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니캇(D. W. Winnicott) 이론에서 엿본 하나님 형상과 죄성

        이재호 한국목회상담학회 2023 목회와 상담 Vol.40 No.-

        I conducted this study based on the Christian belief that the human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special revelation of the Bible will be further revealed in psychology — a kind of general revelation. In the Bible, human beings are created in God's image but have a sinful nature. I explore how these human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Winnicott's theory. I first synthesize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image of God and argue that it should include both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These attributes of God are classified into love and trust, righteousness, and infinity. Then, I describe how these attributes are revealed in relationships: God reveals love and trust by consistently emptying and giving himself and reveals righteousness by continuously limiting his almighty power. I presuppose that human beings would also have such attributes in a limited way and that they would reveal them as God showed them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I describe how a mother displays love, trust, and righteousness toward her child through the Winnicott theory. I argue that infinity is partially reflected in human fantasy, and that the longing for infinity drives one to attempt to realize this fantasy. I argue that if this force works positively in one’s relationship, it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love and righteousness toward others. However, if it works negatively, it will suppress the freedom of others and destroy relationships with them. The latter reveals sinfulness, which I later discuss in detail. I use Winnicott's theory as a guide to reducing sinfulness and expanding love and righteousness. I briefly mention the significance of using the Winnicott theory to discuss the image of God and sinfulness. 연구자는 성경이라는 특별계시에서 보여주는 인간의 특성이 일반계시에 속한다고 여겨지는 심리학에도 드러날 것이라는 기독교 믿음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성경에서 보여주는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존재이며 죄성이 있는 존재이다. 연구자는 그런 인간의 특성이 위니캇의 대상관계 이론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하나님 형상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종합하여 하나님 형상은 속성과 관계라는 두 요소를 다 포함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성경에서 기술되고 있는 하나님의 속성을 사랑과 신뢰, 의, 무한성이라는 범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런 하나님의 속성이 관계 속에서 어떤 모습으로 드러나는지를 기술하였다. 즉 사랑과 신뢰는 변함없이 자신을 비우고 내어주는 모습으로, 의는 자신의 전능한 힘을 지속적으로 제한하는 모습으로 드러내심을 기술하였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도 그런 속성들을 제한적으로 갖고 있을 것이라고 전제하였고 그런 속성들이 하나님께서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보여주셨던 모습과 비슷한 방식으로 드러날 것임을 전제하였다. 그리고 위니캇 이론이 관심을 둔 모자 관계 속에서 엄마가 아이를 향해 사랑과 신뢰 그리고 의의 속성을 어떻게 드러내는지 기술하였다. 그리고 무한성은 부분적으로 인간의 환상 속에 반영되고 무한성을 향한 갈망은 유한을 초월하여 이런 환상을 실현하려는 추동으로 작용함을 주장하였다. 이런 추동이 관계 속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면 사랑과 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반대로 부정적으로 작용하면 자신의 자유를 확대하기 위해 타자의 자유를 억압하고 관계를 파괴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후자가 죄성을 드러냄을 주장하였고 이에 대해 자세하게 논하였다. 그리고 어떻게 죄성을 감소시키고 사랑과 의를 확장할 수 있는지를 위니캇의 이론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위니캇 이론으로 하나님의 형상과 죄성을 논한 것에 대한 의의를 간단하게 언급하였다.

