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연구 :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김유신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2 No.-

        이 논문에서는 학문 간의 융합연구의 의미와 그 철학토대를 다루고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융합 가능성을 다룬다. 융합연구는 학문영역이 존재론적 중첩을 가지는 경우의 융합과 그렇지 못한 영역의 융합이 있다. 먼저 존재론적 중첩이 있는 학문 간 융합의 의미와 에 대한 모형을 제시함으로 융합의 철학적 토대를 다루었다. 후반부에서 존재론적 중첩이 없는 학문 간의 융합 예를 들어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경우 인식론적 융합이 가능함을 서설적으로 보여주었다. 융합 연구의 동기를 학문의 완전성으로 파악하고 완전성의 의미를 EPR 논증을 가지고 설명했다. 칸트의 범주론에 유비하여 학문범주를 제안하여 이 학문범주에 투사된 실재의 모습을 결합하여 전체를 볼 수 있다고 주장하고 각 학문 범주는 우연적이므로 학문범주 간의 협력과 융합을 통해 완전성을 향한다.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은 존재론적 중첩이 없고 방법론은 매우 다르다. 그러나 인과적 설명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점이 있다. 다만 이때 인과개념은 경험주의적 흄 방식의 인과개념이 아니고 분야에 의존하는 핵심개념으로서의 인과개념이다. 이 개념을 사용하면 학문 간의 사건들 사이에 인과관계를 다룰 수 있어 존재론적으로 달라도 부분적으로 융합이 가능함을 주장하고 현존하는 사례들을 들었다. This article is the introductory research of the meaning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of "integrative research" in various fields. And the integrative study of social and natural science has been discussed. There are two kinds of integrative studies. One is the integration of fields whose disciplinary domains are ontologically overlapped between each other and the other is integration between disciplinary fields in which there is no ontological overlap. The model of integration is proposed in the case of integrative researches among the areas which have ontologically overlapped among one another. The motivation of integrative research between disciplines is the pursue of completeness of disciplinary field. The meaning of completeness is explained interms of EPR arguments. The concept of disciplinary categories are proposed analogous to Kant's category to understand the complex reality projected in each disciplinary perspective. And through the collection of the grasped contents in each disciplinary category, reality can be recognized. These disciplinary categories are contingent and construed through the practices and cooperations in contrast with Kant's categories. The completeness of ontology of each discipline and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of disciplines are discussed. And I argue that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are different but have similarity in view of causality. The concept of cause is not Humean concept but non-Humean concept as core concept. We illustrate the cases of producing new area through integrative research of natural and social sciences.

      • 교육공학의 학문적 발전과 학문융합: 교육공학을 위하여 교육공학을 넘어서기

        유영만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융합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통섭, 컨버전스, 데페이즈망, 하이브리드, 퓨전, 매쉬업(mash-up), 크로스오버(cross over), 통합(integration), 연합(federation)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개념들이 지향하는 바는 분과학문이나 전문 분야의 독자 적인 연구나 탐구로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없거나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위기의식을 공유하는데 있다. 하지만 그 동안 논의되어온 다학제적 또는 간학제적 연구와는 다른 주목을 받으면서 등장한 통섭 개념은 사회생물학적 환원을 통한 학문적 대통합을 이루려는 불온한 의도와는 관계없이 개념적 과신과 맹신으로 많은 역기능과 폐해를 낳고 말았다. 통섭 개념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더불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분과학문간 세분화되어 단절된 경계와 벽을 넘어서 학문적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이론과 실천을 주도할 수 있는 가능성과 대안에 대해 논의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통섭 개념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더불어 통섭이 지향하는 불온한 의도와 개념의 오해에서 비롯된 오용을 바로 잡고 진정한 의미의 학문적 융합을 통한 해당 학문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실천적 논의는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실천지향적 응용학문으로서의 교육공학을 융합학문으로 전제하고 학문적 융합을 통한 교육공학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성공적인 학문 융합의 전제조건, 전문화의 길을 걸어오면서 세분화된 분과학문으로서의 교육공학이 직면하고 있는 딜레마적 이슈를 드러내놓고 비판적으로 논의한 다음,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과정 속에서 학문적 융합을 시도해온 사례와 유형을 분석한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교육공학이 시도할 수 있는 학문적 융합의 유형을 제시하고 교육공학을 위해서 교육공학을 넘어서는 융합과 교육공학의 학문적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한다.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학문융합 사고적 접근

