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버트 앨런 자일스 《중국 동화집(Chinese Fairy Tales)》 속 《聊齋志異》 번역 양상

        채련화,정민경 한국중국소설학회 2024 中國小說論叢 Vol.- No.73

        본고는 허버트 앨런 자일스의 《중국 동화집(Chinese Fairy Tales)》 속 《聊齋志異》 번역 양상을 살펴보고자 작성되었다. 자일스는 중국 주재 영국 외교관이자 한학자이다. 그의 가장 대표적인 번역서는 《Strange Stories from a Chinese Studio》로, 蒲松齡의 《요재지이》를 번역한 책이다. 이후 자일스는 《중국 동화집》을 편찬하면서 《요재지이》 속 8편의 이야기를 동화로 각색하여 수록했다. 본고는 자일스가 《중국 동화집》 속에 《요재지이》를 수록한 이유와 동화로 재구성한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중국 원서 및 자일스의 성인용 《요재지이》 번역서와의 비교를 통해 아동문학 작품으로서 《요재지이》 번역 양상을 스코포스 이론에 기반해 분석했다. 스코포스 이론은 대상 독자의 구성과 특성에 따라 번역 전략을 세우는 것을 강조하는 이론이므로 특정 독자를 겨냥한 동화 《요재지이》 번역 특징을 분석하는 데 적용했다. 《중국 동화집》 속 8편의 《요재지이》를 분석한 결과, 문장 구조가 성인용 《요재지이》 번역서에 비해 단순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아동문학 작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동감 있는 효과 연출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모호한 정보가 명확히 표현되도록 구체적으로 서술하기도 했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요재지이》를 아동문학 작품으로 각색하는 데 있어서 자일스가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면은 아동들이 재미를 느끼는 동시에 교육적인 가치를 실현하는 일이었음을 밝혔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the translation of Liaozhaizhiyi in Herbert Allen Giles’s Chinese Fairy Tales. Giles is a British diplomat and Chinese scholar in China. His most representative translation is Strange Stories from a Chinese Studio a book that is translated from Liaozhaizhiyi by PuSongling. Later, while compiling Chinese Fairy Tales Giles included eight stories in Liaozhaizhiyi as fairy tales.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s for Giles’ inclusion of Liaozhaizhiyi in the Chinese Fairy Tales and the meaning of the reconstruction as a fairy tale, and analyzed the translation of Liaozhaizhiyi as a work of children’s literature based on the skopos theory through comparison with the Chinese original and Giles’s adult translation of Liaozhaizhiyi Since the skopos theory is a theory that emphasizes the establishment of a transl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reader, it was appl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ion of a fairy tale Liaozhaizhiyi targeting a specific reader. As a result of analyzing Liaozhaizhiyi in eight Chinese Fairy Tales, it was found that the sentence structure was simpler than that of the Liaozhaizhiyi translation for adults, and there was also a lively effect that is common in children’s literature works. In addition, it was described in detail so that ambiguous information was clearly expressed.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it was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Giles’s adaptation of Liaozhaizhiyi into a work of children’s literature was that children had fun and realized educational values.

