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활용 실태

        금민선,홍용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3 교육과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교육부에 의해 개발되어 전국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는 교사용 지도서인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전국 유치원 교사들의 활용수준과 장애요인 및 장애수준을 조사하여,「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자료」를 적극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 수준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의 활용수준은 어떠한가? 1-2. 교사의 개인배경에 따라「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의 활용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를 활용하는데 있어 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요인 및 장애수준은 어떠한가? 2-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를 활용하는데 있어 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요인 및 장애수준은 어떠한가? 2-2.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를 활용하는데 있어 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요인 및 장애수준은 교사의 개인배경별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중인 유치원 교사들 399명이다. 연구 도구는 Moore와 그의 동료들(1984)이 만든 교육과정의 '활용수준 측정 질문지'를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수정하여 사용한 부성숙(1999)의 논문에서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자료의 활용도에 관한 내용과 이윤경·이영애·조인경(2000)의 '제 5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활용 실태 조사 질문지'의 내용을 토대로 선행연구와 문헌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활용수준과 장애요인 및 장애수준 각 항목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교사의 개인배경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변량 분석 (ANOVA)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를 보통수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주제별 활동 지도 자료'를 '총론' 보다 더욱 활발히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 주제별 활동 자료'는 각 권별(2권-12권)로 대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비슷한 활용수준을 보였다. 각 구성 내용 별 활용에서 교사들은 개정된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활동에 적용하는 방안, 직접적인 교육활동 및 교육 내용 그리고 수준별 교육활동에 대해 높은 활용 수준을 보이며 가정 및 지역사회의 협력, 환경구성 부분에서 낮은 활용수준을 보이고 있다. 둘째, 교사의 교육경력, 학력, 담당학급 유아의 연령, 근무 유치원의 유형에 따라 교사의 개인배경별로「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활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근무하는 소재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의 활용 수준은 교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공립유치원의 교사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학급 유아의 연령에 따라서는 4세 유아의 교사가 낮은 활용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활용에서 보통수준의 장애를 느끼고 있었고,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있었다. 활용을 돕기 위해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소개된 자료를 제작하는데 참고할 멀티미디어 자료(CD-ROM TITLE 등)를 필요로 하였고, 그 내용 면에서 새롭고, 다양하고, 구체적이며, 많은 수의 교육활동을 제시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구성면에서 사용의 용이성을 높이고 편제를 매력적으로 변화되는 방향의 고려도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의 교육경력, 학력, 담당하고 있는 유아의 연령, 근무 유치원의 소재지, 근무 유치원의 유형에 따라 몇몇의 요인별로 활용의 장애를 느끼는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들은 자신의 개인적 성향이나 능력 뿐 아니라 근무하고 있는 유치원의 상황과 영향, 지도자료의 내용에 따라서 활용 및 장애 수준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draw the positive plan of the practical use for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which the kindergarten curriculum on the national level could be achieved effectively on the scene of the young child education.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teachers were generally shown to put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to the practical use at the normal level while they put 'Guide of the Living Activities Classified by the Subject' to the practical use lively more than 'General Remarks'. 'Guide of the Living Activities Classified by the Subject' consisted by a series of the books (each volume was consisted of 2 to 12 books), which were generally shown the similar level of the practical use above the average. The teachers were shown high in the practical use level for the direct educational activities,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leveling educational activities as well as not only they had a right understanding of the revised curriculum but also had a good plan to apply it to the educational activities by the contents particularly. The second, the practical use level was exposed the difference by teacher's individual background according to the teacher's education career, the academic background, the young child's age of charging class, and the type of the working kindergarten. The third, the teachers had the feeling of common level hindrances to put the practical use of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but they understood easily the contents. To help the practical use, teachers required the multimedia data (cd-rom title etc.) and they desired to be presented by the various education activities which were new, various, and specific in the contents. They required to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easiness of use in the organization and also to be considered to change the formation attractively. The fourth, the level feeling the hindrance of the practical use was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y some factors according to the teacher's educational career, the individual academic background, the young child's age who was taking charge, the location of working kindergarten, and the type of working kindergarten. Teachers were shown the differences of the practical use and the hindrance level according to the working kindergarten's circumstance and influence and the contents of teaching data as well as their personal inclinations or abilities.

