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탁정화(Jeong Hwa Tak),강현미(Hyun Mi K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유아평가에 대한 보육교사의 실천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유아평가에 대한 능력과 실행수준을 진단해보고,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의 5가지 능력요소에 따른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인식 및 실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보육교사는 “유아평가방법의 선정”, “유아평가의 윤리성”의 순으로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평가 실시”의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 실태를 살펴본 결과, “유아평가의 윤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평가도구의 개발”에 대한 실천 정도는 낮게 보고되었다. 또한 보육교사는 유아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업무 과다로 인하여 실행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며 유아평가를 실시 할 때 일화기록, 부모면담자료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평가 전문성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의 차이에서 유의미하게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평가방법의 선정”과 “유아평가도구의 개발”에서는 교사의 인식이 높으나 실태정도가 낮으며 “유아평가결과의 분석·해석·활용·의사소통”에서는 실천정도의 실태는 높으나 교사의 인식부분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understand teachers` assessment levels and to improve a teacher`s Competence in Early children Assessment. Participating in this study are 170 day-care center teachers; we used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tools which consist of 30 items in 5 domains. The surveys included 75 item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levels` perceptions are “analysis of the concepts in teacher`s competence” and “ethicality in assessment”. The low level perception is a “description of each standard of teacher`s competence per each competence component”. Second, according to the teacher`s actual assessing practice condition, “ethicality in assessment” is higher than “extraction of the competence components”. Finally,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nd status between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actual practice when they make an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 유아특수교육기관의 발달 평가에 대한 장애 유아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 조사

        박계신 ( Gye Shin Par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5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발달평가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학부모들이 인식한 유아특수교육기관의 장애유아 발달 평가 실태, 둘째, 장애유아 발달 평가에 대한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발달평가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을 위해 전국의 공·사립 유아특수교육기관 학부모 11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의 실태 조사에서 현재 많은 수의 학부모들이 발달평가 정보를 정기적으로 받고 있었으나, 아직까지 발달평가 자료를 비정기적으로 제공받거나, 전혀 제공받지 못하는 학부모들도 있었다. 유아특수교육기관으로부터 발달평가 정보 자료를 학부모들이 제공받는 시기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는 탐구생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생활영역 자료를 주로 제공하고 있었으며, 학부모들은 교육기관으로부터 제공받는 모든 영역의 정보들의 유용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는 대부분 유아의 행동관찰기록(일화기록) 형식이나 종합적 유아평가기록 형식으로 발달평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학부모들은 현재 유아특수교육기관의 발달평가 문제점으로 평가 방법 종류의 비다양성, 평가 자료를 가정에 제공하는 횟수의 부족, 평가 자료를 가정에 제공하지 않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발달평가 목적 및 필요성과 요구 조사에서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다니는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의 발달평가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었으며, 자녀의 행동문제 등을 위한 방안 마련과 개별화 교육계획을 위해 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요구조사에서 발달평가 정보 자료를 월1회 이상 제공받고자 하였으며, 학부모들이 가장 우선순위를 두는 영역은 사회생활 영역이었으며, 학부모들과 교육기관 모두 탐구생활영역에 두는 가중치는 그리 높지 않았다.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유아행동 관찰기록(일화기록)이나, 종합적 유아평가 기록의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유아특수교육기관의 발달평가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arent`s recognition and need about of developmental evaluation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is sampled 115 parents of children who have gone 15 preschool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parents(7.65%) have been regularly offered information about developmental evaluation of their children, But Some parents(22.6%) have not taken or have taken irregularly. The first obtained information are children`s basic living habit and personal, homing and collective life, a social phenomenon and environment so on. It accord with parents` need. parents rated high in the utility of data of every domain. The types of information of evaluation which they are offered from teacher are the record of observation, total record of children`s evaluation. It accord with parents` need. Many parents think that children evaluation is necessary for IEP and intervention plan for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 problems are that the kinds for method of evaluation are not various and some teachers hardly offers or don`t offer data of evaluation to family. Also, result of evaluation is too simple and parents have difficulty understand data or don`t know how to use data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First of all, they want parent-teacher consultation among the offering methods of information of evaluation and they want to take a information more than once per month. They also want to have various methods of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evaluation for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director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관계지향 유아교육을 위한 유아강점기반평가

