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유보통합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 - 자격증 취득경로를 중심으로 -

        전병주 감사연구원 2017 감사논집 Vol.- No.28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on their turnover intention in the time when the integration was under discussion, and to validate the control effect of occupational identity in this regard. The study subjects were 312 child care teachers who worked for the child care centers in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s.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paths of child care teacher’s license, they were divided by education centers of child care teacher and universities for the analysis.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mixed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to perform primary quantitative study followed by qualitative 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of child care teachers graduated from universities showed to be higher significantly in all the factors. Second, two groups showed differently in the factors to affect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moderation effects of occupational identity was demonstrated differently by the grou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nd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s were appeared in understanding of perception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the group graduated from education center of child care teacher, and in understanding and needs of perception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the group graduated from universities. This study has the meanings to suggest the scheme decreasing and preventing turnover intention of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by mixed research methods, and the fundamental data minimizing the conflicts between the groups upon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nd establishing more efficient way of integration. 본 연구는 유보통합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보육교사들의 유보통합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영향을 살펴보고, 그 요인 간의 관계에서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충남․북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312명이며,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경로에 따라보육교사교육원과 대학교를 졸업한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방법은 1차 양적 연구와 2차 질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통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보통합에 대한 인식, 직업정체성, 이직의도는 대학교를 졸업한 보육교사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과 그 영향력은 두 집단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교육원을 졸업한 보육교사 집단은 유보통합에 대한 필요성, 직업정체성, 혼인상태, 근무기간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교를 졸업한 보육교사 집단은 유보통합에 대한 이해 및 필요성, 직업정체성, 건강상태, 근무하는어린이집 유형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보통합 인식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는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교육원을 졸업한 집단은 유보통합에 대한 이해 그리고 대학교를 졸업한 집단은 유보통합에 대한 이해 및 필요성에서 각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양적 연구결과에 대해 질적 연구를 추가하여 보육교사들의 이직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했으며, 유보통합에 따른 집단 갈등을 최소화하고 보다 효율적인 유보통합 방안을수립하는 데 근거자료를 처음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동아시아 3개국의 유보통합에 관한 연구 - 한국, 일본, 대만의 법제를 중심으로 -