      • KCI등재

        17世紀韓中古典文學中的女性譚比較研究 - 以『於于野譚』與『聊齋誌異』為中心 -

        王夢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1 No.-

        『어우야담』은 유몽인에 의해 편찬되었고, 조선 중ㆍ후기(약 1622년 경)에 완성되었으며, 『요재지이(聊齋誌異)』는 포송령(蒲松齡)에 의해 채록되어 편찬되었고, 강희(康熙) 18년(약 1679년)전후 완성되었다. 지금의 시각으로 보면 하나는 한국의 작품이고 하나는 중국의 작품이라 거리가 멀지만, 꼼꼼히 따지고 본다면 묘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양자는 모두 양국의 마지막 봉건 왕조 때 편찬된 작품집이고, 민간의 짧은 이야기를 채록하여 편집된 것이다. 즉 갈래의 특성 면에서 매우 유사한 것이다. 특히 두 작품 속에 여성과 관련된 이야기가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필시 주목할 만하다고 본다. 이들 여성의 신분도 귀족, 평민, 기생, 노비, 무녀, 여승 등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이 두 작품집에 수록된 여성의 이야기 가운데 일부는 부모나 시부모를 잘 봉양하는 효녀, 난을 당하여 자결로 정조를 지키거나 오랜 세월에 걸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하는 열녀, 아이들을 잘 가르치는 현모 등과 같이 전통적인 여성상을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작품집 속에서 절대 다수의 분량만은 아니더라도 늦은 밤에 담을 넘어 자신이 사모하는 남자에게 고백하는 여성,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살인까지 저지르는 여성, 출가했음도 불구하고 곤경에 처한 자신의 집안을 지키기 위해 원수와 끝임 없이 투쟁하는 여성, 사통하는 여성 등의 이야기도 꽤 존재하는 편이다. 이처럼 다양한 신분과 다양한 성격의 여성들을 다루는 『어우야담』과 『요재지이』는 조선 중․후기와 중국 청대 여성들의 생활양상과 편찬자의 여성관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 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한․중 양국에서 각각 『어우야담』의 여성담과 『요재지이』의 여성담에 대한 연구는 따로 많이 진행되어왔지만 비교연구면에 있어서는 여전히 매우 부족하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어우야담』의 여성담과 『요재지이』의 여성담을 검토하여 양국의 여성담의 대비를 통해 드러나는 변별점과 공통점들을 제시하는 동시에 이런 점들이 발생한 이유에 대해 살폈다. 즉 조선 중ㆍ후기의 여성과 동시대의 같은 동아시아 유교문화권에 속한 중국 청대의 여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조선 중ㆍ후기 여성의 특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우야담』의 여성담과 『요재지이』의 여성담에서 공통점을 아래와 같이 네 가지를 발견했다. 첫째, 인간 여성의 이야기와 비인간 여성의 이야기가 모두 존재한다. 둘째, 유교와 관련된 이야기 외에 불교, 무교 등 다른 종교와 관련된 이야기도 없지 않다. 셋째, 여성의 성적인 욕망에 대해 회피하지 않는다. 넷째, 여성의 신분은 상층부터 하층까지 다양하다. 이처럼 공통점을 갖고 있는 동시에 네 가지 면에서의 변별점도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양국의 작품집에 비인간의 여성담이 모두 존재하지만, 『어우야담』의 비인간 여성담은 전체 여성담의 12.7%를 차지하는 반면 『요재지이』의 비인간의 여성담은 전체 여성담의 54.3%를 차지한다. 이와 같은 차이점의 존재는 결국 신선ㆍ요귀에 대한 편찬자의 관념, 그리고 편찬자의 편찬 동기와 긴밀한 연관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양국의 여성담에는 유가 사상 외에 다른 사상과 관련된 이야기가 있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지니지만, 한국의 경우 도가와 관련된 여성담이 없는 대신 무녀의 이야기가 종종 발견되는 반면, 중국의 경우 무속이 아닌 도가와 관련된 여성담이 종종 발견된다는 점에서 뚜렷한 차이가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차이점은 도교가 그 당시 조선에서 백성들의 신앙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민간에서 한국본토의 무교처럼 널리 보급될 수 없었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요재지이』에서는 정욕을 추구하는 여성의 성적인 욕망은 『어우야담』보다 노골적으로 묘사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전자 속에 악처들의 이야기도 후자보다 편수도 많을 뿐만 아니라 악처들의 악행의 수단도 더 폭력적이다. 넷째,『어우야담』속에는 사족 여성, 평민 여성, 기생의 이야기들이 고루 포함되어 있고, 『요재지이』속에는 평민 여성의 이야기의 비중에 있어서 다른 신분 여성 이야기의 비중을 훨씬 능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생에 관한 이야기의 경우 『어우야담』에서는 세 번째로 높은 비중인 30.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요재지이』의 경우 해당 이야기의 비중은 2.5%에 불과하다. 이는 청나라 기생문화의 특징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Eouyadam (『於于野譚』) which was written by Ryu Mong-in(柳夢寅)in the late Joseon Dynasty(about 1622), and The Strange Tales of Liao Zhai(『聊齋誌異』)which was written by Pu Songling(蒲松齡) in the reign of Qing Emperor Yongle(about 1679). One is a Korean work, one is a Chinese work. It seems far away from each other, however, if we pay further attention to these two works, we'll find that there exists a subtle attachment between each other. For example, they are all wrote in seventeenth Century, and they are all short story(folktales) collected from the people. It is worth noting that the two works have concentrated female related stories, their identity varied from the aristocracy to the civilians, from the family women to prostitutes, from the madams to slaves, covering almost all sectors of society. These Women's Stories are very useful to study how did the women l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article mainly talks about Women's Stories of Eouyadam and The Strange Tales of Liao Zhai. Regardless of national differences of China and Korea in these two works, Women's Stories based on its universal symbolic has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hich is well worth us to study.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se two works can also explain the reasons for thi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paper summarizes four similar points. Firstly, the two works both focus on human women and non - human women. Secondly, although the stories of women which are about Confucianism accounts for the vast majority, but there are also some stories about Buddhism, Taoism, and witchcraft. Thirdly, the two countries work on women's desire are not avoid. Fourthly, the status of women in various nobles, wives, daughters, meid, prostitutes and so on. This paper also summarizes four different points. Firstly,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human women and non - human women. Secondly, the difference in the story of the women's desire. Thirdly,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prostitutes. Fourthly, the difference in the story of Religion.

