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웨어러블 디바이스 R&D기술 디자인 융합 연구

        이재익(Jae Ik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새로운 R&D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융합연구는 학계, 산업계를 망라하고 전 국가적인 과제로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의 형태가 ‘소지’에서 ‘착용’형태로 전환되어가는 시점에 등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기기의 국·내외 R&D 관련기술의 현황과 전망, 시스템 세부기능 분류, 웨어러블 디자인 도구와 플랫폼 개발, 국내외 웨어러블 디바이스 현황과 국내외 웨어러블 디바이스 R&D기술과 디자인 융합을 통한 사례연구를 통한 향후의 웨어러블 디바이스R&D기술과 디자인 융합연구의 단초 및 흐름을 제시하고자 한 기초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련 R&D기술 분야와 웨어러블디바이스의 국내외 디자인융합 사례 연구를 통해 국내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융합 연구의 활성화를도모하고, 나아가 더욱 더 발전적인 응용 기술 개발과디자인 융합연구에 지표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가장 밀착한 기기로, 기존 제품들이 제공하지 못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상황인지기술(Context Awareness), M2M(사물지능통신), 바이오피드백(Bio Feedback) 등, 새로운 R&D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융합 연구는 전자기기 디자인 융합기술, 인포테인먼트 및 게임디자인 융합기술, 산업 및군사 디자인 융합기술 등에 적용된 사례개발과 기술을 통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혁신 상품이 개발될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특히, 사회 전반적으로 의료, 건강, 인포테인먼트 등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더 진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기술과 디자인 융합 연구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미래창조 신성장 동력엔진의 창출 필요성으로 국가적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훌륭한 대안으로 그 활용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research of design convergence focused on new R&D technology areas has emerged as a national agenda included in academia and industrial world. This research is a basic research to propose the stream and preliminary offer for the design convergence research and further R&D technology via case studies on the present status of the wearable devic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e classifications of detailed features of systems, the developments of wearable design tool and platform, the present state and future of wearable devic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the convergence of design and the R&D technology of wearable devices which are emerged at the point of time of translation from the ‘possession’ to ‘wear’ for the type of smart device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e intention for the activation of research for the convergence study of wearable devices through the case studies for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design convergence of wearable devices and related R&D technological area and the propose for the basic data served as a indicator of the research for design convergence and the even more expansible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y.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cently wearable devices to give users the most intimate devices, which did not provide new services for existing products are able to provide and th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ies focus on new R&D technology areas such as context awareness technology, M2M, biofeedback and so on, are predicted to be developed wearable devices as innovative products through technologies and case studies applied to th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with electronics, th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with of infotainment and game, th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with and military technology and so on.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increase even further the utilization as the greatest alternative to resolve the national challenges as a necessity to create the new job creation and a future growth engine through the convergence of design and wearable device technologies in the area of medical, health, infotainment and so on in whole society.