      • KCI등재

        유치원에서의 한국 민속춤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김해성;김미숙 한국무용연구회 2007 한국무용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현행 제6차 유치원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유아의 감성계발 교육과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교육으로서 적합한 한국 민속춤을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한국 민속춤을 지도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국 민속춤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하였고. 그에 따른 합리적인 지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의 방법으로 연구를 전행 하였다. 문헌연구로는 현재 유치원 교육에 있어서 한국 민속춤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한국 민속춤 교육과 연관된 내용들을 분석하여 우리문화와 현실에 적합한 유아를 위한 한국 민속춤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타당성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유치원 교사들의 한국 민속춤 지도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한국 민속춤을 지도함에 있어 내용은 어떤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교사의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일선 교사들의 유치원 교육에서 필요한 한국 민속춤 내용에 대한 요구를 종합하고 실제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한국 민속춤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해 본 결과 첫째, 기본 움직임 활동으로서 한국 민속춤의 내용과 둘째. 신체표현활동으로서의 한국 민속 춤의 내용 그리고 리듬활동으로서의 한국 민속춤에 관한 지도 내용0| 도출되었다. 이상에서 논의된 결과 한국 민속춤을 유치원 교육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서는 교사가 자신 있게 유아들을 지도할 수 있는 쉽고 재미있으며 유치원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내용으로서 한국 민속춤이 개발되고 지도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dissertation seeks to settle Korean folk dance into the educational field systematically and qualitatively through searching for its application plan to the educational field of children. As a research method, this dissertation conducts the qualitative interview, nominating 4 kindergarten teachers, 4 physical fitness teachers of children, and 3 teachers who instruct students in the cultural center and the dance class of children as the purposeful sampling. As a result of the demand survey of teachers for Korean folk dance, Korean folk dance which is desirable to be included in university curriculum is creative gestures as ‘teachers’ opinion about Korean folk dance. The main reason why Korean folk dance isn’t practiced smoothly in the educational fields is the consciousness lack of teachers. The biggest percentage of teachers indicate that the reeducation through the study and training of leaders and teachers is essential for the smooth Korean folk dance education, and most of the teachers demand that the class should be practiced with completely charged and charged teachers as well. As an expected effect of ,Korean folk dance the most frequent response is that children acquire basic motions suitable for the activity development of childhood, and the formation of confidence is the most expected virtue. The research problem which is raised in this dissertation, that is what is the pla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of children? can be concluded as the followings. The content application direction is composed of the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living subjects, the application based on children’s development, the application followed by traditional cultural development, the application accompanied with emotion enlightenment, and the united application.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shows Korean folk dance by the activities of basic motions, physical expression, and rhythmic activities. As we can see above, Korean folk dance is the best education which cultivates the artistic possibility of children who have been brought up from the education of sensitivity enlightenment, and develops the aesthetic beauty of life, emotion cultivation, and creativity. Accordingly, Korean folk dance is essential for children’s education today and can be very useful as united education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courses because children themselves feel interested by means of internalizing the learning process.

      • KCI등재

        유치원 설립 유형에 따른 급식운영과 유아 식습관 지도

        최기영(Choi Kee-Young),이학선(Lee Hak-Sun),김은희(Kim Eu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유치원 설립 유형에 따른 급식운영 실태와 급식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식습관 지도를 위한 지도내용 및 방법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공ㆍ사립 유치원교사 737명이며,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유치원 점심 급식운영과 식습관 지도실태에 관한 설문지’이다. 연구결과, 유치원의 설립 유형에 따른 급식운영 실태와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식습관 지도를 위한 지도내용은 ‘음식에 대한 이해’, ‘식사 전ㆍ식사 중ㆍ식사 후 태도’, ‘식사 상황에 따른 지도’, ‘유아의 편식교정’, ‘유아의 비만 예방’의 전체영역에서, 지도방법은 ‘교육활동’을 제외한 ‘지도시기’, ‘편성방법’, ‘흥미영역’, ‘가정과의 연계지도 방법’과 ‘교수방법’에서 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actice and teachers' recognition of Meals services in kindergartens, and the difference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for guiding young children's eating habits by kindergarten types. Seven hundred thirty seven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 the Meals Services and Eating Habit Guidances in Kindergartens," which had been constructed by the researcher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practice and teachers' recognition of Meals services, the contents for guiding eating habits which consisted of 'understanding of the food,' 'table manners before-at-after the meals,' 'guidance by table situations,' 'correction of unbalanced diet,' 'prevention of children obesity,' and the methods for guiding eating habits which included 'guidance time,' 'organization method,' 'interest center,' 'guidance linked with home,' 'teaching methods.' The 'instructional activity,' one area of the methods for guiding eating habit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 KCI등재

