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성 유아교사가 유아, 학부모, 그리고 동료 여성 유아교사와의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

        김신호(Kim, Shinho),김낙흥(Kim, Nak-He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전일제 담임을 맡고 있는 남성 유아교사들이 유아, 학부모, 그리고, 동료 여성 유아교사와의 관계에서, 특히 성(性)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어려움에 초점을 두고 탐색하고자 했다. 서울시와 경기도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전일제 담임을 맡고 있는 남성 유아교사 4명이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고, 2017년 7월 8일부터 8월 27일까지 약 8주간 연구 참여자별로 4회기에 걸쳐 심층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의 세 단계를 걸쳐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자료들을 부호화하고 유형화하며 분석했다. 첫째, 남성 유아교사들은 본인들이 담당하는 유아들과의 부정적인 관계를 경험했는데, 유아들이 남성 유아교사에 친숙하지 않았고, 남성의 굵고 큰 목소리에 놀랐거나, 아이들과의 스킨십으로 인해 오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일어난 경우들이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동료 여성 유아교사와는 다른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주로 학부모들이 남성 유아교사에 대해 느끼는 생소함과 거리낌에서 비롯된 경우들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동료 여성 유아교사들과의 업무적 그리고 사교적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남성과 여성 유아교사들 간의 대화방식과 관심사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들이었다. 또한, 동료 여성 유아교사들과의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남성이기 때문에 잘 할 것이라는 일들을 떠맡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출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남성 유아교사들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겪는 어려움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남성 유아교사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유아교사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of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worked as full-time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children, parents, and female fellow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ing on gende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our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worked as a full-time teacher.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8 weeks from 08, July to 27, August, a total of four interviews was done with each participant. Gather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ding and classifying by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method comprised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confirmation of categories. First,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having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as the children were not familiar with a male teacher, the voice of the male teachers’ was big, and the male teachers did not want to make trouble by touching children. Second, the participants had difficulties with parents in their relationships that are different from fe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mostly because parents were not familiar with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felt uncomfortable. Lastly, the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female fellow early childhood teachers on account of different social skills and work styles, these difficulties were due to different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topics. In addition, in order to keep good relationships with their female teachers, the male teachers could not complain about extra works that females think males would do better than fema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Furthermore, this study could serve as a foundational work that helps people study ways to support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perform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육과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되어감에 대한 질적 연구

        이혜경,윤재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s and cognition changes for becoming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qualitative study and participated in five pre-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enrolled at the university in Dae-gu. To find out pre-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s at the Univers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 recording files of interviews, the journals of researchers and various data by e-mails and mobile messenger and those comparison data were analyzed repeatedly. The results reveal an extraction of 3 categories and 9 subcategories; Category 1) the experiences of learning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change of perception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beginning of concern about early childhood teachership, become a member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Category 2) the experiences for becoming pre-kindergarten teacher : growth i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similar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growth through various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s, individually fill up the missing parts, Category 3) the experiences for self-awareness as pre-kindergarten teacher : self-discovery familiar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dings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s, findings through setting their own kindergarten teacherchip. These findimgs suggest that pre kindergarten teachers’s experiences during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the growthof pre kindergarten teacher. This will help pre kindergarten teacher teachers to prepare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for the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떠한 경험을 통해 교사로 되어가는 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시 대학의 한 유아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면담 녹음파일, 연구자 저널, e-mail이나 메신저로 수집된 자료들을 반복적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3개의 큰 범주(유아교육에 대해 알아가는 경험, 유아교사로 성장하는 경험, 유아교사에 가까워진 자신을 발견하는 경험)와 9개의 하위범주(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유아교사직에 대한 고민의 시작, 유아교육과의 한 일원되기, 유아교육현장과 비슷한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의 성장, 다양한 유아교사 교육과정을 통한 성장, 개별적으로 부족한 부분 채워가기, 유아교유육학에 익숙해진 자신 발견,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통한 발견, 자신만의 교직관 구축을 통한 발견)가 추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일어마는 경험들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유아교사로 성장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예비유아교사 양성가들에게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의 교육방향과 지침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 인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기대와 자기평가

