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NQA 유럽지역 고등교육 질 보장 지침의 의미와 전망

        이영호(Lee Young Ho) 한국비교교육학회 2007 比較敎育硏究 Vol.17 No.1

          이 연구는 유럽연합의 입장과 비 유럽연합의 입장에서『유럽지역 고등교육 질보장을 위한 지침』의 의미와 전망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첫째,『유럽지역 고등교육 질 보장을 위한 지침』이 만들어진 배경인 Bologna Process를 검토하였으며 둘째, 동 지침의 기본 원리와 목적ㆍ내부적 고등교육 질 보장 지침ㆍ외부적 고등교육 질 보장 지침ㆍ외부적 고등교육질 보장 담당기구를 위한 지침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있으며 셋째, 동 지침의 의미와 전망을 유럽연합의 입장과 비 유럽연합의 입장에서 논의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입장에서 본 동 지침의 의미에 대한 주요 결론은 Bologna 선언에 입각한 유럽지역 고등교육 체제의 단일화의 후속 조치인 동시에 개별 국가와 대학이 저마다 대학평가를 통하여 고등교육의 질을 보장하도록 함으로써 유럽 국가 간 고등교육 교류의 활성화와 고등교육 인구 이동의 기반을 정비한 것으로 볼 수 있다.<BR>  비 유럽연합의 입장에서 본 동 지침의 의미에 대한 주요 결론은 오랜 대학의 역사를 자랑하는 유럽 지역의 대학을 뒤로하고 미국으로 떠나는 유학생의 유출을 막고, 유럽 연합 차원의 고등교육 질 보장을 내세워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유럽지역 대학으로 외국의 유학생, 특히 아시아권 유학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자 하는 전략도 포함되어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s the meaning and prospect of ENQA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quality assurance in the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In particular, this study reviews background of ENQA standards and guidelines that was Bologna process. It also analyzes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object, the orientions of internal assesment and external accreditation for quality assurance in the european higher education which is presented on ENQA standards and guidelines.<B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wo main points. Firstly, it is the major conclusions on EU perspectives for the meaning and prospect of ENQA standards and guidelines that is fellow-up measure of Bologna Declaration;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credits for student mobility and promotion of european co-operation of quality assurance in the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Secondly, external european perspectives for the meaning and prospect of ENQA standards and guidelines is follows; it is positive strategy to be enteranced more a foreign students to the EU nations of university by quality assurance in the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in particular asian students.

      • 유럽연합의 고등교육 시스템

        송병준(byeong jun Song)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2022 대학 연구 Vol.1 No.1

        유럽에서 고등교육정책은 국가주권 영역에 깊숙이 위치하여 회원국의 단일화된 정책과 규제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유럽연합 차원에서의 일관된 정책 실행이 제약되는 영역이다. 그러나 유럽 대학의 경쟁력 하락에 따른 위기감 고조로 1999년 유럽연합 밖에서 주요 유럽 국가들이 대학의 국제화를 위해 학위 및 자격증 시스템에 대한 상호인증과 조화를 목적으로 한 볼로냐 프로세스를 출범시켰다. 이에 자극받아 유럽연합 역시 2000년대 들어 고등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회원국 간 인적교류를 위한 여러 기술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주목할 점은 유럽 46개국이 참여한 볼로냐 프로세스에는 유럽연합 27개 회원국이 모두 참여하면서 자연스럽게 양측 간 교류와 시스템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결과 유럽연합에서 고등교육정책의 경우 에라스무스(Erasmus)와 에라스무스 문두스(Erasmus Mundus) 등 대학의 국제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확대되고, 유럽학점인증시스템(ECTS) 등 인적교류를 위한 시스템이 활성화되었다. 한편으로 볼로냐 프로세스에서도 역시 학위인증과 고등교육 기관의 질적 평가를 위한 자체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유럽연합의 시스템을 차용하였다. 이에 따라 유럽연합의 고등교육정책은 볼로냐 프로세스와 병존하는 구조가 형성되었다. 이에 대학의 경쟁력이 사활적 사안으로 대두되는 한국도 학문 수준이 유사한 유럽연합과의 교류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양측 간 양자 사업을 논의하고, 학점과 학위인증 및 교육의 질적 평가 등 고등교육 부분에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Higher education policy is a policy area that is deeply located in the realm of national sovereignty, and member countries have objection to the unified policy of the European Union. Accordingly, higher education policy at the EU level was very limited. However, the Bologna Process was launched outside the European Union in 1999 to internationalize higher education due to the heightened sense of crisis caused by the decline in competitiveness of European universities. The Bologna Process aimed to establish a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through mutual recognition and harmonization of degrees and certificates between European universities. European Union was also stimulated by the launch of the Bologna Process in the 2000s, expanding its higher education program and establishing several technical systems for student and faculty exchanges across borders. Specifically, the European Union expanded the Erasmus and Erasmus Mundus programs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ies. At the same time, the European Union actively implemented systems for human exchange, such as the 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 (ECTS). On the other hand, Bologna Process also built its own system such as Bologna Cycle for degree certificat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Bologna Process also introduced the 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 already implemented by the European Un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Bologna Process, which consists of 46 European countries, includes all 27 European Union member states. Accordingly, the European Union’s higher education policy coexists with the Bologna Process, and mutual exchange and system convergence are taking place. In Korea,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ies is also a major issue, and in order to promote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the European Union, which has a similar academic level, it is necessary to discuss bilateral projects between the two sides. In addition, in order for Korean universities to promote international exchang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for unified grades and degree certificates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education among universities.

