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달장애 유아의 자세조절과 원시반사조정 그리고 양측운동조절을 위한 전정자극 훈련의 효과

        김혜선,송병호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7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18 No.-

        이 연구는 세분화된 전정자극 훈련이 중도 발달지체 유아의 자세조절력과 원시반사 통합 그리고 양측운동 통합의 전정기능과 전반적 발달에 효과적인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평균 5세의 중도 발달지체 유아 세명이다. 측정도구는 Donald A. Berk과 Georgia A. DeGangi가 편찬한 드간지 벅 감각통합검사(DeGangi - Berk Test of Sensory Integration)에서 설명한 36개의 자세조절과 원시반사 통합 그리고 양측 운동통합의 하부항목들 중 유아들에게 적합한 10개를 선택하여 약식의 측정도구를 제작하여 적용하였고 전반적 발달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덴버 II(DENVER II development screening test; William, 1967)를 사용하였다. 훈련내용은 수직, 수평 그리고 회전으로 이루어진 세 가지 전정자극 훈련을 실험기간 동안에 주 2회 실시하고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정훈련후의 점수가 훈련 전 보다 현저히 높아졌으므로, 세분화된 전정자극 훈련은 중도 발달지체 유아의 자세조절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분화된 전정자극 훈련은 중도 발달지체 유아의 원시반사 통합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유아 1과 2는 훈련 후에 만점에 도달할 수 있었고, 유아 3은 처음에 안정적인 통합을 보이면서도 전정자극훈련의 영향에 변동이 없었다. 셋째, 점수와 관찰내용으로 보았을 때, 세분화된 전정자극 훈련은 중도 발달지체 유아의 양측 운동 통합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필과 종이의 사용방법이 달라지고 오류를 수정하는 등 평가에 임하는 태도에 변화를 보인 것이다. 넷째, 세분화된 전정자극 훈련은 중도 발달지체 유아의 전반적 발달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1과 3이 높은 점수 차를 얻었고, 차이를 보이지 않은 유아2도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전반적인 움직임의 안정성 유지에 발전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운동감각이 현저히 증가되는 시기인 유아기의 세분화되고 간단하지만 정확한 전정자극 훈련이 중도 발달지체 유아의 자세조절력과 원시반사 통합 그리고 양측운동 통합을 비롯하여 일상생활 적응력, 대·소근육 그리고 언어발달의 전반적 발달영역에 모두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알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pecific vestibular stimulation on the abilities of postural control and primitive reflex integration with bilateral movement integration. The subjects were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verage age 5 year-old. The measurement tools were 10 questionary from the DeGangi Berk Tes of Sensory Integration and Denver II-Development Screening test. Three ways of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include vertical and horizontal rotation were performed two times a week. The measurement were taken pre and post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specialized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was effective on controling the posture fo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Second, the specialized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was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primitive reflex integration. Child 1 and 2 reached to highest point. Chid 3 showed steady integration at the beginning, but he showed any change with the vestibular stimulation. Third, the results of tests showed specific vestibular stimulation was effective on bilateral movement integration. Child was different with holding the pencil and using the paper. Fourth, the specific vestibular stimulation was effective on general development of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Child 1 and 3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child 2 showed a steady stability even 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from the results the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was effective on development of postural control and general developmental fo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KCI등재