        엄은나,전우경,서동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examin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ctation level and self‐rated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and for this purpose, conducted a survey with 51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ctation level and self‐rated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at is, the expectation level and self‐rated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were higher in high‐grade students, those who had completed course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and participated in volunteer teaching activities, and those who had completed courses of teaching practice. In addit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ctation and self‐rated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did not agree with each other, and the self‐rated level was far lower than the expectation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are made suggestion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aking interest in their own happiness and well‐being. Lastly,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nking reflectively and internalizing practical knowledge for building a positive character. 본 연구는 유아교사 인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기대수준 및 자기평가수준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예비유아교사 51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 인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기대수준 및 자기평가수준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년이 높을수록 그리고 인성교육 관련 교과목 이수와 교육봉사활동 참여, 보육실습과 교육실습 교과를 이수했을수록 유아교사 인성에 대한 기대수준과 자기평가 수준이 높았다. 또한 유아교사 인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기대와 자기평가수준은 일치하지 않았으며, 기대수준에 비해 자기평가수준이 현저히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 자신의 행복과 안녕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인 인성 형성을 위하여 예비유아교사 자신이 반성적으로 사고하고 실천적인 지식을 내면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 KCI등재

        현직 유아교사 및 예비 유아교사의 정신건강 실태 비교 연구

        조준오,나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ates of at-risk groups of mental healt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child care teacher training institute student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ny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rates of the at-risk groups of ment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87 selected people who were being educated or working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city of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A mental health test was conduct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at-risk group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the numbe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were at potential risk or high risk of mental health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at-risk group of anxiety accounted for 13.5 percent; depression, 11.7 percent; impulsiveness, 21.4 percent; and aggressiveness, 9.3 percent. Second, regarding the at-risk groups of the child care teacher training institute students, the number of child care teacher training institute students at potential risk or high risk of mental health was analyzed, and the at-risk group of anxiety accounted for 9.0 percent; depression, 3.7 percent; impulsiveness, 5.5 percent; and aggressiveness, 3.8 percent. Third, concerning the at-risk group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numbe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potential risk or high risk of mental health was analyzed, and the rate of the at-risk group of anxiety stood at 9.0 percent; depression, 3.7 percent; impulsiveness, 9.4 percent; and aggressiveness, 2.9 percent. Fourth,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the child care teacher training institute student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mental health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rates of the at-risk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the child care teacher training institute student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erms of all the anxiety, depression, impulsiveness and aggressiveness. 본 연구는 최근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아동폭력 사태에 주목하고, 아동 폭력과 직간접인 관계가 있는 유아교사의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해보려는 목적으로 시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와 경남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인 유아교육과 학생 및 보육교사교육원 학생 총 987명을 대상으로, 불안, 우울, 충동성 및 공격성을 하위 요인으로 구성한 정신건강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유아교사와 현직 유아교사 모두 충동성 일반군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공격성 일반군에 속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상별 정신건강 수준을 위험군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육과 학생의 정신건강 위험군(잠재적위험군, 고위험군)은 충동성이 22.4%로 가장 높고, 불안 13.5%, 우울 11.7%, 공격성 9.3%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비율은 일반 대학생과 유사하게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보육교사교육원 학생의 정신건강 위험군(잠재적위험군, 고위험군)은, 충동성이 5.5%, 불안 4.6%, 우울 4.2%, 공격성 3.8%로 나타났으며, 이 비율은 일반 성인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직 유아 교사의 정신건강 수준 위험군(잠재적위험군, 고위험군)은, 충동성 9.4%, 불안 9.0%로 다소 높게 나타나고, 우울은 3.7%, 공격성은 2.9%로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일반 성인보다는 조금 높은 수준이었다. 넷째, 유아교육과 학생, 보육교사교육원 학생, 그리고 현직 유아교사 세 집단의 정신건강 위험군 비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불안, 우울, 충동성, 공격성 모두 유아교육과 학생이 보육교사교육원 학생 및 현직 유아교사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차 유아교사가 될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사전 조치 및 현직 유아 교사의 정신건강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사의 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구조적 관계