        황해익(Hae Ik Hwang),최혜진(Hye Jin Choi),남미경(Mi Kyoung Nam),정혜영(Hye Young 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지향 유아교육에서 유아교육평가를 위한 일환으로 유아강점기반평가를 소개하고 그 실행과정에 대한 전반적 안내를 함으로써 유아의 행복을 지 향하는 평가로 인식을 전환하고 실천을 강화하는 것이다. 기존 평가와 달리 유아강점 기반평가는 유아에 대한 긍정적 시각에서 약점이 아닌 강점에 초점을 맞추고, 강점을 활용한 활동을 통해 유아, 교사, 부모,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의 긍정적 관계 변화를 이끈다. 이 절차는 ‘강점 인식 및 발견하기’, ‘대표강점을 활용한 활동 고안 및 실시하 기’, 그리고 ‘변화 살펴보기 및 공유하기’로 구분된다. 유아교육현장에 실제로 유아강 점기반평가를 적용한 ‘예쁜이’ 사례를 살펴본 결과, 강점을 활용한 노력이 유아의 전 인발달뿐만 아니라 유아, 교사, 부모의 행복 및 서로간의 관계에 있어 긍정적 변화로 이어졌다. 이로써 유아강점기반평가의 가치 및 현장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으므로, 학문적으로 유아강점기반평가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와 함께 교육현장 적용가능성을 높이는 다양한 방안을 구안하기를 제안한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troduce the strengths-based evaluation for young children in relation-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ovide overall guidance about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reby changing the realization and strengthening the implementation. The strengths-based evaluation for young children, unlike existing evaluation, focuses on the child’s strengths rather than weaknesses. It also leads to positive relationship change among children, teachers, paren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organizations through activities using children’s strengths. This procedure is divided into ‘-realizing and discovering strengths-’,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activities using representative strength-’, and ‘-examining and sharing the change-’.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example of ‘-sweetie-’ which actually adapted the strengths-based evaluation for young children, the effort using the strengths leads not only to a child’s holistic human development but also to positive changes in happiness and relationship among the child, teacher, and parents. The value and field applicability of the strengths-based evaluation for young children is also confirmed. Thus, we commend conducting various studies regarding strengths-based evalu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conceiving of diverse plans for increasing its applicability to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배움을 ‘위한’ 사회문화적 유아평가의 탐색 : 방법론적 개인주의 벗어나기

        이진희(Jin-H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올해부터 모든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공통으로 실시되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추구하는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제대로 구현되려면 유아평가가 학습자중심 교육을 포함한 개정취지를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이 논문은 놀이와 배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반영하는 유아평가를 함께 구성해갈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유아평가에서 개인수준의 심리요인에 치중하여 유아교육을 단순하게 환원시킨 현상을 조명하고자, 먼저 방법론적 개인주의의 역사와 주요 영향을 살펴본 후 영국 유아평가의 사례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어서 유아·놀이 중심 교육을 위한 새로운 유아평가의 얼굴을 만들어 가기 위하여 배움을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에 부합하는 유아평가의 재배치, 예정된 평가 기준의 수용이 아니라 유아들의 목소리에 반응하는 평가의 공동 구성, 그리고 개별 유아를 대상화하는 평가의 틀을 벗어날 수 있는 사회문화적인 평가접근법의 가능성을 고찰한다. 유아평가가 낡은 방법론적 개인주의를 극복하고서 배움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배움을 ‘위한’ 평가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윤리적 실천, 지속적인 운동과 실험의 과정을 요구함을 제안한다. In order to make the child-centered and play-based curriculum,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and care to be enacted in all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from this year, come into reality, changes to child assessment that resonate with intentions of this curricular revision are urgently required. This paper is purported to explore ways to co-construct child assessment that can embrace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learning. The history and major influences of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re reviewed in order to illuminate why child assessment practices have been simplistically reduced to explaining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followed by a critical analysis of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child assessment in England. This review leads to a call for making new faces of child assessment that reflect new perspectives on learning itself, carefully listen and respond to children’s voices instead of predetermined assessment standards, and move to sociocultural assessment approaches, away from individualism-oriented assessment practices. It is suggested that ethical praxis of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s well as continuous movement and experiementation, will be mostly important in overcoming outdated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nd meaningfully functioning as assessment for learning, rather than assessment of learning.

