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디어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환경 프로토타입 개발

        권성호,신영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웹에서 미디어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미디어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환경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웹 기반 미디어교육의 설계를 위하여 구성주의 인식론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 과정을 중시하는 탐구기반학습을 교수-학습의 원리로 하여 미디어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환경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살피고, 설계 원리와 전략,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토타입은 미디어 제작과 분석이 탐구를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미디어 개념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제작에 대한 직접적 경험과 성찰, 전문가 모델링을 이용한 성찰로 지속적인 사고를 하는 탐구순환과, 협력활동과 개별지식구성이 이어지면서 지식 구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웹에서의 다양한 자원들을 이용하면서 활동을 위한 비지시적 안내를 통해 학습자들이 주체적으로 미디어를 사용하고 다양한 시각을 접하면서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프로토타입은 앞으로 웹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에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totype of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WBLE) for media education. The necessity of media education is increasing in th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where learners' abilities to use media is strongly demanded. Media education is to develop media literacy, which means that learners can evalu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media in a critical mind and communicate and express their ideas in creative ways. In the media environment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media education must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et space so that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and people's expectation for educational effects result in high demands for Web-based media education.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media education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 position of constructivism. Seeing from the posi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vides learners with learning materials and tools so that they can study by themselves what they want to learn. The Web has potential by nature for realizing learning environment fit for constructivism.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prototype of WBLE for media education, taking inquiry-based learning on the basis of constructive epistemology as the learning principle in designing WBLE for media education. The design principles of WBLE on the basis of inquiry-based learning promote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inquiries and reflections on direct experiences, and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Finally, learners are guided in resource utiliz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and given directions of learning. This study developed WBLE prototype for media education that determines and reflects design strategies in consistency with the design principles of WB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education and inquiry-based learning. The developed prototype of learning environment includes 'media room' containing elements related to learning activities, 'collaborative room'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my room' related to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Learners' asynchronous communication, learning materials and results, and resources and links in 'resource room' , which are managed in DB, provide diverse types of information to learner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learning through underlying guidance in 'inform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developed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set topics for inquiry, collaborative to produce media expressing the topics, and manage learning process and schedule by themselves. They continue to reflect through expert modeling while acquiring information about how to produce media from 'media producing process' in 'media room' and analyzing existing media products in 'media inquiry' , and on the other hand, they engage in cyclic inquiry through practicing producing and exchanging influence and develop media literacy. This study proposed WBLE for media education, but it must be improved and complement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the future. First, there should be a plan to induce and motivat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Second, the operation,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learning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developed learning environment. Third, experimental research must be carried out by refining the prototype into an actual system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웹기반 교수-학습 모형과 학습 환경 설계 : 수학교과에서의 예시를 중심으로

        구양미,김영수,노선숙,조성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기반사회의 학습도구로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인터넷과 웹을 활용하여 창의성 계발을 돕는 교수-학습 모형과 웹기반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웹은 학습도우미(learning agent)로서 문제해결 학습상황에서 의사소통도구, 발견과 탐색도구, 지식과 경험 구성의 도구로 상정되었다. 즉, 중등 수학교과를 사례로 채택, 문제해결 학습상황에서 생각 5단계 모형(생각 열기, 생각 쌓기, 생각 나누기, 생각 다지기, 생각 펼치기)을 토대로 각 단계별로 문제의 구조 유형에 따른 사고 전략과 이에 상응하는 학습자와 교수자 활동, 웹기반 활동을 포함하는 웹기반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웹기반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실제 교수-학습활동 계획안을 개발하고, 창의적 문제해결 환경 지원을 목적으로 한 웹사이트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웹기반 교수-학습 모형과 학습 환경은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핵심요소로 간주되는 확산적 사고, 비판적 사고 및 교과지식이 조화롭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주안점을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web-ba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learning environmen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In this study, World Wide Web is considered as a learning agent assisting learning process as communication tools, inquiry tool, and knowledge construction tools in problem solving learning environments. The web-ba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Five Stage Thinking Model" that consists of uncover ideas, accumulate ideas, share ideas, ensure ideas, and unfold ideas. According to the steps of the model, a web-based lessen plan on coordinate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was developed. Finally, a web-based their divergent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subject knowledge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reatively. Some sample web pages were suggested for developing a web site based on the purposed model and the lessen plan.