        이정희,안효진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교사의 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595명을 연구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1.0와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측정모형, 구조모형,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모형적합도 및 효과검증을 확인하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놀이성은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접 효과가 있었으며,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을 매개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간접효과를 보였다. 넷째, 팬텀변수를 활용한 특정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놀이성 → 놀이교수효능감 → 교수창의성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특정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2019 개정누리과정 유아중심·놀이중심의 교수·학습과정에 교사들의 전문적인 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play teaching efficacy,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ith chil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9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or this study, 4 research tools were used, such as the adult playfulness scale(Glynn & Webster(1992) modified by Park(2003) and Hong(2019)), the effectiveness of play teaching scale(Shin, Yoo, Park (2004), the teaching creativity scale(developed by Urban (1997) and Cropley (2001), modified Baek & Kim(2008)),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scale(developed by Lee(2003), revised by Kang & Baek(2013)).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fficiency of play teaching, the creativity of teaching,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overall tended to be high. Second,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play teaching efficacy,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the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stablish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confirmed model fit and effectiveness of play teaching effectiveness,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Fourth, analysis of specific indirect effects using phantom variables showed that the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 the creativity → the specific indirect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infant teachers’ playfulness,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rough direct and indirect channels. This suggests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efficiency of play teaching, and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when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act with children and eventually affect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children.

      • KCI등재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오희성,김승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s basic research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carried out preliminary survey for 10 early childhoo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Jeollanamdo, and then conducted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were 419 early childhoo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é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gnitive, environmental, and intentional aspects of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teachers’ age, career, education, type of their institution, marital status, and age of young children in charge. Sinc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twenties with career length of three years or less was relatively high,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differently organized according to teachers’ age, career, education, and so on.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s effective data in developing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교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교사 배경 변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한 후,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41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t-검증, one-way ANOVA,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 등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은 인지적·환경적·의지적 측면에서 근무 기관 유형, 나이, 경력, 학력, 결혼 여부, 담당 유아 연령 등의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0대의 3년 미만 경력을 가지고 학력이 높은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교사교육프로그램은 나이와 경력, 학력 등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교사 배경 변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을 통한 정체성 형성의 의미 탐구

        정대련,최수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identity formation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experiences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Six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at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provinc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without exaggeration. Based thereon, Giorgi'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lived experiences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more concretely and reveal the meaning of it. Results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rming their identity through: first, the memories of their own childhood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self-esteem and values to pursue that are formed based on personal belief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ird, the experiences of learning and practice encountered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 of becoming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lusions Time spent as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is important in order to form a positive early childhood teacher ident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talk to each other about the image and mea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their own experience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field by strengthening practical training. It is also necessary to bring them to a sense of conviction that they are professionals by striving to improve the low social awarenes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providing appropriate salaries.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유아교사 정체성 형성에 주는 의미는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방법 서울⋅경기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6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기 위해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Giorgi의 ‘경험적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살아 있는 경험의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의미를 밝혔다.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첫째, 자신의 과거 경험 속에 남아있는 어린 시절과 유아교사에 대한 기억 둘째, 현재 개인의 신념에 근거하여 형성한 유아교사로서의 자부심과 추구하는 가치, 셋째, 미래 유아교사로서 준비과정에서 경험하는 배움과 실천 등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결론 유아교사들이 긍정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 시기에 자신의 과거 경험 속 유아교사 이미지와 그 의미에관해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실무 중심의 교육을 강화함으로써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유아교사에 대한 낮은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과 근무환경의 개선, 적절한 급여 제공 등으로 전문가로서의 확신을 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권위 상실에 대한 원인 분석과 권위 정당화 방안 탐색