        황성일,김선희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3 동북아법연구 Vol.16 No.4

        On January 14, 1991, The Amendment of Child Care Act was enacted,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was enacted on January 29, 2004,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Korea were institutionalized as a complete legal system. This dualization of education and childcare leads to individualization of the relevant ministries,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 for education and childcare. This dualization of education and childcare leads to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relevant ministries, and it is difficult to systematically support education and childcare. the qualitative deviation of the education and childcare of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different teaching qualifications and selection methods, and the current law applies to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hich are subject to separate facility standards, resulting i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interests and the inconvenience of parents. There are side effects such as the difference in education costs per pers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nd other side effects such as the cause of inequality. The government, which was launched on May 10, 2022, declared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n January 1, 2025, but it has been more than 30 years since the child care law was created separately from the moment when the child care law was created. In order to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relevant laws, relevant ministries, teacher qualification and selection system, working conditions such as teacher status, integrated curriculum, facility standards, etc. must be unified. It results in the consolidation of the underlying legislation. The fundamental solution to the reserve is the integrated law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and the amendment of child care act, but now Korea is only attempting partial policy integration without unification of both laws. This study diagnosed that the cause of the reservation unification system is the dualization of the legal system that repeatedly and continuously fixes the divided system, and the most effective alternative to eliminate the inefficienc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system caused by the reservation unification is the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By analyz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ldcare, and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three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Japan, and Taiwan, the principles to be considered when combining the systems are derived, and Korean legal integration plans are presented. 1991년 1월 14일에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되고 2004년 1월 29일에 유아교육법이 만들어지면서우리나라에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은 완전한 법적 이원화 체제로 제도화되었다. 이러한 교육과 보육의 이원화는 소관부처의 개별화로 이어지고, 교육 및 보육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곤란하다는 점, 서로 다른 교사자격과 선발방식에 따른 영유아 교육과 보육의 질적 편차 발생, 현행법상유치원은 학교, 어린이집은 보육기관이기 때문에 별도의 시설기준을 적용, 유보이원화에 의한행정적⋅재정적 이원화와 부모의 이용불편 초래, 유치원과 어린이집 대상연령의 차이에 따른1인당 교육비 차이 등의 불평등 야기 등과 같은 부작용을 수반한다. 2022년 5월 10일 출범한정부가 2025년 1월 1일 부로 유보통합의 시행을 선언했지만 영유아보육법이 따로 생기는 순간부터 아동의 교육과 보육에 대한 일원화 요구가 있었다고 보면 유보통합은 30년이 넘은 과제이다. 유보통합을 위해서는 근거법령과 소관부처, 교사자격 및 선발제도, 교사의 신분 등 근무조건, 통합교육과정, 시설기준 등을 하나로 하여야 하나 이 모든 것들은 제도의 일원화로서 법률에의해서만 가능하므로 통합의 핵심은 근거 법령의 통합으로 귀결된다. 유보이원화의 근본적인해결책은 유아교육법과 영유아보육법이라는 개별법 체제를 통합법률로 꾸리는 것이지만, 현재우리나라는 양 법률의 단일화는 이루어지지 않은 채 부분적 정책통합 만을 시도하고 있을 뿐이다. 본 연구는 유보이원화 체제의 원인은 갈라진 제도를 반복적, 계속적으로 고착시키는 법제의이원화에 있다고 진단하는 한편 유보이원화가 일으키는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제도의 비효율성을 삭제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 대안은 유보통합이라고 파악하였다. 이에 지리적, 사회⋅경제적 여건과 유사한 학제를 가지고 있는 한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3개국 아동의 교육과 돌봄현황과 유보통합 상황을 분석하여 제도 통합시 고려해야할 원리들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우리나라 법제 통합방안을 제시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고의 취지는 대만 외에는 유보이원화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유보통합에도 공헌할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분리와 통합의 측면에서 본 근대 이후 한국 유아교육과 보육의 역사

        송치숙,박종배 교육사학회 2019 교육사학연구 Vol.29 No.1

        In this paper,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ecent discussion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ECEC), we re-lighted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Korea in terms of separation and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report, Korea's ECEC system has repeated the history of separation and integration. In general, up to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the nation's ECEC were unified into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out distinction of any particular concept. After Day Care Centers has been established in Korea under Japanese occup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has been separated from authority level. Since then, the Child Welfare Act was enacted in 1961, the legal basis for child care was set up, and in 1991 the Child Care Service was renamed as a child care center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hild Care Act. Kindergarten has been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Education Act, but the Ac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enacted in 2004 to establish a independent legal system. Thus,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in 2012, the nation'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were operated under a fully dualized system. In 2012, the Nuri curriculum, a common curriculum for preschool and children aged 5 years old,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and the 3-5 year-old Nuri curriculum was fully implemented in 2013, leading to a partial integration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본 논문에서는 최근 진행되고 있는 유보통합 논의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분리와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근대 이후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의 역사를 재조명해 보았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 보육 체제는 오랜 역사를 거치며 분리와 통합을 반복해왔다. 대체로 개화기 이후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 보육은 특별한 개념의 구분 없이 유아교육으로 통합된 체제였다고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 탁아소가 탄생함에 따라 유아교육과 보육이 담당 기관 차원에서 분리되었지만 개념상으로는 여전히 미분화 상태에 있었다. 이후 1961년 아동복리법이 제정되면서 보육의 법적 근거가 따로 마련되었고, 1991년에는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되면서 보육기관이 어린이집으로 개칭되었다. 유치원은 그동안 교육법 속의 유아교육 관련 규정에 따라 운영되었으나, 2004년 유아교육법이 제정되면서 독자로 법적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렇게 하여 2012년 누리과정 시행 이전까지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은 완전 이원화된 체제로 운영되었다. 그러던 중 2012년 만 5세 대상의 유치원·어린이집 공통과정인 누리과정이 개발·보급되고, 2013년에 3∼5세 누리과정이 시행되면서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은 부분통합의 단계로 접어들었다.

