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로서 유아교육과정의 의미와 가능성 탐색: 아이즈너의 교육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이화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Eisner's artistic curriculum model currently leading discussions on the artistic value of teaching and investigate its possibility as an alternative discourse for postmodern early childhood curriculum. Discussions on teaching as art originated from the criticism of the modern scientist view of teaching as a science. It is being developed actively in the trend of reconceptualization of the curriculum, with the emergence of postmodern discourse and constructionism as background. Eisner proposed a new curriculum model that views teaching on the basis of the attributes of art by criticizing Tyler's scientific curriculum mod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goals are not set in advance but revealed upon completion of teaching. In this way, Eisner criticizes the scientific curriculum model as a unilinear goal-means model, proposing instead a circular mode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creativity. In addition, he proposes educational evaluation in a new assessment format that reflects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experiences. Accordingly, Eisner's artistic model implies the possibility of a new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eaching an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as well as of the role of teacher. Moreover, Eisner's artistic curriculum model appears to be a viable alternative discourse on the postmodern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ed on play-centered and interest-centered activities. 본 연구는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의 주요개념을 유아교육의 관점에서 그 함의를 살펴보고, 예술로서의 유아교육과정의 의미와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표현적 결과, 교육적 감식안과 비평, 우연한 조우로서의 교육적 경험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이끈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을 살펴보고, 유아교육의 관점에서 그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표현적 결과를 유아교육과정 안에 끌어들이기’와 ‘교육적 감식안과 상상력을 갖춘 유아교사 되기’를 제안하였다. 이처럼 예술의 속성에 비추어 교육과정을 바라본 아이즈너의 모형은 단순히 교육목표 설정방식이나 수업방법에서의 기술적 변화가 아니라, 교육활동구성 및 평가, 교사의 역할 등 수업의 본질이나 교육과정 전반에 걸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무엇보다 놀이중심, 흥미중심의 활동이 주요원리로 포함되어 있고, 이미 계획화된 수업 계획안만을 고수하기 보다는 유아의 흥미중심에 근거한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강조하는 유아교육과정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은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과 포스트모던 유아교육과정의 대안적 담론으로의 가능성이 분명하다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황윤세 ( Hwang Yoonse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1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을 주제로 수행된 질적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의 의미와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 실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통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을 주제로 질적 연구를 실시한 9편을 선정하여, Noblit와 Hare(1988) 그리고 Soilemezi와 Linceviciute(2018)가 제안한 단계에 따라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내러티브의 의미와 실제에 대한 종합, 개념화, 범주화 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은 교사와 유아 모두 긍정적 경험의 메시지, 상호 작용의 재발견의 의미가 담겨졌다. 둘째,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의 실제는 이야기나누기와 인성 교육으로 실제화 되고 있었다.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은 여전히 시범적인 실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므로 이후 유아교육과정의 다원화를 위한 대안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특히 2019개정 누리과정의 실시와 관련하여 각각의 교실문화를 반영하는 교육과정에서 실제화가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he practice of the narra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qualitative meta-synanalysis conducted on the topic of the narrative curriculum. The meaning of narrative was derived by conducting qualitative meta-synanalysis according to the steps suggested by Noblit and Hare (1988) and Soilemezi and Linceviciute (2018) by selecting 9 qualitative studies on the topic of narra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The work of synthesizing, conceptualizing, and categorizing both, and reality was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curriculum contained a message of positive experiences and rediscovery of interactions for both teachers and young children. Second, the reality of the narrative curriculum was practiced through storytelling, character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Since the narrative curriculum is still a pilot reality, it is necessary to seek alternatives for diversif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교육과정’ 교재 내용분석