      • KCI등재

        도널드 위니캇(Donald Winnicott)과 아동의 잠재적 공격성

        전혜선 ( Jeon Hyeseo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4 No.-

        본 논문은 생애 초기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잠재적 공격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토니 모리슨(Toni Morrison)의 『가장 푸른 눈』(The Bluest Eye)에 등장하는 세남자 주인공의 성장과정에 주목한다. 엄연한 폭력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가해자들은 그 사실을 인지조차 못한다. 이들의 인지 불능은 그것에 양분을 제공하는 근원들이 가정과 사회에 확고하게 자리하고 있음이다. 그 주된 요인들로서 정규교육의 폐단과 왜곡된 자녀교육, 부모와의 왜곡된 관계로 인한 보호와 억압의 문제, 그리고 무조건적 복종을 강요받은 아이들의 정체성 상실의 문제를 지목한다. 이와 관련하여 무엇보다 도널드 위니캇(Donald Winnicott)의 가장 큰 업적은 공격성을 부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긍정적인 측면을 바라보았다는 점이다. 위니캇은 아이의 생애 초기의 관계의 실패와 극복에 대해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고 공격성이 폭력으로 전환되는 지점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다. 특히, 그는 사춘기는 생의 첫 단계가 재현되고 반복되는 시기라는 점에 주목하고, 광적인 공격성에 휩싸인 아이가 그 같은 감정으로부터 회복될 시간을 갖도록 기다려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그러한 시간을 부여하기에 앞서 무엇 때문에 그에 대한 미움의 감정이 생겼는지를 아동에게 말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한다. 위니캇은 이와 같은 언급을 통해 공격적 성향을 가진 아동의 행동이 폭력유발행위로 진전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공격성이 건강하게 발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process of growth in three male characters in Tony Morrison’s The Bluest Eye, to se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in the early years of life at the point of potential aggression. Even though their behaviors are obvious violent, they don’t even recognize how violent their ones are. Their incapacity of cognition on that is firmly based on certain factors in their family and society. By those factors, this novel points out the negative effect of formal education, distorted education for children, and protection and oppression matters caused by a distorted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the infant. Moreover, paying attention to Donald Winnicott’s most prominent achievement is looking into the positive aspects in aggression in addition to the negative aspects; this novel analyzes the relation with aggression through Object Relations Theory by Donald Winnicott. Winnicott has assigned way a lot of time on the failure and overcoming of the relations in the early years of life and suggests crucial solutions on the point in which aggression turns to violence. He especially notices adolescence is the time to represent and repeat the early years of life, and he emphasizes that it is essential for children to have enough time to be bounced back from their excessive aggression. Above all, it's also important to tell children what causes the hatred toward them ahead of giving them such that time. Winnicott suggests, through that remark toward them,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s can be represented not just without violence, but also with healthy aggression.

      • KCI등재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에 나타난 성장과 치유: 도널드 위니캇의 이론을 중심으로

        조성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Growth and Healing in the Movie Attila Marcel:Based on the Theory of Donald Woods WinnicottSeongmi Ch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healing process and growth of Paul,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in the movie Attila Marcel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To explain the process of Paul's inner changes, I used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the movie based on the object-relations theory of Donald Woods Winnicott. First, I diagnosed the conditions of Paul and identified the causes of his problems focusing on Winnicott’s main concepts. After that, I analyzed his inner growth and healing process step by step. The movie is about “growth and healing” in which Paul overcomes his pain and loss through “transitional object”. Healing is not just a work of comfort, but a work of developing inner strength. Therefore, I found that healing and growth are deeply interrelated. Key Words: Donald Woods Winnicott, Transitional Object, Growth and Healing, True Self, Atilla Marcel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에 나타난 성장과 치유:도널드 위니캇의 이론을 중심으로조 성 미*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Attila Marcel)』에 나타난 주인공(Paul)의 치유과정과 성장의 의미를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 폴의 내면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정신분석학자 도널드 위니캇(Donald Woods Winnicott)의 대상관계이론에 근거하여 영화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먼저 폴의 상태를 진단하고 문제점의 원인을 파악하였다. 그 후, 위니캇의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내면의 성장 및 치유 과정을 단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 영화는 폴이 ‘중간대상(transitional object)’을 통해 자신의 아픔과 상실을 극복해 나가는 ‘성장과 치유’의 이야기이다. 치유는 단순히 위안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내면의 힘을 길러주는 작업이다. 따라서, 치유와 성장은 깊은 상호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핵심어: 도널드 위니캇, 중간대상, 성장과 치유, 참자기,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 □ 접수일: 2022년 11월 9일, 수정일: 2022년 12월 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강원대학교 교육인문협력학과 석사과정(Master’s Course, Kangwon National Univ., Email: jsm2582@naver.com)

