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 경험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수림(Lee, Su-Lim)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본 연구는 외상 경험이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변인들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외상후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질문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척도, 외상후성장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변량공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외상 집단이 비대인외상 집단에 비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점수가 높고, 외상후성장 점수가 낮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이 여성인 것, 외상 경험 영향의 지속, 대인외상 유형, 부적응적 조절전략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응적 조절전략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 변인 중에서는 반추와 파국화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이와 비대인외상 유형,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후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긍정적 재평가가 외상후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aumatic even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growth by the data from 199 adults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related traumatic event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n-personal traumatic event group in negative coping and PTSD level, and lower in post-traumatic growth. Second, women, interpersonal traumatic event type, continuance of stress, and mal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TSD. 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PTSD. Especially, rumination and catastrophe were positively related to PTSD. Third, age, non-personal traumatic event type, and 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affected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reappraisal was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In the end, we described of the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 KCI등재

        외상경험 대학생의 사건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의 매개효과

        이다영,정남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osttraumatic growth. Methods An online/off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596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596 ca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217 cases who responded insincerely or answered that their subjective pain level was below normal. Data were collected from 596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 the trauma event inventory questionnaire, centrality of event scale-korean version,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Results First, centrality of even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entalization, and centrality of even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Mentalization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mentaliza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growth. Second, mentaliz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rid, centrality of event had 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role of mentalization in the process of event centrality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mentalization can help clients who are struggling with traumatic events in the counseling scene. 목적 본 연구는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596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주관적 고통의정도를 보통 이하라고 응답한 217사례를 제외한 596사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기보고식 심리화(정신화) 척도, 외상 사건 목록질문지, 사건중심성 척도 한국판, 한국판 사건충격 척도 개정판,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사건중심성과 정신화는 부적 상관을,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신화가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성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건중심성이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사건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신화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외상 사건으로 힘들어하는 내담자들에게 정신화를 통해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사건에 의한 청소년의 간접외상 및 관련요인 연구: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손승희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0

        간접외상은 외상 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지만 PTSD와 같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이차적외상 스트레스 증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사건에 의해 특히 최근 발생한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1)청소년들이 경험한 심리적 반응을 살펴보고 (2)이전외상경험 수준에 따른 간접외상 수준의 차이 (3)간접외상경험 수준에 따른 이전외상경험, 스트레스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의 차이 (4) 이전외상경험, 스트레스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이차적외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며, 세월호사고와 직접 관련된 지인이 없는 중,고등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관련변인을 측정하여 일원분석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월호 사건으로 연구대상 청소년의 57.5%가 간접외상 완전PTSD집단에 속하였고, 슬픔과 분노 감정을 가장 높게 경험하였다. 이전외상경험 수준에 따라 간접외상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접외상 진단집단에 따라 이전외상경험, 스트레스대처양식에도 역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외상경험, 스트레스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간접외상의 15.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양식 중 회피중심 대처양식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적 사건에 의한 간접외상의 중요성 인식과 관련변인들의 영향을 제시함으로써 간접외상에 대한 후속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함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1) examine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in adolescence by social traumatic events, especially Sewol Ferry Disaster, (2) identify the level of indirect trauma according to the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 level, (3)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direct trauma,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4) the impact of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s,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to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34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rviewed who do not have a direct relationship to Sewol Ferry Disaster of Gyeonggi-do Province for this purpos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57.5% of students in case study included in the indirect trauma completely PTSD group. They experience feelings of sadness and anger most highly. According to the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 leve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egree of indirect trauma. There were also differences found in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 indirect trauma diagnosis groups.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s,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s explained 15.7% of indirect trauma showe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avoidance coping strategy is highest. By presenting the importance of the indirect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rauma awareness and social events through this research was to lay the foundation for subsequent studies suggested implications for indirect trauma, and limitations.

      • KCI등재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의미의 관계 탐색 : 삶의 의미의 다차원적 특성을 고려하여

        임선영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7 인지행동치료 Vol.17 No.3

        본 연구는 삶의 의미의 다차원적 특성을 고려하여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외상 후 성장의 의미처리모형의 적합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외상 경험이 있는 학부생 2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의미의 관계를 분석한 후, 삶의 의미의 중요도와 일치도 측면을 각각 한 개의 연구모형과 두 개의 대안모형에 대입하여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삶의 의미의 중요도, 일치도, 의미감 측면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보다는 일치도와 의미감 측면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신체 및 정신건강, 자기수용 및 성장, 가족관계, 친구관계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일에 대한 만족, 사회적 성취, 종교 및 영성, 봉사 및 사회적 기여에 대해서는 중요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삶의 의미의 일치도와 의미감 측면은 자기관련 요인과 타인관계 요인의 하위원천이 모두 집단차를 나타냈고, 자기초월 요인의 두 원천은 집단차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삶의 의미의 중요도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성장 경로모형은 의도적 반추를 통한 외상 후 성장이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경로였다. 하지만 일치도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성장 경로모형은 의도적 반추를 통한 외상 후 성장이 삶의 의미의 부분매개를 거쳐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의 제안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ttraumatic growth(PTG) and meaning in life and to investigate the model-fit of PTG meaning reconstruction processes, considering multidimensional aspects of meaning in life. In this study, various sources and structural aspects of meaning in life such as importance or consistency were measured using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Scal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47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igh PTG vs. low PTG) in the scores of importance, consistency, and sense of meaning in life. Second, the high PTG-group consider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elf-acceptance and growth’, and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friends’ more important than low PTG-group, while there was no group-difference in importance for ‘satisfaction at work’, ‘social achievement’,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and ‘contribution to society’. At the aspect of consistency and meaningfulness,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all the sources of self-related factor and interpersonal relation factor, but not in self-transcendence factor. Third, the effects of intentional rumination on satisfaction of life were mediated by PTG and ‘consistency’ of meaning in life, while the ‘importance’ of meaning in life did not effect on satisfaction of lif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PTG and meaning in life might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which aspects of meaning in life identified and measured.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regarding the variety of meaning in life in PTG model were discussed.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외상성 사건 경험과 PTSD 증상의 관계 - D 유형 성격과 대처 방식의 조절효과 -