      • KCI등재

        고등교육 시장화 시대 유럽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정영근(Youngkun Tschong) 한독교육학회 201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1 No.3

        대학이 학문자본주의(academic capitalism) 관점에서 재구조화됨으로써 기업과 노동시장의 요구에 상응하는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현장실무 연계과정을 중시하며, 경제적 효용성 지향의 연구나 실무인력 양성 및 공급에 앞장서고 있다. 유럽의 경우 사회ㆍ경제ㆍ문화적 발전을 주도하는 EU 국가가 중심이 되어대학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대처하려는 다소의 시도가 있었다. 그러한 정책구상 가운데 가장 핵심적이자 유럽 전역을 포괄하는 것으로는 1999년 볼로냐 선언에 따른 유럽 고등교육 통합정책의 추진과정인볼로냐 프로세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볼로냐 프로세스 정책수립의 역사적 과정과 정책의 주요내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학교육의 시장화 변화과정을 서술하며, 이와 연관된 학술적 논의를 고찰하려 한다. 그 과정에서 유럽의 고등교육체제 통합이 정책적으로 대학을 경제혁신의 수단으로 구조개혁 하라는 요구를 수용하면서도 고등교육의 접근성에 대한 ‘사회적 차원’을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점은 우리가 생각해볼 점이다. 또 유럽의 대학이 문화적 상호이해와 학술지원을 위해 경제적 수익성이나 정치적 계산을 넘어서는 국제교류에도 활발하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독일과 유럽의 비판적 지성인들은 대학이 특정한이해관심이나 정책적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적 지성과 균형 잡힌 전문가 양성에 기여하는 것이 미래지향적이라는 것이라는 입장을 지키려 한다. 글의 마지막에서 유럽 국가들의 고등교육 개혁정책의 이러한특성이 한국의 고등교육개혁에 주는 의미와 시사점을 살펴본다. Forschung und Lehre an den Universitäten haben im globalen Wettbewerb um Anteile an der Wissensproduktion in der Wissensgesellschaft erstrangige strategische Bedeutung für die Politik erlangt. Es bildet sich eine Art akademischer Kapitalismus heraus, in dem Universitäten zu Unternehmen werden. Im Jahr 1999 unterzeichneten die Vertreter von 29 europäischen Regierungen die Bologna-Deklaration. Ziel des Bologna-Prozesses, der sich in wirtschaftlichen, universitären und politischen Interessen begründet, ist es, einen international wettbewerbs- fähigen und attraktiven Europäischen Hochschulraum zu schaffen. Die mittlerweile 47 teilneh- menden Staaten haben sich unter anderem verpflichtet, ein gestuftes Studiensystem aus BA und MA mit europaweit vergleichbaren Abschlüssen und anzuerkennenden Studienleistungen einzuführen, die Qualitätssicherung zu verbessern, die soziale Dimension einzubeziehen und die Mobilität zu steigern. Die Lissabon-Strategie aus dem Jahr 2000, durch die Europa bis 2010 zum wettbewerbsfähigsten und dynamischsten wissensbasierten Wirtschaftsraum der Welt gemacht werden sollte, wurde 2011 durch die Strategie Europa 2020 für Wachstum und Beschäftigung ersetzt. Der Umbau der Universität durch den Bologna-Prozess kann als eine Absage an die Idee der Universität als Bildungsinstitution verstanden werden, die trotz der aktuellen Reformpolitik nicht verzichtbar ist. Die mit dem an europäischen Universitäten entstehenden Entwicklungspfaden werden sich künftig unter anderem an dem Anspruch messen lassen müssen, ob es ihnen gelingt, Europas kulturelle Vielfalt und zivilisatorische Errungenschaften zu erhalten, ohne notwendige Modernisierungen zu versäumen.