        유치원 교육실습생의 수업평가 및 지도교사의 피드백 분석

        조운주(Cho, Woon-Ju)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생의 수업평가와 지도교사의 피드백 유형 및 내용, 실습기관 및 지도교사 특성에 따른 피드백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50명의 실습생 포트폴리오에 기술된 477개의 활동에 대한 실습생 평가 및 지도교사 피드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업평가와 피드백 유형의 경우, 실습생과 지도교사 모두 긍정적 평가 및 피드백보다 부정적인 것이 많았고, 지도교사는 실습생보다 긍정적·부정적 피드백을 더 많이 제공하였다. 공립유치원의 실습생과 지도교사가 사립유치원보다 평가 및 피드백을 더 많이 하였고, 지도교사 경력이 높을수록 부정적 평가를 적게 하였다. 둘째, 실습생 평가와 지도교사 피드백 내용 중 가장 많은 것은 수업진행, 공간 및 매체에 대한 것이었다. 한편, 수업분위기는 실습생이, 유아와의 의사소통은 지도교사가 더 많이 평가하였다. 활동유형에 따라서 목표 및 내용, 공간 및 매체, 수업진행, 수업분위기에 대한 실습생과 지도교사의 평가 비중이 달랐다. 즉, 수업에 대한 실습생의 평가와 지도교사의 피드백은 강조하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습생의 요구에 기초한 지도교사의 긍정적인 지원이 더 필요하고, 지도교사의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지도교사 선발 기준, 체계적인 교육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contents, and differences of student teachers’ self-assessment and mentor teachers’ feedback on educational activities in kindergarten practicum. Student teachers’ self-assessment and mentor teachers’ feedback on 477 educational activities in 50 student teachers’ portfolio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the student teachers and the mentor teachers presented more negative assessments/feedback than positive ones. The mentor teachers gave more positive feedback as well as negative feedback than the student teachers. The student teachers and the mentor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gave more assessments and feedback than those at private kindergartens, and experienced teachers gave negative feedback less and offered encouragement more. Second, most of the student teachers’ assessments and of the mentor teachers’ feedback were on the process of the activity, spaces, and educational materials; the student teachers focused on the class atmosphere whereas the mentor teachers put more stress on communication with young children. In terms of the activity types, differences existed in their emphases between the student teachers and the mentor teac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itive support of mentor teachers should be given based on the needs of student teachers, and the selection criteria as well as systematic training for mentor teachers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ir abilities.

      • KCI등재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와「유치원 지도서」의 ‘장애’ 관련 활동 목표와 내용 비교 분석

        조숙영(Cho, Suk-Young),조병은(Jo, Byung-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현실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장애이해 및 통합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현장의 교사들이 교육방향을 이해하고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와 「유치원 지도서」의 ‘장애’ 관련 활동의 목표와 내용을 분석기준에 따라 각각 분석하고 다시 두 지도서 간의 목표와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두 지도서에 수록된 장애 관련 활동의 목표 중 장애 이해와의 관련성이 있는 목표의 수는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서는 태도(38.9%), 기능(33.3%), 지식(27.8%) 순으로, 「유치원 지도서」에서는 지식(38.5%), 기능(38.5%), 태도(23.0%)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지도서에 수록된 장애 관련 활동의 내용은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서는 장애 관련 용어 및 삽화(40.0%)가 가장 높은 비중으로, 「유치원 지도서」에서는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26.1%), 장애 영역별 체험활동(26.1%)이 높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ssist teachers to understand disability and provide holistic education by helping them comprehending and thereby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guideline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and「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It selected the following as ‘disability’ related activities within the「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and「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terminologies or illustrations related to disabilities, disability experiences, contents relating to aid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etc.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goals of the disability related activities recorded in「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were attitude (38.9%), function (33.3%), and knowledge (27.8%) in that order. In「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was knowledge (38.5%), function (38.5%), and attitude (23.0%) in that order. Second, the contents of terminologies or illustrations related to disabilities (40.0%) were the most frequent in「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In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contents of helping furniture and the comfortable equipment (26.1%), disability experiences (26.1%) were most often presented.