        강성종,김용욱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4

        The Mankind's scholarly attainments achievements that mankind has developed have been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or areas after in the post-industrial revolution era. Such a division categorization has created a “boarders line,” between the various possibly interrelated streams of knowledges and sciences that may be closely related;, thereby such “boarder lines” caused leading to their isolation of knowledges. However, in the 21st century, there is no simplified or unified studies that can explain certain contemporary phenomena of our times; that is the reason that the therefore, researchers is seeking crying our for the convergence of various branches of knowledges. Such convergence is explained in many different methodological and meaningful ways concepts such as convergence, convergence study, consilience, and composition and convergence, after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in Korea. In recently times, the education sector is has been broadening extending it's research on convergence study to include “knowledge convergence of knowledges”, the “convergence of majors”, “convergence of a heterogeneous group of social phenomena”, and “convergence of knowledge and industry” and so on. In this research, special education was first considered to be similar to hav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study. Then however, after reviewing the “revelation” of Korean special education in korea, the researcher diagnosed concluded that the special education is not similar to does not share the characteristic of convergence study, and but instead is facing under “depression stagnation.” Namely it is judged assumed that various topics of studies maintain their own characteristics while “floating around” and develop no relation not getting mixed with the traits of special education. Also, it was concluded seen that as compared to other branches of knowledge, special education should take adopt a more flexible approach than other knowledges, and naturally go along with the studies of in other areas, knowing that ultimately, the genera education and the special education is ultimately are one and the same. It this is because the handicapped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general people share the coexist in society in which they live in. To do so, the research was propelled based on the two approaches conducted from two perspectives: (1) including, implied meanings of the convergence study and (2) the convergence study on special education, whose findings would provide impetus to the application which would all sum up to be the starting point of convergence study consideration in special education. 우리 인간이 만들고 발전시켜 온 학문은 산업혁명을 기축으로 나누고 쪼개어 학문분절 일로를 걸어오면서 인접학문과 담장을 높이 쌓아 신성영역으로 만든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21세기는 인간이 호흡하는 모든 분야에서 단일학문으로 그 어떤 실재(實在)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학문이 부재하여 ‘융합’을 부르짖고 있다. 이러한 ‘융합’은 한국적 상황을 고려하면서 ‘융합, 융ㆍ복합, 학문융합, 통섭’ 등 다양한 의미와 방법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근자에, 교육계에서는 ‘학문융합’을 명제로 ‘학문과 학문의 융합, 대학 학과의 융합, 이질적 사회현상과의 융합, 학문과 산업의 융합’ 등으로 그 탐구 영역을 다양하게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특수교육이 인접학문과 융합한 발현적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정체기에 있다는 진단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즉, 다양한 인접학문들이 각각의 성질을 고수하면서 융합하지 못하고 특수교육과 함께 부유(浮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이 하나의 원류를 가졌다는 시각을 견지하면서 특수교육을 중핵에 두고 그 어떤 인접학문과도 유연한 자세를 취하면서 학문 간 경계 허물기를 통하여 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장애인과 일반인 즉, 모든 인간이 살아가는 사회는 하나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특수교육학이 인접학문과 유의미한 융합을 위한 거듭남의 학문융합 사고적 접근을 위해서, ‘학문융합’ 사고가 특수교육의 미래에 어떠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한 사고의 틀은 학문융합의 교육적 함의와 특수교육에서 학문융합 사고적 접근 과제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추진되었으며, 특수교육에서 학문융합 사고의 시론(始論)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융합학문 어떻게 탄생하는가?

        오헌석(Oh, Hunseok),김희정(Kim, HeeJung),배형준(Bae, Hyoung Jun),서동인(Seo, Dong In),김한솔(Kim, Hansol)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3