        유아의 정보화능력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나리 ( Na Ri Kim ),조준오 ( Jun Oh J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보화 능력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정보화 능력의 하위변인인 컴퓨터 활용 태도, 컴퓨터 조작 능력, 정보 검색 능력 및 정보 활용 능력 네 가지 요소가 각각의 발달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정보화의 어떤 요소가 유아에게 있어 중요한 변인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당성하기 위해 122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유야 정보화능력 검사와 유아발달 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정보화 능력은 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유아 정보화 능력의 영향력 정도는 인지발달, 언어발달, 정서발달 사회성발달, 신체발달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화 능력의 하위 변인이 유아발달 전체 및 하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정보 활용능력과 컴퓨터 활용태도가 유아발달 및 하위발달영역에서 높은 영향력을 냐타내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what factor of informa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a child, by examining the effect of child`s information oriented activities on child`s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the subvariables of information oriented activities(4 factors) on each developmental area: Attitude on computer use, computeracy, web information search literacy and information literacy,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est of child`s information oriented activities and test of child`s development were performed and analysed. targeting 122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Firstly. child`s information oriented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child`s development. and the impact in the order of its degree is as follows; cognitive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emotional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and physical development. Secondly,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subvariable of information oriented activities on child`s whole and lower development. information literacy and attitude on computer use were important variables with high influence in child`s developmental and lower developmental area.

      • KCI등재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 발달 영향요인 분석

        곽수란,이진순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ity and cognitive-language development in infant on temperament, parenting characteristics and childcare teachers` efficacy using the 6th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t set the basic assumption that temperament, parenting characteristics and childcare teachers` efficacy in infant(49~55 month) have causal relationship in sociality and cognitive-language development. Measurement variables are infant temperament,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parenting attitude, childcare teachers’ efficacy and sociality, cognitive-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compared the two groups (father and mother)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program be used SPSS and LISREL.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infant temperament on sociality development, mother’s education level on cognitive-language development had the positive influences. Expect for the paths had no effects. But if childcare teachers` efficacy be mediated, No effects paths had the positive effects. It is consider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effects of causal relationship of teachers` efficacy in infant on sociality and cognitive-language development and will be available as information for healthy development of infant and enhancement of parenting activities. 이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5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아기질, 부모 양육배경, 보육기관 교사 특성이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인과관계 효과를 탐색하고 있다. 분석 맥락은 일차적으로 유아기질, 부․모 학력이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부․모양육태도와 교사효능감이 유아발달에 매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변수는 유아기질, 부․모학력, 부․모양육태도, 교사효능감, 사회성발달 그리고 인지․언어발달이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모형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와 LISREL이다. 분석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학력에 따라 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었고, 두 모형의 공통적인 결과는 유아기질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이다. 더 나아가 아버지학력은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만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발달은 보육기관 교사효능감의 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해 주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유아기 건강한 발달을 조력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취약계층유아의 발달에 관한 연구

        구효진,김환중,신행우,이윤정,박영주,최진선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0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gnitive, language, social, and motor development of kindergarten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Among the low-income families in North Jeolla Province, 971 children aged 3 to 6 from low-income family itself, low-income with multi-cultural family, single parent, grand parents, and alternative home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reover to investigate more accurate cognitive, language, social, and motor development for kindergarten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they were compared with 498 kindergarten children from better background randomly selected in the same local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revalence rates of the level(high, middle, and low) of overall, cognitive, language, social development from those in better background. Next, kindergarten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overall, cognitive, language, social, and motor development than those in better background. Last, kindergarten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reported that their delayed motor development influenced language development negatively mediated by delayed cognitive development, and finally had a negative affect on social-emotion development.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atypical development of kindergarten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and suggested further studies relevant to early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본 연구는 국내 취약계층유아의 전반적 발달 상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북도 내 거주 만 3-6세 취약계층유아(N=971)와 동일지역 내 일반가정 유아(N=498)였으며 이들이 보이는 발달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전반적인 발달, 초기 인지, 언어, 사회성, 운동영역에 대한 발달검사가 실시되었다. 이에 따르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계층유아와 일반가정유아는 각 발달영역(전반적인 발달, 인지, 언어, 사회성)에서 발달수준(상, 중, 하)에 따른 분포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취약계층유아와 일반가정유아의 발달영역별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모든 발달영역(전반적 발달, 인지, 언어, 사회성, 운동)에서 취약계층유아가 일반가정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취약계층유아를 대상으로 발달영역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살펴본 결과, 초기 운동발달지연은 인지발달지연을 매개로 언어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결국 사회성발달 지연으로까지 이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취약계층유아의 비전형적 발달이 보고되었으며, 이를 조기예방 및 중재하기 위한 조기개입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일반유아와 발달장애유아의 BGT-2 반응 특성 연구