      • KCI등재

        유보통합의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이해정 ( Lee Hae J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유아교육·보육의 통합은 이원화 되어있는 유아교육과 보육 간의 격차를 해소하고,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하여 0-5세 영유아의 발달에 맞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모의 선택권 및 편의성을 보장하는 것은 의미 있는 추진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유보통합의 초기 과정부터 유보통합의 취지와 목적 대한 다양한 이해와 관점을 가지고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으며, 각계의 이익에 치중되어 정책타당성이 낮다고 판단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주도에 의해 유보통합의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가 완료되었고, 그 구현과 관련한 정책적 결정이 남겨져 있는 현시점에 도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유보통합의 현황 및 추진과정을 토대로 향후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유보통합에 대한 진중한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s a significant effort for solving dualistic problem and effectively manag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his effort is expected to provide 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service appropriate to young children of age 0 through to five and ensure parental accessibility and right of choice. There were some concerns about purposes and meaning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the beginning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with limited validity of political decision. However, studies and researches o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have been politically conducted and decision-making on that issues is requested. This study aimed to suggest some ways for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 based on the current review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 KCI등재

        영유아보육법과 유아교육법의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황성일,김선희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一鑑法學 Vol.- No.54

        With the enactment of the Child Care Law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child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has acquired a status as an independent system. It is the result of continuously, repeatedly, and additionally carrying out their own policies under the support of the law. The heterogeneity of the two systems target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has resulted in violation of the right to receive equal care and education on the infant side, and hindering the convenience of childcare and education service use on the guardian side. The reason for the du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lies in the dualization of the law. As the child care system and education system are forced and continued to be separated by law, the dual structure becomes stronger. It is necessary to break down the established dualistic system and create a single, easy-to-use system that provides homogeneous services. In other words,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should be achieved. It is considered that presenting an integrated law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s an essential method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The targets for integration are the Child Care Law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unify the parts related to costs such as free childcare and free education, the qualifications and training system of teachers, the operation of facilities, the age and operating hours of use, and the parts of competent administrative agencies. This study is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enacting a single law to prevent the dualization of laws that trigger the du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for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By analyzing laws and integration strategies related to child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Taiwan, which belong to East Asian countries with similar cultures and academic systems, we will propose an integrated method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 Korea. 영유아보육법과 유아교육법의 제정을 계기로 우리나라 영유아보육과 유아교육은 독립적 제도로서 각기 독자적 영역을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법률의 뒷받침 속에 지속적, 반복적, 추가적으로 자신만의 정책을 단행한 결과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양 제도는 완전히 다른 시스템으로 이질화되었고 그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영유아에게는 보육과 교육을 균등하게 받을 권리를 침해 하였으며, 보호자 측면에서는 보육이나 교육서비스 이용의 편리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유보이원화의 원인은 법률의 이원화에 있다고 생각한다. 보육제도와 교육제도는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서로 다른 법률에 의하여 강제적, 계속적 분리가 일어나면서 이질적 이원화 구조가 생성되고 강고해져 가기 때문이다. 고착된 이원적 제도를 개선하여 균질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이용하기 쉬운 단일한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그 수단은 유보통합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영유아 보육과 교육에 관한 통합법률안을 제시하는 것이 가장 실질적으로 유보통합을 이룩하는 방안일 것이다. 유아교육지원특별회계법, 장애아동복지지원법,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등 영유아보육과 유아교육에 관한 법률이 적지 않지만, 우리나라 영유아의 보육과 교육의 중심법이자 준거법으로 기능하고 있는 영유아보육법과 유아교육법이 통합의 대상이라 할 것이다. 특히 무상보육과 무상교육과 같은 비용 관련 부분, 교사의 자격 및 양성체제 부분, 시설의 운영관련 부분, 이용연령과 운영시간, 관할 행정기관 부분의 단일화가 시급하다. 본 연구는 유보이원화를 촉발시키는 주된 요인을 법률의 이원화로 판단하고 하나의 법률로써 영유아보육과 교육제도를 운용하는 것이 궁극적인 유보통합을 달성하는 길이라는 것을 인식한 결과다. 같은 동아시아권에 속하면서 유사한 문화와 학제를 가지고 있는 한국, 일본, 대만의 영유아보육과 교육에 관한 법제와 통합전략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과 교육의 통합을 위한 단일한 법률의 제정 방안을 제안하기로 한다.