        이 연구는 융합학문분야를 개척한 학자들이 어떤 계기로 융합을 통해 학문을 창시했는지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융합학문을 창시한 학자들은 특정 학문분야의 시각과 틀 속에서는 해결될 수 없는 근원적이고 중요한 ‘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문 간의 경계를 넘나들게 되었고, 자신만의 특별한 경험과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지식 및 인식체계의 추동으로 융합학문을 창시하였다. 또한 자신의 전공분야와는 다른 분야의 대가로부터 영감을 얻어 새로운 융합학문의 모태를 발견하고 매진하기도 하였으며, 다른 분야 학자와의 만남의 장인 ‘교역지대(trading zone)’에 참여하여 이질적인 학문 분야에 노출됨으로써 서로 다른 지식, 문화, 언어가 통합되고 융합되어 새로운 학문분야를 열기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새로운 학문과 아이디어의 창출 동력이 되고 있는 융합학문과 융합인재를 육성하는 데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현재와 같은 학문분과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문제중심의 사고를 키울 수 있는 교육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고, 둘째, 전공간 장벽을 뛰어넘어 이종 학문간 교류를 촉진시키는 교역지대를 형성하여 이질적인 지식세계와 이종문화를 체험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특정 학문분야에 대한 전공지식의 깊이만이 아니라 자신만의 독특한 문제의식을 가진 인재가 학문후속세대로 선발, 훈련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research analyzes scholars in scientific fields created a new discipline or research area through interdisciplinarity, specifically focused on what drives convergence between different areas. Scholars studied in this article crossed borderlines between disciplines while they solved a principle ‘problem’ of deep concern. Convergence was facilitated when they highly understood a new subject based on established profound knowledge and experiences. They drew a novel research field or discipline, inspired by meeting scholars with a similar concern in a different area. Also, as they overcome limitations of communication due to diverse knowledge and understandings on different cultures and languages in ‘Trading Zone’ as an intellectual network, they achieved an outcome of convergence. Thu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 research method, namely ‘problem-based thinking’ which promotes creative thinking at the individual level.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stitutional devices such as trading zone, are needed to expose researchers to various disciplines and make them share different languages and tacit knowledge with others.