      • KCI등재

        민담연구의 관점에서 본 『요재지이(聊齋志異)』- 민담의 구조와 시퀀스를 중심으로-

        이근석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4

        Yojaejiyi/ Liaozhaizhiyii (聊齋志異) is classified into a wenyan novel (文言小說) by Chinese scholars. It is a wenyan novel being recorded in guwen (古文), but has elements of folktale given the process of composition and contents. Nevertheless, they did not draw much attention, as it being understood in the category of Mingqing period wenyan novel. The contents and objective in this article is to show the elements of folktale in it and to analyse the tales by means of methodology of folktale research. Along with them, I made an attempt to broaden the territory of previous research. The following elements and features of folktale stand out in Yojaejiyi/ Liaozhaizhiyii: confession (or approval) made by Pu Songling /Po Songryung himself, textual evidence, the inclusion of the form of lunzan (論纂: review), heterogeneous structure and the completion of contents. In that sense, Pu is not the author of wenyan novel, but is a collector who recorded the folktales in wenyan. The novel is a collection of folktales, being recorded in wenyan. Folktales with various structures appear in Yojaejiyi/ Liaozhaizhiyii, ranging from earlier period thru completed structure to applied structures Also, longer tales show very complicated structure, since many separate tales being combined. In that sense, it shows various and vivid spectra of the development of folktale from earlier period to most evolved form. Its meaning and value should be re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of folktales. 고문(古文)으로 기록된 『요재지이』는 형식적으로는 문언소설이지만 그 창작과정과 내용을 살펴보면 상당부분 민담적 요소를 함께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요재지이』에 내재된 민담적 특징은 명청소설이라는 시대와 장르의 견고한 카테고리 안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 논문의 주요한 내용과 목적은 『요재지이』에 내재된 민담적 특징을 추출하고 아울러 민담연구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요재지이』에 수록된 이야기들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요재지이』는 포송령 스스로의 고백, 텍스트속의 여러 증거, 논찬(論纂)이란 형식의 삽입, 불균질한 구조와 완성도란 측면에서 민담적 요소와 특징들이 두드러진다. 『요재지이』 속에는 민담의 초기형태부터, 완성된 구조 그리고 응용된 구조의 이야기가 모두 존재한다. 아울러 긴 편폭의 이야기는 여러 독립된 민담들이 서로 결합되어 매우 복합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요재지이』는 민담의 초기형태부터 가장 진화된 형태에 이르기 까지 한 작품집 안에서 민담발전의 다양하고도 생생한 스펙트럼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요재지이』는 중국민담발전사란 측면에서 그 의미와 가치를 재평가 받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텍스트의 힘과 이야기의 형이상학 - 『요재지이』 서사와 논평의 재성찰을 경유하여

        최기숙 ( Choe Keysook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科學 Vol.118 No.-