        김민솔,이효림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university material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used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To this end, 13 textbooks including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were collected through internet portal sites. internet bookstores, and publisher book searches. A classification system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textbook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university material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areas: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ics' and 'Effec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Four major themes were developed from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ics’: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Understanding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oretical Basics', and ‘Understanding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Also, 'Prepar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Oper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Early Education Program', and ’Operation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 were obtained from the area of ‘Effec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nstituting a total of eight major themes. Second, the weight of each topic and the content of each sub-topic were different for each textbook, and there were some textbooks with a high proportion of contents that were either omitted or overlapped with other subjec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necessity of reviewing the overlap with other subjects in the training course and the direc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uch as strengthen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사용되는 유아교육과정 대학교재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이 반영된 교재 13권을 수집하여 분류체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정’ 대학교재의 내용은 크게 ‘유아교육과정 기초’와 ‘유아교육과정 실행’의 두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유아교육과정 기초’에서는‘교육과정의 이해’, ‘유아교육과정의 이해’, ‘유아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초’,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이해’의 4개 대주제가 도출되었고, ‘유아교육과정 실행’ 영역에는 ‘유아교육과정의 구성’, ‘유아교육과정의 운영’, ‘유아교육프로그램’,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의 4개 대주제가 도출되어 총8개의 대주제가 도출 되었다. 둘째, 각 주제별 비중과 세부주제별 내용은 교재마다 상이하였으며,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요구되는 필수적인 내용들이 누락되거나 타 교과와 중복된 내용의비중이 높은 교재들도 일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교육과정’교과목의 교재 집필에 있어서 다른 교과목과의 중복성 검토및 2019 개정 누리과정 반영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과정 연구 동향 비교 분석: ‘유아 중심’, ‘놀이 중심’ 개념을 중심으로

        정정희,최연철,이효림,박건령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6

        본 연구는 KCI 데이터베이스에서 전체연도 검색으로 유아교육과정/유치원교육과정/누리과정관련 논문 중 ‘유아 중심’과 ‘놀이 중심’ 제목 또는 키워드를 포함한 연구를 각각 수집한 후, 빈도기반의 연도별, 방법별, 대상별 동향과 LDA 토픽 모델링 기반 연구주제 동향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실시되었다. 그 결과, 전체 논문의 90%를 훨씬 상회하는 연구가 2019년 이후에 게재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주제별 동향을 살펴보면, ‘유아 중심’ 유아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에서는 <교사의 유아 중심 교육과정 인식과 지원요구> 주제가, ‘놀이 중심’ 유아교육과정 관련연구에서는 <교사의 놀이 지원요구 및 평가의 필요성> 주제가 가장 높은 출현을 보였다. 이는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유아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가 더욱증가한 고무적인 현상과 함께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교사들의 현실적 어려움과 평가 기준 마련에 관한 요구 또한 2019년 이후로 급격히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놀이 개념> 주제의 출현은 해당 개념이 교육과정 속에서 더욱 명료하게 정의되어야 하며, 교사의 자율성 뿐만 아니라 교육의 책무성을 높이기 위한 학계의 다각도적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and propose future direc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rends in research on the ECE curriculum, focusing on the concepts of ‘child-centered’ and ‘play-centered’. For this purpose, articles containing ‘child-centered’ and ‘play-centered’ in the title or keywords from among studies related to ECE curriculum/kindergarten education curriculum/Nuri curriculum were collected through a comprehensive annual search in the KCI database. The general trends based on frequency and research topic trends based on LDA topic modeling were analyzed and compared.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significantly more than 90% of all papers gathered were published after 2019. Examining the trends by research topic, the topic of <Teachers’ Perception of Child-Centered Curriculum and Support Needs> was the most prevalent in studies on child-centered ECE curriculum, while <Teachers’ Needs for Play Support and the Necessity of Assessment> was the most prominent topic in research related to play-centered ECE curriculum. These trends highlight a significant increase in studies on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s related to the child-centered curriculum following the 2019 revision of the Nuri curriculum. It also indicates a sharp rise since 2019 in the practical challenges teachers face in implementing play-centered curriculum and the demand for establishing evaluation criteria.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lay-centered’ concept needs to be more clearly defined, and multi-faceted research should be supported to enhance the accountability of education.

      • KCI등재

        놀이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내용 탐구 : 유아교사의 인식과 이해를 중심으로

