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품안전 위해요인에 대한 소비자지식

        윤여임,김경자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4

        한 사회의 식품안전 수준은 현실적으로 절대적 안전이 아닌 상대적 안전의 개념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이 때 사회적 합의의 주체 중 하나인 소비자들이 식품안전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지식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식품안전 문제를 걱정할 때 자주 언급하는 10개 위해요인에 대한 소비자 지식수준을 파악하 기 위해 수행하였다. 소비자들이 식품안전과 관련해 많이 우려하는 위해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잔류농약, 성장호르몬, 광우병, 항생제, GMO, MSG, 식품첨가물, 환경호르몬, 방사선조사, 방부제의 10개 위해요인을 추출하였다. 다음에는 설문조사를 통해 각 위해요인에 대한 소비자지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설 문조사는 20세-59세 주부 49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수행하였다. 위해요인에 대한 소비자 지식수준 외에도 각 위해요인에 대해 소비자가 오해하고 있거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내용들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식품안전 위해요인에 관한 소비자 지식을 측정하는 48문항에 대한 정답률은 평균 41.8%였다. 위해 요인별로 보면 환경호르몬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성장호르몬, 식품첨가물, 방부제, 광우병, 잔 류농약, GMO, MSG, 방사선조사, 항생제 순이었다. 오답률은 항생제가 가장 높았고, 잘 모르겠다는 비율은 방 사선조사가 가장 높았다. 식품안전에 대한 정책적 접근은 위해요인별로 다양하게 행해지는 것이 필요하다. 환경호르몬 등과 같은 물질은 식품에 혼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필요이상으로 위험을 과도하게 인식하고 있거나 잘못 알고 있는 항생제, 잔류농약 등은 관련 지식을 제대로 알려 심리적 부담을 줄이고 안전하게 소비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위해요인에 관한 정보를 소비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접근성을 높이 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umers’ knowledge on 10 food hazards. To figure out food hazards that consumers were anxious about,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ere operated and 10 hazardous factors including agricultural pesticides, growth hormone, mad cow disease, antibiotic,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MSG, food additives, endocrine disruptor, food radicidation, and food antiseptic were extracted. Consumers’ knowledge of 499 housewives on the 48 items of 10 food hazards were measur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ere not fully aware of the meaning of the food hazards and the currently enforced regulatio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41.8% on the average, little less than the half point. The factor that consumers answered correctly the most was endocrine disrupter, the next was growth hormone, and the least was antibiotic. Wrong answers was the highest for antibiotic and ‘don’t know’ response was the highest for food radicidation. Naming of hazards looked important because it confused consumers in an irrational way of thinking. Also, even though consumers know the meaning of food hazards and the regulations, they had less trust in regulation enforcement. With this result of consumers’ knowledge on food hazards, the needs of more accurate communication, consumer education, and altering regulation on food hazards was suggested.

