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 및 분화와 우연의 구사 양상 시론

        박상준(Park Sang-joon)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5

        본고의 목적은 한국 근대소설의 주요 작품들을 우연을 통해 살핌으로써, 소설 분석 범주로서 우연이 갖는 유효성을 확인하고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 및 분화과정을 풍요롭게 파악하는 데 있다. 우연을 검출하기 위하여 작품을 ‘체계’로 파악하고, 우연의 분류에 있어서는 쿠키슈우조우의 철학에 의거한다. 신소설은 고소설의 특징을 한층 강화하여 흥미를 제고하기 위한 방편으로 우연을 빈번히 구사하되 계몽적ㆍ정치적 주제의 구현 부분에서는 피하고 있다. 〈무정〉은 기본적으로 신소설의 연장선상에서 우연을 다루며, 우연을 중층화 하면서 주제효과에까지 관련시키는 미묘한 양상을 보인다. 〈삼대〉는 사소한 부분에서 적지 않은 수의 우연을 구사하지만, 작품의 주제효과를 발하는 중심서사에서는 우연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현실성을 중시하는 면모를 보인다. 반면 모더니즘소설인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은 의도적ㆍ적극적으로 수많은 우연을 구사하여 작품 구성 및 주제 구현의 기본 원리로 활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우연은 근대소설사의 다양한 사조 및 갈래가 주제효과를 구현하는 데 있어서 보이는 특징과 차이를 단일한 분석 논리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수 있게 해 준다. 우연이라는 범주는 상이한 근대소설 갈래들에 대한 연구의 통약가능성[commensurability]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우연의 분석을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차후의 과제이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iciency of the contingency as a paradigm in the analysis of novels and to make affluent the analyses of the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of Korean Modern Novels. To probe contingency this study regards a novel as a system in which every event is considered to happen in a unity and to classify contingencies intrinsically this study applies Kukishujo's philosophy on contingency. Shinsoseol[新小說: New-Novels] use contingencies purposely and actively to increase interest but avoid them on the thematic stages. Using contingencies in a similar way, Mu-Jeong(無情) shows a subtle situation in which contingencies are over-determined close to the work's theme of enlightenment. Sam-Dae(三代) uses not a few contingencies in trivial stages but excludes them in the main story-line in that it represents the features of realism. A modernist novel One Day of Novelist Ku Bo uses contingencies so intentionally and positively that contingencies take the principal role in the composition of narratives and theme effects in this novel. Contingency makes it possible to classify coherently the peculiarities and differences of divergent trends of modern novels. The contingency paradigm suggests the commensurability of the separate studies of the different trends of modern novels. Studies following this one should have as their task the broadening of the analyses of contingencies.