      • KCI등재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에서 ‘해방’과 ‘추앙’ 의미 고찰

        최윤희,김태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Study on the Meaning of ‘Liberation’ and ‘Worship’in the Drama My Liberation NotesYunhea Choi & Taewan Kim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MZ generation that appeared in the main characters’ lives by examining the meaning of “liberation” and “worship” in the drama My Liberation Notes and the reason why the “liberation” process was 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way modern people live struggling in the era of uncertainty. First, Yeom Mi-jung’s ‘worship’ is the acquisition of continuity of existence. Second, the meaning of ‘liberation’ is to discover me. Third, the latent space called ‘Mr. Koo’ made creative life possible for ‘worship’ and ‘liberation’. Therefore, modern people, including the MZ generation in the age of uncertainty will be encouraged by “worship”, a full support for failure and frustration, and if there is a “liberation” moment to find themselves, they will be able to live a creative and vivid life in a potential space. Key Words: Liberation, Worship, My Liberation Notes, MZ Generation, Winnicott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에서 ‘해방’과 ‘추앙’ 의미 고찰최 윤 희*ㆍ김 태 완**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에 나오는 ‘해방’과 ‘추앙’의 의미와 ‘해방’과정이 가능했던 이유를 위니캇의 이론으로 살펴봄으로써, 주인공들의 삶에서 나타난 MZ세대의 심리적 상태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로써 불확실한 시대의 현대인 존재 방식을 반추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정신분석가인 위니캇 이론의 문헌 연구를 통해 ‘해방’과 ‘추앙’의 의미를 밝히고 MZ세대의 심리·정서적 의미를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내용: 문헌 연구결과, ‘추앙’은 위니캇의 ‘일차적 모성몰두’ 욕구를 반영을 의미함과, ‘해방’은 위니캇의 ‘홀로있음’과 ‘참자기 발견’, ‘잠재 공간’ 안에서 창조적 과정을 의미함을 고찰하였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연구에서 ‘추앙’의 의미는 존재의 연속성 획득이다. 둘째, ‘해방’의 의미는 참자기를 발견하는 것이다. 셋째, ‘추앙’과 ‘해방’을 위해서 부모님의 안아주는 공간이 창조적 삶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불확정성 시대를 살아가는 MZ세대를 포함한 현대인은 실패와 좌절에도 전적인 응원인 ‘추앙’으로 격려받고, 자신을 발견하는 ‘해방’의 순간이 있다면 다양한 잠재적 공간 안에서 창조적이고 생생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해방, 추앙, 나의 해방일지, MZ세대, 위니캇 □ 접수일: 2022년 8월 14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한신대학교 심리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Hanshin Univ., Email: yuninara@hs.ac.kr)** 교신저자,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Hanshin Univ., Email: honesty376@hs.ac.kr)