        최윤경,임부연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놀이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탐구과정에서 그들의 인식과 이해를 살펴본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탐구공동체와 자극회상면담을 브리콜라주 하여 연구를 실행하였으며 총 3인의 교사가 참여하였다. 탐구공동체 모임은 교육내용, 놀이와 교육내용, 가르침과 배움의 교육내용, 페다고지와 교육내용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8회 이루어졌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1월부터 6월까지이며, 이후 자료분석 및 결과 도출이 2022년 12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교육내용을 무엇으로 결정해야 하는지 고민하지 않았던 의식의 무(無)에서 자각으로 인식하였는데 교육내용이 무엇인지 명확한 이해가 부족했고 교사용 지도서를 실제 교육내용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개정 누리과정 이후 교육내용의 가치를 이해하며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내용의 자율성을 지지하고 유아의 삶에 가치있는 요소를 포함하는 교육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둘째, 가르침의 수단이 되었던 놀이 속에서 교육내용은 상실되었으나 최근 개정 누리과정으로 놀이의 의미를 되찾아 교육과정으로부터 놀이, 놀이로부터 교육과정으로 놀이 속에서 확장되는 교육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가르침과 배움의 관계를 구분하지 않는 유아~교사~물질의 얽힘 속에서 교육내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고민하고 삶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아를 관찰하고 존중하고 배려하는 교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유아교육과정에서 교육내용은 복잡성과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현장에서는 유아의 흥미와 경험을 기반으로 유동적이고 융합적인 교육내용이 형성된다. 이러한 교육내용의 핵심 요소는 놀이이다. 유아는 다양한 지식, 기능, 태도, 가치 등을 놀이 속 경험을 통해 배우고 습득한다. 교사의 역할은 단순히 지식 전달자, 교육과정 계획자를 넘어 유아를 관찰하며 교육내용이 만들어지는 현상의 복잡성과 유연성을 볼 수 있는 자가 되어야 한다. 교육내용은 교사와 유아 그리고 물질이 함께 현상을 만들고 변형시켜 가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교사는 유아의 선택을 존중하고 기록하며 관찰해야 한다. 본 연구로 교육과정의 실행은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과 교육내용의 이해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 함의점을 가진다. Purpose: 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s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play-bas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Bricolage approach. It combined the Community of Inquiry and stimulated recall interview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ontent. A total of three teachers participated, with eight sessions of Community of Inquiry meetings conducted on four topic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June 2022, followed by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hich continued until December 2022 for meaningful insights. Results: First, teachers have shifted from an unconscious state to self-awareness when it comes to determining educational content. They used to lack a clear understanding and sometimes misinterpreted teacher guides. However, after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y have made efforts to understand the value of educational content, support teacher-child collaboration, and include meaningful elements in children's education. Second, educational content was somewhat lost within the realm of play as a teaching tool. But recent curriculum revisions have rediscovered the importance of play, both within and beyond the curriculum. Third, teachers are now pondering the meaning of educational content in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children, teachers, and materials, where the lines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blur. They observe, record, and respect children's choices to shape their world and lives thoughtfully. Conclu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urriculum is complex and flexible, based on children's interests and experiences. Play is a key element, where children learn various aspects through their experiences. Teachers should not just transmit knowledge but become observers, respecting and documenting children's choices as educational content evolves through interaction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and understanding in curriculum execution.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손유진,강승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evaluation research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evaluation using network analysis that shows the key keyword features and the structure among keywords. Method: Analysis results of 2,969 keywords of 838 research articles from 2002 to August 1, 2022 were presented in three categories: total keyword structure, keyword structure by period, and structure between keywords. Through UCINET6, we analyzed the keywords' connection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intermediary centrality,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that appeared high in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and visualized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co-occurrence frequency through NetDraw.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ll keywords, ‘early childhood teacher’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e analysis by period from the 1st period (2002-2006) to the 4th period (2018-2022), the evaluation research was leading from the diagnostic evaluation to the study of evaluation indicators related to play. 'Pre-kindergarten teacher' was connected with teacher education program, reflective simulation clas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eflective thinking, life guidance method, and class satisfaction. The keyword 'early teacher' was linked to individualized curriculum, learning community, self-growth, play, play-centered education, evaluation index, and kindergarten evaluation. ‘2019 Nuri Curriculum’ was connected with ‘play’,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kindergarten evaluation’, ‘infant teacher’, ‘core competency’, and ‘infant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research involving discourse and practice that expand the horizon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evaluation on how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as an evaluation to support individual growth and learning of learners and to support individual growth of learners while improving teachers’ teaching practic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핵심 키워드 특징과 키워드 간 구조를 보여주는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교육과정 평가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과정 평가 연구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2002년부터 2022년 8월 1일까지 838편의 연구물의 키워드 2,969개의 키워드를 분석 결과를 전체 키워드 구조, 시기별 키워드 구조, 핵심어간 구조의 세 가지 범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UCINET6를 통해 키워드의 연결, 근접, 매개 중심성, 에고 중심성 분석과 동시 출현 빈도에서 상위에 나타난 키워드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상위 키워드를 대상으로 NetDraw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시각화 작업을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키워드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가장 자주 출현하였다. 1시기(2002-2006)에서부터 4시기(2018-2022)까지 기간별 분석에서 평가연구는 진단평가에서 놀이에 관련한 평가지표에 대한 연구로 이어지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반성적모의수업, 유아교사교육, 반성적 사고, 생활지도방법, 수업만족도와 연결되어 있었다. ‘유아교사’ 키워드는 개별화교육과정, 배움공동체, 자기성장, 놀이, 놀이중심교육, 평가지표, 유치원평가 등과 연결되어 있었다. ‘2019개정누리과정’은 놀이, 국가수준유아교육과정, 유치원평가, 유아교사, 핵심역량, 장애유아 등과 연결되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는 유아교육과정 평가와 관련하여 여전히 분리적이고 교육과정 실행을 평가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동시에 2019개정 누리과정에서 나타내는 담론의 변화를 담아내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개별 성장과 배움의 지원 그리고 교사의 교수 실천을 개선하면서 학습자 개별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평가로 유아교육과정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유아교육과정 평가의 지평을 확대하는 담론과 실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기를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