      • KCI등재

        근대소설 형성기 소설 담론의 우연 의식

        박상준(Park, SangJoon)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1

        본고의 목적은 1900년대에서 1940년에 이르는 우연 관련 소설 담론들을 검토하여 소설에서의 우연에 대한 당대 문인들의 의식과 태도를 정리하고 그 함의를 추론함으로써, 근대소설에서의 우연에 대한 국문학계의 통념을 바로잡고 향후 관련 연구를 촉진하는 데 있다. 문학론이나 소설론, 비평 등 소설 관련 담론들을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우연을 뚜렷이 의식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193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는 우연을 부정적으로 간주하는 경우를 찾을 수 없다. 특별한 문제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우연을 플롯에서 확인되는 한 요소나 기법의 하나로 사고할 뿐이다. 1930년대 중반에 김남천이 우연을 배격하는 주장을 뚜렷이 드러내는 한편, 통속소설이 득세하는 상황과 맞물려 전개되는 장편소설 논의를 거치면서 우연의 남용을 문제시하는 식의 우연부정론이 일정 정도 세를 얻게 된다. 이상의 사실은 소설 서사에서 불가피하게 요청되는 우연 자체가 아니라 작위적인 우연이나 우연의 과장을 부정적으로 보는 의식이 1930년대 중반 이후에야 형성되었음을 알려 준다. 이러한 우연 부정론이란, 카프 해산 이후 좌파 리얼리즘론이 자신을 유지·강화하는 소설론적 전략이자 본격문학 진영이 대중문학을 타자화하는 주요 논리로 구사된 것이라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근대문인들이 우연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지는 않았다는 이상의 검토 결과는, 당시의 소설작품들에 우연이 두루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과 더불어서, 고소설의 우연이 신소설로 계승되다가 근대소설이 형성되면서 없어졌다는 식의 국문학계의 통념이 잘못된 것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해 준다. 또한 우연 부정론의 등장과 세력화가 갖는 문단정치적, 문단역학적 상황에 대한 본고의 추론은, 사실주의적, 재현중심주의적 소설관이 연원하고 소설에서의 우연에 대한 왜곡된 인식이 유래한 지점을 알려 주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rrect the researchers’ common misconceptions about the contingency in the modern Korean novel by way of classifying writers’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the contingency through thorough investigation of literary theories, theory of novels, criticisms and the like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rough 1940. There are only a few writings in the aforementioned discourses that mention contingency in novel. Negative remarks about contingency are not found until the mid 1930’s. These two facts show that contingency was not considered as a factor that should be eliminated for the success of a work but regarded as an element of plot or as a kind of narrating technique. The negative consciousness of contingency was made in the peculiar dynamics in the mid 1930’s where on one hand popular novels began to prevail and threaten the hegemony of pure literature and on the other leftist writers tried to find a new criteria in the level of novel composition for the achievement of socialist realism without KAPF organization. These political dynamics in the literary world hid the real state of contingency negating theory, in which what is considered as being negative is not the inevitable contingency in a novel narrative but only the affected or forced contingencies or the abuse or exaggeration of contingency. This makes clear the error of the common misconceptions mentioned above that insist contingencies are prevalent in premodern novels, pass down to ShinSoSeul, and then are overcome in modern novels. Besides, the deduction about the political and hegemonic dynamics in the literary world in the mid 1930’s shows the origin of the realistic and representational view of the novel and the mechanism from which the misconception of contingency derives. The correction and proposed theory make this study significant.

      • KCI등재

        확률과 통계에서 우연(chance)의 의미 고찰

        고은성(Ko, Eun-Sung),황은지(Hwang, Eun-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확률과 통계에서 우연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확률과 통계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류가 우연을 인식하고, 파악하고, 해석하는 과정 속에서 확률과 통계가 상호협력 관계로 발전하는 과정 및 양상에 대한 조사를 통해 우연 개념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우연의 어원을 비롯해 우연이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우연의 출현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알아본다. 이어서 우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무작위성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떤 아이디어와 결합하면서 발전하는지 조사한다. 그리고 우연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기 위해 통계적 법칙의 아이디어에 이르게 되는 과정에서 우연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이는 우연 현상에 어떻게 주체적으로 대처할 것인가에 대해 좀 더 직접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확률과 통계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우연 현상에서 주체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적 접근법인 확률의 모델링에 대해 소개하면서 우연의 의미를 교육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This study looks at the meaning of chance in probabilities and statistics and aims to obtain suggestions for probability and statistical education. First of all, this study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hance by examining the processes and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probabilities and statistics 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as humans perceive, identify, and interpret chance. To do this, we first look at the origin of chance, how it is interpreted, and how the appearance of chance happened. Then, It then investigates what ideas historically developed with the concept of randomnes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chance. In order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chance, we will explore chance by exploring the process that leads to the idea of statistical law. This gives a more direct implication on how to deal with chance independently. Lastly, we introduce the modeling of probability, which is proposed as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enables students to develop their ability to cope with chance through probability and statistical learning.