      • KCI등재

        위니캇(Winnicott)의 자기 개념을 중심으로 그림책『알도』에 나타난 "자기(self)" 탐색

        김태경 ( Tae Kyu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5

        본 연구는 Winnicott의 자기 개념을 중심으로 존 버닝햄의 그림책『알도』에 나타난 주인공 여자아이의 ‘자기(self)’를 탐색하였다. 아동문학 작품 속에서 아이들이 직면하는 세계와삶을 들여다보고, 그들이 겪는 다양한 문제와 고민 속에서 나타나는 아이의 ‘자기’의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해석학적 순환 과정과 심리적·정신분석적 문학이론의 관점과 방법으로 접근하여 그림책을 읽고 분석하였다. 분석 범주는 분석대상 그림책인 『알도』의 글 텍스트와 그림 텍스트 전체이다. 연구결과 『알도』에 나타난 자기는 첫째, 소외된 존재로서의 자기, 둘째, 은폐된 참자기와 드러낸 거짓자기, 셋째, 내적 실재와 소통하고 관계를 형성하며 발전시켜 나가는 자기, 넷째, 주체적 참자기의 형성과 자기 성장으로 나타났다. 『알도』에 나타난 아이의 자기 모습에 대한 탐색은 아동 문학 작품 속 아이들의 세계를 이해할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고, 다양한 상황과 사회적 관계 속에서 아이의 ’자기‘의 모습과 내면의 특성 및 성장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lf of a child as the main character of John Burningham’s picture book,『Aldo』by focusing on Winicott’s concept of self. The research was an attempt to examine the worlds and lives that children appeared in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face and the forms of self that the young characters show as they experience lots of different problems and troubles. For the attempt, this study read and analyzed the above picture book according to the theory of hermeneutic circulation and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ological and psychoanalytic literature theo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orms of self that the main character of『Aldo』has are categorized into four. First, self as an isolated being, second, hidden true self and revealed false self, third, self that develops as it communicates and relates with the internal reality and fourth, subjective true self and self-growth. The main character’s exploration of her self, as depicted in ..Aldo.., provide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worlds of children found in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It also suggests how children are in terms of self, what characteristics children have internally and how children grow within a variety of situations and social relations.

      • KCI등재

        도널드 위니캇의 안아주기 환경 개념의 여성목회신학적 재고와 목회적 돌봄

        권진숙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이 논문은 여성목회신학적인 관점에서 도널드 위니캇 (Donald W. Winnicott)의 안아주기 환경(holding environment) 개념을 성찰하면서, 새로운 상호적 목회 돌봄에 대한 가능성을 연구한 글이다. 연구 방법론은 캐리 도어링 (Carrie Dohering)의 여성주의 목회 신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 논문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 방법론을 소개하고 전반적인 연구의 전개와 주제를 제시할 것이다. 2장에서는 도널드 위니캇의 안아주기 환경을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비평적으로 재고할 것이다. 첫째로 안아주기 환경 개념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전통적인 모성 이해에 대한 비평을 한다. 둘째로 안아주기 환경 개념의 지나친 영아 편향적인 성향과 초기 돌봄 제공자에 대한 돌봄 결여에 대한 문제를 지적할 것이다. 3장에서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미아라는 여성의 모성 경험과 신앙생활을 분석함으로써 목회적 돌봄으로서의 상호적 안아주기 환경의 중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4장에서는 여성목회신학적 성찰과 목회적 돌봄에 대한 제언을 할 것이다. 기존의 모델은 영아와 엄마를 안아주기 환경의 두 구성요소로 보고 있는 것에 반해, 상호적 안아주기 환경은 유아와 초기 돌봄 제공자, 유아를 안아주는 환경으로서 초기 돌봄 제공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초기 돌봄 제공자의 안아주기 환경으로서 공동체의 돌봄이 강조될 것이다[영아+(초기 돌봄 제공자의 돌봄)↔초기 돌봄 제공자(+공동체의 돌봄)]. 육아의 문제는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여성목회신학적, 공공신학적 관점의 돌봄의 과제가 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Donald W. Winnicott's concept "Holding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a feminist pastoral theology. I will use Carrie Dohering's feminist theological method to rethink this thesis using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from a feminist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I will critique Winnicott's presupposition of traditional motherhood which reinforces a patriarchal understanding of women's roles as full-time mothers who can exclusively focus on nurturing their infant(s). Also, Winnicott's idealization of the role of the mother as the ideal primary caregiver will be examined. Then, the diversity of motherhood and parenthood within Korean society will be reviewed and why the new holding environment needs to be investigated and rethought to suit the needs of 21st century Korean family structures. Thereafter an understanding of holding environment will be suggested which presupposed the mutually important tasks of caring for the infant(s) (+the care of the primary caregiver(s)) and the primary care giver(s) (+the community care for the primary caregiver(s)). Then, the case study of Mia Kim will be used to imagine how we can specifically envision the negative example of an unhealthy holding environment for both infants and mothers. Finally, new feminist theological and public theological suggestions for pastoral care will be offered that allow for creating mutual holding environments.