        이 논문에서는 중국 청대 초기의 문인 포송령(蒲松齡)이 집필하고 편찬한 『요재지이』의 서사와 논평에 매개된 다양한 문학적 의제’들’, 즉 작가, 독자, 비평, 문학, 성찰적 사유(메타사유/메타비평)의 다층적 상호작용에 대해 논의하는 방식으로 『요재지이』의 문학적 성취를 재평가하고, 여기에 잠재된 서사문학의 보편적인 기능과 역할을 재성찰했다. 이를 위해 첫째, 서사 텍스트에 노출된 서술자 자의식의 양태를 분석했다. 둘째, 『요재지이』에 ‘이사씨는 말한다(異史氏曰)’는 일관된 언술 기호를 통해 첨부된 논평의 입장, 태도, 서술 방식을 분석했다. 셋째, 이야기된 텍스트와 서술자, 논평자의 관계를 해명했다. 넷째, 이를 통해 『요재지이』의 독서 과정에서 독자가 경험하게 되는, 문학을 둘러싼 여러 층위의 메타 사유, 즉 ‘이야기하다(쓰기-창작)’, ‘이야기를 읽다(읽기-독서)’, ‘이야기에 대해 이야기하다(비평-메타 사유)’라는 세가지 차원의 행위가 갖는 의미 맥락에 대한 해석의 지형도를 제출했다. 『요재지이』에서 별도의 논평을 갖춘 텍스트는 전체의 56%(277편)이며, 이 중에서 서사 본문에서 서술자가 자기 정체성을 드러낸 경우가 4%(22편)이다. 논평은 없지만 서사의 본문에 서술자가 목소리를 드러낸 경우가 17%(88편)이다. 전체수록 편수의 73%에서 서술자는 독자와 직접적인 소통을 시도했다. 『요재지이』에서 [작가-청취자-서술자-전달자-개작자-독자-비평가]는 연결된 한 몸이자, 분절된 사유와 상상의 고리로 등장한다. 이(들)은 이야기의 창조자이고 생산자일 뿐만 아니라, 세계에 이야기를 존재하고 유통시키는 생성과 순환의 매개로 구성된다. 작가는 일방적으로 이야기를 말하고 쓰고 전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이 듣고 쓴 이야기를 다시 읽고 반응하며, 그것을 독자와 공감하고자 하는 [독자-작가]이며, [수용-창작가]인 동시에, 이미 존재하는 이야기의 충실하고도 창의적인 [전달-기록자]다. 요컨대, 『요재지이』는 서사 텍스트와 논평을 통해 이야기의 개념, 정의, 창작과정, 전승, 독서행위, 문학과 현실의 관계, 현실과 환상의연결성 등 서사를 매개로 펼쳐질 수 있는 모든 관념과 사유를 개진시켰으며, 이야기의 형이상학에 대한 상상력을 총체적으로 실험하는 은유적 장을 구성했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작가개인의 성취가 아닌 문학 보편의 성취로 위치시키고자 했으며, 이야기 자체에 이러한 가능성이 내재해 있음을 논증했다. In this paper, I re-evaluated literary achievement of Lao Zhai Zhi’ Yi, written and edited by Pu Songling, the early Qing dynasty, and reexamined the universal function and role of narrative literature. For this goal, I discuss the multi-layered interactions of the various literary agendas' mediated in the individual texts (narrations and commentaries) contained in Lao Zhai Zhi Yi; writers, readers, critics, literature, and philosophy (meta narrative / metacritics) as follows; First, I analyzed aspects of the descriptor self-consciousness exposed to the narrative text. Second, I analyzed the position, attitude, and narrative style of the Isa ssi's (異史氏) commentary that appeared in the commentary paragraphs of Lao Zhai Zhi Yi. Third, I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ed text, the narrator, and the commenter. Fourth, through this analysis, this paper suggested a topographic map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emantic context of these three dimensions; storytelling as writing-creating, appreciating a story as reading a book, and narrating about narrative as criticism-meta criticism. 56%(277 texts) of Lao Zhai Zhi Yi have additional commentaries. Among them, 4% (22 texts) indicate that the narrator reveals his identity within the narrative text. In 17% (88) stories, there is not attached commentaries, but the narrator revealed a voice in the narrative text. In 73% of the total, the narrator revealed his identity and attempted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reader. In Lao Zhai Zhi Yi, [writer-listener-narrator-transmitter-rewriter-reader-critic] is one connected body, and also a segmented chains of thought and imagination. These are not only creators and producers of stories, but also mediators of creation and circulation that present and distribute stories in the world. The writer is not a unilaterally telling, writing and telling story. Rather, the writer reads and reacts again to the story he hears and write, and is a [reader-writer] and [acceptor-writer] who wants to sympathize with the reader. The author is also a faithful and creative [transmitter-writer] of existing stories. In short, Lao Zhai Zhi Yi uses narrative texts and commentary to identify all the ideas that can be unfolded through the narrative, such as the concept, definition of story, creative process, transmission, reading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and the connection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t can be said that the reason was promoted. Lao Zhai Zhi Yi constituted a metaphorical field for the total experimentation of the imagination of themetaphysics of stories. In this paper, I tried to locate this as the achievement of universal literature, not the individual writer's achievement, and argued that this possibility is inherent in the story itself.