      • KCI등재

        불량식품 사건발생 실태와 경찰의 위해방지 대책

        정웅 한국치안행정학회 2014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1 No.2

        본 연구는 최근 불량식품 유통에 따른 소비자 질병유발 위험 등 우리사회의 먹거리 불안에 대 한 대책 마련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특히 식품 팽창제ㆍ표백제 등 화학적 위해요소(독성물질)이 포함된 불량식품의 인체유해 위험성과 그 단속활동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위해방지를 위한 단계별 대책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식품첨가물, 농약, 중금속, 환경호르몬 등 화학적 독성물질에 의한 식중독은 체내 흡수가 빨라서 중독량에 달하면 급성증상을 보이고, 미량씩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도 체내에 축적되어 만성중독을 유발한다. 또한 다른 독성요소와 달리 화학적 위해요소에 의한 인체유해는 계절과 관계없이 발생하며 일단 유발되면 대규모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는 특징이 있다. 최근까지도 이러한 인체유해 불량식품 사건이 빈발하였으며, 독성 위해식품의 인 체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불량식품에 대한 단속활동은 위해식품보다는 과장광고ㆍ표시위반 식품 위주의 단속, 식품안전 취약 대상(아동, 노약자, 임산부) 보호와 관련 식품 단속의 미흡, 압수ㆍ잔 여 불량식품 폐기 처리의 애로 등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불량식품의 척결, 그중에서도 특히 인체 유해한 위해식품의 근절을 위한 단계별 대책으로서 첫째, 위해요소 발생단계에서 검사 성적서 등의 철저한 확인을 통한 위해요소의 저감화, 둘째, 질병유발 예방단계에서 질병유발 고위 험 소비자군의 중점관리, 셋째, 불량식품 단속단계에서 유해ㆍ독성물질 사용 식품군에 대한 단속 강화, 넷째. 단속활동 후속단계에서 불량식품 확산 방지를 위한 식품회수ㆍ처리 조치의 적기 시행 등이 특히 강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some phased countermeasures from the regulatory activities of recent harmful food case containing toxic materials, especially chemical hazard(food additives, industrial chemicals, etc). When people get sick from food poisoning by the toxic chemicals, generally the harmfulness to human health comes out as distinctive features like acute poisoning and chronic addiction. Furthermore it takes place regardless of season, once it occur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ppearance on a large scale. In spite of such a recurrent harmful food case the problem of the police activities, they work harder to counter the false advertising and food labeling violation than harmful food itself. In addition they fall short of food safety expectations for the vulnerable including children, the old and the weak,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s. They are faced with a bottleneck in the disposal of residual harmful food as well. In the perspective of risk prevention and crackdown against harmful food, this study suggests the phased countermeasure which passes through four stages in food circulation. That is, the first is a decrease of chemical hazard by thorough identification of examination documents in the generation stage of toxic materials. The second is critical attention to high risk consumer group in the prevention stage of disease. The third is more intensive control over harmful food group containing toxic materials in the crackdown stage of harmful food. The fourth is timely disposal measure against the spread of the rest harmful food in the follow-up stage of crackdown.

      • KCI등재

        식품위생법상 위해식품 방지에 관한 연구

        이재삼(Lee, JaeSam),박문선(Park, MoonSun) 한국법학회 2014 법학연구 Vol.54 No.-

        현행 식품위생법상 제기되는 문제점으로써는 위해식품과 불량식품의 용어의 혼란, 부적합 식품을 수입한 영업자에 대한 교육의 부적절성, 식품영업자에 대한 단기간의 교육기간, 식품위생에 대한 실효성확보 미흡, 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위해식품의 정확한 용어 정의 사용, 수입업자에 대한 교육 철저, 식품 영업자에 대한 교육시간의 연장, 식품 위생에 대한 실효성 확보 수단 강화 등 개선방안을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위해식품의 정확한 용어 정의가 필요하다. 식품위생 관련법상의 위해식품의 정의와 불량식품이나 부정식품의 용어 사용으로 인하여 법규상의 혼란을 제거하고 실정법상 그리고 문헌 및 판례의 설시대로 위해식품의 용어로 통일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수입식품업자에 대한 철저한 교육이 필요하다. 수입신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입식품신고 절차 등을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관련 업체들의 수입 경비 절감효과는 물론 신고 오류로 인한 업무지연 해소 및 신속?정확하고 안전한 수입식품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미 부적격 식품식품을 수입한 자에게는 시정조치나 일정한 제재 등을 과함으로써 수입식품의 완정성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식품 영업자에 대한 충분한 교육시간의 필요하다. 식품영업자에 대한 직무교육과 신규 영업자에 대한 교육시간은 다소 연장되어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물론이다. 즉 식품영업자에 대한 교육시간과 신규 영업자에 대한 교육도 충분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식품의 철저한 위생관리와 소비자의 위생에 대한 책임감과 상도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식품 위생에 대한 실효성 확보 수단이 강화되어야 한다. 우선, 공표의 횟수 ? 기간이 연장되어야 한다. 식품위생법 위반자에 대한 공표제도로서 공표의 횟수?기간 등이 연장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식품위생 위반자에 대하여는 공표의 주관 및 횟수?기간 등을 연장하여 식품위생 위반자에 대한 위하력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식품위생법 위반자에 대한 과징금액수를 인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위반에 대하여는 해당 식품의 판매량에 소매가격의 2-3배 이상의 과징금을 부과함으로써 위해식품 방지와 식품위반자에 대한 제재력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과태료 액수를 인상하여야 한다. 위해식품으로 인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중대한 식품범죄행위에 대한 과태료 제재(액수 인상)를 강화하여 식품범죄에 대한 위하력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아울러 포상금 제도의 활성화를 위하여는 포상금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의 신고에 따른 포상금 액수가 너무 적으므로 포상금의 액수를 늘려서 신고에 따른 식품위생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위해식품 영업소 내부에서 저질러지는 위법, 불법행위 등을 알게된 자가 이를 시정하고자 내부책임자 및 감사부서에 보고 또는 폭로하는 내부고발자제도를 활성화 해야 한다. 따라서 내부고발자제도에 대하여는 공익적 행위로 평가하여 사회에서의 일반화 및 합리화 방안을 더욱더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 KCI등재

