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문화예술기관의 예술융합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관한 연구

        박은혜,황은지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본 연구는 이미 주요 예술 흐름으로 형성된 예술융합 기조를 배경으로 국내 문화예술기관의 예술융합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전반적으로 점검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제3수준의 선별 기준에따른 대상 기관 선정 후 ‘문학’, ‘미술’, ‘음악’, ‘영화’ 등 대중적 예술 장르로 볼 수 있는 네 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예술융합프로그램의 유형화 과정을 수행했다. 그 결과 예술의 전반적인 흐름에 민감하게반응해야 하는 문화예술기관 역시 예술융합의 기조가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운영되고 있는 예술융합프로그램들의 한계도 발견하였는데 이는 단발성 혹은 일회성 성격이 강한 예술융합프로그램들이 다수 발견되었다는 것과 양적으로 지나치게 공연프로그램에 치중된 경향을 보였다는 것등이다. 따라서 현재 국내 문화예술기관은 이러한 한계점을 인식하고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대중에게 있어 보다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verall operation of art convergence programs of domestic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against the backdrop of art convergence, which has already been formed as a major art flow. As a specific research method, after selecting the target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three-stage criteria, the process of categorizing art convergence programs was conducted centering on four areas that can be seen as popular art genres such as "literature", "art", "music" and "movi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w of art convergence is also applied to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in art.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art convergence programs were found, such as the discovery of many art convergence programs with strong one-time characteristics and the tendency to focus too much on performance programs in quant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domestic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to recognize these limitations and provide higher-quality programs to the public who enjoy culture and arts.

      • KCI등재

        예술융합 프로세스를 적용한 공간디자인 교육 모형에 관한 연구 -이미지와 언어 연계과정을 중심으로-

        임은영(Yim, Eun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오늘날 초연결망 사회는 다학제적인 학문 간 융합에 의한 통섭적, 통합적 사고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따라서 미래 교육의 향방은 총체적인 관점으로 문제들을 이해하고 융합적인 방법으로 해결책을 모색하려는 방향으로 전개될 전망이다. 예술 분야 또한 다양한 장르 간 융합을 실험하고 훈련하는 교육프로그램 확대가 절실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융합 프로그램의 방법을 모색하고 실험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공간디자인 수업을 통해 예술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내용과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서 우선 2장에서는 예술융합의 도구로 사용되는 이미지와 언어에 대한 이해를 통해 상호상관성과 특성을 고찰한다. 3장에서는 앞서 고찰한 이미지와 언어 연계에 의한 예술융합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그 방법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공간디자인 수업을 통해 예술융합 프로세스를 적용한 공간디자인 결과를 도출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우선 예술융합의 수단인 이미지와 언어에 대한 고찰을 통해 예술융합 단계의 준거를 마련한다. 다음, 이미지와 언어의 지각과정, 사고과정, 기억과정을 기반으로 한 예술융합과정의 여섯 단계를 설정하여 음악과 미술이 융합된 공간디자인이 도출되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학습자가 단일학문 범주에서 공간디자인 과정을 수행했던 것과 비교하였을 때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예술적 사고와 표현이 확장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교육적 계기와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oday’s hyper connected society demands a shift of thought toward consilience and consolidation by converging multidisciplinary field of learning. Tomorrow’s education tends to be directed toward understanding the problems in holistic perspectives and seeking the solutions in harmonized methods. Therefore, it is necessary in the arts education to experiment various ways of convergence in different fields and to expand the educational program for advanced training. This research aims to seek and search a methodology of convergence in arts program and to suggest futuristic and creative design program.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se backgrounds and it is the result of arts convergence in the space design class. Chapter 2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nectedness between images and languages in art convergence. Chapter 3 introduces a methodology of art convergence program linking images and languages and suggests a way to utilize it. Chapter 4 draws a design conclusion applied by art convergence process. Research method reaching the conclusion is to analyze the constituent parts of art convergence, image and language and to set the standard for the following steps. It includes six steps based on perceptual process to the image and language so that the space design can be constructed after music and art converged. Conclusively this research hypothesizes that learners could experience the expansion of artistic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in space design process, compared to individual and independent studie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proposing an educational motivation and setting a model with a method of convergence in space design.