      • KCI등재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교육을 위한 간학문적 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김정효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21세기 지식의 융합 시대에 요청되는 상상력, 창의력, 감성이 풍부한 전인을 육성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으로서 통합교육을 제안하고, 미술을 비롯한 예술 교과의 특성을 살린 통합교육의 방향과 실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식기반사회에서는 학문 분야 전반에 걸쳐 지식 융합의 물결과 함께 학제간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산업, 경제뿐만 아니라 교육에서의 융합적 접근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개별 학문의 지식에 중점을 두는 오늘날의 교육으로는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여러 학문의 융합적인 지식이 필요하며 학생들을 위한 교육의 내용과 방식도 학문과 학문, 학문과 생활을 연결시켜 개별 학문의 경계를 넘어 영역을 확장시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상상력과 창의력'을 육성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루트번스타인과 루트번스타인이 강조한대로, 많은 교육심리학자들과 교육철학자들은 학문간, 분야간의 경계를 넘어 풍부한 상상력과 깊고 폭넓은 지식을 가지고 사고하고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전인을 길러내는 위한 교육의 방법론으로서 통합의 원리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의 의미와 간학문적 통합에 대하여 논의하고, 미술과 과학의 간학문적 통합교육의 사례로서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의 <ARTBOTICS 프로젝트>와 일본 동경시나가와구립 제삼희노소학교(東京品川区立第三日野小学校)의 <도전! 팅겔리>프로젝트를 소개하였다. 이 두 프로젝트의 공통점은 간학문적 통합으로서, 인지적 발달의 측면에서 뿐만이 아니라, 마음(mind)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과학과 공학, 미술의 탐구과정에서 상상력과 직관, 감수성, 시각화, 관찰, 반성적 사고, 시행착오를 통한 능력의 확장과 탐색, 예술과 과학, 공학 세계의 이해, 도구와 매체 사용에 대한 숙련과 장인정신 등 정서적 성향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후속 미술(예술)교과의 특성을 살린 간학문적 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orm the importance of integrative education to raise the whole man who has creativity, sensitivity, and abundant imagination and so great potentials to be highly adaptable to knowledge-based society, creative economic system society, and society of consilence of knowledge.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arts-centered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as cross-studies in the various fields of the society including industry and economic have been fulfilled, the urgent need has been increasing to introduce integrative education into the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s. Although there is sustained educational efforts that has been recently made to add integrative education approaches such a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o the traditional subject-centered curricula, its existing piecemeal approach framework is still persisted by and large in Korean National Curriculum. It is highly recognized that today’s Korean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in the way that it helps students to learn problem-solving process by exploring connections between the disciplines, and between disciplines and life without losing the uniqueness of the silos, which will be able to extend their imagination and creativity, and enlarge in-depth knowledge across the boundaries of each discipline: As a powerful methodology for raising well-rounded persons, integrative educational approach is offered in this study. <ARTBOTICS> project of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and <Challenge! Tinguely> project of Japanese elementary Arts and Craft activity are introduced as exemplary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of arts and other disciplines. The two projects bear some commonalities; they can facilitate not only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such as in-depth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in computer science, engineering, and arts, but also students’ development of attitudinal dispositions through the transfer of arts-integrative learning, which ultimately allows students to meet the educational standards. Some suggestions are offered for the future studies in relation to developing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디지털 지도를 활용한 ICT융합 연구방법 : 지중해 문명교류의 르네상스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강지훈(Kang Jihoon),김정하(Kim Jungh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4차 산업혁명을 대변하는 키워드는 ‘융합’이다. 학문 분야에서도 융합에 대한 수요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정보기술을 학문 연구의 방법론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학문형ICT융합’, 즉 학문 분야에서의 ICT융합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는 기존의 ‘학문형ICT융합’ 연구 방법에 대한 한계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학문형ICT융합’ 연구의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학문형ICT융합’ 연구의 방법론을 검증하였다. 본 글에서 수행한 연구사례는 다음과 같다. 인문사회과학의 한 분과인 지역학 분야에서는 연구의 효율성과 연구 결과의 효과적인 표출(시각화) 및 확산을 위해 ‘디지털 지도’를 활용하는 연구방법론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그 이유는 지역 연구의 기반이 되는 지식이 지리정보이며 이러한 지식을 함축적이고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의 직관적인 이해를 돕는데 가장 적합한 인터페이스가 지도이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지역학 분야의 핵심 콘텐츠로 평가되는 디지털 지도를 배경으로 ‘학문형ICT융합’ 연구 방법론에 근거, 지역학 연구의 사례를 제시했다. The keyword represen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convergence.” The demand and necessity for convergence in the academic field are also increasing, and interest in research and methods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s a methodology for academic research is also increasing. Here, research refers to “Academic-type ICT Convergence,” the ICT convergenc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academic fiel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Academic-type ICT Convergence” research method will be investigated in detail, and solutions will be suggested. For this, a specific case study of the “Academic ICT Convergence” study will be conducted,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e “Academic-type ICT Convergence”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verified. The research cases conduc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area studies a branch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need for a research methodology that uses “digital maps” is steadily increasing,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research, and the effective expression and spread of the research results. This is because the knowledge that is the basis of area studies is geographic knowledge, and maps are the most suitable interface that can aid users’ intuitive understanding by expressing such knowledge visually. Here, we investigate the case of the application of digital maps to area studies, according to the “Academic-type ICT Convergence” research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paper, targeting digital maps that have potential as the core content in the field of area studies.

      • KCI등재

        창의융합 교육의 관점에서 본 문학 교과서의 문제와 대안 : 창의융합 교육 제재로서의 드라마 <대장금>

        주현식(Hyunsik Ju),백성혜(Seoung-Hey Paik),오윤선(Yoonsun Oh)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6