        김치영 ( Chi Young Kim ),임상도 ( Sang Do R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 일환으로 유아교사의 권위 상실의 원인 분석과 권위를 정당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유아교사의 권위 상실을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비판적 탐구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유아교사는 유아교육에 대한 지적 능력과 유아교육에 대한 감식력을 갖춘 유아교육관이 부재하면 권위가 상실된다. 유아교사가 유아교육의 중요성과 특수성에 상응하는 존경과 인정을 받지 못하더라도 주체적으로 권위를 확립하려고 하지 않을 때 권위가 상실된다. 유아교사가 권위를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실행연구자로서의 지적 권위를 가져야 한다. 둘째, 유아교사는 시대정신을 반영한 도덕적 권위를 소유해야 하면서 전문적 돌봄과 결부된 가르침 속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가 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교사는 인격적 특성이 반영된 카리스마적 권위도 가져야 한다. 다섯째, 유아교사의 권위 정당화를 위해서는 주변인들은 유아교사의 지적 공동체 활동에 협력해야 한다. 정부는 유아교사 처우개선을 위한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해야 하며, 언론은 유아교사의 모범적 사례도 보도를 해야 한다. 학부모에게는 유아교육 참여권을 보장하는 장치를 마련해야 주어야 한다. 유아교사의 유아교사직에 대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권위 정당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 of the lo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uthority as part of establishing early childhood teachers’ identity and to search the method to justify the author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manner of critical inquiry that critically approaches the lo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uthorit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lose the authority when they lack of an intellectual capacity and when view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is satisfied with discernment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bsent. Also,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lose the authority when they do not try to establish the authority of their own independently even when they are not respected and recognized with the importance and specialit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are various things to be satisfied so that the justification of the author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an be fulfilled. First of all,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t be equipped with the intellectual authority that can perform the role of knowledge creation. Secondl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own the moral authority that reflects the spirit of the times and become ‘loving authority’ with professional support and guidance. Thirdl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have charismatic authority that mirror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y need to cooperate in the intellectual activities in the community with other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 government reflects the voice for the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s to the policy and the press should report an exemplary cas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the parents need to contribute to justif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uthority through the system that guarantees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로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들의 인식비교 연구

        이선애 ( Sun Ai L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로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들의 인식비교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128명과 유아교사 147명으로 전체 275명을 대상으로 로봇에 대한 인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 간에 차이가 나타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째. 교실 수업에 로봇을 활용하는 것이 유아에게 안전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물음에 유아교사는 ‘보통이다’. 예비유아교사는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교실 수업에 로봇이 도입된다면 로봇의 형태에 대한 선호도를 물어보는 물음에 유아교사는 ‘팻’, 예비유아교사는 ‘캐릭터’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실 수업에 로봇이 도입된다면 로봇의 크기에 대한 선호도를 물어보는 물음에서는 유아교사 ‘유아키보다 작은 정도’, 예비유아교사는 ‘유아 키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들 간의 로봇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로봇의 안전성, 로봇의 형태, 로봇의 크기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so that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ducational utilization of robots. The participants were 275 kindergarten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at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positive perception on using a robot for classroom teaching aids. However, it also sai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negative perception on using a robot for teaching children. Teachers preferred a robot like a pet bu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ferred a robot like character. also they are choose safety for an essential quality.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ferred a robot tall similar to tall of early child.

      • KCI등재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와 실제 간 관계에서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의 매개효과

        정계숙(Chung, Kai-Sook),박지영(Park, Ji-Y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와 실제 간 관계에서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3, 4,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194명을 대상으로 하여, ‘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부모의 인식 척도’와 ‘유아교육공동체 인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분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초자료로서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 및 실제, 그리고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은 보통이상의 수준이며,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수준이 실제수준보다 유의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수준과 실제수준,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은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와 실제 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공동체의 중요한 주체인 어머니의 교사자질과 유아교육공동체 인식 간의 관련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교사자질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plays any mediating role within relations of bewteen mothers’ expected and recognized teacher’s qualities. For this, I have chosen this study includes 194 mothers with kids aged 3, 4, and 5 years old, who are attend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n P city and utilized the ‘scale of parents’ recognition of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cale of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data and the Sobel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as the basic data, the levels of both mothers’ expected and recognized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have been on or above the average, and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expected by mothers ha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quality currently recognized by mothers. Second, there has been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mothers’ expected and recognized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and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Third,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mong mothers has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expected and recognized by mother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related to maternal perception of teacher qualifications and educational community, and discusses implications for parent and teacher education for improving teacher qualifications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