      • KCI등재

        독일 자격체계 변화와 고등교육단계에서 직업교육 학위과정 최근동향

        유진영(Yu Jinyoung) 한독교육학회 2017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의 변화, 경제 및 노동시장의 변화, 고등교육으로의 학생 수 증가라는 교육적 성과 변화에 직면하여 독일의 고등교육에서 직업교육 학위과정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2011년 이후 이주 배경의 인구수가 급증하면서 중등교육, 대학교육과 직업교육분야에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한 경제시장과 노동시장에서 국제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독일의 경제가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 경제로 이동하고 새로운 분야에 대한 인력수급과 실업률 조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후기 중등교육을 받은 사람들의 비율이 매우 높아지면서 고등교육 분야에서 노동계 수요가 급증했다. 더불어 2008년 구축된 유럽자격체계에 따라 독일자격체계는 교육시스템에 기초하여 개발되었고 기존의 자격체계를 정리하여 8단계의 유럽자격체계에 맞추었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와 자격체계에 맞추어 고등교육단계에서 직업교육이 산학협력과 이원화제도의 틀에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주목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최근의 동향을 조사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검토했으며 주로 유럽직업훈련개발센터(cedefop)와 독일 연방직업교육훈련연구소(BIBB)의 자료들을 통해 유럽의 자격체계와 독일의 자격체계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대하는 연구결과로서 국제적인 직업교육의 최근 동향에 대해 이해하고 유럽과 독일의 고등교육에서의 변화가 우리의 고등교육단계에서 직업교육 학위과정에 어떤 방향을 제시할지를 고민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education curriculum is transforming itself in a German educational system which is facing changes in the mode of assessment of educational performance and in its role in the labour market, and which is dealing with a growing number of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Since the number of migrants to Germany has rapidly increased since 2011, changes have been initiated at multiple levels, in secondary education, college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German system has adapted its traditional qualifications system to fit step 8 of the European qualifications system established in 2008.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and new forms of qualifications, in this paper we focused on how vocational education has adapted to the framework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the dual system. The core of this study is a review of the literature,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atest trends. In particular, we have drawn on the work of the research centre Cedefop and the German Institut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BIBB), which have examined the changes in the European and German qualifications systems, respectively. This study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trajectory of international vocational education, and to discern how the developments in European and German higher education can guide Korean higher education in the design of vocational education courses.

      • KCI등재

        유럽 고등교육자격 인정 정책 동향 분석과 시사

        이정표 한국유럽학회 2019 유럽연구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cent trends of higher education qualifications recognition polices of Europe through the Europe-wide Bologna and Copenhagen Process and discuss with the implications on Korean higher education polices. Analysis framework is designed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of qualifications framework, credit recognition and transfer system,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This study methodologically employs literature reviews. Based on the analysis of higher education and VET reform trends of Europe through Bologna Process and Copenhagen Process, EQF, NQF, credit recognition and transfer system, Europass, RPL,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are designed and implemented as common tools of higher education qualifications recognition system.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Korean policy implications: the needs to be enhanced to develop KQF encompassing all qualifications including universities, learning outcome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strengthen the quality assurance of higher education, and to promote the qualification recognition based on lifelong learning. 이 연구는 유럽에서 추진되고 있는 볼로냐 프로세스와 코펜하겐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유럽의 고등교육자격 인정 정책 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등교육자격 정책에 대한 분석 틀로 고등교육자격 인정을 구성하는 자격체계, 자격인정 및 이전체계, 질보장체계의 개념 틀을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 방법이 적용되었다. 유럽의 볼로냐 프로세스와 코펜하겐 프로세스는 유럽국가간 고등교육과 직업교육훈련의 통합과 개혁을 위한 중장기적 혁신 프로젝트로 추진되어 왔다. 양 프로세스는 고등교육자격 인정체계의 공통도구로서 유럽자격체계, 국가자격체계, 학점인정 및 이전체계, 유로패스, 선행경험학습인정제, 질보장 체계 등을 강조함으로써 유럽의 고등교육자격 인정 정책의 기반을 형성해 왔다. 연구의 주요 시사점으로 한국의 국가역량체계 구축, 학습성과 기반 교육과정 설계 운영, 교육과 훈련 간 연계를 통한 평생교육 자격인정시스템 구축, 고등교육의 질 보장 강화 등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EU집행위원회의 볼로냐 프로세스 참여: 유럽고등교육정책의 유럽화