      • KCI등재

        생태유아교사 평가를 위한 평가영역 및 준거 탐색

        하은옥(Ha Eun-Ok),허우정(Hur Woo-Jeong),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의 실적 향상과 전문적인 성장발달을 위해 반드시 제고되어야할 생태유아교사 평가를 위하여 생태유아교사의 참모습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생태유아교사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영역 및 준거 탐색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행 유아교사 평가관련 연구물들을 비교ㆍ분석하여 유아교사의 교사평가영역과 평가준거 등을 고찰 한 후 생태유아교사 평가영역과 준거를 구안하는데 참조하였으며, 또한 생태유아교육에 종사하고 있는 교육 전문가, 현장 전문가인 기관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설문지 및 심층면담을 통하여 생태유아교사의 참모습, 평가영역 및 준거, 평가방법 평가자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생태유아교사를 평가하기위한 평가영역은 교사의 신념 및 철학 등 내면적 의식을 평가하는 영역과 생태유아교육을 현장에서 실천하고 활동해 나가는 실천 및 활동영역을 평가하는 영역 등 두 부분의 평가영역을 제시하였으며, 평가방법은 단면적이고 일회적인 평가방법을 지양하고 다면적이고 과정 중심적으로 평가해야 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탐색 내용을 토대로 향후 생태유아교사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the attributes of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evaluation of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nhance quality and professional growth development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ment tool. The study purposes are : 1. To find the desirable attributes of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2. To present an evaluation area and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3.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ment tool. The study results are : Attributes of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someone who listens to nature or the inner world and seeks pleasure and happiness in nature, someone susceptible to nature and human beings, someone who teaches in accordance with this life disposition, and lives together with nature. The evaluation area and criteria are: The area of belief and philosophy and practice and activity.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an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ment tool is: The purpose of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ment should serve self-examination and growth and development. The evaluation area and criteria for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to evaluate the teachers' inner consciousness, and evaluate daily lives in relation to human beings, such as children, parents, colleagues, neighbors, community and so on, and nature, and to evaluate the practical and active areas. Various evaluation methods such as interviews, triangular surveying, portfolio evaluation rather than the rating criteria which can be simply quantified are regarded as desirable when evaluating the teachers' inner consciousness area and practical and active areas.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 evaluation should consist of not only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themselves but colleagues, professionals, and parents to evaluate various aspects.

      • KCI등재

        브릿징 평가 현장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실천지식 변화

        양정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as to apply Bridging Assessment, an activity-based assessmen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in South Korea and to explore its possibility as a child assessment tool.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one teacher at a daycare center for employees and two national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a total of 18 children aged 4 to 5. Collected data consisted of 63 participatory observations, consultations after each evaluation activity, 12 in-depth interviews, phone conversations, e-mail correspondences, child assessment record sheets, teacher journals, and daily research logs. Qualitative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the QSR NVivo 10.0 program. Results The application results of Bridging Assessment by curricular area were as follows: the accumulated practice knowledge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was categorized into four topics: ‘breaking from burdensome assessment to avoid,’ ‘implementing meaningful assessment practices,’ ‘having deeper understandings of children and supporting their learning and development,’ and ‘still agonizing over practical concern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ll for the need to overcome individual-oriented and result-oriented assessment practices. It is also suggested that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better understand children through meaningful assessment practices and to bridge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through an alternative assessment tools such as Bridging Assessment in the field of childhood education. 목적 본 연구는 활동중심 평가의 하나인 브릿징 평가를 우리나라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해 보고, 유아교사의 실천지식을 살펴보는과정을 통해 유아평가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연구참여자는 D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1인, 공립유치원 교사 2인과 각 학급으로부터 6명씩 총 18명의 만4, 5세 유아들이다. 연구자료는 총 63회의 참여관찰과 평가 후 면담, 12회의 심층면담, 전화통화 및 이메일 교신, 그리고 유아평가 기록지, 교사저널, 연구일지 등을 통해 수집되었다. 질적 연구자료는 전사 작업 후 QSR NVivo 1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브릿징 평가의 적용과정에 참여한 교사의 실천지식은 크게, ‘부담스럽고 미루게 되는 평가에서 벗어나기’ ‘유아에게 의미 있는평가 실천하기’ ‘유아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해 루브릭 연속선상에서 지원하기’ ‘유아평가에 있어서 또 다시 시작되는 현실적인 고민’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나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인중심 평가나 결과중심 평가에서 벗어날 필요성을 제안한다. 아울러 의미 있는 평가 실제를 통해 유아를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브릿징 평가와 같은 대안적 평가를 통해 교수⋅학습과 평가를 연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 언어발달 평가 및 평가도구에 관한 인식 및 요구, 활용실태