        이희연,조용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유아와 발달장애유아의 BGT-2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아와 발달장애유아의 BGT-2의 발달지표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일반유아와 발달장애유아의 BGT-2의 정서지표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일반유아와 발달장애유아의 BGT-2의 각 도형모사에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대상은 발달장애유아 23명과 일반유아 57명으로 총 80명이며, 유아의 연령은 만 4세에서 만 6세이다.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과 2검증을 사용하였고, 정서지표 항목에 따른 BGT 도형모사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아와 발달장애유아의 발달지표 총득점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도형별 BGT 득점에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일반유아와 발달장애유아의 정서지표 총득점에 차이가 있었으며, 정서지표 수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셋째, 일반유아와 발달장애유아의 정서지표 항목에 따른 BGT-2 반응에 차이가 있었다. 도형배치의 혼란, 크기의 점증, 약한 선, 반복시행, 정교화(첨가)는 일반유아와 발달장애유아에게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response to BGT-2 between typical infants and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BGT-2 developmental indicator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BGT-2 emotional indicators?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BGT-2 morphology? The subjects were 23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57 typical infants with a total of 80 infants. The age of infants was 4 to 6 years old.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study, t - test and - test were us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BGT graph simulation based on emotional indicators were describ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otal score of developmental indicators of typical infants and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re was also difference in BGT-2 score by shap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otal score of emotional indicators between typical infants and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number of emotional indicator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BGT-2 response according to emotional indicators of typical infants and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sorganization of figure layout, increasing size, weak line, repetition, and elaboration (addition) were similar in typical infants and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 언어발달 평가 및 평가도구에 관한 인식 및 요구, 활용실태

        김순환,전우용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2

        Language is a foundation for thinking and a tool of communication for learning; thus, it plays critical roles in the development and learning of young children. It is a basis for the enhancement of young children’s linguistic competence, and the implementation of higher quality education to figure out the language development levels of young children and reflect them on curricula. The lack of proper assessment tools and materials to support th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has, however, made it difficul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arry out the assessment of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accurate measures and observations.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uses and perceptions of assessment and assessment tools for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anguage development assessment tool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consultation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perts. The findings show that the teachers recognized a need for th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that teachers argued for the implementation of both formal and informal evaluations. The teachers assessed the languag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class plans, but they exhibite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language development assessment and its tools employ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implies a need to make and distribute an assessment tool that teachers can make easy use of in the field and provide them with a detailed manual to promote their understanding in order to increase their utilization rates. The teachers also put an emphasis on the assessment of understanding and attitude among the elements of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had the lowest level of need for the assessment of reading or writing aspects. It is, however, required to strike balance in the assessment of all the elements of language development and offer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 to take the connections among the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domains into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desirable languag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언어는 사고의 기반이 되며, 학습을 위한 의사소통 도구가 된다는 점에서 유아의 발달과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을 파악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은 유아 언어능력 향상과 질 높은 교육 실현을 위한 기본이 된다. 그러나 유아의 언어발달 평가를 지원하는 적절한 평가도구와 자료의 부족으로 유아교육기관 현장에서 정확한 측정과 관찰을 통한 언어발달 평가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유아 언어발달 평가 및 평가도구에 관한 인식과 요구, 활용실태를 조사ㆍ분석함으로써 언어발달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유아교사 및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유아 언어발달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했으며 담임교사가 형식적 평가와 비형식적 평가를 병행하는 형태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했다. 교사들은 학급에서 수립한 계획에 따라 유아 언어발달 평가를 실시하고 있었지만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언어발달 평가 및 평가도구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이는 교사들이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제작ㆍ보급함과 동시에 교사들의 이해를 돕는 상세한 매뉴얼을 제공해 교사들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교사들은 유아 언어발달 요소 중 이해와 태도 관련 측면의 평가를 강조하며 읽기 또는 쓰기 관련 부분을 가장 평가할 필요가 낮다고 인식했다. 그러나 유아의 바람직한 언어발달을 위해서는 언어발달 요소 전반을 균형 있게 평가하고, 말하기ㆍ듣기ㆍ읽기ㆍ쓰기 영역의 연계가 세심하게 고려된 통합적인 교육활동이 제공되어야 한다.