        EU식품법에 있어서 유럽식품안전청의 조직구조와 역할수행상의 문제

        김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3

        Th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which has legal personality, is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agency responsible for risk assessment and risk communication. The Authority consists of a management board, an executive director and his staff, an advisory forum, a scientific committee and scientific panels. Under the Regulation 178/2002, the Authority has following main functions. First, to provide independent scientific advice at the request of the European Commission, Member States of the EU, national food bodies of the Member States or the European Parliament to evaluate food safety risks. Second, collection and analysis of scientific data covering issues. Third, safety evaluations of dossiers put forward by industry for Union level approval of substances or processes such as additives, GMOs and novel foods. Fourth, identification of emerging food safety risks. Fifth, to support to the European Commission in cases of food safety crisis. Sixth, communication to the general public of its scientific advice and risk assessment. However, there are some issues which should be reviewed. First, Member States remain limited in the action that they can take at national level where a domestic food crisis occurs, with the consequence that parties should co-operate in an effort to clarify the contentious scientific issues. Second, it is still not clear how members of the Management Board or the Advisory Forum who are government civil servants will act in these bodies, but they must always act independently in the public interest. Third, there is in need of co-operation from Member States to identify emerging food safety risks in the food chain. Fourth, for the identification of emerging food safety risks, there is in need of co-operation between the Authority and national food bodies of the Member States. Fifth, the European Commission, concerned about losing any of its powers, specifies that it alone will remain responsible for the communication of risk management decisions even though they may be based on scientific opinions of the Authority, nevertheless the Authority's risk communication activities have to respect the European Commission’s risk communication about risk management decisions. Sixth, in an identified crisis, the European Commission is to set up a crisis unit, which is to be assisted by the Authority ‘if necessary’. These days, the issue of food safety and consumer protection has a supranational nature. which would not be a problem in only one country. Many countries knows that there's a necessity for international food safety network similar with the EU, so that the food safety and consumer protection through the Authority of the EU as a community has a important meaning for international society. 식품안전에 관한 높은 수준의 소비자보호를 목적으로 2002년 규칙 178/2002에 의하여 설립된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유럽위원회, 회원국, 국내식품기관 또는 유럽의회가 식품안전에 관한 자문을 요청하는 경우 식품안전의 위해성을 평가하여 이들에게 과학적 의견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유럽식품안전청은 EU내에서의 식품안전을 모니터링하고, 유럽위원회의 식품안전정책을 보조하기 위하여 관련된 과학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또한 유럽식품안전청은 식품첨가물, 유기농 및 다이어트 등 특정 용도를 위한 식품, 유전자변형유기체, 신종식품에 대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 최종 확인한다. 나아가 유럽식품안전청은 식품안전위기 또는 식품안전공포가 발생하는 경우 유럽위원회의 업무를 전반적으로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서 유럽식품안전청은 과학적 자문과 위해성 평가의 내용을 일반 대중에게 통보하는 데에도 기여하게 된다. 그러나 유럽식품안전청은 국내식품기관들에 대하여 진정한 독립적 식품안전기구인지 또는 EU기관들과 회원국들에 대한 단순한 과학적 자문기관으로서의 보조적 성격에 지나지 않는 기구인지 등의 몇 가지 검토해야 할 문제가 제기된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유럽식품안전청과 회원국 국내식품기관 간의 과학적 의견이 충돌할 수 있어 회원국대표로 구성되는 자문포럼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EU회원국 정부의 공무원인 운영위원회 또는 자문포럼의 위원들의 독립적 지위가 손상될 우려가 있으나, 이 문제는 EU의 식품안전과 소비자보호라는 본질적 목적에 부합된 해당 전문가로서의 자질에 대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유럽식품안전청의 역할수행의 공개와 투명성과 관련해서는 관련 규정을 충실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신종위해요소의 규명과 관련해서는 얼마나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문제인데, 이는 유럽식품안전청과 회원국 간의 매개체 및 구심점 역할을 하는 자문포럼을 통한 협력의 네트워크를 활용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위해성 관리의 기초가 되는 과학적 의견의 준비에 대한 실질적 역할은 유럽식품안전청이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위해성 관리는 유럽위원회가 권한을 행사하여 위해성 관리의 측면에서는 유럽위원회의 주된 역할로 인하여 유럽식품안전청의 역할이 제한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과학과 행정의 적절한 조화를 필요로 한다. 여섯째, 신속경보체제와 관련하여 유럽식품안전청은 유럽위원회의 필요에 의해 요청되는 경우에 한하여 과학적,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유럽식품안전청의 역할수행의 탁월성과 전문성 및 독립성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유럽식품안전청은 역할수행상의 몇 가지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에서 실행되고 있는 유럽식품안전청의 역할은 식품안전과 소비자보호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는 현대 국제사회의 식품안전네트워크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오늘날 식품안전문제는 국경을 초월한 문제로서 지역 국제사회의 차원에서 그리고 보편적 국제사회의 차원에서 모두 관심 있게 다루어야 할 사안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과 식품소비자정보 리터러시가 식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경숙,김지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농촌경제 Vol.43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nsumer anxiety on food hazards and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for dietary life satisfaction with domestic and imported foods. Our analysis resulted in three significant findings. First, the information utilization, synthesis, and evaluation factor, the information search and access factor, goal setting for information search factor among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consumer anxiety on food hazards,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due to our analysis of the effect of consumer anxiety of food hazards and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consumer anxiety on food hazards and the consumer’s gender affect dietary life satisfaction with domestic and imported foods. Third, goal setting for information search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with domestic foods. Information utilization, synthesis, and evaluation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with imported foods. On the other hand, goal setting for information search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sequently,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has direct or indirect impacts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with domestic and imported foods.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과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가 조사대상자의 국내식품과 수입식품에 대한 식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와 국내식품과 수입식품에 대한 식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의 정보활용과 종합 및 평가 요인, 정보탐색 및 접근 요인, 정보탐색 목표설정 요인,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 국산식품 식생활만족도, 수입식품 식생활만족도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소비자의 국산식품과 수입식품에 대한 식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국산식품에 대한 식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과 성별이고 수입식품에 대한 식생활만족도는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 중 정보탐색 목표설정 요인,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 성별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셋째,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와 국산식품과 수입식품에 대한 식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 KCI등재