      • KCI등재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기능 습득을 지원하는 교수설계 전략의 효과

        양용칠 ( Yong-chil Yang ) 한국교육공학회 2004 교육공학연구 Vol.20 No.4

        웹기반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 자기조절 학습기능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이 기능을 습득하거나 활용하도록 하는 전략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 환경에서 자기조절 학습기능의 습득을 촉진하는 전략이 이들 기능의 습득이나 활용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보려는 데 있었다. 대학생 3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기조절 학습기능 진단검사를 통해서 인지 전략, 자기효능 전략, 그리고 수행통제 전략 기능들이 학습자들에게 습득 또는 활용을 촉진시킬 기능으로 선정되었다. 이것을 위해서 8주 동안 16시간에 걸쳐 학습할 수 있는 수업내용과 이들 전략을 통합한 웹기반 학습을 개발하였다. 학습자에게 매주 한 시간은 웹기반을 통한 내용 학습을, 또 한 시간은 4명이 한 팀으로 특정 주제에 대한 온라인 동시적 토의를 하도록 하였다. 학습과 토의가 수행된 후에 자기조절 학습기능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들 기능 습득을 위한 설계 전략은 전체적으로 자기조절 학습기능의 습득에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체적으로 설계하여 학습을 지원한 수행통제 전략과 인지 전략의 습득과 활용에는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웹기반 또는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자기조절 학습기능을 습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부족하거나 취약한 구체적인 기능을 집중적으로 학습하도록 설계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SRLS) and student interactions has become a major research issue for effective and successful web-base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bedded learning strategies in promoting the use of SRLS i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4 college students. They were taught in web-based learning setting for 16 hours over 8 weeks. With 2 hours per week, one hour was assigned to content learning, and the other for group discussions, having four members for each group. SRL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learning. Results from the study showed that embedded learning strategies and student interactions to promote the use of the entire SRLS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did not improve the use or acquisition of students SRLS. However, it showed that there were some improvements in the use of acquisition on performance control strategies and cognitive strategies which were embedded into learning contents. Such results seem to have potential of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use of their SRLS. In light of such findings,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to promote students`` SRLS and to facilitate their interactions i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의 웹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른 만족도 인식의 차이에 대한 연구

        류지헌 ( Jee Heon Ry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대학에서 면대면 학습과 병행하여 운영되는 웹 기반 보조학습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인식의 차이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학습자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서 성적상위, 중위,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웹 기반 보조학습에 대한 만족도 인식과 유의미한 관련을 갖고 있는 변수를 확인하였다. 1,370명의 학습자가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행정지원, 기능적 편리성, 학습자원의 제공, 학습활동 촉진 등 11개의 독립변수가 투입되었다. 종속변수는 웹 기반 수업에 대한 만족도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적상위집단과 성적하위집단 사이에서 만족도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F=217.74, p<.05). 성적상위집단과 성적하위집단의 만족도 인식에서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인 변수는 학습활동 촉진, 동기유발, 학습노력이었다. 그러나 성적하위집단에서는 학습자원의 제공,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기능적 편리성에 대한 인식이 웹 기반 학습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성적상위집단에서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과 학습목표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가 유의미한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이 결과는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라서 웹 기반 보조학습에 대한 만족도 인식이 달라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학습자 특성에 맞춘 수업운영 전략의 수립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of satisfaction by learning achievement o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For this study, online based survey was administrated in the end of fall semester of 2006. The total participants of the survey was 1,370. The sampling error was evaluated at ±3% error rate with the 95% confidence levels. Eleven independent variables (student service, usability of LMS, supply of learning material, effectiveness of Web-based learning, interaction with peer, interaction with instructor, motivation, recognition of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efforts, total credits, GPA) were constructed to form a regression model with the dependent variable of satisfaction on Web-based learning. For the different achievement level, participants were grouped into high-achiever, middle-achiever, and low-achiever with GPA in ever 33%tile. The survey observation was made with 5 point Likert scale. The overall goodness of fit of the regression model was assessed as significantly meaningful at R2=.66, F=217.74, p<.0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commonalities between the high achiever group and low achiever group: 1) Facilitating learning, 2)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3) Efforts to learn at p<.05 level. However, there were also different factors depending upon learners` achievement levels. For the high achiever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instructor and the identification of learning goa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ers` satisfaction. However, for the low achiever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he learning cont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ers`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cluded that customized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critical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running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지향목표 지원이 내재적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심화영 ( Hwa Yong Shim ),송해덕 ( Hae Deok S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지향적인 목표를 촉진시키는 학습동기지원전략의 제공이 학업성취도와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70명이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동기지원전략의 제공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35명)과 통제집단(35명)에 참가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학습지향적인 목표를 증진시키기 위해 고안된 과제메시지와 학습자 중심의 과제선택권이 제공되었고, 통제집단은 이러한 전략이 제공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지향적인 목표를 증진시키기 위한 동기전략들이 제공된 집단의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집단의 학습자들보다 학업성취도 및 내재적 동기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동기지원전략의 제공이 학업성취도와 내재적 동기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지향적인 목표와 내재적 동기,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학습지향적인 목표와 내재적 동기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렇지만 학습지향적인 목표와 학업성취도간, 내재적 동기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viding goal-oriented context on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Both students who received the goal-oriented context and those who did not receive the goal-oriented context participated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to study Powerpoint. The goal-oriented context was created by incorporating two contextual factors (task instruction messages, distribution of authority) to increase a learner`s learning goal orientation. Task instruction messag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and task challenge and were presented both before and after of the each learning unit. Distribution of authority were possible by allowing learners to choose learning topics and learning paths in the study material.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in the goal-oriented context group ear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both achievement test and intrinsic motivation tes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implies that stimulating learning goal orientation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Results also showed that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achievement. Future studies should find the relations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supporting goal orientation on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clearly.