        김순환,전우용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2

        Language is a foundation for thinking and a tool of communication for learning; thus, it plays critical roles in the development and learning of young children. It is a basis for the enhancement of young children’s linguistic competence, and the implementation of higher quality education to figure out the language development levels of young children and reflect them on curricula. The lack of proper assessment tools and materials to support th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has, however, made it difficul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arry out the assessment of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accurate measures and observations.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uses and perceptions of assessment and assessment tools for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anguage development assessment tool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consultation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perts. The findings show that the teachers recognized a need for th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that teachers argued for the implementation of both formal and informal evaluations. The teachers assessed the languag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class plans, but they exhibite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language development assessment and its tools employ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implies a need to make and distribute an assessment tool that teachers can make easy use of in the field and provide them with a detailed manual to promote their understanding in order to increase their utilization rates. The teachers also put an emphasis on the assessment of understanding and attitude among the elements of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had the lowest level of need for the assessment of reading or writing aspects. It is, however, required to strike balance in the assessment of all the elements of language development and offer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 to take the connections among the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domains into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desirable languag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언어는 사고의 기반이 되며, 학습을 위한 의사소통 도구가 된다는 점에서 유아의 발달과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을 파악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은 유아 언어능력 향상과 질 높은 교육 실현을 위한 기본이 된다. 그러나 유아의 언어발달 평가를 지원하는 적절한 평가도구와 자료의 부족으로 유아교육기관 현장에서 정확한 측정과 관찰을 통한 언어발달 평가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유아 언어발달 평가 및 평가도구에 관한 인식과 요구, 활용실태를 조사ㆍ분석함으로써 언어발달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유아교사 및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유아 언어발달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했으며 담임교사가 형식적 평가와 비형식적 평가를 병행하는 형태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했다. 교사들은 학급에서 수립한 계획에 따라 유아 언어발달 평가를 실시하고 있었지만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언어발달 평가 및 평가도구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이는 교사들이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제작ㆍ보급함과 동시에 교사들의 이해를 돕는 상세한 매뉴얼을 제공해 교사들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교사들은 유아 언어발달 요소 중 이해와 태도 관련 측면의 평가를 강조하며 읽기 또는 쓰기 관련 부분을 가장 평가할 필요가 낮다고 인식했다. 그러나 유아의 바람직한 언어발달을 위해서는 언어발달 요소 전반을 균형 있게 평가하고, 말하기ㆍ듣기ㆍ읽기ㆍ쓰기 영역의 연계가 세심하게 고려된 통합적인 교육활동이 제공되어야 한다.