      • KCI등재

        종교적 상징에 대한 목회 심리학적 연구 : Joachim Scharfenberg의 ‘영혼의 돌봄’ 이론을 중심으로

        고유식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연구자는 본 논문이 종교적 상징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를 통해, 어떠한 구조 속에서 종교적 상징이 실존적 인간의 영혼의 돌봄을 위해 기여해왔는지, 또한 정신분석적 해석을 통한 종교적 상징이 어떻게 기독교적인 영혼의 돌봄을 위해 좀 더 발전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지에 관한 희망의 연구가 되기를 바란다. 종교적 상징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 어떠한 이유로 우리 기독교인들은 종교적 상징을 통해서 위로 받으려 하는가? 종교적 상징은 우리에게 어떠한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가? 우리는 종교적 상징에게로 어떠한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가? 또한 이러한 식의 의미 부여에 있어, 종교적 상징과 인간 사이의 관계가 한 쪽의 일방적 관계가 아닌, 의미에 대한 종교적 상징과 인간 사이의 상호 역동적 관계로 이해될 수 있는가? 본 논문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해 조심스럽게 다가가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독일의 실천신학자이자 정신분석가인 요아킴 샤르펜버그 (Joachim Scharfenberg)의 종교적 상징 이해를 중심으로, 일반적 상징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종교적 상징만이 갖고 있는 특징과 그 속에 내포된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한 종교적 상징을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연구하기 위해 영국의 아동 정신분석학자인 도날드 위니캇 (Donald W. Winnicott)의 핵심 이론인 중간 대상/ 중간 현상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분명 샤르펜버그가 추구해왔던 목회 심리학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종교적 상징과 정신분석학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종교적 상징의 차이를 좀 더 명확하게 해주었다. 위의 연구들을 종합하여 결론적으로, 종교적 상징의 영혼 돌봄을 위한 가능성 중 하나로서 상담 상황에서 종교적 상징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역할과 기능들에 대해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종교적 상징은 인간의 삶을 반영하는 역동적인 힘을 갖고 있으며, 또한 인간이 삶의 자리 속에서 느끼는 갈등을 저항 없이 드러낼 수 있게 하는 역할에 대한 수행의 가능성을 본 연구자는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종교적 상징에 관한 다각적 접근은 본 연구자가 제시한 상담적 고찰 이외에도 앞으로 실천신학의 전반적인 발전을 위해 매우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Das Symbol ist in der Realität lebendig. Der Mensch kann durch die symbolische Wirkung in Beziehung zu anderen tretten. Diese Auswirkung des Symbols steht in Verbindung zur Identifikation der Wirklichkeit mit inneren Erfahrungen des Menschen. Also behauptet Joachim Scharfenberg die Notwendigkeit der Einführung des religiösen Symbols in die Seelsorge zur Bearbeitung und Aufzulösung seiner inneren Konflikte, weil es eine beruhigende Wirkung ausüben kann. Auf diesem Hinblick ist er der Meinung, dass im religiösen Symbol nicht nur die inneren Konflikte des Menschen, sondern die Geschichte des menschlichen Lebens und auch die christlichen Überlieferungen enthalten sind. Das religiöse Symbol fasst die Transzendenz im göttlichen Bereich und auch die Realität im menschlichen Bereich gleichzeitig um. Es enthält also die Gotteshuld für den Menschen, umgekehrt die Hoffnung des Menschen auf das ewige Heil. So bietet das religiöse Symbol eine große Möglichkeit an, dass die Menschen durch das religiöse Symbol die Heilswille Gottes für alle sehen und ihre in dieser Welt hoffnungslos aufgegebenen Wünsche ausdrücken können. Außerdem versuche ich Für das bessere Verständnis über psychoanalytischen Sinn des religiösen Symbols die Einsicht Scharfenbergs von ihm mit dem Verständnis vom Übergangsobjekt Winnicotts zu vergleichen, indem er die Gemeinsamkeiten und Unterschiede von beiden untersucht. Denn er erwartet die seelsorgerliche Auswirkung im religiösen Symbol. Schließlich erforsche ich die Funktionen des religiösen Symbols in seelsorgerlichen Situation: seine Funktion für den Ausdruck der Lebenssituation des Menschen und noch für die kommunikative Kraft. Daher überlegt er, welche Rolle das religiöse Symbol in der Seelsorge, nämlich in Pastoral Care spielen kann.