      • KCI등재

        『어우야담』과 『요재지이』의 여성관 비교 연구

        사소석(She, Shao-Shuo),안영훈(An, Young-Hoon) 우리문학회 2023 우리文學硏究 Vol.- No.79

        본 논문은 『어우야담』과 『요재지이』에 나타난 여성 양상을 중심으로 두 작품의 여성관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어우야담』과 『요재지이』에 대한 한⋅중 양국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연구 방법과 여성 양상의 분류 정리에 대한 기준을 정하였다. 두 작품의 여성 양상을 분류 정리하고 분석을 통해서 유몽인과 포송령의 여성관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작품에 나타난 유몽인과 포송령의 여성관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몽인과 포송령은 현명하고 지혜롭고 용감한 여성, 전통과 진보가 결합된 여성을 많이 다루고 있지만, 전통사상의 영향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여성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어 시대적, 계층적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둘째, 유몽인과 포송령은 신분과 생애의 차이로 인해 세인을 교화하는 측면에서 여성관이 다른데, 사대부인 유몽인의 경우 여성들이 전통적인 윤리 도덕을 지키는 데 더 무게를 두었다. 재야의 문인인 포송령은 사랑과 정신적 위안을 더 중시하였다. 나아가, 유몽인의 여성관이 국가 발전 중심적이라면, 포송령의 여성관은 사회 발전 및 진보적 의미에 더 비중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d the view of women in EoYadam and YojaeJii, focusing on their female roles and characteristics. Drawing upon previous research conducted in both Korea and China on these works, this paper establishes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criteria for categorizing women’s perspectives. The identified aspects are then organized and analyzed to reveal the specific views of Yoo Mong-in and Pyo Song-ryeong on women. Based on this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comparison of Yoo Mong-in and Pyo Song-ryeong’s perspectives on women. Firstly, both Yoo Mong-in and Pyo Song-ryeong appreciate women who embody a combination of wisdom, intelligence, courage, and progress. However, they are constrained by societal class and the prevailing traditional ideologies of their respective eras, which limit them from fully departing from traditional views on women. Second, Yoo Mong-in and Pyo Song-ryeong have different views of women who uplift society due to their disparate statuses and life circumstances. Yoo Mong-in, a nobleman, emphasizes women’s adherence to traditional ethical morality. Conversely, Pyo Song-ryeong, a humble literary man, values love and spiritual comfort. Furthermore, Yoo Mong-in’s portrayal of women centers around national development, whereas Pyo Song-ryeong’s perspective highlights social progress and advancement.

      • KCI등재

        사무엘 윌리엄스의 《聊齋志異》번역 고찰

        최형섭 한국중국소설학회 2023 中國小說論叢 Vol.69 No.-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translations of Liaozhaizhiyi by Samuel Wells Williams(1812-1884). Williams, along with Karl Gützlaff(1803-1851), was the first to translate and introduce Liaozhaizhiyi to the West. He was a protestant missionary in the United States, came to China in 1833 and engaged in various activities in the field of print and publication. In 1877 he returned to the United States, where he became the first professor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t Yale University in 1881. Williams published a Chinese textbook called Easy Lessons in Chinese(1842) in Macau. In this textbook, he presented translations of several Liaozhaizhiyi works along with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His early interest in Chinese novels can be seen as derived from practical purposes such as acquisition of Chinese language and character, and understanding of Chinese life and culture. Next, Williams systematized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s about China that had been listed in fragmentary forms through The Chinese Repository in The Middle kingdom(1848). Chapter 12 of this book dealed with ‘polite literature of the Chinese’. Here, while discussing Chinese novels, he presented translations of the two works of Liaozhaizhiyi. As Williams’s experiences such as reading and translations of Chinese novels accumulated, he developed into a stage where he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novels and Liaozhaizhiyi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and novel history. Finally, Williams translated and published the work of Liaozhaizhiyi called “Revenge of Miss Shang Sankwan” in The Chinese Repository(1849) Vol.18 No.8. Overall, his translations of Liaozhaizhiyi were a relatively faithful to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 although there were some mistranslations, which showed a different level from Gützlaff’s brief introduction of the plot of stories. In addition, it can be evaluated that his translations played a nourishing role in the publication of H.A.Giles’s Liaozhaizhiyi in 1880. 이 논문은 사무엘 윌리엄스(Samuel Wells Williams, 1812-1884)의 《聊齋志異》번역에 관해 고찰해 보고자 작성되었다. 윌리엄스는 귀츨라프(Karl Gützlaff, 1803-1851)와 함께 《요재지이》를 처음 서구에 번역 소개한 사람이다. 미국 개신교 선교사였던 그는 1833년 중국에 온 후, 인쇄 출판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1877년그는 미국으로 돌아가1881년부터는 예일대학교 최초의 중국어문학 교수를 지냈다. 윌리엄스는 《Easy Lessons in Chinese(拾級大成)》(1842)라는 중국어 교재를 마카오에서 출판하였다. 이 교재에서 그는 다수의 《요재지이》작품들을 원문과 함께 번역 소개하고 있다. 초기 그의 중국소설에 대한 관심은 언어와 문자 습득, 중국인의 삶과 문화 이해와 같은 실용적인 목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윌리엄스는 《The Middle Kingdom(中國總論)》(1848)에서 《중국총보》를 통해 파편적인 형태로 나열되어 있던 중국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체계화하고있다. 이 책 제12장은 중국의 순문학을 다루고 있다. 여기에서 그는 중국소설에 관해 논하면서 《요재지이》두 작품을 번역 수록하고 있다. 중국소설 번역과 독해 경험들이 축적되면서, 윌리엄스는 문학사⋅소설사적 관점에서 중국소설과 《요재지이》의 특징을 파악하는 단계로 발전하였다. 마지막으로 윌리엄스는 1849년에 간행된《中國叢報》Vol.18 No.8에 <商三官>이라는《요재지이》작품을 번역 게재하였다. 전반적으로 그의 번역은 일부 오역이 있기는 하지만 비교적 원문에 충실한 번역으로, 귀츨라프가 줄거리를 간략하게 소개하는 것과는 다른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그의 번역은 1880년 자일스의 번역본이 나오는 데 있어서도 자양분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聊齋誌異》에 나타난 의학적 환상