      • KCI등재

        대학생 진로선택 우연요인 척도 개발 및진로 관련 변인과의 관계 탐색

        윤금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happenstance scale for measuring accidental events experienced during career choice proces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plore the career - related behaviors by happenstance factors. For the purpose, A total of 1,563 university students responded the survey pack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struct of career choice happenstance comes to consist of 4 factors(individual/around situation, information discovery, system change, others influe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choice happenstance and the career - related variables, the individual/around situ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 related variables. However, the information discovery and others influ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 - factors of career - related variables, but the system change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correlation.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certain pattern between career choice happenstance and career - related variables. Implication including the utility of the scale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es and practices. 우연적 사건(happenstance events)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본격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면서, 진로선택과정에서 우연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에 여러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진로 선택 및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우연적 사건의 역할에 대하여 우연적 사건의 발생에 관심을 두는 관점을 내용 중심적 관점으로 개인의 적극적인 행위를 강조하는 관점을 과정 중심적 관점으로(손은령, 2009) 본다면, 우연을 기회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우선 개인이 자신의 개인적 경험을 알아차리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선택과정에서 경험한 우연적 사건을 측정하는 우연요인 척도를 개발하고, 진로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우연적 사건의 내용이나 특성에 따라 진로 관련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색하고, 이와 더불어 진로상담에서 내담자들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하여 우연을 기회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문헌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선택 과정에서 일어나는 우연요인에 관한 예비문항을 구성하고, 전문가 내용타당도와 대학생 대상 문항이해도 검토 및 예비검사를 거친 후, 4년제 대학생 1,176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4년제 대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진로선택 우연요인 척도와 우연대처기술, 진로탐색행동, 진로적응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과정은 예비문항 개발 및 검토,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진로관련 변인과의 상관관계 분석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실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하위요인에 대하여 문항분석을 통해 예비문항을 수정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성분분석과 직각회전방식(varimax)을 사용하여 요인 부하량과 요인 간 상관관계를 통해 구인타당도를 살펴보고 요인 수와 문항을 결정하였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로 수정된 대학생 진로선택 우연요인에 대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model-fit)를 검증하여 모형을 채택하였다. 셋째, 개발된 대학생 진로선택 우연요인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일관성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대학생 진로선택 우연요인과 우연대처기술, 진로탐색행동, 진로적응성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 22.0을 사용하여 각 변수들 간의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정된 대학생 진로선택 우연요인 척도의 하위요인은 ‘개인/주변 상황발생’ 5문항, ‘정보발견’ 5문항, ‘제도변화’ 4문항, ‘타인영향’ 4문항으로 구성된 총 18문항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진로선택 우연요인 척도와 진로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대학생 진로선택 우연요인 척도의 하위요인 중 개인/주변 상황발생은 진로 관련 변인과 대체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으나 정보발견과 타인영향은 진로 관련 변인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인 상관을 보여주었고, 반면 제도변화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대학생 진로선택 우연요인 척도와 진로 관련 변인 간에 일정한 패턴이 ...

      • KCI등재

        루토슬라브스키의 제한적 우연성 음악에 관한 연구:《베네치안 게임》(1960-1961)의 <제1악장>과 《현악4중주》(1964)의 <서곡 악장>을 중심으로