      • KCI등재

        연극치료에 나타나는 ADHD 아동들의 공격성과 창조성의 관계 -위니캇(Winnicott)의 공격성 개념을 중심으로-

        이태승 ( Tae Seung Lee ),나유진 ( Yoo Jin Na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5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5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극치료 개입에서 Winnicott 이론의 반응들을 점검함으로써 연극치료에서 나타나는 공격성과 창조성의 관계들을 탐구하는 것이다. Winnicott의 이론에는 안아주기와 다루기, 대상제공을 논하고 있고 연극치료의 사례연구에서는 은유와 극적 몸, 역할극을 적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공격성을 창조성으로 이해함으로써 연극치료사의 역할은 확장될 것이며 공격적 참여자를 도와줄 수 있을 것인가의 질문을 던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Winnicott의 창조성을 이용한 연극치료 개입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sponses to Winnicott’s theory by ADHD children with Dramatherapy interventions. This study explores the connections between aggression and creativity in Dramatherapy. One hand, Winnitcott’s theory deals with holding, handling and object-presenting. On other, a case study is presented in which dramatherapy was employed in metaphor, dramatic body, role-play. It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role of dramatherapist will be extended and facilitated aggressive clients by being aware of aggression as creativity.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dramatherapy interventions using Winnicott’s concepts as creativity.

      • KCI등재

        모래놀이치료의 기독교 상담적 적용 연구 : 융의 분석심리학과 위니캇의 대상관계 심리치료를 중심으로

        박은정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7

        본 연구의 목적은 모래놀이치료의 기독교 상담적 적용에 관한 연구를 C. G 융 (Carl Gustav Jung)의 분석심리학 이론과 도날드 위니캇(Donald Woods Winnicott)의 대상관계 심리치료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표현예술치 료 기법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영성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희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기독교 상담 영역에서의 표현예술치료 분야는 계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또한 기 독교 상담자를 찾아오는 내담자들은 영적 치유에 갈급해 하며 상담자에게 다양한 치 료적 접근을 기대한다. 따라서 기독교 상담자는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영성적 접근 을 시도하는 과정을 통해 상담의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지속적으 로 연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20여 년간 모래놀이치료를 교회, 학교, 복지기관 에서 실시 해 온 기독교 상담자로써 모래놀이치료가 기독교 상담의 측면에서 어떠한 적용점이 가능하였는지를 직접 경험해왔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본 연구는 표현예 술치료의 다양한 기법들 중에서도 융 분석심리학의 영성적 측면과 가장 관련이 깊은모래놀이치료에 집중하여 기독교 상담적 적용을 고찰해 보려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융 분석심리학과 기독교 상담의 관련성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모래놀이치료의 기독교 상담적 이론 기반을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모래놀이치 료의 역사와 이론, 상담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 후 모래놀이치료의 치유적 힘과 자아 실현의 과정에 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셋째, 모래놀이치료의 임상 현장에서 기독 교 상담이 어떻게 적용 가능한지에 관하여 연구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tudy of sandplay therapy applying to Christian counseling based on Carl Gustav Jung’s theory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Donald Woods Winnicott's object-relations theory. Many expressive art therapies have been introduced these days while few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piritual perspective. Nonetheless, expressive art therapies continue to be expanded in the Christian counseling area. Also clients who seek Christian counselors want spiritual healing expecting a variety of therapeutic approaches from counselors. Hence, Christian counselors should recognize that better outcomes are anticipated from the trials of spiritual approaching process using multiple techniques, which requires continuous studies. As a Christian counselor who has performed sandplay therapy in churches, schools, and welfare centers over 20 years, the investigator experienced what points in the sandplay therapy had been worked in view of Christian counseling. Based on these experiences,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the sandplay therap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piritual perspective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mong multiple techniques of expressive art therapy, applying to Christian counseling. The first study method is to find ou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with sandplay therapy by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s between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nd Chrisitan counseling. The second method is to review the healing power and the course of self-realization of sandplay therapy after researching its history, theory, and counseling processes. The third method is to investigate how Christian counseling is applied in the clinical practices of sandplay therapy.