        송정화 한국중국소설학회 2023 中國小說論叢 Vol.70 No.-

        This paper explored the medical fantasies that appeared in Liaozhaizhiyi. While inheriting the genealogy of fantasy literature that leads to Chinese Zhiguai, Chuanqi and Shenmo novels, I have always thought that Liaozhaizhiyi has a unique sensibility that is different from previous fantasy narratives. Therefore, I analyzed what the special fantastic sensibility of Liaozhaizhiyi is and how it is created. And as a result, I learned the following facts. First, the medical fantasy of Liaozhaizhiyi was closely related to the medical interest of the author, Pusongling. Pusongling was weak from an early age and could not escape the pain of the disease throughout his life, and naturally became interested in medicine. He also published his medical knowledge as an enlightenment book. The medical fantasy of Liaozhaizhiyi was the literary expression of his actual interest in medicine. Second, in Liaozhaizhiyi medical fantasies combined daily life in which people were sick and healed with surreal fantasies by the author's imagination, so it was expressed as a world where reality and fantasy were mixed. Pusongling, who had seen people suffering from diseases in the outskirts of the country, featured characters such as dwarfs to organize the medical process into an interesting story. In addition, in Liaozhaizhiyi, the author interpreted mysterious diseases of unknown cause as inhuman beings or supernatural forces such as God's curse, sleeping with ghosts, and longing for lovers. And he recalled in his work the old magical imagination that it could be controlled by the power of medicine or medicine. Liaozhaizhiyi shows that in ancient societies where scientific thinking was not yet absolute, it was natural for sorcery to perform the function of judging and interpreting social phenomena and causes of diseases. Finally, Liaozhaizhiyi showed how the literary device called "medical illusion" serves various functions to satisfy physical deficiencies and comfort psychological frustration, with intellectual brains, beautiful appearance, and strong physical function being the object of desire. 본 고에서는 ‘《요재지이》에 나타난 의학적인 환상’을 주제로 하여 ‘포송령의 의학적 관심’, ‘병과 치료 과정의 서사화’, ‘주술적 리얼리즘의 세계’, ‘욕망하는 신체’의 다양한 각도에서 작품을 분석했다. 우선 《요재지이》의 의학적인 환상의 경지는 그의 실제적인 의약학에 대한 관심이 문학적으로 발현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요재지이》에서 의학적인 환상은 사람들이 병에 걸리고 치유되는 일상의 과정이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초현실적인 환상과 결합함으로써 실재와 환상이 혼재하는 세계로 표현되었다. 지방에서 막객과 서당 훈장 노릇을 하면서 질병으로 고통받는 백성들을 보아왔던 포송령은 난쟁이 등의 캐릭터를 등장시켜 병과 치료과정을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구성해냈다. 또한 《요재지이》에서 작자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불가사의한 병들을 신의 저주, 귀신과의 동침, 연인에 대한 그리움 등의 비인격적인 존재나 초자연적인 힘에 의한 것으로 해석했고, 그것을 巫醫나 의약의 힘으로 통어할 수 있다는 오래된 주술적인 상상력을 재소환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요재지이》는 지적인 두뇌, 아름다운 외모, 강한 신체적 기능이 그 당시 사람들에게도 욕망의 대상이었고, ‘의학적 환상’이라는 문학적 장치가 어떻게 신체적인 결핍을 충족시키고, 심리적인 좌절을 위로하는 기능을 하는지를 보여 주었다.