      •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에 대한 유아교육 전문가의 요구 분석-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김병만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에 대한 요구도를 수렴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정책·평가 전문가, 유아교육행정 전문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본 연구는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의 프레임 구성을 위하여 개방형, 폐쇄형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육 전문가를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내용 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평가범주와 평가준거 기준을 선정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선행연구를 수렴한 결과, 김병만(2014), 강영욱(2004), 정강희(2003) 기준의 순으로 높은 요구도가 도출되었고, Suchman(1967), Nakamura & Smallwood(1980), Dunn(1981), 정일환(2000) 및 김종철(1996)의 연구에 대한 요구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평가 범주와 평가 준거의 중요도 및 필요도에 대한 요구도는 공공성, 실현가능성, 공익성, 민주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방향 및 기타 의견에 대한 요구도를 수렴한 결과, 평가의 범주, 준거, 요소는 철학적, 논리적, 이론적 용어로 정리하되, 학부모들이 직접 평정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쉬운 용어로 풀어서 제시하도록 요구하였고, 가능한 최소의 문항에 핵심 내용을 포함한 콘텐츠 구성 등의 요구도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부모를 유아교육정책의 수혜자로 규정하여 대상화, 타자화 시키는 현실에서 벗어나 이들이 정책 수립과 실행 및 평가의 주체로 위치함에 당위성을 확보하였고, 이에 대한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한옥미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7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2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child education institution teachers’recognitions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social/emotional assessments of them, and explore needs for such assessments in the educational field. Survey was conducted by 284 teachers in charge of classes of 3-5 years old young children’s in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at Metropolitan areas. First, while teachers agreed on the necessity of assessments of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assessments was low. They recognized that insufficient time for the assessments due to their overworks and high rate of teachers to young children’s are the greatest problems to assessments of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assessments was low in the field. They felt that methods to reflect the results of such assessments on the curriculum by interpreting and recording them were necessary. Second, teachers often designed period, content and method of assessments, rather than used the results of assessments, in the preliminary planning of the assessments. In the actual field, anecdote recordings and checklists are more often used for the assessments. Thus, assessment data which specifically guide utiliz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the assessments and simple assessments that can be actively applied to the field should be produced and distributed.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시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만 3~5세 학급 담임교사 284명이 설문지 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은 개별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수준과 개인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반면에 교사의 과도한 업무로 인한 평가 시간의 부족 및 학급 내 교사 대 유아의 높은 비율을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였으며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의 만족도는 낮았다. 교사들은 유아 사회·정서발달을 평가한 결과를 해석하고 기록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위한 사전 계획 시 평가의 시기,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계획 보다 평가의 결과 활용에 관한 계획을 세우고 있는 교사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위해 일화기록법, 체크리스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활용하기에 용이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간편한 평가 방안과 해석 및 활용방법이 자세하게 안내되어 있는 평가 자료의 제작 및 보급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유아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방향성 모색 연구

        김경철,이민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form a concepts and support measures for desirable early childhood assessment. It also produced field support materials that help teachers assess early childhood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assessment and the results of 53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12 to 2021. First,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assessment, confirmed that the necessity and value of early childhood assessment have been steadily recognized and dealt with in various types and contents, including various subjects. Second,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assessment in terms of quality, thre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introductory period to third-generation assessment, a stagnation period of teacher re-education and immediate education, and a transition period to various early childhood assessment methods. Third,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direction that early childhood assessment should pursue, three directions were sought: participating in assessment through a multilateral approach by the educational community, supporting assessment through education reflecting the needs of the educational targets, and conducting assessment research that introduces assessment cases using various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need for related research and the direction that early childhood assessment should pursue. 본 연구는 유아평가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유아평가를 위한 개념 형성과 지원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이자, 교사의 평가를 돕는 현장지원 자료를 제공한다. 이에 2012년~2021년에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5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평가 관련 연구 동향을 양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다양한 대상이 포함된 여러 유형과 내용의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온 것으로 보아, 유아평가의 필요성과 가치가 꾸준히 인정되어 왔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유아평가 관련 연구 동향을 질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제3세대 평가로의 입문기’, ‘교사재교육 및 직전교육의 정체기’, ‘다양한 유아평가 방법으로의 전환기’로 세 가지 특징을 도출하였다. 셋째, 유아평가가 추구해야 할 방향성을 모색한 결과, ‘교육공동체의 다각적 접근을 통한 평가 참여’, ‘교육대상의 니즈(needs)를 반영한 교육을 통한 평가 지원’, ‘다양한 방법의 평가사례를 소개하는 연구’로 세 가지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지속되어야 할 관련 연구의 필요성 및 유아평가가 추구해야 할 지향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