        While most scholars know about the theories of convergence education, efforts are underway to address their application to educational sites. This paper examines how a literary textbook currently establishes convergence education. We present the learning model of a more desirous,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is examin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V series Dae Jang Geum: Jewel in the palace. The ten textbooks examined in this paper has more than one creative convergence learning activities. However, the sum of activities in each textbook is extremely different. This difference means that students do not get equal opportunities to approach these activities. Moreover, the degree of convergence is different. In this regard, there are twenty-two multidisciplinary and five interdisciplinary convergent activities in the textbooks. However, there are not any on transdisciplinarity. Now, the challenge is to identify transdisciplinary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present textbook. The transdisciplinarity originates from not a certain discipline but real-life problems, thus marking the feature of it. This paper focuses on ‘creative thinking’ as one of the problems for addressing a transdisciplinary object. Students can develop creative thinking with the project-based learning about investigating the intelligence of the drama protagonist, Jang Geum, in light of the abstraction in the operating system of Artificial Intelligence. Jang Geum’s abstraction capability to reformulate the conventional cooking recipes and medical knowledge into new ones is similar to the cognitive ability of AI. Nonetheless, the difference between humankind and AI lies in Jang Geum’s passion, as her personality supports her creativity. Thus, the exploration of creativity that traverses the literary storytelling and the scientific discourse can produce a new appraisal of the problematic concept of creativity, allowing students to do an experience of synergic learning effects among them. As a result, beyond the fragmentation of each discipline, the transdisciplinary convergence education suggests that the knowledge students learn in school can be applicable to real life. Although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is difficult to be actively incorporated in textbooks or school, it will be possible in the present curriculum, if teachers deeply understand educational contents and skillfully lead students’ activity in the classroom. Therefore, we can realize that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grow their practical knowledge to be able to help student s activity as well as increase theoretical knowledge. This way, students can enhance their capability and be able to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This practical knowledge can be achievable by restructuring the pre-teacher education or retraining incumbent teachers in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e. 융합 교육 이론에 관한 연구들은 국내외에서 다수 나왔지만,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문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논의된 적은 많지 않다.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융합교육의 실현양상을 살펴본다. 이에 대한 분석과 함께 바람직한 창의융합 교육의 교수학습법에 대해 <대장금>을 대상으로 고민해 볼 것이다. 검토된 10종 교과서에서 창의융합 활동은 모두 하나 이상은 있었지만, 교과서마다 그 차이가 심하다. 이는 선택된 교과서에 따라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창의융합 활동의 기회가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융합의 정도도 다른데, 이 중에서 다학문적 융합교육에 해당하는 것이 22개, 간학문적 융합교육에 해당하는 것이 5개가 있다. 탈학문적 접근방법의 경우 한 개의 활동도 찾아볼 수 없다. 그렇다면 현재 교과서에서 탈학문적 접근의 융합 수업은 어떤 방식으로 실현되어야 할 것인가? 탈학문적 접근 방법은 계획과정에서 특정 학문으로부터 시작하기보다는 오히려 실생활 맥락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다른 접근 방법과는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를 실생활에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탈학문적 융합 수업의 주제로 보았다. 문제 중심의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고안하고자 텔레비전 드라마 <대장금>의 주인공 장금이 지닌 총명함을 인공지능의 구동수단인 추상화 관점에서 검토한다. 기존 음식 조리법과 의학적 지식을 새로운 음식 조리법과 의학적 지식으로 재공식화하는 데에 사용되는 장금의 추상화 능력은 AI의 인지적 능력에 견줄 수 있다. 그러나 장금의 창의성이 열정이라는 인성의 한 요소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는 점은 인간과 AI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장금>의 문학적 스토리텔링과 인공 지능에 관한 과학적 담론을 가로질러 인간의 창의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탐구함으로써, 창의성의 문제에 관한 새로운 이해가 형성되고, 학습자들 간에 시너지 효과가 형성될 수 있다. 문학과 과학의 학문적 파편화를 넘어, 교실 내에서 배우는 지식이 사회 속에서도 소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방안은 이러한 탈학문적 융합 수업에 의해 제안된다. ‘창의융합 교육’이 실제 교과서에서나 수업에서 활발하게 구현되기 어려운 면이 있지만, 본고에서 보았듯이 교사가 교육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학생들의 활동을 잘 이끌어간다면, 현 교육과정 안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 교사가 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끌어갈 인재 양성을 주도할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이론적 지식 뿐 아니라 학생들의 활동을 잘 끌어낼 수 있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 함양의 중요함을 새삼 알 수 있다. 이는 교원양성기관의 예비교사교육 또는 교사 재교육을 통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융합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수원대학교 <학문과 사고> 과목을 중심으로

