프, 음압분석 방법을통해 두 악기의 음색을 비교한 결과, 거문고는 기본 주파수보다 배음의 영향이강하게 나타났으며, 매우빠른 어택과 빠른 릴리즈를 가지고 있으며 거문고의 명확하고 밝은 음색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첼로의 경우 기본 주파수의 영향이 배음의 영향보다 강함을 알 수 있었고, 서브하모닉과 넌하모닉파셜 성분들의 구성뿐만 아니라, 빠른 어택과 느린 릴리즈를 통해 깊이있고 풍부한음색을 갖게하는 요인 임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거문고와 첼로의 음색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음악과 서양 음악의 조화로운 융합예술과 새로운 음악적 다양성과 창의성에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timbre of the geomungo and cello, focusing on harmonic analysis to examine the tonal characteristics of both instruments. Using pizzicato, a common playing technique for both instruments, A2, A3, and A4 notes were recorded, and the sound sources were generated using virtual instruments. By comparing the timbre of the two instruments through spectrum, spectrogram, envelope, and sound pressure analysis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geomungo showed a stronger influence of harmonics than the fundamental frequency, characterized by a very fast attack and rapid release, which are key factors in forming the geomungo’s clear and bright tone. In the case of the cello, the fundamental frequency had a stronger influence than the harmonics, and it was found that the presence of subharmonics and non-harmonic partials, along with a fast attack and slow release, contribute to its deep and rich tone. This study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tonal characteristics of the geomungo and cello, and it is hop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harmonious fusion of traditional Korean and Western music, as well as foster new musical diversity and creativity.

      • KCI등재

        배음 분석을 통한 가상악기의 음색비교 - 소금과 플룻을 중심으로 -

        성기영(Ki-Young Su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1964년부터 국악기의 현대화, 표준화, 과학화 등을 위해 국악기에 대한 연구와 개량사업이 추진되었으나, 국악기가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들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러한 주요 원인중 하나는 국악기에 대한 악기 음향학 연구가 선행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악기 중 협주곡이나 독주곡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금은 맑은 음색과 높은 음역으로 인하여 국악관현악단에서도 서양 오케스트라에서의 플룻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악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슷한 음색으로 들리는 소금과 플룻의 음색을 악기가 가지고 있는 배음의 분포와 구조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음색은 소금에 비하여 플룻이 풍부하고 부드럽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고음으로 갈수록 배음들의 비슷한 구성으로 인하여 두 악기의 음색이 비슷하게 들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에는 다양한 국악기들에 대한 악기음향학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국악기의 대중화와 세계화에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Since 1964, research and improvement projects on Gugak instruments have been carried out to modernize, standardize, and scientificize them, but their inherent problems of Gugak instruments have failed to produce significant results. It seems that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is is that the study of instrumental acoustics on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was not preceded. In Gugak orchestra, Sogeum used in concertos and solo music is a musical instrument that plays the similar role in Western orchestras due to its clear tone and high sound range. In this paper, the sound colors of Sogeum and flute, which sound similar, were analyzed through the their harmonics distribution and sound structures of the instruments. This showed that the overall tone was richer and softer than Sogeum, and that the tones of the two instruments sounded similar due to the similar composition of harmonic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musical instrument acoustical researches on various Gugak instruments will continue to help popularize and globalize Gugak instr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