        노인의 식품위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이성은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0 No.2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anxiety about food hazards of older adults and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anxiety about food hazards of older persons by gender. For this study, 2018 Social Survey data from Statistics Korea were analyzed and study sample consists of 7,870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 status, anxiety about environment, perceived compliance levels of others and anxiety about food haza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lth status, anxiety about environment, perceived compliance levels of oth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nxiety about food hazards of older adults. Also, education level and inco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food hazards of female older adults only. Particularly, all 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al anxiety like anxiety about radioactivity, pesticide/chemical fertilizer, and tap wat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anxiety about food hazards, and anxiety about tap water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ed anxiety about food hazard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need for intervention to improve food safety and to decrease anxiety about food hazards of older adults and gender should be considered in education about food hazards. 본 연구는 노인의 식품위해에 대한 불안 수준을 파악하고 성별을 구분하여 식품위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통계청의 2018년 사회조사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7,870명이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상태, 환경에 대한 불안, 타인의 준법수준에 대한 인식과 식품위해 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건강상태, 환경에 대한 불안, 타인의 준법수준에 대한 인식이 노인의 식품위해 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과 소득은 여성 노인의 식품위해 불안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방사능에 대한 불안, 농약 및 화학비료에 대한 불안, 수돗물에 대한 불안과 같이 환경적 요인과 관련된 불안은 모두 식품위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돗물에 대한 불안이 식품위해 불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식품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노인의 식품위해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식품위해와 관련된 교육에 있어 성별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식품첨가물(아질산, 아황산)의 Risk Communication 매체 개발