      • KCI등재

        뇌성마비학생의 사고력 향상을 위한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 개발 연구

        이재욱 ( Lee Jae-u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뇌성마비학생에게 적합한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성마비학생을 위한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둘째, 뇌성마비학생을 위한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이를 위하여 전국의 지체장애학교 특수교육 교사 4명과 지체장애학교의 고등학교 과정에 재학 중인 뇌성마비학생 3명을 대상으로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에 대한 요구 분석을 실시하고 교수설계 및 개발 과정에서 사용성 검사와 전문가 타당화 검토를 거쳐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https://wbi-thinking.org/)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은 사용자 중심 설계가 적용되었고, 지각적 단서, 자동 음성 안내, 음성 인식 기능, 버튼 간의 넓은 간격, 스크롤 사용 최소화, 자동 화면 및 영상 전환, 보조공학기기 연동, 사고력 평가가 가능하며 반응형 웹 형태가 적용되어 뇌성마비학생들의 지각적, 읽기, 쓰기, 인지, 손 기능, 컴퓨터 접근성 등의 어려움을 보완하여, 뇌성마비학생들이 탐구 학습에 쉽게 접근하고 의미 있는 학습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suitable for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Research questions sele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a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for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designed? Second, how is a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for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implemented? To solv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a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ou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cross the country and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from a special school were analyzed for the needs of a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After usability tests and expert validation review, a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https://wbi-thinking.org/) was developed. The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user-centered design, erceptual clues, automatic voice guidance, voice recognition function, wide spacing between buttons, minimization of scroll use, automatic screen and image switching, linkage with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inking ability test. The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complemented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which were perception, reading, writing, cognition, hand function, and computer accessibility, so that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had easily access inquiry learning and learn meaningfully.

      • KCI등재후보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집단 유형과 과제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남정권 한국교육방법학회 2005 교육방법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이 집단 유형과 과제 유형에 따라 어떠한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웹 기반 협력학습, 인지이론, 과제중심학습 및 학습자 성찰을 연구의 주요 이론적 기저로 삼았다. 여기서는 개인학습과 협력학습을 집단 유형’으로 개념이해형 과제와 지식적용형 과제를 ‘과제 유형’으로 규정하고 두 변인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있어서 같은 집단 유형이라도 과제 유형에 따라 메시지 빈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메시지 항목별로 집단 간 메시지 빈도는 ‘점검 및 협력’ 항목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과제해결 수행에 있어서 과제 유형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집단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이 효과를 거두려면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 는 프로그램이 집단 유형보다는 어떠한 과제 유형을 수행할 것인가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고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이끌어 내도록 설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self-regulated learning affect group style and task style in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is based o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cognition theory, task based learning and learner reflection. The importance of the learners' self-regulation in learning has been continuously reviewed by many educational researchers. In addition, it was supported by previous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s and previous researches on self-regulated learning provided design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cognitive tools supporting learner's self-regulative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d applied to investigate (1)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groups and the types of tasks on learner's task solving process, (2)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groups and the types of tasks on learner's task solving performance. The two groups of learners regulated differently on concept comprehension and knowledge application task types. The total of 137 graduate students from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the period of four weeks. Based on the type of self-regulation groups and task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such as individual learning-concept comprehension, individual learning-knowledge application, collaborative learning-concept comprehens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knowledge applic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study, the groups performing the same task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in message frequencies. Second, for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performances, individual learners scored higher than collaborative groups in their achievement. For differences between the task types, however, knowledge application learners scored higher than those in concept comprehension.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for individual and collaborative groups for concept comprehens

      • KCI등재

        웹기반 평생학습자의 학습플로우 경험의 원인과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경영학 전공을 중심으로