        Xue Cheng,조대명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6

        본 연구는 루토슬라브스키의 ‘제한적 우연성 음악’이 실제 작품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살펴보고 그 개념을 이해하고 기법의 음악 특징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그가 최초로 우연성 기법을 적용한 작품인 《베네치안 게임》(1960-1961)의 <제1악장>과 비슷한 시기의 작품 《현악4중주》(1964)의 <서주 악장>을 분석하였고, 악곡의 음악 요소들이 어떻게 ‘제한적 우연성 음악’을 형성하는지 파악하여 다음과 같이 기법의 음악 특징을 도출하였다. 루토슬라브스키의 제한적 우연성 음악은 첫째, 우연성 기법을 통해 전체 윤곽인 형식 구조는 일정하되 세부 내용인 텍스처를 결정하는 ‘소규모 우연성’ 경향을 보였다. 둘째, 연주자 임의로 연주하는 ‘ad libitum’과 전통적인 기보를 바탕으로 박자와 마디에 맞춰 연주하는 ‘a battuta’의 두 가지 방식의 우연성 기법을 통해 마이크로 리듬을 형성하였고, 이는 개별 성부를 구별해 인지할 수 없는 ‘소리 덩어리’를 생성해 합주에 의한 대위법적 성격을 보였다. 셋째, 루토슬라브스키는 우연성 기법을 통해 연주자 개인의 표현력과 연주 기술을 활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활용했으며, 이러한 우연성 음악의 실현으로 연주에서 느끼는 일반적인 즐거움을 박탈한 이전의 합주 방식에서 연주자가 지닌 예술의 진정한 해방을 추구했다. 넷째, 우연성 요소는 연주자들이 악보에 기보된 음과 모든 음악 요소를 정확하게 연주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작곡가의 의도에 의해 우연성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즉흥성이 배제된, 제한적 우연성 음악이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Witold Lutosławski's 'controlled aleatorism' was implemented in actual works, to understand its concept, and to investigat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echnique. To this end, an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First Movement of Venetian Games (1960-1961), the piece in which he first applied aleatoric techniques, and the Introductory Movement of the String Quartet (1964), a work from a similar period. The results were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controlled aleatorism' to derive the following musical features of the technique: Firstly, Lutosławski's controlled aleatorism tended to 'small-scale' aleatorism, where the overall outline or formal structure remained constant through aleatoric techniques, while the details, or texture, were determined. Secondly, the formation of micro-rhythms through two modes of aleatoric techniques—'ad libitum', where performers played at their discretion, and 'a battuta,' where performers played in time and measure based on traditional notation—led to the creation of 'sound masses' that obscured individual parts, presenting a contrapuntal nature through ensemble play. Thirdly, Lutosławski utilized aleatoric techniques as a new method to leverage the individual expressiveness and technical skills of performers, seeking the true liberation of art inherent in performers, mov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pleasure derived from performance in previous ensemble methods. Fourthly, the aleatoric elements, based on performers playing the notated pitches and all musical elements accurately, constituted controlled aleatoric music where improvisation was excluded, and aleatorism occurred according to the composer's intention.

      • KCI우수등재

        여행 서사에 나타난 우연성의 양태에 관한 담론: 쿠키 슈우조우의 우연성을 중심으로

        권장욱,이훈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3

        This study examined serendipity that provides admiration, happiness, and continuity of happiness in travel. To this end, we used the concept and system of the contingency presented by Kuki Shuzo, "What is the contingency?" Kuki shuzo categorized the contingency into largely categorical contingency, hypothetical contingency, and disjunctive contingency. Hypothetical contingency is classified as reasonal contingency, causal contingency, and objective contingency. The coincidence in everyday life starts from categorical contingency and a reasonal chance, and a causal contingency and a causal contingency are combined with a simultaneity and the instrumentality. In this process, we are characterized by giving a nobleness while contemplating ontological meaning. Also, causal contingency and objective contingency were combined with causal inevitability or objective inevitability, resulting in the admiration of fate. Travel becomes an unfamiliar environment, making us unpredictable, focusing on the present moment, and not knowing the cause or purpose of the situation that occurs, we feel a kind of inevitable sense of awe. Travel thus provides an optimal environment for serendipity. It also suggests that it is appropriate to travel improvisedly or travel alone in order to experience more serendipity in travel. 본 연구는 경이로운 감정과 행복감, 그리고 행복감의 지속을 제공하는 여행에서의 우연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쿠키 슈우조우의 우연성의 개념과 체계를 고찰하였다. 쿠키 슈우조우는 우연을 크게 정언적 우연과 가설적 우연, 이접적 우연으로 구분하였고, 가설적 우연은 다시 이유적 우연, 인과적 우연, 목적적 우연으로 분류하였다. 일상에서의 우연은 먼저 정언적 우연과 이유적 우연으로부터 시작되어 인과적 우연과 목적적 우연이 결합되면서 동시성과 계기성이 생기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존재론적 의미를 고민하게 되면서 숭고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인과적 우연과 목적적 우연은 인과적 필연이나 목적적 필연과도 결합하여 운명에 대한 감탄을 일으키는 특징이 있었다. 여행은 우리를 낯선 환경에 놓이게 되므로 예측이 불가능하고, 현재라는 순간에 집중하게 되며, 발생하는 상황의 원인이나 목적을 알 수 없으므로 일종의 필연적인 경외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여행은 우연을 느끼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여행에서 우연성을 더 많이 경험하기 위해서는 너무 꽉 짜인 여행보다는 일정 속 자유로움과 즉흥성을 포함하는 여행이나 여유로운 혼자만의 개별여행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근거이론을 통한 여행자의 우연성 경험 분석