        오정은 한국유럽학회 2008 유럽연구 Vol.26 No.2

        Since education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identity, every European government has considered it as a very sensitive part of its policy related to the sovereignty and hesitated to include that field while the European Unification process. However, there have been increasing demands on well-coordinated educational policy at European level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1) the completion of common market, 2)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student and professor mobility, and 3) the necessity of close European university cooperation for answering to international competition. Thus, twenty-nine European ministers of Higher Education met in Bologna in 1999 and announced the Bologna Declaration saying that one European university system would be established in Europe until 2010 forming a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EHEA). Now, 46 European countries participate in this Bologna process. The Bologna Declaration was an intergovernmental agreement. With the gradual intervention of the European Commission, however, the Bologna process has become a supranational process. In this paper, I analyzed why the participating countries welcomed the presence of the European Commission and I could conclude that participating governments wanted to increase national interests, using supports from the European Commission, such as the Commission's financial aids, its administrative ability for European affaires, and its name recognition on the international stage. As a result, the European Commission is at the helm of the Bologna process and it accelerates the Europeanization of European Higher Education Policy. 교육은 국민들이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동시에 국가 구성원을 나라의 경제·사회 발전에 동참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유럽 각국 정부는 교육을 국가 주권과 관련된 민감한 분야로 이해했고, 유럽통합 과정에서 오랫동안 교육부분은 논외로 해왔다. 그런데 유럽공동시장 완성, 유럽 대학 간 학생과 교수의 교환 프로그램 증가, 해외 우수학생 유치를 위한 유럽 차원의 대학 협력 모색의 결과, 유럽 공통 대학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볼로냐 프로세스가 시작되었다. 지난 1999년 유럽 각국 고등교육담당 장관들이 볼로냐에서 서명함으로써 시작된 이 개혁운동에 따라, 2010까지 유럽은 통일된 대학제도를 갖춘 하나의 유럽고등교육지역을 건설할 예정이다. 초기의 볼로냐 개혁은 EU와 무관하게 각국의 정부간주의(Intergovernmentalism)의 정신에 입각하여 시작되었으나, EU집행위원회가 개입하면서, 점차 EU 차원에서 추진하는 초국가적 성격의 유럽고등교육 개혁운동으로 변모했다. 본 논문은, 볼로냐 프로세스가 초국가적 성격을 띠게 된 이유가 참가국들의 합리적 선택에 따른 결과임을 증명한다. 다시 말해, 볼로냐 개혁을 위한 EU집행위원회의 재정적 지원, 세계무대에서 EU라는 기구의 위상이 주는 상징성, 그리고 고등교육과 연구개발의 시너지 창출을 유도하는 EU집행위원회의 행정능력을 이용하는 것이 자국의 이익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각국 정부는 EU집행위원회가 주도하는 볼로냐 개혁에 동의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볼로냐 프로세스와 유럽 고등교육권역(EHEA)의 발전 전망

        손승남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7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6 No.2