        권대희,최성희,김정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햄, 소시지, 마른 과일 등의 가공식품에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인 아질산·아황산에 대한 인식 및 정보요구도를 조사하여 아질산·아황산에 대하여 올바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 전달 매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아질산·아황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4월, 서울, 경기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부모들은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해 가장 염려하고 불안해하는데 반해, 실제 섭취량은 ADI(1일섭취허용량: 사람이 어떤 물질을 일생 동안 매일 먹더라도 유해한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하루 체중 1kg당 섭취량)에 훨씬 못 미치는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브레인스토밍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위해 정보 전달 매체인 ‘Smart Mom-아황산·아질산 바로알기’ 매체 및 e-book을 개발하였으며,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첫째, 식품첨가물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식품첨가물의 의미, 식품첨가물의 종류가 증가하는 이유, 엄격한 안전성 실험, 식품성분표시 읽기를 담았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건강한 식생활을 주도하고 있는 학부모들의 관심을 고려하여 아질산·아황산 함유 식품, 엄마표 홈메이드 소시지 만들기, 첨가물을 줄일 수 있는 조리법을 담았다. 셋째, 학부모들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해 1일섭취허용량(ADI) 알아보기, 알아 두면 유용한 사이트를 담았다. 학부모 대상 현장 시범 적용을 통해 개발 된 매체의 이해도와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매체의 내용이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얻고,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의식을 높이며 아질산·아황산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매체는 초등학교 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들에게 식품첨가물과 아질산·아황산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는 정보 전달 매체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isk communication materials on food additives (nitrite, sulfur dioxide) for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Nitrite and sulfur dioxide are the food additives used in ham, sausage and dried fruits which are the favorite processed foods of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350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ed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ir perception and information demand on food additives were analyzed focused on nitrite and sulfur dioxide. Although the parents were very concerned about the safety of food additives, the consumption levels through processed food, were far below the ADI.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 booklet called 'Smart Mom - sulfur dioxide and nitrite' was developed, and the contents included the following: the meaning and kinds of food additives, how to read food ingredient label, how to reduce food additives during cooking, ADI (Acceptable Daily Intake), useful web site to resolve a fear and getting sound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etc.. When the developed risk communication booklet was applied to 90 parents as a dietary educational material, the results were very satisfactory, which sugg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material. Therefore, the developed material 'Smart Mom - sulfur dioxide and nitrite' could be used to facilitate the risk communication on food additives for parents who have great interests on their children's dietary life by providing sound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 커뮤니케이션 과학 : 식품의약품 위해인식과 위해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미디어 이용 유형과 정보처리 전략, 정보원 신뢰도를 중심으로

        이상록 ( Sang Rok Lee )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구 고려대학교 언론연구소) 2012 커뮤니케이션 科學 Vol.29 No.1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이용 유형과 정보처리 전략, 정보원 신뢰도가 식품의약품 위해인식과 위해지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식품의약품에 대한 위해인식이나 위해관련 지식수준은 미디어 이용 유형과 관계없이 미디어 이용도가 높아지면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처리 전략 역시 처리유형에 관계없이 활용도가 높으면 위해인식이나 위해관련 지식수준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다. 미디어를 많이 이용하면서 미디어에서 얻은 정보를 활발하게 처리해 받아들일수록 식품의약품 위해인식과 위해관련 지식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또 위해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원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식품의약품 위해인식과 위해관련 지식이 높아졌다. 이 연구는 미디어를 많이 이용할수록 공공지식 수준이 높아진다는 기존 연구를 실증적인 과정을 통해 입증해냈다는 의미가 있다. 정보원 신뢰도와 위해인식, 위해지식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본 것도 새로운 시도다.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type of media usage,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ies and source credibility on food and drug safety-related risk perception and risk knowledge. As a result of research, it was founded that food and drug safety-related risk perception and risk knowledge increased when media usage increased regardless of type of media usage,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ies also influenced on increasing safety-related risk perception and risk knowledge when we use this strategies frequently regardless of type of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ies, In sum, safety?related risk perception and risk knowledge usually increase when we use diverse media platform frequently in our daily life and get useful informations from media sources by using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ies, Beside that, safety-related risk perception and risk knowledge increased when information sources are more credibl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howed previous studies that levels of public knowledge increase when we use media more frequently through empirical research methods, Investigating the relations between source credibility and risk perception and risk knowledge is also new attempt in our field.