      • KCI등재

        사운드 스펙트로그램과 심층신경망 기법을 사용한 패셔너블한 웨어러블 제품 디자인을 위한 테크놀로지

        김영언,김이경,박구만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2

        디지털 문화가 보급되면서 다양한 문화 양식과 사조를 공유하게 되었고, 새로운 장르의 스타일을 창조하 는 경향을 낳았다. 이러한 현상으로 패션과 기술이 융합된 디자인 개발도 폭넓게 전개되고 있다. 기존의 창작 과 미에 중점을 둔 스타일과는 다른 새로운 장르인 패션이 가미된 웨어러블 제품은 차세대 상품으로 많은 기대와 관심 속에 시장 도입이 되었다. 그러나 최근 웨어러블 제품의 시장 동향은 성장 없이 혼돈 속에 있으 며, 기술적 기능만을 중시한 상품 도입이 여러 부진 원인중의 하나로 분석되고 있다.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웨어러블 제품은 외부로 드러나는 착용형의 상품이므로, 사용자의 정체성을 표현할 패션이라 는 요소가 융합되고 자동 반응하는, 독자적인 가치를 갖는 디자인을 구현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패션과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여 웨어러블 제품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사용자가 자각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위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반응하여 사전 디자인에 따라서 패셔너블하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패션이 가미되어 디자인된 디스플레이를 갖는, 패션과 인공지능이 융합하여 자동으로 반응하는 웨어러블 제품에 사용할 테크 놀로지를 제안한다. 사운드 스펙트로그램으로 주위환경에서 입력된 소리의 특징을 추출하고 DNN의 Keras 기법으로 특성을 분류하여 레이블링한 후, 자동으로 반응하여 설정된 패션에 맞게 음향을 패션영상으로 변환 하여 패셔너블하게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안된 실험 시스템으로 채집된 소리 샘플을 실험한 결 과 –10 dB이내의 노이즈 환경에서 우수한 인식률을 나타내어 웨어러블 제품의 주위 환경에서 채집 가능한 소리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사용자의 사전 디자인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자동 반응하여 사용 자의 아이덴터티를 표현할 패셔너블한 웨어러블 제품의 디자인에 사용할 음향-패션영상 변환 맵을 제안하였 다. 실험에서 분류된 레이블로 음향을 패션영상으로 변환하여 패셔너블하게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As digital culture became popular, various cultural styles and customs were shared. This has created a tendency to create new genre styles. As a result of this phenomenon,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which fuses fashion and technology is widely spread. Wearable products in new genres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market with much expectation. However, market of wearable products is in chaos. The introduction of products with an emphasis on technical functions has been analyzed 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sluggishness. One of the ways to revitalize the marke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wearable products, worn as an outer wear, amalgamation of the fashion element, which expresses an identity of a user, and the unique value of design that enables the automatic rea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implemented. This paper proposes a technological system with a transformation map from sound to graphic image that can be used for designing auto-responsive and fashionable wearable products that amalgamate fash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stylishly designed display. The display will automatically react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show predefined fashionable display designs without users’ awareness. After the sound spectrogram extracts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input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classify and label them through Keras method of DNN, it automatically reacts to covert the sound input into stylish graphic images and display them fashionably according to the user’s preset desig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with the proposed sound system has proved that the system is capable of recognizing and characterizing the sound inputs around the wearable products when the noise level of the environment is under –10 dB. The experiment has verified that inputted sound can be transformed into a graphic image according to classified labels and it is successfully put on display.

      • KCI등재

        첨단과학기술시대에 웨어러블기기 이용급증에 따른 개인건강정보 보호를 위한 입법적 대응방안

        장인호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7 法과 政策 Vol.23 No.3

        In today’s high-tech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number of users of wearable appliances in various fields has increased rapidly, both domestically and overseas. The number of users of wearable device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The use of wearable devices is spreading explosively in the health care field, such as Google’s wearable devices, Samsung wearable devices and so on. In addition, research, development, sales, and use of healthcare wearable devices that can manage information about individuals’ current and past health conditions quickly, easily and efficiently anytime and anywhere are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in the future.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using a wearable device for their health care has increased so much that the risk of infringement of very sensitive and privat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has increased remarkably. Above all,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cludes personal medical history, family history, mental health records, medical records, and so on. And this kind of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s very private and sensitive to individuals. If individual health information is indiscriminately infringed by individual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or individuals by hacking, etc., the freedom of individuals, which is guaranteed as one of basic human rights in the Constitution, is seriously infringe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which is one of the many personal information, is further protected and strengthened, so that personal health information can not be hacked, stored, collected, or sold indiscriminately by the country or by company.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basic human rights, which is a core value of the Supreme Corporate Constitution. Most of all, it is necessary to protect personal health information, which is the private, sensitive and intimate area of individuals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users of wearable devices, which are being developed and sold due to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that is rapidly developing in today’s high-technology era.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reate environment for safe use of wearable devices in the era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nd to make sure that the secrets and freedoms of each individual’s private life and human dignity which are important values as the ultimate objective and ultimate ideology of the state in the Constitution,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오늘날과 같은 첨단과학기술시대에 다양한 분야에서 웨어러블기기(Wearable Device)의 이용자 수가 국내 또는 해외에서 급속히 증가하였다. 구글웨어러블기기・삼성웨어러블기기 등 건강관리분야에서 웨어러블기기 이용이 폭발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개인건강상태에 관한 여러 정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헬스케어웨어러블기기(Healthcare Wearable Device)의 연구・판매 및 이용 등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건강관리와 관련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관리를 위해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더욱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개인의 건강정보라는 민감하고 사적인 개인정보가 침해될 위험성이 현저하게 확대되면서 개인건강정보의 보호를 더욱 강해해야할 필요성이 함께 증대되었다. 특히 개인건강정보는 심박수・혈압・칼로리소모량・체중증감량・스트레스지수 등과 같이 개인의 건상상태 뿐만 아니라 신체활동・생체정보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개인에게는 매우 사적인 정보이고 민감한 정보일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한번 개인건강정보가 국가기관 또는 개인・기업 등의 私人에 의해 수집・저장・해킹 등의 방법으로 무분별하게 침해될 경우 헌법상 기본적 인권들 중 하나로서 보장되는 개인의 사생활비밀·자유가 심각하게 침해된다. 무엇보다 개인건강정보를 더욱 보호・강화함으로써 자신에 관한 개인건강정보가 국가 또는 사인에 의해 무분별하게 해킹・저장・수집・판매 등으로 침해되지 않고 자신이 언제든지 원할 때 원하는 만큼 관리・통제할 수 있는 안전한 개인건강정보이용사회를 이루어야 하며, 개인건강정보보호는 최고법인 헌법상 핵심가치인 기본적인 개인사생활을 보호하는 문제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과 같은 첨단과학기술사회에서 최근 급격히 발전하면서 판매와 이용이 폭발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웨어러블기기 이용자 에 따른 개인의 사적이고 민감하고 내밀한 영역인 개인건강정보 보호를 위한 입법적 방안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헌법상 중요한 가치인 국민 개개인의 사생활비밀・자유, 인간존엄성 등이 실질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웨어러블 패션에 대한 법률적인 고찰