        권장욱,이훈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ontext of a coincidence experience that provides pleasure and meaning in travel. The in-depth interviews of 11 participant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As a result, people who experienced coincidence in the trip were either on an impromptu trip without planning or with flexibly changing the schedule, or traveling alone. Participants experienced a coincidence while attempting to be tense and various trial and error at first, as they were placed in a somewhat uncertain environment through improvised travel and traveling alone. The central phenomenon – coincidence - is a form of synchronicity in which multiple events encounter at the same time, or it appears as a seriality in which the same event occurs repeatedly. After experiencing the coincidence, people were wondering if the coincidence was caused by someone's intention and an emotional reactions such as admiration and joy emerged only through the conviction that no specific cause was found, or that it was not the intention of someone, or the result of giving meaning such as memories or moments of growth. This suggests that people were experiencing coincidences in the process of creating uncertain situations through trips, overcoming tensions and anxieties, and challenging themselves. The coincidence provided existential authenticity to travelers, which allowed people to experience a series of happiness. 이 연구의 목적은 여행에서 쾌락과 의미를 동시에 제공하는 우연성 경험의 전개과정과 맥락을 분석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행에서 우연성을 경험한 11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근거이론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전에 미리 계획하지 않거나 유연하게 일정을 변경하는 즉흥여행자나 동반자 없이 혼자서 여행하는 나홀로 여행자가 우연성을 크게 경험하고 있었다. 즉흥여행과 나홀로여행을 통해 다소 불확실한 환경에 놓이게 되면서 처음에는 긴장하고 각종 시행착오를 겪게 되지만 점차 용기 있는 시도를 하면서 우연성을 경험하고 있었다. 중심현상인 우연성은 두 가지 사건이 동시에 조우하는 ‘동시적 우연’의 형태이거나, 또는 같은 사건이 반복해서 일어나는 ‘계기적 우연’으로 나타났으며, 그 우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을수록 우연의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 우연성을 경험한 후 사람들은 혹시라도 그 우연이 누군가의 의도에 의해서 일어난 것은 아닌지 그 발생 원인에 대해 의심하고 있었다. 특별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거나 특정인의 의도가 아니라는 확신을 통해 비로소 감탄이나 기쁨과 같은 감정적 반응이 나타났으며, 때로는 또는 추억이나 성장의 계기와 같은 의미 부여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삶과 행복의 관점에서 재구성해 본다면, 사람들은 여행을 통해 스스로 불확실한 상황을 조성하고, 긴장과 불안을 극복하고 당당한 도전하는 과정 속에서 우연성을 경험하고 있었다. 그 우연성은 여행자들에게 실존적 진정성을 제공하였고, 이를 통해 사람들은 기뻐하고 의미를 찾는 일련의 행복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크로스 해프닝: 규칙과 환경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조직화된 우연 - 1960년대 해프닝과 드론 이벤트를 중심으로