      • 『금오신화』 와 『요재지이』 중의 인귀련 비교 연구

        장위원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9 우암논총 Vol.41 No.-

        Love and death are the topic of the literature in the mankind forever, but sometimes there are also unhappiness in love. It is subjected to identity system, feudalism parent's system and fight ect. for the reason of social or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and so on; a lot of persons who love each other have the yin and yang separation, and leave regret in mind. Hence people make up themsevles through peculiar motives such as romance between person and ghost, romance between person and god and romance person and monster etc. in the literature work. Because in people's impression, the ghost, gods, monster etc. are free from any tie but existing at liberty. This thesis carries on the comparative studying to love between person and ghost. As we all know, Korea literature in many aspects has accepted the effect of the Chinese literature, romance between people and ghost story also belongs to one of them. The Korean writer Jin shixi's 『Jin ao xin hua』 and the Chinese writer Pu songling's 『Liao zhai zhi yi』 are the novel containing unrealistic material. There are many comparative studies on ghost story in Korea. Relatively the writer also analyzes by parallel research in the essay romance between people and ghost story in Chinese 『Liao zhai zhi yi』 and Korean 『Jin ao xin hua』. 사랑과 죽음은 인류문학의 영원한 주제이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사랑도 마음에 들지 않을 때가 있다. 예를 들면 신분 제도, 봉건 가장 제도, 전란 등 사회적 요인이나 개인적 원인을 받은 영향이기 때문에 수많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음양 간격을 할 수 밖에 없고 마음에 서운함을 남긴다. 따라서 사람들은 문학 작품에서 인귀련, 인신련, 인요련을 통하여 마음속에 유감을 보충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귀, 신, 요를 자유롭게 가지고 어떤 구속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인귀련 이야기에 대하여 비교연구를 하고자 한다. 한국 문학은 여러 면에서 중국 문학의 영향을 받았고 인귀련 이야기도 그중에 하나이다. 한국 작가 김시습(金時習)의 『금오신화(金鰲新話)』와 중국 작가 포송령(蒲松齡)의 『요재지이(聊齎志異)』는 모두 비현실적 소재를 다룬 전기(傳奇) 형식의 소설작품이다. 인귀련(人鬼恋) 이야기는 중국의 고대소설사에서 하나의 독특한 갈래를 이루어 발전해왔다. 이에 대한 연구도 끊임없이 진행되었다. 한국에서도 귀신이야기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한국 최초의 전기소설이자 대표적인 문학작품인 김시습의 『금오신화』와 중국 포송령의 『요재지이』중에 나타난 인귀련을 수평적 연 구방법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聊斋志异》韩译本中山东方言词汇的翻译策略

        이영 중국인문학회 2022 中國人文科學 Vol.- No.80

        《聊齋志異》는 문언문으로 쓰여졌지만 읽을 때 이해하기가 어렵지 않아 중국 전통문학사에서 고전소설의 정점으로 꼽힌다.작가 포송령은 작품속에 자신의 고향인 산둥(山東) 치천(淄川) 지역 일대의 방언도 교묘하게 삽입 시킨다. 방언은 특수한 언어 변체로 지역 특색의 언어적 표현 형태뿐만 아니라 사회성 등 언어적인 다른 특징까지 갖추고 있어 번역에 큰 도전이 되고 있다.이 글은 《요재지이》의 방언 관련 논문 성과 및 《山東方言研究》, 《淄川方言志》 등의 도서를 활용하여 《聊齋志異》의 산둥 방언 어휘를 정리하고, 汪宝荣(2016)이 제시한 네 가지 방언 번역법을 토대로 김혜경이 번역한 《聊齋志異》 완역본을 대상으로 그 중의 방언 어휘 번역법을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연구결론은 역자는 <요재지이> 내용 중에 방언을 번역할 때 명사적 방언에 대해 ‘방언대역법(方言對譯法)’과 ‘문학방언자창역법(文學方言自創譯法)’이라는 역법을 구사해 방언이 담당하는 사회적 기능이나 화용 기능을 전달한다. 동사적 방언을 번역할 때는‘방언표준화역법(方言標準化譯法)’이라는 역법을 구사해 표준어 목표어로 원어 방언을 해석한다. 또한 부사적 방언을 번역할 때는 절충적인 ‘방언특징약화역법(方言特徵淡化譯法)’이라는 역법을 택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이 중국 고전문학의 중한번역에 실천적인 의의를 가졌으면 한다.