        이재경(Jaekyoung Lee)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7 No.-

        사물인터넷의 도입과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2014년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육성을 위해 기술개발, 상용화, 인력양성 등을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변화에 대응하여 패션산업도 변화하고 있는바, 패션협회 등은 디지털 혁신이 패션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미래준비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웨어러블 패션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그 중요성도 커질 전망이다. 웨어러블 패션은 변화의 속도가 빠르며 산업적, 기술적으로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는 등의 특수성으로 인해 광범위한 분야의 법률적 분쟁 발생 가능성 또한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웨어러블 패션 시장의 급성장으로 개인정보 노출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사생활침해, 수집된 데이터의 보안 등과 관련한 법률적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도 크게 늘어났다. 사물인터넷이 확산되고 그에 따른 혜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보안과 프라이버시 역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것이다. 사용자를 보호하고 동시에 시장의 활성화도 유도 할 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관련 제품들에 대한 법 · 제도 정비 또는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 또한 구글, 애플 등 글로벌 인터넷 기업에 대한 서비스 이용률이 높은 상황에서 국내 개인정보 활용 및 보호기준은 글로벌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정렬성 확보가 필요하다. 웨어러블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 발전을 위해서는 부품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며 국제표준화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웨어러블 패션기업은 국제 표준을 선도할 역량을 키우며, 201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일어날 특허소송에 대한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웨어러블 제품은 인체에 착용 또는 부착하는 것으로서 인체 안전에 관한 사항을 철저하게 검증하는 체계를 수립하고 사고 발생시 책임과 보상 기준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웨어러블 패션산업의 발달에 따라 분쟁은 불가피하다고 하더라도 발생 가능한 분쟁 유형을 사전에 예측하고 그에 대한 준비를 한다면 웨어러블 패션시장은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 것이다. Today’s wearable technology devices in general will capture certain information and send the data to an application on the wearer’s mobile device or computer, usually through a Bluetooth connection. The wearer then accesses the application to review his or her data, typically along with some type of analytics, As wearables become more ubiquitous, manufacturers, app developers, marketers, and others are the beneficiaries of a glittering array of real-time personal data. But in order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cornucopia, companies must ensure that they have in place robust and adequate privacy policies so that customers understand what data are being collected and consent to their use. After an unscientific survey of the privacy policies of many popular wearable devices, we mak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ggregated data is useful both for internal purposes, for example, improving the services or opening up new features, and for external purposes, for example, providing information to third parties for purposes of ad targeting. In general, most wearable companies explain in their privacy policies that they may use, share or sell aggregated data, but provide little additional detail. As these data become more valuable, privacy policies need to evolve to clarify how the company is defining personal information and ensure that definitions keep pace with laws and regulations. For example, some states define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narrowly as including only name, address, email address, driver’s license number, social security number, and financial account identifiers, while the Federal Trade Commission’s definition for purposes of the Children’s Online Privacy Protection Act includes “persistent” identifiers such as IP address.