        권경아,윤준성 한국영상학회 2019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7 No.3

        본 논문은 해프닝의 실재성에 관한 고찰이다. 해프닝이 주로 전위 예술로서, 혹은 우연적 상황이나 즉시적 행위의 유발이라는 측면에 주목되면서, 해프닝이 우연(chance)과 비결정(indeterminacy)에 내포된 위험을 최소화해서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예술이라는 점이 종종 간과된다. 그러나 예술에서 해프닝이 규칙과 대상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사건, 즉 외부 환경과 행위자의 내적 규칙의 조우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우연을 조직화하기 위한 것이었음이 1960년대 전위 예술가들을 통해 확인된다. 특히 이들이 남긴 스코어(score)는 해프닝 당시에는 부각되지 않은 연출과 움직임으로부터 비롯된 행위의 다양성을 보여주면서, 어떤 규칙이 주어져야만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우연과 즉흥, 엄밀히 말해, ‘계획된 우연’과 ‘의도된 즉흥’으로서 해프닝을 설명한다. 본 논문은 최근 무인 항공기 드론을 이용한 사례 비교를 통해 뉴 미디어 아트에서도 이와 유사한 교차 및 조우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고, 해프닝을 ‘규칙과 환경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조직화된 우연’으로서 담론적 결론을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ality of a happening. It is often overlooked that a happening is a type of art which aims to minimize the risks involved in chance and indeterminacy, with attention focused on the aspect of avant-garde art, or of the production of an accidental situation or the induction of immediate acts. However, it is confirmed that a happening in art was intended to organize the opportunities that could arise from unpredictable events that could occur between rules and objects, that is, from encounters with the intrinsic rules of actor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avant-garde artists in the 1960s. In particular, the score explains a happening as a chance and improvisation, strictly speaking, a ‘planned coincidence’ and an ‘intended improvisation’ that can only occur if certain rules are given, while they show the diversity of behaviors stemming from the directing and movement not highlighted at the time of the event. This paper confirms similar intersections and encounters in new media art by comparing cases of the use of drones as an unmanned airplane and presents discursive conclusions pertaining to the ‘organized coincidence that takes place at the intersection of rules and the environment.’

      • KCI등재

        동양예술 창작론에 나타난 ‘偶然性’ 연구

        조민환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5 No.-

        동양예술에서 詩, 書, 畵는 ‘우연성’과 관련해 ‘偶然欲書’, ‘偶然欲畵‘, ‘偶然欲詩’를 말하는데, 그것은 詩書畵 창작에서 모두 최고의 경지 혹은 자신이 그동안 표현하고자 한 것이 즉흥적으로 표현되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得意作을 얻었음도 의미한다. 동양예술은 우주자연의 活潑潑한 생명성 및 인간 자연본성의 진정성과 능동성을 존중한다. 서예에 적용하여 제한적으로 말한다면, 우연적 순간의 감흥과 격정에 의해 촉발된 ‘偶然欲書’는 작가의 眞我性과 天機가 작동하는 자유로운 심령을 표현해준다. 이런 ‘偶然欲書’의 ‘우연성’을 높이 평가하는 것은 동양예술이 지향하는 인위적 차원에서 법을 따르면서 자신의 예술적 재능과 감성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것보다는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표현된 무위자연성과 감흥, 興趣에 담긴 創新的 眞我性을 높이 평가하기 때문이다. ‘無爲’는 예술차원에서 접근하면, 운용한 기교가 ‘自然而然’한 것, 어떤 목적의식을 가지고 인위조작을 한 흔적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무위’를 근간으로 하는 ‘偶然欲書’ 정신은 인위적 차원의 ‘經意’, ‘著意’, ‘刻意’ 등이 아닌 ‘무위’ 정신에 근거한 ‘隨意’, ‘無意’를 비롯하여 ‘無法’을 강조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기법적 측면에서는 때론 ‘信手’, ‘信筆’ 등을 통해 말하기도 한다. 이런 ‘偶然欲書’ 정신의 결과는 ‘心手雙應’과 ‘神融筆暢’의 경지가 펼쳐진다는 점에서 ‘偶然欲書’의 예술창작은 때론 美醜不分의 심미의식, 혹은 顛,狂,怪의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즉 ‘偶然欲書’ 정신을 강조하고 긍정하는 사유에는 노장미학의 道法自然 정신과 無爲自然性을 중시하는 사유가 담겨 있다.