      • KCI등재

        국내 과학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현황 분석을 통한 현장 적용 방안 탐색

        양승지,권난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교육논총 Vol.33 No.2

        이 연구에서는 국내 학교 안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현황 분석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의 과학예술 융합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학교 현장에의 적용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2011년 1월~2013년 7월 사이에 개발한 국내 학교 안 과학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과 2011년 1월~2013년 7월에 진행된 국내 학교 밖 과학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대상, 운영시간, 연계주제, 활동방법, 운영방법, 활동형태에 따라 분석하였다. 국내 학교 안 과학예술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현황 분석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예술 융합교육 교수학 습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미술과 연계된 활동이 가장 많았고, 활동 방법에 있어서는 예술 산물을 활용하는 것 보다는 예술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 많았다. 국내 학교 밖 과 학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현황 분석결과 정기적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이 58%로 가 장 많았으며 관람형, 자유체험형, 안내된 체험형이 비슷한 비율이었다. 그리고 연계 주제 별 분석 결과 학교 안 과학예술 융합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미술 외에 다른 분야와 연계된 프로그램 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 과학예술 융합교육이 학교 현장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융합예술 활동과 예술 산물 또는 과학기술이 융합된 예술 기 법 등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학교 밖 교육시설 자원을 활용한 특성 있는 과학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문화예술 융합교육을 통한 창의성 함양 가능성 모색

        홍병선(Hong, Byung-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문화예술은 이제 디지털 기술과 접목되면서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언제 어디서나 곧바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누구든 원하기만 하면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우리의 삶 곳곳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인간의 정서를 계발하고 삶을 풍요롭게 변화시키는 주된 요인은 문화예술교육에서 비롯된다고 했을 때, 그 교육 역시 현대 문화예술이 갖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야만 할 것이다. 문화예술이 융합인재교육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그 비중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현대의 복잡한 문제에 대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함께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말하자면, 이질성의 수용, 긍정적 자아개념, 권위와 타성의 극복이라는 관점에 비추어 현대 과학 및 테크놀로지 등과 접목된 미래 융합형 인재교육이 절실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화예술 융합교육을 통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양성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이 융합교육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이 되어야 할 것이다. Culture and art is now accessible anytime and anywhere when culture and art integrated with digital technology beyond time and space. Also opportunities can be provided with anyone who wants to take part. To wit, we can take opportunities to live differently from where we used to every corner and nook. When we mention initially that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art is the fundamental element to develop human s emotion and change the way of life productive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ulture and art in education. Culture and art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fusion and human education but also proportion that is increased recently. As a result, to forster the skill of creatively solving problem and communication to the complex issues is important above all through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art in this time.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in perspective of the acceptance of heterogeneity, the affirmation of self-concept, and the overcome of authority and inertia, the convergence human education in future should be related to the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 on. Therefore, we have to realize that it is system for the personnel training which we have to set through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art as a alternative way practically.