        양수연,이다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3

        In recognition of the growing social demands amid a change of gener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liberal education in college for fostering people with creativity and interdisciplinary competence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an interdisciplinary course titled Discipline and Thinking at Suwon University. Suwon University promotes convergent liberal curricula that lower interdisciplinary and interdepartmental barriers with a goal of cultivating abilities to think holistically and creatively. Discipline and Thinking, a liberal arts course, is a required general education (second-year students) course introduced in 2018 at Suwon University. This course was designed to promot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while retaining the features of a general education course. In this course, students explore the properties, issues, and methodology of foundational studies in multiple fields, including humanities, mathematics, engineering, economics, and philosophy. This study attempt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convergence education in college liberal education by reviewing the actual lectures of the course Discipline and Thinking in detail. The results confirmed that Discipline and Thinking is a liberal arts course that can overcome major-centered education and have a potential as a convergent liberal arts course that can improve students’ “fundamental study skills” by teaching fundamental methodologies of various disciplines, “holistic and comprehensive reasoning skills” through writing assignments, and“communication skills” through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Moreover, this study identified measures to improve the lecture by analyzing the lecture evaluations (professor, student), based on which we proposed the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In other words, we suggested that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cultivate students’ abilities to engage in interdisciplinary thinking on their own, as opposed to simply delivering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 should develop a syllabus that encompasses various disciplines with internal consistency, based on which professors should deliver the educational content in a consistent and balanced manner within the scope of an interdisciplinary course that encompasses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이 연구는 변화된 시대 환경 속에서 사회적 요구를 인식함에 따라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교양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고에서는 수원대학교의 융합형 교과목인 <학문과 사고> 과목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학문과 사고>는 수원대학교에서 2018년에 정식 개설된 교양 필수(2학년 대상) 과목이다. <학문과 사고>는 인문학·수학·공학·경제학·철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서 기초학문의 성격과 쟁점, 방법론 등을 탐구하는 과목으로서, 기초학문교과로서의 성격을 갖추면서도 동시에 학제 간 융합을 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학문과 사고>의 실제 강의 운영 사례를 세밀하게 살펴봄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융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문과 사고> 과목이 개설된 과정, 과목의 성격 및 실제 수업 운영 방식, 학습자의 글쓰기 및 토론과제 사례를 분석하여 융합형 교양과목이 운용되고 있는 실제 교육 현장의 상황을 상세히 전달하고 진단하였다. 그 결과 <학문과 사고>는 전공중심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교양과목의 한 사례이자 동시에 다양한 학문의 기초적 방법론의 학습을 통한 ‘기초학문능력’과, 글쓰기 과제를 통한 ‘총체적·종합적 사유 능력’, 그리고 토론 및 발표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융합형 교양교과목으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강의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강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궁극적으로는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융합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즉 진정한 융합교육이란 학습자에게 융합된 지식 그 자체를 전달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스스로 융합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점, 다양한 학문을 아우르면서도 내적 일관성을 갖춘 실라버스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 이를 토대로 교수자는 다양한 교육 내용이 어우러진 융합 과목이라는 특수성 안에서 학습자에게 교육 내용을 일관되고 균형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학문 융합 시대의 후설 현상학

        박승억 ( Seung Ug Par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7

        최근 우리나라에서 융합(convergence)은 새로운 학문 패러다임으로 제시되곤 한다. 논란의 여지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융합이 화두가 되었다는것은 우리의 학문 체계에 커다란 변화가 있다는 현실에 대한 방증이다. 학문 융합은 전통 학문에게는 위기일 수 있지만 동시에 새로운 탐구 영역의 발견이라는 긍정적인 측면도 갖고 있다. 이 경우에 융합의 의미가무엇인지, 또 어떻게 가능한지 등을 해명하는 일은 따라서 오늘날의 학문현실을 이해하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다. 이 글은 학문 융합의 의미와 가능성을 후설 현상학을 통해 해명하고자 하였다. 후설 현상학의 출발점이 바로 오늘날의 학문 현실과 같이 새로운 분과학문이 등장하고 발전해 나가던 역동적인 시기였기 때문이다. 논의의 기초는 후설의 학문 이론과 본질직관이다. 특히 본질직관의 의미를 정치하게 해석함으로써 후설현상학의 학문 융합에 대해 갖고 있는 함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질직관은 대상이 대상적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의 한계를 드러내는 과정이다. 그에 따라 본질을 탐구하는 본질학(Eidetik) 혹은 형상적 학문은경험과학의 융합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를 통해 후설 현상학의 주요한 개념인 형상적 학문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Recently, the concept of convergence has been a hot issue in the academic community. It was sometimes called a new paradigm of scientific research. This means our sciences (Wissenschaften) face big changes. These changes reflect a crisis of traditional sciences and, at the same time, a chance for new areas of science.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explicate the meaning and the 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of sc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Husserl`s phenomenology. Husserl, just like us, lived in the era of big changes of science, and wanted to give a foundation for the system of science through his project of phenomenology. According to his phenomenological project, the convergence of sciences is both possible and meaningful. I have tried to show how it is possible and to suggest a new implication of Husserl`s phenomenology in the era of convergence.