      • 유치원 교육실습 지도에 대한 탐색적 고찰

        이정미 경북실업전문대학 1998 慶北實業專門大學論文集 Vol.17 No.1

        교육의 질은 교사의 자질에 달려있다는 말은 교사의 질이 그 교육의 성패를 결정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 교사는 자연적으로 탄생되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길러지는 것이라고 할 때 자질있는 교사의 양성에 일차적 책임을 지고 있는 교사교육프로그램에서는 교육실습활동을 충실히 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교육실습은 예비교사가 현장의 실제적 문제를 파악하고 교육경험을 쌓는 것과 함께 교육활동에 대한 철학, 방향감각, 문제의식 등을 지니고 스스로 교육활동을 전개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교육실습의 영향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는 예비교사들의 교수행동, 태도, 사고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게 만든다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부정적 영향도 지적하고 있다. 즉 예비교사가 실습현장의 교육 상황을 모든 교육 현장을 대표하는 것으로 받아 들여 비판 없이 그대로 모방하는 태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것은 예비교사가 실습활동을 통하여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지식, 기술을 적용해보고 교사로서의 바람직한 태도, 행동, 교수방법 등도 배우게 되지만 실습현장의 바람직하지 못한 측면도 함께 받아들여 그대로 적용하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모든 직접적 경험이 지니는 약점으로서 교육실습에서도 나타나는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실습지도를 담당하는 인적요소들이 어떤 방법과 방향으로 실습을 지도해 나가는가 라는 측면에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인 것이다. 최근 교사교육에서 강조하는 것은 실천적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상황을 해결하는 창의적인 교사를 중요시하고 있다. 유능한 교사는 자신이 지닌 지식, 기술, 방법을 주어지는 상황에 적절하게 재구성하여 최선의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지닌 교사로 요약되는 것이다. 때문에 교육실습에서 강조하는 교사상도 이러한 측면에 초점을 두게 된다. 실천적 지식을 지닌 교사의 양성은 단순히 눈으로 관찰되는 교사의 행동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러한 교수기술과 행동을 사용하였는가에 대한 결정과정, 즉 그 교사의 사고과정을 파악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때문에 교육실습의 지도방향도 이러한 교사의 사고과정을 중요시하며 자신이 지닌 지식을 자신의 신념, 가치관,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여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도록 하는 능력을 지니게 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현실적으로 교육실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실습지도교사는 실습기관의 편의성에 의해 아무런 기준없이 자의적으로 선정되고 또 교육실습에 대한 사전 준비교육도 없이 실습지도를 담당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결과 교사자신의 개인적 실습경험과 실습생의 요구에 부합하는 측면에서만 실습지도를 하게되는 것이다. 교사양성교육프로그램에서 교육실습이 차지하는 역할이 중대한 점을 고려할 때 실습 지도교사들이 실습생을 잘 지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교육실습을 담당하는 자는 교사교육의 새로운 경향을 잘 파악하여 실습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하며 관련된 인적요소들이 서로 적절한 헙력을 해야만 바람직한 실습지도가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또 실습지도에서 차지하는 자신들의 역할을 잘 인식한 후 실습생들을 지도하게 될 때 교육실습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유치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지구과학」관련 활동 분석