      • KCI등재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개발 연구

        조정은(Jeoung-eun Cho)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문화예술지원 사업의 활성화로 인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에서 각 기관에서 운영하고 수행할 수 있는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융합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융합프로그램의 설계를 논의 하였고, 교수과정에서는 기능 중심의 실기연습 보다는 학생들의 문화예술적 소양을 높일 수 있는 진로와 체험 중심의 탐구학습을 적용하였다. 학생들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융합프로그램에 참여하더라도 본질적인 미적 체험이 없다면 이를 생활에서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를 이끌어 갈 수 없기 때문이다. 융합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일반적인 프로그램이론과 함께 모형에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여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개발모형을 제시하였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위해서는 자유학기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융합프로그램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위해서는 시설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융합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학교 융합프로그램의 개발의 요소는 학습목표, 교수과정으로 학습활동과 학습내용 그리고 평가 등의 요소이며, 사회 융합프로그램의 개발 요소에서는 학습대상자의 구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교수과정에서 나이 차, 학년 차를 고려하여 협력적인 융합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융합프로그램의 적용에서 유의점과 제언을 논하였다. As support for cultural and art projects grows, various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 convergence program for the youth that can be used at related institutions. To this end, we discussed how to design a convergence program, and regarding teaching aspect, we applied an exploratory learning centered on career search and experience, instead of focusing on convergenceal practice, so that students can acquire more artistic knowledge and refinement. The reason for this approach is that even if people participate in various convergence programs, it is hard to continue convergence activities in daily life without going through a fundamental aesthetic experience. We proposed a dual program: a convergence program for schools to apply during the free semester, and a convergence program for other social institutions. Development of the school convergence program involves considerations for the goal of the program, and for teaching aspect,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s and student evaluation.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program for other institutions involves considerations for difference in learners age and grade as participants vary in age unlike at school. Lastly, we identified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applying the proposed convergence program for art and cultu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과 콘텐츠 산업 융합 활성화 방안

        김세훈(Kim, Seh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3

        이 논문은 문화예술과 콘텐츠산업의 융합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하여 정책적 차원에서 주목하여야 하는 부분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쓰여 졌다. 근래 들어 문화예술과 타 영역간 융합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콘텐츠 산업과 문화예술의 융합에 대한 관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두 영역의 융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를 지원하는 정책적 환경 및 실천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융합관련 담론이나 정책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융합의 결과나 성과들은 크게 눈에 띄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왜 다양한 담론과 정책적 뒷받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융합의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어떠한 부분에 기울여져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문화예술과 콘텐츠 산업간 융합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분석의 층위를 세 가지 수준, 곧 미시적 수준(융합의 실천가로서의 행위자, human resources), 중범위 수준(두 분야간 융합을 위한 실천적 활동, activities), 거시적 수준(융합을 지원하는 정책적 실천, policy environments)으로 구분하였다. 분석의 수준을 이렇게 구분한 것은 기존의 연구들이 융합과 관련된 문제 및 과제들을 병렬적으로 나열함으로써 융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원인을 다소 혼란스럽게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하여 이 논문에서는 문화예술과 콘텐츠산업간 융합이 융합인재의 양성, 융합을 위한 분야간 교류협력기회, 이를 지원하는 정책적 실천이라는 차원 모두에서 취약하게 나타남으로써 기대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기반하여, 두 영역간 융합활성화를 위해서 대학정규교육과정에서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과목 개설, 융합을 위한 사업단계의 결합이 아니라 기획단계부터의 결합, 조성된 법적, 제도적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정책적 실천 노력들이 기울여져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vergence of arts and contents industry fromthe policy perspective. Many researches and policy reports underline the necessities of arts and contents industry convergence. Interests in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industry also play an important role to widen the attention to the convergence.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current situation of the arts and contents industry convergence and recommending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For the purpose, it classifies social environments for the convergence into three levels; micro, mediumandmacro level. Themicro level is related to the subjects who conduct converging activities. It deals with the subjects as human resources for the convergence. The medium level shows mediating activities through which professionals in arts and contents industries meet and interact each other. The macro level points to policy environments and practices to support the activities in micro and medium levels. The results shows that practices for the convergence of arts and contents industries are quite weak in all levels. Human resources are not properly developed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mediating programs between arts professionals and contents industry professionals don’t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ir interaction. Policy practices are not so active, either. As a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o set up new educational curriculum in universities for the convergence of arts and contents industry and start planning process for the convergence from the beginning, not in the end, of each area’s long-term development idea. It also suggests more active policy practices in fostering the convergence by supporting activities in micro and mediumlevels. 이 논문은 문화예술과 콘텐츠산업의 융합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하여 정책적 차원에서 주목하여야 하는 부분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쓰여 졌다. 근래 들어 문화예술과 타 영역간 융합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콘텐츠 산업과 문화예술의 융합에 대한 관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두 영역의 융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를 지원하는 정책적 환경 및 실천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융합관련 담론이나 정책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융합의 결과나 성과들은 크게 눈에 띄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왜 다양한 담론과 정책적 뒷받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융합의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어떠한 부분에 기울여져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문화예술과 콘텐츠 산업간 융합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분석의 층위를 세 가지 수준, 곧 미시적 수준(융합의 실천가로서의 행위자, human resources), 중범위 수준(두 분야간 융합을 위한 실천적 활동, activities), 거시적 수준(융합을 지원하는 정책적 실천, policy environments)으로 구분하였다. 분석의 수준을 이렇게 구분한 것은 기존의 연구들이 융합과 관련된 문제 및 과제들을 병렬적으로 나열함으로써 융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원인을 다소 혼란스럽게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하여 이 논문에서는 문화예술과 콘텐츠산업간 융합이 융합인재의 양성, 융합을 위한 분야간 교류협력기회, 이를 지원하는 정책적 실천이라는 차원 모두에서 취약하게 나타남으로써 기대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기반하여, 두 영역간 융합활성화를 위해서 대학정규교육과정에서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과목 개설, 융합을 위한 사업단계의 결합이 아니라 기획단계부터의 결합, 조성된 법적, 제도적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정책적 실천 노력들이 기울여져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vergence of arts and contents industry fromthe policy perspective. Many researches and policy reports underline the necessities of arts and contents industry convergence. Interests in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industry also play an important role to widen the attention to the convergence.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current situation of the arts and contents industry convergence and recommending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For the purpose, it classifies social environments for the convergence into three levels; micro, mediumandmacro level. Themicro level is related to the subjects who conduct converging activities. It deals with the subjects as human resources for the convergence. The medium level shows mediating activities through which professionals in arts and contents industries meet and interact each other. The macro level points to policy environments and practices to support the activities in micro and medium levels. The results shows that practices for the convergence of arts and contents industries are quite weak in all levels. Human resources are not properly developed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mediating programs between arts professionals and contents industry professionals don’t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ir interaction. Policy practices are not so active, either. As a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o set up new educational curriculum in universities for the convergence of arts and contents industry and start planning process for the convergence from the beginning, not in the end, of each area’s long-term development idea. It also suggests more active policy practices in fostering the convergence by supporting activities in micro and mediumlevels.