        박경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e and consequence variables of flow experience in learning on the web-based lifelong learner. The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05 lifelong learner.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study exhibits that 3 antecedent variables of flow experience in learning- flow conditions(△R^2=.484), autotelic personality(△R^2=.010),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quality(△R^2=.013)- have positive effects on flow experience in learning. But self-directed learning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ed effects. And flow experience in learning has positive effects on the consequence variables of flow experience in learning- self-reported academic achievement(△R^2=.176), objective academic achievement(△R^2=.11), expected task efficacy(△R^2=.186). Especially, immediate feedback of flow conditions has positive effects on flow experience(43.8%), and sense of control has positive effects on self-reported academic achievement(13.9%), objective academic achievement(8.3%), expected task efficacy(16.5%). How to enhance flow experience in learning on the web-based lifelong learners was discussed on this paper. 본 연구는 경영학전공 웹기반 평생학습자를 대상으로 Csikszentmihalyi의 플로우 이론을 적용하여 학습과정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20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습플로우 경험에 미치는 원인변수로서 학습플로우 조건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갖고 있었다(R2=.484). 그 외 웹기반 학습환경의 질과 자기목적적 성격은 유의하였지만 낮은 수준의 설명력의 증가를 가져왔다(△R2=.023). 자기주도학습은 유의한 설명력의 증가가 없었다. 학습플로우 조건의 하위변수 중에서는 즉각적 피드백이 학습플로우 경험의 43.8%를 설명하였다. 학습플로우 경험은 종속변수인 자기보고식 학업성취도(R2=.176), 객관적 학업성취도(△R2=.110), 기대과업수행효능감(△R2=.186)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습플로우 경험의 하위변수 중에서 통제감이 학업성취도와 기대과업수행효능감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이밖에 본 연구는 경영학 전공 웹기반 평생학습자의 학습플로우 경험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과 학습플로우 경험의 결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이 뇌성마비학생의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이재욱 ( Lee¸ Jae-u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3

        본 연구는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이 뇌성마비학생의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이 뇌성마비학생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이 뇌성마비학생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지체장애학교의 고등학교 과정에 재학 중인 뇌성마비학생 3명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이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웹 기반 탐구 학습 환경은 뇌성마비학생의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 점수를 향상시켰다. 특히 비판적 사고력의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 '충분한 근거에 따라 주장하기', '다양한 관점으로 조망하기'와 창의적 사고력의 '유창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on the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on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on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the effect of a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on thinking ability was analyzed for thre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ttending high school courses at a school for physical disabilities by applying the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web-based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improved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scores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distinguishing facts and opinions', 'arguing based on sufficient evidence', 'view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improving 'fluency'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 KCI등재후보

        웹 기반 멀티미디어 환경 교육 교수,학습 자료의 내용 및 유형 분석

        차민정 ( Min Jung Cha ),소금현 ( Keum Hyun So ),심규철 ( Kew Cheol Shim ),여성희 ( Sung Hee Yeau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유·초·중등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환경교육 교수·학습 자료의 유형과 내용을 분석하고, 또한 학교 급간별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웹기반 멀티미디어 학습자료가 포함하고 있는 환경교육 내용 영역은 자연 환경 304건(22.1%), 환경 오염 250건(16.5%), 환경보전 대책 187건(12.4%)으로 이들 영역에 치중되어 있었다. 교수·학습 자료 유형은 수업지도안(934건, 61.8%), 다큐멘터리(156건, 10.3%), 정보문자(128건,8.5%) 등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학교 급간별 멀티미디어 교수-학습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796건, 35.3%)와 중학교(588건, 26.1%)에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거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 자료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환경교육의 내용이 전통적인 환경 오염 문제 중심에서 벗어나 지속가능 교육(ESSD)을 특히 강조하며, 그 외에 생태계,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건전한 소비 등으로 확대되는 추세를 감안하여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다양하고 균형 있는 교육 자료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We analyzed learning materials from web site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to help people to develop and utilize web-based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The contents of web-based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s were generally concentrated in 304 cases of natural environments (22.1%), 250 cas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s (16.5%) and 187 case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plans (12.4%). It did not significantly deviate from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contents being conducted focusing on environmental pollutions of the past. The types of web-based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s were 934 cases of teaching plans (61.8%), 156 cases of documentaries (10.3%) and 128 cases of e-text information (8.5%). The web-based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by school-levels showed that there were 796 for primary schools (35.3%), 588 for middle schools (26.1%) and 320 for high schools (14.2%). It also show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similar contents were provided even in advanced school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needs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teaching materials while the fiel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are covered with connectivity according to school-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