      • KCI등재

        RFID를 활용한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기반의 등산용 백팩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이현승,김윤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Recently there have been active efforts to research and develop smart clothes by using wearable technologies in response to increasingly diverse user needs, but research efforts have been poor in the area of backpacks, which have the largest contact area with the body next to clothes and need investigations into the reinforcement of man-oriented usability. This study thus set out to develop a wearable technology-based backpack design to offer convenience for climbing activities through a feature to check stored items via RFID, which allows users to interact with their backpacks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m. For that purpose, the study analyzed cases of outdoor backpacks and wearable technologies, examined the RFID technology in general, and conducted a survey on user needs to obtain some design guidelines. Based on the results, the investigator identified necessary elements and categorized them into five design guidelines, which include aesthetics, functionality, usability, safety, and removability. The study thus developed a wearable technology-based climbing backpack design through RFID by applying an appearance design in an urban casual concept, an LED indicator, which recognizes stored items and offers visual ease to check whether there are stored items or not via the RFID technology, removability for the maintenance and cleaning of digital device modules, and the research findings of fastening system-based interface application. 최근 사용자들의 다양해진 요구로 인해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스마트 의류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의류 다음으로 신체 접지 면적이 넓고, 인간 중심의 사용성 강화 측면의 연구가 필요한 백팩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와 백팩의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RFID를 활용한 수납물 체크 기능을 통해 등산 활동 시 편의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기반의 백팩 디자인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해 아웃도어 백팩 및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사례 분석, RFID 기술에 관한 일반적 고찰과 디자인가이드라인 도출을 위한 사용자 요구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필요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범주화한 5가지 디자인 가이드라인 즉, 심미성, 기능성, 사용성, 안전성, 탈·부착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반 캐주얼 콘셉트의 외관디자인 적용 둘째, RFID기술을 적용한 수납물 인식 기능과 물품수납여부가 직관적으로 쉽게 인지 가능한 LED 광원표시 셋째, 디지털 디바이스 모듈의 유지보수 및 세탁성 확보를 위한 탈·부착성 적용 넷째, 패스닝 시스템을 활용한 인터페이스 적용의 연구 결과를 통해 RFID를 활용한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기반의 등산용 백팩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융합 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비대면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교육과정 활동의 개발과 적용

        이지선,윤은주,김민정,김혜림,임호선,김윤미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상황에서 비대면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육과정 활동을 개발 및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창의융합 학습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함이다. 서울특별시 A대학 1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5개의 사전연구결과들을 토대로 8차시의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교육과정 활동 적용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 및 심층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창의융합 학습역량 사전·사후 검사와 심층 인터뷰는 유의미한 부분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의 창의융합 학습역량 향상을 위해 개발된 비대면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교육과정 활동의 적용에서 시공간적 비구애성이라는 온라인 학습의 최대 장점과 각 분야 전문교수자들과의 실시간 비대면 질의문답을 통한 상호작용이 주요하게 작용하여 대학생들의 창의융합 학습역량을 향상시켰다. 이 점은 대학교육에서 웨어러블 테크놀로지의 확장 가능성과 함께 대학교육의 고질적 병폐인 전공의 벽을 넘어서는 미래지향적 창의융합 인재육성 및 교육과정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뉴테크놀로지 적용에 고심하고 있는 현 대학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조도센서와 LED를 적용한 기능성 의상 제작 연구 -핸드워머를 중심으로-