      • KCI등재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놀이성의 매개효과

        이지연(Lee, Ji-Ye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29

        본 연구에서는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언어발달 간 관계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지역 유아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327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고, 놀이성과 언어발달은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 놀이성 및 언어발달 간 상관 분석에서 먼저,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아 언어발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나 스마트폰에 과의존하는 유아일수록 낮은 언어발달 수준을 보였다. 또한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아 놀이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나 스마트폰에 과의존하는 유아일수록 낮은 놀이성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유아 놀이성과 유아 언어발달 간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나 놀이성 수준이 높은 유아일수록 언어발달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언어발달 간의 관계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스마트폰에 과의존하는 유아일수록 놀이성 수준이 떨어짐으로서 언어발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이 언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탐색적으로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유아의 놀이성이 관여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부모 교육 및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fulness betwee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 language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The data of 327 participants in J area was finally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lower than the average and the level of playfulness and language development was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in correlation analysis among measured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playfulness.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playfulness and language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Third, the playfulness played a role as mediator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parent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유아의 정서발달을 위한 유치원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양이,조은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중국에서 유아는 서로 다른 정도의 정서 및 심리적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새로운 유아교육 이념의 도입으로 유치원에서 지력에 중시하는 것에서 유아 심리 및 정서에 치중하기 시작하였음으로써 전통적인 유치원에서 시설이 오래되어 유아 발달에 요구에 더 이상 만족시킬 수 없다. 유치원 공간과 정서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자연의 개입이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바이오필릭이 유아 정서발달에 대한 인식 차별성을 조사하여 양자가 공동적으로 인정하는 유아 정서발달에 가장 중요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지표를 찾아냈다. 양자의 인식 차별성을 분석하여 유치원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주의사항 및 지도 원칙을 제시하였고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유치원에서 유아 정서발달에 대한 가능성, 적정성을 토론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유아 정서발달 요소 및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중국 유치원 사례분석을 통하여 유치원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 요소를 정리하였다.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 요소와 정서발달 요소를 바탕으로 설문 항목을 설정하였다. 유아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가 정서발달에 대한 중요성 및 적용공간을 조사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여 바이오필릭의 중요 지표를 얻었다. (결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유아 정서발달 요소는 지지성, 친숙성, 연상성, 통제성, 인도성 5가지를 도출하였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37가지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 요소를 얻었다. 유아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조사대상이 정서발달 요소, 바이오필릭이 정서에 영향을 미친 요소, 적용공간의 중요도의 차별성 지표 및 유아 정서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7가지 바이오필릭 디자인 지표를 얻었다. (결론) 첫째,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유아 정서발달에 매우 중요하고 ‘직접 자연체험’이 유아 정서발달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둘째,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정서발달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유아 교사는 일반적으로 학부모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부모에게 유치원 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안전성은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유치원에서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전제임으로써 중시해야 한다. 넷째,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유치원의 과도 공간에 적용을 확대해야 한다. 다섯째, 정서발달에 가장 중요한 7가지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 요소를 도출하였고 유아 정서발달을 위해 다감각을 자극하여 유아 정서 감지를 풍부히 해야 한다.