      • KCI등재

        한국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의 선결 과제

        최은영 육아정책연구소 2015 육아정책연구 Vol.9 No.1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논의는 최근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기능적 특성의 공통점이 확대됨에 따라 필요성이 다시 대두되었으며, OECD 국가의 통합 사례들은 유보통합 논의를 재점화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 시행된 ‘만 5세 누리과정’, 2013년 확대 도입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시행으로 유보통합을 위한 본격적인 첫 발을 대딛었으며, 2014년 2월, 국무조정실 산하 영 · 유아교육 보육 통합 추진단 구성 · 운영 이후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을 위한 과제들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유보통합이 가속도를 내고 있음에도 유아교육과 보육 관계자들의 통합에 대한 의견이 여전히 분분한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의 유아교육과 보육 개념을 고찰하고, 국외통합 사례를 검토하여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의 당위성을 재고하였으며, 유보통합을 위한 선결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Discussions on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Korea have been recently activated, with a expand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commonly shared. Previous cases of OECD countries on integrating practices were reported, and the discussion of the integration was restarted. In Korea, ‘5 years old Nuri curriculum’ was performed in 2012, and expanded to ‘3-5 years old Nuri curriculum’ in 2013. This can be considered as the first start for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Korea. In addition, national office focusing on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has started its services since February in 2014, under the Prime Minister's Office. Howeve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stockholders are still have different opinions about integr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Korea, and reviewed the overseas integration cases with reconsidering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a sincere discussion of the prerequisites for the integration and lead to promote the early childhood and child care services in Korea.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정책의 쟁점과 개선 방안 탐색

        김해리(Kim, Hae Ree),이기성(Lee, Kisung)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사회과학논총 Vol.24 No.-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정책의 쟁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영유아교육의 큰 축인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관할 부처가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로 양분되어 있는 상황에서 그간의 유아교육정책과 보육정책을 살펴보고, 영유아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하여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에 따르는 쟁점들을 검토하여 향후 정책 시행에 필요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유보통합을 점진적으로 추진하되 다음과 같은 방안을 참고하여 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담당 행정 부처인 교육부와 보건복지부간의 업무에 관한 일원화가 필요하다. 둘째,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양성체계의 전반적인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search which issues are there in integrating poli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then to explore feasible improvement methods of integr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previous research resul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child-care policy were reviewed and analyzed, in the context where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manages kindergartens and kindergarten teachers focusing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hich manages the child care centers and child-care teachers focusing on the child care. Also, some feasible methods for improving policy were drawn from reviewing issues of policy integration. Based on discussion and review of the issues, the two improving methods were proposed as a conclusion. Firstly, the function of the two Ministries which manages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needs to be integrated. Secondly, the teacher training system for kindergartens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needs to be reorganized.