      • KCI등재

        신앙공동체는 놀이터가 될 수 있는가?

        정연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2 장신논단 Vol.54 No.5

        There are many young adult Christians complaining that their faith communities are making them feel frustrated and suffocated. The faith community is supposed to allow people to experience freedom through the truth. Unfortunately enough, it is not true in reality. For this reason, more and more young people are leaving their church. Why? Obviously, this is not just a problem for young people. Why does the faith community that teaches the Gospel of freedom rather make people frustrated?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spond to the situation above.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study will be, “What does it take for the faith community to become a space that provides freedom and liberation?” In this paper, it is through “play” that I try to find the pos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as a space in which one can feel freedom and liberation. In order to find the pos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that is experienced as a playground, this article develops as follows. First, in the introduction, the case of a young adult named J is presented. Through the case of J, who recently suffered the pain of leaving the church, I want to convey the vivid story of a young adult who experiences frustration and oppression in the faith community. Then, through Donald Winnciott’s psychoanalytic theory, I discuss the possibility of healing and growth that a play space provides in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and spiritual life. Furthermore, I explore the meaning of creating a space for play in the faith community. Through Winnicott, the pos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as a creative playing space is presented. Next, through the philosophical hermeneutics of Hans-Georg Gadamer, the possibility of play that can widen one’s understanding and existence is discussed. In the course of arguments, the pos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as a community of interpretation is explored. Finally, through the pastoral theological vision of “a community of faith where vivid questions are alive,” I present some practical ways to help people in community like J enjoy freedom creativity in the faith community. 필자가 상담실과 강의실에서 만나 온 한국교회의 청년 중에는 신앙공동체가 그들에게 답답함을 주고 있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신앙공동체는 진리가 주는 자유를 경험하게 하는 곳이어야 하는데, 오히려 신앙공동체로 인해서 자유가 억압 되는 경험을 하고 있다고 호소한다. 젊은이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신앙공동체는 왜 젊은이들에게 자유와 해방감을 주지 못하고 있을까? 이것은 단지 청년들만 느끼는 문제는 아니다. 신앙공동체는 왜 사람들에게 답답함을 안겨줄 까?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신앙공동체가 자유와 해방을 선사해주는 공간이 되는 데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라는 연구질문에 대해 필자는 ‘놀이’를 통해서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신앙공동체가 놀이터로 경험될 수 있다면 구성원들이 답답함과 억압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 자유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놀이터로 경험되는 신앙공동체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 이글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우선, 서론을 통해 필자가 만났던 J라는 청년의 사례를 제시한다. 최근 교회를 떠나는 아픔을 겼었던 J의 사례를 통해 신앙 공동체에서 답답함과 억압을 경험하는 한 청년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한다. 이어서, 도널드 위니캇(Donald Winnciott)의 정신분석 이론을 통해서 한 개인의 심리적 삶과 영적 삶에서 놀이터라는 공간이 제공할 치유와 성장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나아가 신앙공동체 안에 놀이를 위한 공간을 만든다는 것의 의미를 모색한다. 위니캇을 통해 창조적 놀이 공간으로서의 신앙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한스-게오르크 가다머(Hans-Georg Gadamer)의 철학적 해석학을 통해 놀이가 가진 이해 및 존재 확장의 가능성을 논한다. 이를 통해 놀이하는 해석공동체로서의 신앙공동체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생생한 질문이 살아 있는 놀이터 신앙공동체’라는 목회신학적 비전을 통해 J와 같은 신앙인이 자유 롭고 창조적으로 신앙생활을 하도록 돕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