        권유미 한복문화학회 2024 韓服文化 Vol.27 No.2

        IT 기술 융합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패션 전공에서도 소프트웨어 교육과 IT 기술을 도입한 융합 디자인 교육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웨어러블 테크놀로지에 사용될 수 있는 센서들을 활용한 의상 제작을 시도함을써 웨어러블 기술 적용의 가능성을 구체화시키는 것이 연구 목표이다. 이를 위해 조도센서를 활용하여 릴리패드 아두이노에 LED를 부착하여 어둠 속에서도 조도센서의 작용으로 저절로 빛을 발하는 핸드워머 개발함으로써 위험 상황으로부터 안전을 위한 패션을 제작하였다. 조도센서와 LED를 부착한 기능성 패션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하여 착용자의 가시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의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일조량이 적고 일몰시간이 이른 겨울철에는 조도센서와 LED 부착한 핸드워머로 이에 대응하여 LED가 발광함으로써 휴대용 전등의 역할을 대신하여 어둠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실제로 스마트워치의 플래쉬와 핸드워머에 부착한 LED의 조도값을 측정한 결과 비슷한 수치가 측정되었으며, 사용시의 편리함에 있어서는 핸드워머가 조도센서의 역할로 바로 LED가 점등되어 편리하다. 둘째,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기능성 의상의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다. 착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 방법이 쉽고, 착용시 신체에 부담이 없으며 누구나 착용할 수 있는 보편적 형태의 디자인을 고안함으로써,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의상의 제품화로 구체화시킬 수 있다. 셋째,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융합 패션 교육 콘텐츠로서 대학 교육 뿐만 아니라 온라인 및 교육 특강 등에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다. With the rise of IT convergence, fashion education increasingly emphasizes software and convergence design incorporating wearable technology.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wearable tech in fashion by developing sensor-embedded garments. Handwarmer was created for safety in dangerous situations by attaching LEDs to the Lilypad Arduino using an illuminance sensor. The illuminance sensor measures the ambient light level and triggers the LEDs to illuminate when it detects low light conditions. It naturally enhances the wearer's visibility, especially during winter with shorter daylight hours. This functional fashion using illuminance sensors and LEDs offers several benefits. Firstly, it improves visibility in low-light conditions, promoting safety compared to carrying a separate flashlight. The illuminance sensor automatically activates the LED when needed, similar to a smartwatch flash, but with the added convenience of being integrated into a hand warmer. Secondl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commercializing wearable tech clothing. The design prioritizes ease of use and minimal physical burden, paving the way for user-friendly wearable tech fashion. Finally, it can serve as valuable educational content for university courses, online programs, and academic lectures, promoting the convergence of fashion education with wearable technology.

      • KCI등재

        웨어러블 테크놀로지가 적용된 패션액세서리 디자인개발 - 빛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과 기술적용을 중심으로 -

        이현승,김윤희,이재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Fashion accessories adapting the light for visual expressions by Wearable Technologies and investigated methods combining designs and technologies. Through this study’s workshop performed by the collaborations between students in Fashion design and Electronics courses, methods of combination between designs and technologies were sought. For the purpose, literature studies on the physical feature of the light, expressible techniques in Fine-art and Fashion design cases applying lighting technologi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methods of the expressible techniques were extracted and applied into this study’s works. At the design stage, two design and technology concepts; ‘Interactive Art’developed to express the Light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ystem and users or the environment and ‘Multi Purposed/Functional’providing the other function or usage apart from the basic role of accessories through the digital interaction were generated in brainstorming step. After that, rough designs which had been considered do not expose devices to external part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each concept and they were then refined suitable to apply Wearable technology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designers and engineers. At the last stage, above results were materialized as the 15 numbers of the accessory prototypes reflecting the Light in visual expressions and digital functions. As the result of this study’s workshop, although the designers did not have any specific knowledges and skills on digital technologies, they could realize their ideas combining accessory design and the technology with the collaborators. Thus, the possibility to broaden the boundary of the visual expression and functions as the accessory was confirmed in this study. Also, this study’s process and results were hoped to provide further researches which deal with the means to combine technology and design with basic methodology as well as inform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으로 강한 표현의 수단이 될 수 있는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빛’을 모티브로 한 심미적패션액세서리 디자인과 이를 실체화하기 위한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적용 방안 연구에 있다. 의상디자인 및 전자공학과학부생의 협업으로 수행된 융합디자인 워크숍을 통해, 패션액세서리 디자인과 기술의 융합 방안이 모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빛의 물리적 특성과 예술에서 활용된 표현기법, 빛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사례가 고찰되었고, 빛을 활용한 표현기법이 분석, 추출되어 워크숍에 반영되었다. 이후 각 액세서리와 테크놀로지 디자인을 위한 발상 과정 결과, 사용자 혹은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장식적 표현이 적용되는 Interactive-Art와 상호작용을 통해 액세서리 본연의 목적과 기능 외의 기능성을 제공하는 Multi-Purposed / Functional, 두 가지 콘셉트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워크숍의 모든 참여 디자이너들은 광원장치를 직접적으로 노출을 피하기 위해 빛의 물리적 성질에 참고하여 기초적인 프로토타입의 형태와 구조를 디자인한 후, 엔지니어와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형태와 내부구조, 표면 장식 등을 정교화 하여, 상기의 콘셉트를 구현한 총 15점의 백과 신발, 넥피스 등의 패션액세서리 프로토타입들을 개발하였다. 상기의 프로세스를 통해 디자이너가디지털 기술 구현에 관한 구체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엔지니어와 협업을 통해 이를 활용하여 패션액세서리 디자인에 있어 표현과 완성된 제품이 제공하는 기능적 측면의 확장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물은 향후 패션 분야에서 기술과 디자인의 접목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및 융합 패션제품 개발의 방법론 측면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여기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 KCI등재후보