      • KCI등재

        유ㆍ보 통합에 대비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고찰

        이경인(Lee, Kyung-In):김은숙(Kim, Eun-Suk):양다교(Yang, Da-Gyo):김명찬(Kim, Myeung-Cha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역량 강화와 전문성을 위하여 정책의 흐름과 외국의 보육교사 양성과정, 그리고 각 관련 계층의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를 한 결과 첫째, 무상보육의 확대로 기관에 보내는 아동의 연령은 하향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치원에서의 영아 취원 허용이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국의 보육과 유아교육은 일원화된 핀란드, 스웨덴, 뉴질랜드, 노르웨이와 이원화된 프랑스, 일본, 독일, 미국으로 구분되고, 영유아 교사양성과정은 대체로 영아부터의 발달과 심리에 대한 학습, 장기간의 실습기간, 자격의 유효기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각 계층의 요구도에서는 원장과 관련 교수진의 경우 3,4년제 이상의 학위과정의 교사를, 부모의 경우 영유아를 잘 이해하는 전문교육을 받은 교사, 보육교사의 경우 영아에 대한 발달 및 이해,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며, 유치원 교사의 경우 영아와의 상호 작용 및 영아중심의 학습이 가능한 교사를 요구했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육이 보육과 교육의 차이를 줄였지만 영아와 유아의 교육에 차별성이 있어야 함을 시사하며, 이를 위해 영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자격을 가진 교사가 필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교사 양성과정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low of policies, the process of cultivating foreign child care teachers, and the needs of each class for the enhancement and professionalism of child care teachers in the situation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three findings followed. First, the age of infants sent to the day care center is decreasing because the expansion of free child care and the permission for the infant in the kindergarten is gradually being promoted. Second, by analyzing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 of the countries unif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ld care such as Finland, Sweden, New Zealand, Norway and the dual administration systems like France, Japan, Germany, America, this study found that those all countries emphasize on learning development psychology, long-term practical training and renewing the qualification of child care teachers within a certain time. Third, to improve child car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professors of child car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directors demand extending length of study to over three or four years. Parents want child care teachers to understand infant development process well and be trained professionally. Both child 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require curriculum to learn how to interact with infants and toddler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duc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should be differentiated in spite of reducing the difference between day care and education. To this end, teachers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qualifications for infants are needed, therefore, a new perspective on the change of teacher training is necessary.

      • KCI등재

        유보통합에 관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목소리

        김경철,김윤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basic data for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hat can be stably settled in the field by listening to what kind of thoughts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have o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hat is currently being promoted. Methods For this study, 5 kindergarten teachers and 5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 categorization - topic derivation’ based on the transcribed data and researcher's diary. Results First, teachers pointed out the ‘speed of integration of ealr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nd ‘voices from the excluded educational site’ as problems in the promotion process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Second, opinions o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ways to were analyzed as “point of view on the gap betwee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Proposal of a new integrated institution model” and “opinion on teacher qualification”.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listened to the voices of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first stage of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was in progress.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voices of various teachers' opinions for stabl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the future.

      • KCI등재

        유ㆍ보 통합에 대비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고찰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경인,김은숙,양다교,김명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low of policies, the process of cultivating foreign child care teachers, and the needs of each class for the enhancement and professionalism of child care teachers in the situation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three findings followed. First, the age of infants sent to the day care center is decreasing because the expansion of free child care and the permission for the infant in the kindergarten is gradually being promoted. Second, by analyzing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 of the countries unif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ld care such as Finland, Sweden, New Zealand, Norway and the dual administration systems like France, Japan, Germany, America, this study found that those all countries emphasize on learning development psychology, long-term practical training and renewing the qualification of child care teachers within a certain time. Third, to improve child car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professors of child car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directors demand extending length of study to over three or four years. Parents want child care teachers to understand infant development process well and be trained professionally. Both child 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require curriculum to learn how to interact with infants and toddler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duc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should be differentiated in spite of reducing the difference between day care and education. To this end, teachers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qualifications for infants are needed, therefore, a new perspective on the change of teacher training is necessary.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역량 강화와 전문성을 위하여 정책의 흐름과 외국의 보육교사 양성과정, 그리고 각 관련 계층의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문헌 조사를 한 결과 첫째, 무상보육의 확대로 기관에 보내는 아동의 연령은 하향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치원에서의 영아 취원 허용이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국의 보육과 유아교육은 일원화된 핀란드, 스웨덴, 뉴질랜드, 노르웨이와 이원화된 프랑스, 일본, 독일, 미국으로 구분되고, 영유아 교사양성과정은 대체로 영아부터의 발달과 심리에 대한 학습, 장기간의 실습기간, 자격의 유효기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각 계층의 요구도에서는 원장과 관련 교수진의 경우 3,4년제 이상의 학위과정의 교사를, 부모의 경우 영유아를 잘 이해하는 전문교육을 받은 교사, 보육교사의 경우 영아에 대한 발달 및 이해,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며, 유치원 교사의 경우 영아와의 상호작용 및 영아중심의 학습이 가능한 교사를 요구했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육이 보육과 교육의 차이를줄였지만 영아와 유아의 교육에 차별성이 있어야 함을 시사하며, 이를 위해 영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자격을 가진 교사가 필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교사 양성과정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함을 알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