      • KCI등재

        레싱의 예술기호론을 통한 예술 융합 방법론 고찰- 로버트 윌슨의 "해변의 아인슈타인" 작품 분석 중심으로

        최혜성,변혁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5

        현재 새로운 무언가가 필요하다는 시대적 요구에 의해서 ‘융합’이 시대의 유행이 되고 있다. 기술 융합, 지식 융합, 문화 융합, 예술 융합 등 사회 각 분야에서 다양한 융합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현대 예술은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이르는 동안 자발적으로 융합과 혼성의 길을 걷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근대 개별 장르화 체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 가운데 예술 융합은 점점 더 요구되고 있고, 융합의 시도들은 더욱 더 빈번해지고 있다. 그러나 무엇이 예술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한 예술 융합 방법론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시대의 예술 융합의 시도는 물질간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물질을 탄생시키려 했던 중세 연금술과 비슷한 입장인데, 예술 융합 방법론에 대해 더욱 체계적으로 연구해나가지 않는다면 연금술처럼 이루지 못할 꿈으로 끝날 수도 있겠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예술 융합의 방법론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8세기 독일의 문예학자 레싱(Lessing)은 각각의 예술 장르들을 기호로 분류한 뒤 그 기호에 따라서 예술 장르 간의 융합가능성을 제시한다(Lessing,1766: as cited in Kim, 2006). 레싱의 예술기호론에 의하면 예술 장르 간 가장 완벽한 상호작용은 문학과 음악이고, 그 다음으로 이상적인 융합은 문학과 무용이며, 가장 불완전한 융합은 문학과 미술이다. 이러한 예술 기호론을 토대로 현대 공연예술계에서 융합의 대가로 불리는 윌슨(Wilson)의 대표작 오페라 “해변의 아인슈타인”을 분석하여 예술 융합의 원리를 연구해 보고 융합의 방법론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At present, convergence is a trend ow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requirement for something new. There are various type of convergence in each field in society, such as technical convergence, informational convergence, and cultural convergence. While there has been convergence in modern art spontaneously from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to the era of digital media, modern individual specialization systems continue to play a major part. In this situation, convergence in arts is increasingly required, and attempts convergence are becoming more freque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y on the methodologies of convergence in the art and what enables convergence in the arts. Attempts at convergence in art at this time are similar to medieval alchemy, which sought to create new substances through convergences of substances. Therefore, if we do not study more systematically the methodologies of convergence in the arts, the result may be a dream that cannot become true, akin to alchemy.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study methodologies related to convergence in the arts and the factors that enable convergence in the arts. Lessing who was an eighteenth-century German literary scholar, classifies each art genre with sign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between art genres according to the signs(Lessing,1766-1769: as cited in Kim, 2006). According to his symbology in art, the most perfect interaction between art genres is literature and music and the second is literature and dance but the most imperfect convergence is literature and art. According to symbology in art, here I study the principle of convergence in the arts by analyzing Robert Wilson’s major opera <Einstein on the Beach> and attempt to find a methodology of convergence.