      • KCI등재

        상해보험에서 우연성에 대한 증명책임

        김은경 한국기업법학회 2018 企業法硏究 Vol.32 No.2

        Insurance accident in casualty insurance is to be physically injured due to a sudden and fortuitous accident during insurance period. casualty accident requires the accident to be based on exogenism, suddenness, and fortuitousness. Exogenism, suddenness, and fortuitousness as requirement have legal meaning in relation to casualty, consequent result of casualty and insurance accident; in relation to insurance accident which is the basis of the insurer's duty to pay insured money, causation can be a problem between the parties. In casualty insurance, the relationship among requirements, that is ‘physically injured by a sudden and exogenic accident fortuitously’ demands logically natural scientific causation in respect of exogenism, principally direct temporal causation in respect of suddenness, and legal causation as a result of accident in respect of fortuitousness. One of the requirements, fortuitousness has generated controversy concerning its burden of proof. According to the precedent, the burden of proof concerning fortuitousness in casualty insurance, unlike indemnity insurance, is problematic in that it lays the burden of proof on the person who claims insurance money. The premise of a injury case or accident in casualty insurance is a sudden and exogenic accident physically inflicted upon the insured, and fortuitousness is not an essential requirement to the injury incident itself. In fact, the injury result is distinct from the incident which is the injury (or the injury incident) itself. Therefore, a sudden incident caused by an exogenic factor i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injury result, that is the physical injury inflicted upon the insured, and in case the injury incident and the injury result have proximate causation, the meaning of fortuitousness is considered as confirmed. If there is no counter-argument from the insurer concerning the presumption of fortuitousness, which is the requirement in casualty insurance, it seems reasonable to regard insurance accident as occurred. Therefore, the burden of proof concerning fortuitousness in casualty insurance belongs to the insurer. 상해보험에서의 보험사고는 보험기간 중의 외부로부터의 급격하고 우연한 사고로 신체에 손상을 입는 것으로써 상해사고는 외래성, 급격성 그리고 우연성에 기반한 사고임을 요한다. 구성요건적 특성인 외래성, 급격성 및 우연성은 상해 그리고 그에 따른 상해의 결과 및 보험사고와의 관계에서 법률적인 의미를 지니고, 보험자의 급부의무의 근거가 되는 보험사고와의 관계에서 상호간 인과관계가 문제되기도 한다. 상해보험에서 ‘신체에 닥친 급격한 외래의 사고로 우연하게 신체에 상해를 입었을 것’ 이라는 구성요건 간의 관계는 논리적으로 외래성의 측면에서는 자연과학적인 인과간계, 급격성의 측면에서는 원칙적으로 직접적인 시간적 인과관계, 그리고 우연성의 측면에서는 사고의 결과로 나타나는 법적인 인과관계가 존재하여야한다. 위 구성요건적 특성 중 우연성에 관하여는 그 증명책임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는데, 판례에 따르면 상해보험의 보험사고의 우연성 여부에 대한 증명책임은 손해보험의 경우와는 달리 보험금 청구자에게 그 증명책임을 묻고 있는 것에 문제가 있다. 상해보험에서 상해사건 내지 상해사고는 급격하게 외래적으로 피보험자의 신체에 생겨난 사건을 전제하는 것이고 여기에서 우연성이 상해사고 자체에 대한 필수적인 요건은 아니다. 사실상 상해의 결과는 상해(내지는 상해사건) 그 자체인 사건과는 구분되는 것이므로 외래적인 요인에 의하여 급격하게 발생한 사건과 피보험자의 신체상 해가 된 상해의 결과를 구분하고 상해사건과 상해결과 사이의 상당인과관계가 있으면 그 우연성의 의미는 확인이 된 것으로 볼 것이다. 그러므로 상해보험에서의 구성요건의 특성인 우연성을 추정하여 이에 대한 보험자의 반증이 없으면 보험사고는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상해보험에서의 우연성에 대한 증명책임은 보험자에게 있다고 본다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