        서비스 측면에서 부모들의 키즈 웨어러블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김규리,홍유정,신동희,이대호 한국혁신학회 2016 한국혁신학회지 Vol.11 No.2

        The wearable market has shown steady growth due to the success of products that target a niche market. Kids’ wearable is one of the wearable niche markets and offers both a children’s wearable device and service mainly used by parents. However, as the existing research studies on wearables focusing only on the functional and technical aspects and consum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 is a lack of adequate studies that address the service aspect. Thus,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that i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antecedent variables, such as information quality, competitive advantage, subcultural appeal, and perceived physical ris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on parents with children, all of the suggested external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ptance of kids’ wearables. This implies that in order for the kids’ wearable market to be successful, kids’ wearable products must have a differentiated purpose of use (i.e. children’s safety and location tracking function) compared to smartphones and other wearables, and both user groups (parents and children) must be satisfied. At last, the present study proposes further research directions, such as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model and children’s influence on the parents’ decision making. 웨어러블 시장은 틈새시장을 공략한 제품들의 선전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키즈 웨어러블은 그런 웨어러블 틈새시장 중의 하나로 아동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함께 부모들을 주사용자로 하는 서비스가 함께 제공이 된다. 하지만 기존의 웨어러블 선행연구들은 기능적, 기술적 측면과 소비자의 개인특성에 관한 연구에만 집중되어 있어서비스 측면을 고려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정보품질과 상대적 이점, 하위문화적 매력, 인지된 신체적 위험 선행변인으로 고려하여 연구모형을 제안했다.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 제시된 외부요인 모두가 키즈 웨어러블의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키즈 웨어러블에 대한 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키즈 웨어러블만의 차별성을 잘 살려야하며 부모와 아이, 두 사용자 그룹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소차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했고, 서비스 품질 평가 모델과 부모의의사결정에 대한 아이의 영향력 등 향후 추가 연구의 방향도 함께 제시했다.

      • KCI등재

        첨단기술 기반 E-Health 혁신을 통한 스마트 웨어러블 제품속성 척도 개발

        신승아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는 첨단기술 기반 E-Health 혁신을 통한 스마트 웨어러블의 제품속성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헬스케어 스 포츠산업 솔루션의 발전에 기여한다. 2022년 9월 3일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 스포츠 및 관련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 으로 실시한 상세 설문조사를 포함한다. 본 조사에서는 전문가 의견과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웨어러블 기기와의 중요한 상호작용을 포착하는 정교한 설문지를 도출했다. 스마트 웨어러블 제품속성의 8가지 기본 속성, 즉 개인화, 가용성, 기능 성, 데이터 분석, 제품 안전성, 정보 보안, 혁신 및 디자인을 지적했다. 이러한 속성은 스마트 제품의 특성을 평가하는 기존 방식을 강화하는 포괄적이고 다차원적인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e-health solutions by developing a reliable scale specifically designed to assess the attributes of smart wearable devices, with a focus on personalized fitness experiences. Drawing on expertise from sports and related fields, our research incorporates a detailed survey conducted from September 3, 2022, to February 28, 2023, targeting users who are actively engaged with wearable technology. From this survey, we distilled insights from both expert opinions and user experiences into a sophisticated questionnaire that captures essential interactions with wearable devices. We pinpointed eight fundamental attributes of smart products: personali-zation, availability, functionality, data analysis, product safety, information security, innovation, and design. These attributes are woven into a comprehensive, multidimensional matrix that en-hances the traditional methods for evaluating smart product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