        This study aims to seek answers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Bologna Process could be an alternative model to the Anglo-American higher education system. The Bologna Process may positively result in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increasing professor mobility, and the necessity of close European university cooperation including the ENQA, ECTS, and DS polices. The integrated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would play a decisive role not only in economic growth and social integration, but also in cultural understanding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 However, the reform process of European universities inevitably requires the research competitiveness that American elite universities have built up as well as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community colleges, professional colleges, university colleges, and research universities. The Bologna Process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our higher education system. The noticeable university reform processes in Asian-Pacific nations should be tightly bound to the ‘APHEA(Asia-Pacific Higher Education Area)’. 본 연구는 볼로냐 프로세스가 영미 고등교육모델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이와 관련된 논의를 전개하였다. 우선 유럽의 고등교육 통합과정에서 핵심적으로 추진해 온 사안들, 학-석사 이원화 체제, 국가간 학위 인정, 질 보증 시스템, 학위보조자료(DS), 유럽학점상호교환체계(ECTS)의 가치를 인정하고, 이 부분에서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통합된 유럽 고등교육권역(EHEA)이 자리를 잡게 되면유럽 전체의 경제 성장과 사회적 통합뿐만 아니라 문화적 상호 이해와 국제 교류에서도일정한 성과가 나타날 것이다. 하지만 유럽대학의 향후 과제로 우수한 영미대학들이 이제까지 구축한 연구경쟁력을 어떻게 확보해 나갈 것인지 그리고 고등교육의 기능적 분화와 다양화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에 관해서는 치밀한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나아가 아시아와 태평양 전역의 고등교육 잠재가능성과 역량을 집결하여 하나의 고등교육 지역으로 묶는다면 협력과 상생을 위한 아태지역 고등교육 통합의 결정적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시하였다.

      • KCI등재

        프랑스 고등교육에서의「다중언어주의 Plurilinguisme」: CECR 개념화로부터 실제 교육현장 적용까지

        윤소영 ( So Young Yun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1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85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공통참조기준 Cadre europeen commun de reference pour les langues (이하CECR)」에서 유럽 공동 언어정책의 핵심원리로서 제시하고 있는 「다중언어주의 Plurilinguisme」가 프랑스 고등교육의 경우 실제 언어교육현장에서 과연 얼마만큼 충실히, 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살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CECR에서 정의하고 있는 「다중언어주의 plurilinguisme」의 개념을 특히 「다언어주의 multilinguisme」와 구별하여 검토해 본 뒤, 최근 프랑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련의 고등교육개혁이 특정 두 기관-「국립동양학대학 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 (이하INALCO)」과 보르도 3대학-의 언어교육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전반적으로 고찰해 본다. 이어, 프랑스에서 진행 중인 고등교육 관련 개혁이 언어교육에 있어 다중언어주의적 교수법을 보다 자연스럽게 도입할 수 있는 제도적인 여건을 마련해 주고 있음을 첫째, 기관에서 교육받을 수 있는 언어의 수, 둘째, 활성화되는 교환 학생 프로그램, 셋째, 새로운 학제의 도입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조명해 본다. 끝으로 INALCO의 「외국어로서의 불어교육 Didactique du Francais Langue Etrangere」분야에서 최근에 신설된 한 석사과정 수업의 예를 통하여 다중언어주의 개념이 CECR의 이론적 논의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프랑스의 실제 언어교육현장에 구체적으로 적용되어지는 실천원리임을 밝혀 보인다.

      • KCI등재

        유럽연합(EU)의 고등교육 개혁 동향 분석 연구

        장덕호(Jang, Deok-Ho)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유럽연합(EU)이 추진하고 있는 고등교육 개혁의 배경과 그 내용을 분석하여 한국 대학개혁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EU는 경제가 침체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지역의 경제적 활력 회복을 위한 원동력으로서 대학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EU가 고등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배경은 무엇이고, 개혁의 구체적인 내용과 그 진행과정은 어떠한 지 살펴본다. 아울러 개혁에 따른 성과를 교육과정, 지배구조, 재정, 산학연계, 인적 이동성 확대 측면에서 분석․평가하고, 고등교육 개혁의 비전과 전략의 제시, 고등교육 국제화의 확산과 질적 수준 관리, 아카데믹 캐피털리즘의 확산과 제어, 그리고 기업가형 대학 출현과 대응이라는 관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background of higher education reform of European Union, to investigate the contents, process, to analyse the results of the reform, and to discuss the reform process. Recently, European Union has launched the reform of the higher education to rehabilitate the declined economy of the region. This study reviews the backgrounds of the higher education reform in Europe, the specific agendas and the process and outcomes of the reform. In addition, this study analyses the outcome of higher education reform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y curriculum, governance, funding system,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and human resource mobility.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related documents and articles, this study discusses on the following issues : the need of macro-policy framework for university reform,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quality assurance, academic capitalism and the need for relevant control, and entrepreneurial university and consideration of new leadership for university presidents.