      • KCI등재

        디아코니아와 일반사회복지의 학문적 융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김옥순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8

        오늘날 한국교회는 사회복지실천 참여 속에서 점점 더 그 고유한 정체성과 전문성을 추구해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우리가 그동안 이해한 전문성이란 흔히 일반사회복지의 전문성을 의미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잘못된 인식을 하게 된 요인 가운데 하나는 한국교회에 디아코니아(기독교사회복지)에 대한 정체성과 전문적 학문기반을 갖춘 디아코니아학문이 인식되기도 전에, 일반사회복지학 관점에서 디아코니아를 접근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도는 학문적 정체성이 분명하게 다른 일반사회복지학문을 차용해서 기독교사회복지를 근거시키는 근본적인 오류를 낳게 되었다. 따라서 이제 한국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등장한 디아코니아학문을 통해 그동안 기독교사회복지에 대한 학문적인 오류를 바로잡고, 기독교사회복지를 고유한 정체성과 전문성에 대한 이해와 인식 속에서 발전시켜갈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디아코니아가 자체원리학문에 기초해서 정체성을 갖고 전문적으로 발전해가도록 디아코니아학문의 정당성을 얻기 위한 목적아래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디아코니아학문의 제 요소를 통해 분석함으로 디아코니아와 일반사회복지의 학문적 융합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디아코니아를 위해 인본주의에 기초한 사회복지학문이 학문적 이론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신학원리에 기초한 실천신학의 한 분야인 디아코니아학문으로 기독교사회복지에 대한 이론이 제공되어야 하는 정당성을 얻었다. 즉, 기독교사회복지를 기초해주는 자기정체성의 원리체계를 가진 디아코니아학문에 대해 일반사회복지학문이 교집합의 융합적인 토대위에서 기독교사회복지 이론을 정립하려는 시도는 엄밀한 의미에서 학문적 정당성을 얻기 어렵다. 다만, 고유한 자기정체성을 가진 디아코니아학문이 인문사회과학, 자연과학등과 대화하며 협동적 연구를 할 수 있는 점에서 역시 일반사회복지학문과도 대화 내지 협동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디아코니아를 이론으로 기초시켜주는 디아코니아학문은 일반사회복지학문과는 아주 다른 자기체계원리를 가진 실천신학의 한 분야에 속하며, 이론실천학문으로 총체적 신학과의 관계 속에서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교회의 디아코니아실천을 위한 정체성과 전문성을 기초시켜주는 학문적 정당성을 얻는다. 그로써 한국교회의 기독교사회복지가 디아코니아학문에 기초해서 정체성과 전문성을 가지고 발전해 갈 수 있는 길과 그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contemporary Korean Churches are increasingly searching for their own identity and special quality in their involvement for a practically oriented social welfare. But it is not exaggerated to state that until recently the unique system of diaconia was only considered as a special field of humanitarian social welfare. This misconception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diaconia was viewed under the conception of social welfare sciences without having any insight into the peculiar quality of diaconia. This misconception results in a basically wrong understanding of diaconia as being based on social welfare science with its totally different identit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correct this fundamental misunderstanding so that diaconia can be understood and developed as a unique form of help with its own identity. This paper intends to state the legitimacy of diaconia which can specialize with scientific principles of its own. For this purpose it is common practice to use an analytical method of using diverse source research in the field of diaconia to achieve a mutual cooperation with a stimulating effect of diaconia and social welfare. As a consequence this study wants to achieve the certain legitimization of the science of diaconia as part of practical theology which is supposed to serve diaconia with its unique theories. This means that it is unacceptable and illegitimate from a scientific point of view to attempt to achieve an interdisciplinary fusion of diaconia and social welfare in order to form a scientific theory of diaconia based on a humanistic science of social welfare. Therefore it is completely logical to make a dialogue or rather a cooperation between the science of diaconia and social welfare, as long as the science of diaconia can make a dialogue and cooperation with human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Consequently the science of theoretical diaconia which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science of state social welfare belongs to the field of practical theology which can do excellent service for the whole field of theology and it is therefore entitled to claim scientific legitimacy as basis of a specifically diaconical field of activity. On these fundamental principles it is possible to show a task and a way to give the field of diaconia which is based on the research oriented science of diaconia an identity and peculiarity of its 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