      • KCI등재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자신의 행동에 대한 특수교사와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인식

        방명애,박현자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mothers on their behaviors for self-determ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5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and 99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subjects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composed of 27 questions related to their behaviors for self-determination such as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choice- making, self-advocacy, support network, community use, social skills, cooperative skills, and stress management. Multiple regression and independent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a) The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s of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erceived that they conducted more activities to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b) The mothers having jobs conducted more activities to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their children than the mothers not having jobs. (c) The teachers conducted more activities to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an the mother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와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인식을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인 특수교사 105명과 발달지체유아의 어머니 99명이 27문항으로 구성된 자기결정기술 척도를 이용하여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인식을 보고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과 두 독립변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교육경력이 많은 유아특수교사일수록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행동을 많이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직업이 있는 어머니가 전업 주부인 어머니들에 비해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행동을 많이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특수교사가 발달지체유아의 어머니보다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행동을 많이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특수교사는 자기인식능력, 선택기술, 협력기술 순으로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행동을 많이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어머니는 자기인식능력, 스트레스해소기술, 지원망구성기술 순으로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행동을 많이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교-가정 연계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후속연구를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자기보고 자료와 직접관찰에 의한 자료의 비교, 유아의 장애유형이 교사와 부모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등을 밝힐 필요가 있다.

      • 유아특수교육기관의 발달 평가에 대한 장애 유아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 조사

        박계신 ( Gye Shin Par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5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발달평가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학부모들이 인식한 유아특수교육기관의 장애유아 발달 평가 실태, 둘째, 장애유아 발달 평가에 대한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발달평가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을 위해 전국의 공·사립 유아특수교육기관 학부모 11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의 실태 조사에서 현재 많은 수의 학부모들이 발달평가 정보를 정기적으로 받고 있었으나, 아직까지 발달평가 자료를 비정기적으로 제공받거나, 전혀 제공받지 못하는 학부모들도 있었다. 유아특수교육기관으로부터 발달평가 정보 자료를 학부모들이 제공받는 시기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는 탐구생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생활영역 자료를 주로 제공하고 있었으며, 학부모들은 교육기관으로부터 제공받는 모든 영역의 정보들의 유용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는 대부분 유아의 행동관찰기록(일화기록) 형식이나 종합적 유아평가기록 형식으로 발달평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학부모들은 현재 유아특수교육기관의 발달평가 문제점으로 평가 방법 종류의 비다양성, 평가 자료를 가정에 제공하는 횟수의 부족, 평가 자료를 가정에 제공하지 않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유아특수교육기관의 발달평가 목적 및 필요성과 요구 조사에서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다니는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의 발달평가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었으며, 자녀의 행동문제 등을 위한 방안 마련과 개별화 교육계획을 위해 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요구조사에서 발달평가 정보 자료를 월1회 이상 제공받고자 하였으며, 학부모들이 가장 우선순위를 두는 영역은 사회생활 영역이었으며, 학부모들과 교육기관 모두 탐구생활영역에 두는 가중치는 그리 높지 않았다.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유아행동 관찰기록(일화기록)이나, 종합적 유아평가 기록의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유아특수교육기관의 발달평가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arent`s recognition and need about of developmental evaluation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is sampled 115 parents of children who have gone 15 preschool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parents(7.65%) have been regularly offered information about developmental evaluation of their children, But Some parents(22.6%) have not taken or have taken irregularly. The first obtained information are children`s basic living habit and personal, homing and collective life, a social phenomenon and environment so on. It accord with parents` need. parents rated high in the utility of data of every domain. The types of information of evaluation which they are offered from teacher are the record of observation, total record of children`s evaluation. It accord with parents` need. Many parents think that children evaluation is necessary for IEP and intervention plan for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 problems are that the kinds for method of evaluation are not various and some teachers hardly offers or don`t offer data of evaluation to family. Also, result of evaluation is too simple and parents have difficulty understand data or don`t know how to use data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First of all, they want parent-teacher consultation among the offering methods of information of evaluation and they want to take a information more than once per month. They also want to have various methods of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evaluation for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director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