      • KCI등재

        진학계 고교를 위한 과학-예술융합 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변자정 ( Byun Ja-jung ),홍후조 ( Hong Hoo-j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그동안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진학계 고등학교의 비예술전공자들의 보완적 예술교육에 관한 내용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활발한 융합의 대상이 되고 있는 과학기술과 예술 간의 융합교육을 교육과정기준 개발의 시각에서 다루었다. 연구의 목적은 진학계 고교의 과학기술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학습에 대해 보완적인 예술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습자 집단에게 필요한 과학-예술융합교육의 목표, 내용과 방법, 교육과정 운영 기준을 제시하는 가교적인 교육과정기준 개발에 있었다. 연구자는 과학-예술융합 교육과정 기준 개발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학-예술융합교육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 교육과정 내에서 융합교육에 대한 의미와 개념이 다양하고 폭넓게 자리 잡아야 한다. 둘째, 융합교육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융합의 대상이 되는 교과교육 간의 핵심, 보완 영역을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융합교육을 위한 총론과 각론 간의 연계적이고 보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범교과적인 다양한 주제의 소총론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진학계비예술전공자 집단에게도 보완적이고 연계적인 과학-예술융합교육의 수요가 있으며, 교육계는 이에 관해 교육과정적으로 대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의 교육과정기준 개발은 과학-예술의 융합이라는 독립적인 새로운 교과교육으로서 기준개발이 아닌 다양한 영역에서 범교과 학습이나 통합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준 개발이다. This study is about complementary arts education for non art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s, which has not been researched sufficiently, and it covered particularly science/technology arts convergence education that is recently spotlighted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rriculum standards that present the goals, contents, methods, and curriculum operation standards of science arts convergence education required by learner groups in need of complementary arts education for their learn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mong those major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academic high schools. From this research for developing science arts convergence curriculum standards, the researcher drew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for the effective execution of science arts convergence education, the meanings and concepts of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settled diversely and widely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Second, for the effective execu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core and complementary domains of curricular education to be converged. Third, we need mini curriculum standards for various interdisciplinary themes that play articulating and complementary roles between generals and particulars for convergence education. Fourth, non art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s are also in need of complementary and articulating science arts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circle of education needs to respond to the need through the curriculum. Fifth, the curriculum standard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not for a new independent curricular education of science arts convergence but applicable for interdisciplinary learning or integrated programs in various domains.