      • KCI등재

        안전에 대한 한·미 대학생 소비자의 태도-행동모형 개발 :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유현정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6

        식품안전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적 마련과 지속적인 관리감독이 필요한 동시에 소비자들도 식품안전제도를 잘 이해하고 스스로 안전한 식생활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점차 글로벌화 되고 있는 시장환경을 고려할 때 식량자급률이 낮아 수입식품에 많은 의존을 해야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특히나 식품안전에 대한 국제적 표준을 이해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소비자를 대상으로 각국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식품안전태도 및 행동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실제 식품안전인식, 태도, 행동을 측정한 뒤 이를 구조화하여 구조방정식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소비자들은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식품안전을 위해 실천해야 하는 행동 측면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의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식품안전인식과 태도에 비해 행동점수가 높아 스스로 식품안전을 위해 실천하는 것이 습관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의 소비자들은 위해물질에 대한 우려보다는 위해식품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하고, 표시에 대한 신뢰도도 낮았던 반면, 미국의 소비자들은 식품의 생산과 제조, 가공, 유통 등의 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식품에 대한 불안보다는 식중독균, 발암물질 등과 같은 위해물질들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표시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전반적으로 식품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신뢰가 한국보다 미국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비자의 식품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모형화 했을 때, 식품안전인식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다시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인식이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정보제공의 발전방안 연구

        송유진,유현정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4

        정부의 식품안전대책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식품안전사고로 인하여 소비자의 불안이 점점 가중되고 있다. 식품안전지식과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과 불안감은 계속된다. 소비자의 불안을 해소하고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 원활한 식품안전 정보제공과 정보수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식품안전정보제공 웹사이트와 스마트폰 앱을 중심으로 식품안전정보제공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ICT 기반 식품안전정보의 가장 대표적인 제도인 생산이력추적제도에 대해 조사해 봄으로써 온라인 식품안전정보제공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효과적인 식품안전정보제공을 위해서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정보제공의 발전 방안, 온-오프라인 식품안전정보제공 연계 방안, 지속적인 식품안전정보제공 정책 및 제도 개발, 지속적 연구 지원 등을 통하여 소비자의 식품위해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 단기적으로는 식품안전정보를 다루고 있는 모든 정보담당 기관으로부터 식품안전 또는 식품위해 정보를 한곳에 집중시키는 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정부기관과 학계, 업계의 파트너쉽을 구성하여 한곳으로 집중된 식품안전정보를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실현해야할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변화하는 사회에 맞춘 지속적인 식품안전정보제공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지원, 소비자요구 분석을 통한 정책 및 제도 개발, 식품안전능력개발을 위한 교육기관 설립, 정부기관, 학계, 업계, 민간단체의 파트너쉽 형성, 식품안전정보제공을 법제화하는 등 다방면에서 노력을 기울어야할 것이다. There has been a series of food safety accidents including the power plant explosion in Fukushima, powered milk containing melamine, and those involving GMO, MSG, and BSE in spite of the government's food safety measures, thus increasing consumer anxiety more and more. Consumers' distrust and anxiety continue on with the lack of food safety knowledge and information. It is essential to make it easy to provide and receive food safety information in order to help consumers resolve their anxiety and maintain social stability.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and problems with food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at food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websites and smartphone apps and further the production traceability system,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system of ICT-based food safety information, thus searching for ways to develop the online provision of food safety information. As a result, food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can ensure effectiveness along with the reduction of consumer anxiety about the harmfulness of food by devising ways to provide food safety information online, making plans to connect between on- and off-line food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develop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for food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on an ongoing basis, and offering risk ongoing research supports for food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Those measures requires such a short-term effort as building a system to concentrate food safety and information at one place from all the concerned agencies dealing with food safety information. Mid-term plans include forming a partnership among the government agencies, academia, and industry, searching for ways to provide consumers with food safety information concentrated at one place in an effective manner, and implementing them. Long-term efforts include offering research supports to devise plans for ongoing food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according to the changing society, develop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through consumer needs analysis, establishing educational institutions to develop food safety capabilities, forming a partnership among the government agencies, academia, industry, and private organizations on an ongoing basis, and enacting laws on food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