        장애 유아를 위한 일반 유아교육과정 기반의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개별화 교육과정 운영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소현,이수정,박현옥,윤선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2 No.1

        According to the Korean Special School Curriculum, a curriculum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based on gener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addition,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individualized educational plans. However, combined implementation of these two factors are not easy task for teachers because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ories and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how teachers perceive on implementing IEPs based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preschool classroom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10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focus interviews. Three themes and eleven sub-themes were emerging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 transcripts. Three major themes are the following: (1) benefits of implementing gener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2) barriers to implementing IEPs based on gener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3) needs of support to implement individualized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critical factors and future directions of developing programs to support implementing individualized curriculum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우리나라 장애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은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의하여 일반 유아교육과정에 준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라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고 적용한다. 따라서 장애 유아를 가르치는 유아특수교사는 일반 유아교육과정이 운영되는 중에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고 그 계획에 따라 교수하는 개별화 교육과정을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개별화 교육과정의 기초를 이루는 일반 유아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이라는 이 두 요소는 각각 유아교육과 특수교육에 그 이론적 기반을 둠으로써 교육현장에서의 실천적인 철학에서도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결과적으로 교사들이 이 두 가지를 동시에 병합해서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하여 일반 유아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중에 장애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고 적용하는 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일반 유아교육과정 적용의 장점, 일반 유아교육과정 적용의 어려움, 장애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관련 지원 요구라는 3개의 주제와 그에 따른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각 주제를 중심으로 장애 유아 개별화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심미적 유아교육과정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박향원 ( Hyang Weon Park ),임부연 ( Boo Yeun L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유아교육과정은 유아의 경험중심, 놀이중심의 통합교육과정으로서 유아주도성과 역동성의 본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되는 유아교육과정은 기술적, 과학적 가치의 합리성이 지나치게 강조되는 Tyler의 원리 내에서 선형적이며 기계적인 구조로 묶여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균형잡힌 유아교육과정을 마련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심미적 유아교육과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재개념주의자의 심미적 비판 관점과 비기술적-비과학적 교육과정 설계모형인 인간중심주의-예술적 모형을 고찰하여 유아교육과정을 이론화한 후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과정의 심미화를 위한 이론적 원리를 제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문헌 고찰의 결과, 재개념주의자의 심미적 비판관점은 ``교육과정의 미학적 가치의 고양``, ``교육과정의 인격화`` 그리고 ``교육과정에서의 시적-상상력의 계발``에 관한 것이었다. 또한 인간중심주의-예술적 모형에 대한 고찰 결과는 ``상호역동적인 만남의 교육과정``, ``예술적 경험으로서의 교육과정`` 그리고 ``자기 주도적 학습자``의 세 가지 관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심미적 유아 교육과정의 이론적 원리로서 심미적 학습경험, 윤리적 만남, 예술적 통합활동, 심미적 교사, 그리고 자기 주도적 유아 등의 5가지를 제안한다. In essence,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 the experience-based, play-oriented integrated curriculum, characterizes as its dynamics and children`s self-direction. However,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used in real classroom settings is tied to the linear and mechanical structure under the effect of Tyler`s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esent a balanc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by means of providing theoretical grounds for ``aesthetic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is study presented theoretical principles to construct ``aesthetic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ed on investigation of reconceptualists`` aesthetic criticism of the curriculum and humanistic-aesthetic approach.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pointed out that reconceptualists` aesthetic criticism of the curriculum focused on ``enhancement of the aesthetic value of the curriculum``, ``the personal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poetic imagination``. This study also concluded that humanistic-aesthetic approach highlighted ``mutually dynamic curriculum of encountering``, ``curriculum as artistic experience``, and ``self-directed learn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five principles such as aesthetic learning experience, ethical encountering, artistically integrated activities, aesthetic teachers, and self-directed children for the theoretical grounds of ``aesthetic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 KCI등재