      • KCI등재

        유럽연합의 세계 대학 평가시스템 ‘유-멀티랭크’ 연구

        이태영(Lee Tae-yo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연합에서 개발한 세계 대학 평가시스템 ‘유-멀티랭크(U-Multirank)’를 통해 대학의 실제 경쟁력과 질적 수준을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 그리고 세계 대학 순위평가 시스템이라는 개념을 재정립해야 필요성을 역설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는 THE나 ARWU와 같은 세계 대학 순위평가 시스템은 연구중심 종합대학에 초점을 맞추어 정량화된 평가 방식을 취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 방식은 세계 고등교육 분야에서 대학과 전공 간의 서열화를 조장하는 동시에 소규모 지방대학이나 유사 고등교육기관을 소외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더구나 대학 순위평가제의 본래 취지가 잠재적 대학 편․입학자들에게 실질적이고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들 개개인의 교육 이상과 요구에 부합하는 고등교육기관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는 점을 도외시한채, 기존의 정량화된 평가 방식과 순위발표는 결코 도표 위의 수치로 환원될 수 없는 복잡다양한 교육현실을 축소시키는 문제마저 초래하였다. 유럽연합 교육위원회는 세계 대학 평가시스템의 이러한 결함을 보완하고 유럽 사회에 필요한 고등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타당성 조사와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유-멀티랭크’라는 새로운 세계 대학 평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THE나 ARWU 등과 차별화되는 유-멀티랭크의 특징은 사용자 중심성, 다차원성, 개별성이라는 원칙 아래 대학에 관한 질적 평가 방식을 취한다는 데 있다. 이 시스템은 모바일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설계되어 디지털 글로벌 시대에 최적화된 세계 대학 평가시스템의 본보기를 제시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접근성과 참여폭을 확장시킴으로써 시스템 자체의 무한한 자기검증과 진화 가능성까지 열어놓고 있다. 이는 대학 평가시스템의 투명성 확보와 관련해 대단히 중요한 장점이다. 무엇보다 유-멀티랭크의 사용자 중심 모바일 운영체계는 미국대학 중심의 기존 세계 대학리그에 국내․외의 다양한 대학들을 노출시킴으로써 공정한 질적 경쟁의 장을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우리 대학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희망을 걸만한 대안이라 생각된다. 유-멀티랭크를 통한 세계 대학 평가시스템의 재개념화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본 연구는 Edgar Morin의 복잡성 사고 이론과 Karl Popper의 과학철학에 기댄 인식론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a conceptual reestablishment of world university evaluations. The hitherto most wellknown and validated world university evaluation systems such as Times Higher Education (THE), Quacquarelli Symonds (QS) or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ARWU) primarily assess big universities with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and performance results in the rankings. Those Systems have instigated a kind of elitism in higher education and neglect numerous small or local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stead of providing stakeholders with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real possibilities of tertiary education so that they can choose an institution that is individually tailored to their needs. Also, the management boards of universities and policymakers in higher education have partly been manipulated by and partly taken advantage of the elitist ranking systems with an economic emphasis, as indicated by research-centered evaluations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o supplement such educational defects and to redress the lack of world university evaluation systems, a new system called ‘U-Multirank’ has been implemented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European Commission since 2012. U-Multirank was designed and is enforced by an international team of project experts led by CHE(Centre for Higher Education/Germany), CHEPS(Center for Higher Education Policy Studies/Netherlands) and CWTS(Centre for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at Leiden University/ Netherlands). The significant features of U-Multirank, compared with e.g., THE and ARWU, are its qualitative, multidimensional, user-oriented and individualized assessment methods. Above all, its website and its assessment results, based on a mobile operating system and designed simply for international users, present a self-organized and evolutionary model of world university evaluation systems in the digital and global era. To estimate the universal validity of the redefinition of the world university evaluation system using U-Multirank, an epistemological approach will be used that relies on Edgar Morin’s Complexity Theory and Karl Popper’s Philosophy of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