      • KCI등재

        한ㆍ중ㆍ일 文言短篇集 속 요괴와 귀신의 존재양상과 귀신담론 - 『天倪錄』, 『聊齋志異』, 『夜窓鬼談』을 대상으로

        김정숙(Kim Jeong-Suk) 대동한문학회 2008 大東漢文學 Vol.28 No.-

          성리학의 이념 하에서 자연철학적 귀신의 개념과 조선시대 실제 삶 속의 귀신관념은 서로 충돌하여 때로 정치적 이유로, 사상적 이유로 조선에서 귀신은 문제적 존재였다. 그러나 인격적 존재로서의 귀신은 종종 문학적 소재로 등장하곤 했는데 우암의 문인이었던 임방의 〈천예록〉은 조선후기 문언단편집으로서 전체의 반 이상이 귀신담과 관련된다. 그중 많은 것이 제사와 관련된 귀신담으로 제사를 통해 만난 귀신을 통해 제사의 중요성, 장지 선택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또한 무당이나 마마신, 관왕묘 등 무속적 귀신에 대해 그 존재를 인정하는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귀신이나 奇異를 인정했던 우암과 그의 영향을 받았던 임방의 유연한 귀신관에서 기인한다.<BR>  〈요재지이〉에서 귀신담은 서사적 흥미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불합리한 현실을 비판하는 도구로서의 귀신담과 강한 성적 욕망의 투사로서의 귀신담이다. 전자는 〈요재지이〉가 포송령의 처지에서 기인하는 孤憤之書의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며 후자는 〈수신기〉 이래로 귀신과의 성적 결합을 소재로 하는 중국 문학적 전통의 영향과 작가의 억압된 욕망의 분출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BR>  〈야창귀담〉 속 요괴와 귀신은 앞의 두 작품에 비해 매우 구체적이며 기괴한 모습을 지니는데 이는 에도시대 이후 출판물의 발달과 연극 등 예능의 성행으로 인해 귀신이 가시화된 문화적 배경에 기인한다. 작가 이시카와 고사이는 근대의 한문학자로서 전래의 귀신담을 수록하되 귀신에 대해 객관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특히 〈귀신설〉과 〈귀자해〉를 통해 귀신을 객관화하고 체계화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Under an ideology of Sung Confucianism, the concept of Gui-Shin in the natural philosophy and the conceptof Gui-Shin in real life of the Joseon Dynasty collided with each other. Thus, Gui-Shin was the issued existence in the Joseon Dynasty because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reason. However, Gui-Shin as a personal existence was often utilized as a literary matter. 〈Cheon-Ye-Rok〉 by Imbang, a pupil of Uam Song, Si Yeol, is a selection of short stori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in the latter term of the Joseon Dynasty and more than a half of its contents is related with Gui-Shin story. Many parts out of the Gui-Shin story are related with ancestral rites and show importance of ancestral rites and burial place’s selection through Gui-Shin seeing in ancestral rites for the most part. Also, it has an attitude to recognize existence of shamanist custom’s Gui-Shin as Mudang, Mamashin and Gwanwangmyo. Such an attitude is caused by a flexible Gui-Shin view of Uam recognizing Gui-Shin or mysteriousness and Imbang getting an influence from Uam.<BR>  Gui-Shin stories in 〈Yojaejiee〉 imply various meanings as well asdescriptive interest. Representative things out of them are a Gui-Shin story as a means to criticize an unreasonable reality and a Gui-Shin story as a means to show strong sexual desire. The former has a meaning of Gobunjiseo (孤憤之書) which 〈Yojaejiee〉 is caused by Posongryeong’s position and the latter got an influence from Chinese literary tradition with sexual combination with Gui-Shin as its subject matter since 〈Sushingi〉 and is analyzed to expose the writer’s suppressed desire.<BR>  Monsters and Gui-Shin in 〈Yachangguidam〉 has more concrete and strange features than those in the above two works. It is caused by cultural backgroundwhich people made Gui-Shin visible by publications’ development and artistic accomplishments’ prevalence as play and more after the Edo age. A writer Isikawa Gosai kept an objective attitude about Gui-Shin though he collected traditional Gui-Shin stories as a modern scholar of Chinese literature. Specially, he had an attitude to objectify and systematize Gui-Shin through 〈Gui-Shin Theory 鬼神說〉 and 〈Gui-Shin Analysis 鬼字解〉.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