        남 · 북한 유아교육과정 비교

        장원주(Jang, Won-Ju),이화도(Lee, Hwa-D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남 · 북한 유아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통일대비 유아교육과정의 방향성 정립과 통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 · 북한 유아교육과정 비교는 4가지 비교준거, 즉 유아교육목표, 유아교육과정 영역 및 일과 운영, 교수 · 학습방법, 평가의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남 · 북한 교육이념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영역에서 유사점보다는 차이점을 보였으며, 통일대비 유아교육과정 정립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남 · 북한 유아교육과정에서의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교육의 고유한 기능과 목적을 반영한 새로운 교육이념 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남 · 북한 유아교육과정 영역 및 일과운영 비교에서 가장 차이를 보인 영역은 정치사상교육으로, 통일 후 정치사상교육을 통해 공고히 형성된 북한의 정치사상의식을 극복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통일대비 남 · 북한 유아교육과정의 통합을 위해서는 유아교육과정에명시된 유아교육관련 용어정리 및 표준화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통일대비 남 · 북한 유아교육과정 비교에서 유사점을 보이는 영역부터 점진적인 통합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며, 남 · 북한 간 상호교류를 통해 이질성 극복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order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alternatives for possible integration. The comparison of North and South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was conducted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early childhood curriculum area and daily managem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more differences found than similarities in various areas due to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in order to integrate North and South Korea’s early childhood curriculum, a new educational ideology that reflects the unique function and purpose of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specific curriculum and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ly. Secon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and ope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s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ntent of the North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Third, in order to integrate the South and North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standardize the term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unify them.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try to integrate them gradually starting from areas showing similarities, and to endeavor to overcome discrepancies through mutual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 교육과정 분석: 밥 존스, 알파오메가, 크리스천 리버티를 중심으로

        유희진,정희영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5 기독교교육논총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insight for the development of a Christian early childhood home-schooling curriculum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American curriculums. To that end, standards for a Christian early childhood home-schooling curriculum were devised by studying the foundational analytical criteria for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s and the Nuri curriculum, which is the Korean state-level curriculum. As for the object of this study, main representative Christian early childhood home-schooling curriculums such as Bob Jones, Alpha Omega, and Christian Liberty were chosen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iblical truth and learners, communities and the needs of the country should be considered as a unified source of education. Second, Learning contents should be tailored to Korea's educational culture and environment, as should Christian integration as a whole. Third, teaching- learning methods should be future-oriented to stimulate the senses with a diverse experience. Fourth, American curriculums should be translated into Korean.. Fifth, various types of evaluation should provide for evaluating the parent, the early childhood and the overall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대표적인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형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정보와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독교 유아 교육과정 분석기준과 누리과정 분석 기준을 연구하여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 교육과정분석 기준을 마련하고 연구 대상으로 미국의 대표적인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 교육과정인 밥 존스와 알파 오메가, 크리스천 리버티 교육과정을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밥 존스 교육과정은 기독교교육철학적진술에 따라 목적과 목표가 잘 설정되어 있으며 전인적 발달을 이끄는학습 내용이 기독교적으로 잘 통합되어 있다.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과자료들을 제공하고 있으나 평가는 이해도 측정을 위한 단원평가만을 제공하고 있다. 알파오메가 교육과정은 성경적 진리에 근거하여 교육 목적을 진술하고 있으며 학습 내용은 학과목에 따라 유아 발달 특성이나 상급교육과정의 연계성 편차가 심하다.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들과 자료들을 제공하며 평가는 단순한 유아평가만을 제공한다. 크리스천 리버티 교육과정은 교육철학적 진술이 명확하지 않지만 학습 내용들 가운데 파악할 수 있으며 학습 내용이 신앙과 사회관계를 제외하고는 유아 발달이나상급과정 연계성이 많이 떨어진다. 교수 ․ 학습 방법은 일상생활에 연계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평가는 유아의 이해도를 평가하는정도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 한국형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한국형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 교육과정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이끌기 위해 기독교적이면서도 학습자, 사회, 국가의 요구가 함께 교육원천으로서 고려되어져야 한다. 둘째, 학습 내용은 한국의 교육 문화와 환경에 맞는 기독교적인 통합교육내용이어야 한다. 셋째, 교육방법은 다양한 경험과 오감을 자극하는미래 지향적인 것이어야 한다. 넷째, 미국 교육과정들의 한국어로의 번역과 다양한 교육자료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평가는 유아, 부모,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종합적이고도 다양한 유형의 평가가 제공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