        윤정희(Yun, Jeong-H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치원의 제5차 교육과정부터 누리과정까지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의 지구과학과 관련된 활동을 분석하였다.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 중에서 지구과학 개념을 추출하고, 분석기준에 의해 활동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지구과학의 하위영역, 세부 내용, 과학개념의 변화된 경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대체적으로 지도서에 포함된 지구과학 관련 활동수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누리과정에서 가장 많은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5차 유치원 교육과정,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6차 유치원 교육과정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지구과학 관련 활동수가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영역별로 변화된 양상을 보면 교육과정 개정과정에서 지질 영역과 지구환경 영역은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기 영역과 천문 영역은 많은 변화가 있었다. 모든 교육과정에서 가장 많은 활동수를 차지한 것은 대기 영역이며, 그 중 날씨와 계절변화의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었다. 과학개념 중 토양, 날씨와 생활, 계절변화, 바람, 환경을 포함한 활동은 크게 증가하였고, 탐사선을 포함한 활동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지구과학과 관련된 주제는 유아 주변에서의 일상적인 현상을 다루고 있으며, 과학교과간의 융합을 위한 적절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유아과학교육에서도 시대적인 변화, 우리나라 환경의 특성, 학교교육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유아의 발달수준에 적합한 활동으로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유아과학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Earth Science s activities included in the sets of Teacher Resource Book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a (from the 5th Kindergarten Curriculum to Nuri Curriculum). the researcher analysed the changes of concepts areas trends of concepts Earth Science through the procedures of extracting concepts of Earth Science and analysing activities included in the teacher resource book. As results the number of activities for Earth Science have been increasing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curricula; the most in the Nuri the 5th Curriculu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6th Curriculum. There has been no change in the number of activities in the areas of Geology and there have been large changes in the areas of Atmosphere and astronomy there were most activities in the area of Atmosphere. among the area of Atmosphere there were most activities in the areas of weather and season .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concept there were most activities in the areas of weather and seasonal changes.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수록된 노래의 수준별 특성 및 지도 방법

        손미이(Son Mi-yi) 한국육아지원학회 2009 육아지원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 6차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수록된 노래의 수준별 특성 및 지도 방법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의 수준별 적절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수준별 노래지도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제 6차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수록된 노래 96곡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동요의 수준은 수준별로 비교적 적절하였지만, 노래 지도 측면에서는 수준별 적절성이 고려되지 않았다. 유아의 수준을 고려한 동요 선정을 하되, 유아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융통성 있는 선정이 필요하고, 노래 지도 측면에 있어서 연령별, 시기별 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노래 지도 방법의 다양성 도모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ngs in the 6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o suggest appropriate ways to teach songs to young children. The ninety-six songs in the 6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ere analyzed. Although the tone and musical range were somewhat difficult for children to sing, the songs were appropriate in terms of pitch, tempo, rhythm, tone, musical range, and length. However, instructional methods suggested in the 6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eren't appropriate to the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as a whole.

      • KCI등재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성원경(Sung Won-Kyung),이춘자(Lee Choon Ja),조인경(InKyung Cho) 한국육아지원학회 2010 육아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육과정 실행 연구의 기초 단계로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 의 인식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인식을 교사의 직접 면담을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있다. 연구대상은 공사립유치원 교사 17명이며, 비구조적 심층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자료는 내용분석을 거쳐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교육과정은 중요한 것이지만 유치원 수업 실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중 교사의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일일계획안을 작성할 때 활동목표 진술과 목표 진술에 따른 교육과정 관련 요소를 작성할 때 였다. 셋째,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을 혼동하고 있었다. 넷째,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는 실제 수업에서 활용도가 높지 않고 여러 가지 문제로 인터넷 자원을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을 수업에 적용시키는 것을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a basic stage of a study on the practice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d is purposed to review in depth, how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kindergarten curriculum and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activ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7 teachers of public/private kindergartens through non-structural in-depth interviews. The meanings of data obtained were derived through content analy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teachers were thinking that, although curriculum were important, curriculum did not affect the practice of kindergarten lessons. Second, the curriculum affected teachers when the teachers were stating the objectives of activities to prepare daily plans and when the teachers were preparing factors related to th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statements. Third, the teachers confused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wi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ourth, the teachers could not utilize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properly, however, they were utilizing internet resources frequently for various reasons. Fifth, the teachers perceived that it was difficult to apply kindergarten curriculum to lessons.