      • 다문화 예술융합교육의 방향

        김도희 동덕여자대학교 한중미래연구소 2016 한중미래연구 Vol.6 No.-

        본고는 다문화예술교육의 방향과 그 필요성을 제시한 글이다. ‘예술'을 ‘연극놀 이'라는 예술융합교육으로 보고 다문화가정의 자녀와의 ‘소통'의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하였다.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다문화사회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 보았고, 예술융합교육과 더불어 예술교육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문화 사회에서의 예술융합교육의 필요성과 그것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까지 도 고찰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문화사회예술융합교육이 앞으로 나아가 야 할 방향과 선행되어야 할 문제에 대해서도 다루어 보았다. 그리고 교육 현장 에서 활용하고 있는 ‘연극놀이’ 예술융합교육 방안이 다문화사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presents the direction and necessity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with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by regarding 'art' as an art convergence education called 'a dramatic play'. Before going into a main subject, I looked into what a multicultural society is, and also examined art education as well as art convergence education. I also ga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necessity of the art convergence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concrete ways to practice it. Finally, I discussed the direction of art convergence educ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and the problems to be preceded. I hope that the 'a dramatic play', the art convergence educational method that is being utilized in the education field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a multicultural society a little.

      • KCI등재

        융합예술 전문가 양성을 위한 트랜스미디어 융합문화 리터러시 연구

        한달호 ( Han Dal-ho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3

        본 논문은 급변하는 미디어 생태계에서 예술가들이 자신의 예술분야 한계를 시대의 흐름에 맞게 융합예술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리터러시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트랜스미디어 융합 적용의 리터러시를 통해 예술가의 융합능력 함양과, 전공의 확장 가능성의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트랜스미디어 융합문화 리터러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예술전공자는 어느 순간 예술 전공에 대한 매너리즘에 빠지거나 자신의 활동 및 표현의 한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융합문화 리터러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예술콘텐츠로 확장하고, 나아가 융합예술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할 수 있도록 확장 가능한 트랜스미디어 융합문화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 속에 전개되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시장은 이를 선도해 나갈 융합예술 인재들이 트랜스미디어 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해석, 적용 가능한 창작 활용능력을 배양하고 함양하기 위하여 재교육을 통해 새로운 도약의 가능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트랜스미디어 융합문화를 이해하고, 기술적용이 가능한 융합예술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이 시점에서 예술가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융합문화 생태계의 고민과, 재교육 등을 통해 시도 가능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관련 주제를 적용한 수업 내의 팀 융합 프로젝트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융합문화 리터러시의 성과가 어떻게 나왔는지 활용사례를 통해 가능성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빠르게 변화하는 예술분야의 생태계가 앞으로 무엇이 중심이 될지 모르지만, 미래를 선점하고 선도할 수 있는 융합예술 인재의 창조과정이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교 수업 내 유사 교과목을 활용하여 트랜스미디어 융합문화 리터러시에 맞게 재구성하고 적용하면서, 수업 적용사례를 통해 종합적인 의미를 도출하고 융합예술 전문가 양성 가능성 등을 점검해보면서 새로운 관점을 고찰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This paper raises the need for literacy to pave the way for artists to transform their art field limitations into convergence art expertise keeping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media ecosystem. It aims to study "Trans-media convergence culture literacy" to foster artists' convergence capabilities and expand their major fields of study. Art majors need to study trans-media fusion culture so that they can expand into new art content through convergence culture literacy research. They must meet opportunities to become convergence art experts when they fall into the mannerisms of art majors at some point or reach limitations in their activities and expressions. In particular, the trans-media content market, which has been developed in a new media platform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needs to check the possibility of a new leap forward through retraining in order to cultivate convergent artists' understanding, interpretations, and apply creative utilization skills of the trans-media ecosystem. In this pa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media convergence culture and cultivate technical convergence art experts, we looked at the concerns and re-education of the convergence culture ecosystem that artists could think of at this point. In addition, through a team convergence project in class applying related topics, we tri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rough utilization cases of how the results of trans-media convergence culture literacy appear. Although the rapidly changing ecosystem of the art field may be more centered in the future, it will be a process of creating convergent art talents who can occupy and lead the future. In this respect, similar subjects in school classes can be used to reconstruct and apply according to trans-media convergence culture literacy, derive comprehensive meanings through class application cases,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training convergence art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