      • KCI등재

        사립유치원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와 협력에 대한 인식과 요구

        정상헌,이병인,박주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6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were investig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o find out the perception and demands of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on infants’ problem behaviors teaching and cooperation. Interviews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method were recorded to be transcribed. Rating teams were organized to conclude the results through independent data analysis and consensus. Results of the study are outlined below. First, regarding teachers’ perception on causes of maladaptive behaviors, the study found that maladaptive behaviors are caused in affiliation with household issues and period of children adjusting to kindergartens and that problematic behaviors mostly arise during playtime, mobility and meal time. Types of behaviors recognized as maladaptive behaviors included deviant behaviors from teachers’ instructions, inappropriate behaviors to rules or regulations, aggressive or dangerous behaviors, overreaction, disruptive behaviors, inappropriate behaviors among classmates, depressed or insecure behaviors and tantrums. Difficulties in teaching maladaptive infants were found to be unimproved behaviors of infants, lack of experience, lack of professional expertise, absence of support for teaching problematic infants, hardships in teaching and instruction methods, and child-rearing attitudes of other teachers and parents. Second, warning and punishing with strong tones, warning or admonishing lightly, showing indifference, having conversations with and listening to children on equal levels, providing positive reinforcement (giving stickers or compliments), giving autonomy, utilizing additional resources for selecting teaching methods, receiving help from other teachers, directors or assistant directors of kindergarten schools, counseling with parents and using other media were identified as coping measures for maladaptive children. Third, view of teaching, different perspectives on maladaptive behaviors, difference in teaching methods among teachers, difference in teaching conditions and experiences, lack of time for cooperation, lack of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lack of teaching on collaboration and training for cooperation measures and lack of professional support were indicated as hindrance factors for cooperation among teachers. Finally,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observation and consultation among teachers, regular meetings to form partnerships, support from experts on cooperation measures, sharing and utilization of common teaching methods among teachers, system enhancement, partnership and participation among teachers on equal levels were demanded for further cooperation in teaching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Therefore, the result of the following study has significance in enabling provision of basic information and effective cooperation required for further cooperation in teaching younger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본 연구는 현직 사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과 협력에 대한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가지고 개별면담을 하였다. 개별 면담한 자료는 녹음ㆍ전사되고, 평정팀을 구성, 독립적인 자료 분석을 통해 합의과정을 걸치는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문제행동은 유치원 적응시기와 가정에서의 원인이 연계되어 발생하며, 놀이상황이나 이동, 급식 시간에 많이 발생하였다. 문제행동으로 인식하는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은 공격적이거나 위험한 행동, 과잉반응 행동, 수업방해 행동, 또래관계에서의 부적절한 행동, 떼쓰는 행동, 교사의 지도나 지시와 다른 행동, 질서 및규칙을 지키지 않는 행동, 우울 및 불안 행동이었다. 문제행동 지도의 어려움으로는 개선되지 않는 유아의 문제행동, 경험 부족과 전문적 지식의 부재,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지원의 부재, 교사와 다른 부모의 양육 태도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문제행동 지도방법으로는 벌주기 및 강한 어투로 주의주기, 가볍게 말로 경고하거나 주의 주기, 무관심하기, 유아와 동등하게 대화 나누고 들어주기, 긍정적 강화(칭찬, 스티커), 스스로해결하는 자율성 주기, 다른 교사나 원장, 원감에게 도움받기, 부모와의 상담, 기타미디어 매체 활용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 간 협력의 저해 요인으로는 교사의 교직관과 문제행동에 대한 시각의 차이, 교사 간 운영 방법 및 방식의차이, 근무조건과 경력의 차이, 협력시간의 부족, 의사소통기술의 부족, 협력에 대한 교육과 연수의 부족, 전문가의 지원 부족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 간 협력에 대한 요구로는 교사 간 의사소통, 교사 간 관찰하기 및 자문, 정기적 협력 회의, 협력에 대한 전문가의 지원, 교사 간 공통된 지도법 공유 및 사용, 시스템의 개선, 교사간 동등한 협력 및 참여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 간 협력 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협력이 이루어질 수있게 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