        Hwa Young Shin,Soon Taeg Hwang,Yong Tae Shi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6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이 경험하는 외상성 사건 경험과 PTSD 증상 수준의 관계를 알아보고, 외상성 사건 경험이 PTSD 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D 성격 유형과 대처방식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알아보았다. 대처방식은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로 구분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북 지역의 8개 소방서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외상성 사건의 경험이 거의 없는 행정부서에서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들을 제외하고, 화재진압, 구조, 구급에 배치되어 있어 충격적인 사건을 겪을 확률이 높은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총 31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인 소방공무원 중 29명(9.23%)이 심한 정도의 PTSD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PTSD 관련 변인들과 PTSD 증상 수준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성 사건 경험 빈도, D 유형 성격, 적극적 대처 및 소극적 대처 모두가 PTSD 증상 수준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외상성 사건 경험 빈도가 PTSD 증상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성 사건 경험 빈도가 PTSD 증상 수준을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외상성 사건의 경험 빈도가 PTSD 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D 유형 성격,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상성 사건의 경험 빈도와 PTSD 증상 수준과의 관계는 D 유형 성격과 소극적 대처 사용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왔다. 외상성 사건 경험 빈도와 PTSD 증상 수준 사이에서 적극적 대처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urban firefighter's PTSD symptom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ype D personality and coping style. Th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Post-traumatic stress Scale(PDS-K), Ways of Coping Checklist(WCC) and DS14 scales were administerd to 314 firefighters working in Chungbuk. The results are as followed. The level of PTSD symptoms of firefighters was not ignorable. The rate of the PTSD high-risk group in firefighters in this study was 9.7% using PDS-K, with an over 21-point cutoff score. traumatic events were powerful factors to exacerbate the level of PTSD symptoms. traumatic events were predictive of PTSD. Results have shown that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style could influence PTSD symptoms through main effects. The traumatic events decreased PTSD symptoms through interacting with Passive coping style. Unexpectedly, Active coping style which are used by firefighters were not helpful to reduce the level of PTSD symptoms.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외상후 부정적 인지와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를 중심으로

        박지은 ( Ji-eun Park ),정남운 ( Nam-woon Chu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6 人間理解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유형에 따른 외상후 성장 및 관련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고,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에 초점을 두어 외상후 부정적 인지와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20세 이상의 성인 484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질문지, 외상후 성장 척도, 외상후 인지 척도, 한국인 용서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외상 유형에 따라 외상후 성장, 외상후 부정적 인지, 용서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상후 성장과 용서 수준은 대인관계 외상 경험 집단이 비대인관계 외상 경험 집단보다 낮고, 외상후 부정적 인지 수준은 대인관계 외상 경험 집단이 비대인관계 외상 경험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후 부정적 인지와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외상후 부정적 인지 수준이 낮은 경우, 용서 수준이 높을수록 외상후 성장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대학상담실제의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variables between traumatic event type groups. We also sought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forg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and posttraumatic growth focusing on interpersonal trauma group. A total of 484 adul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personal trauma group was lower than the impersonal trauma group in posttraumatic growth and forgiveness level, and higher in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at forgiveness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and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the counsel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외상에 대한 ‘기억’의 철학상담적 치유가능성 모색 -아도르노의 ‘회상’개념과 변증법적 사유를 중심으로-

        노성숙 ( Nho¸ Soung Su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7 가톨릭철학 Vol.0 No.29

        최근 한국사회에서 5.18, 세월호 등으로 인해 트라우마, 즉 외상에 대한 관심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외상 생존자들에게 외상에 대한 기억을 없애고 ‘망각’하도록 도와야 할까? 아니면 ‘기억’을 통해 외상에 직면하여 그 사건을 말로 표현하고 증언하도록 해야 할까? 외상을 기억하는 것, 그 자체가 고통인데 생존자들로 하여금 그 고통을 돌아보고 외상을 이야기하도록 하는 것은 과연 생존자들에게 치유의 일환일 수 있을까?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리시대 인간의 조건을 사유해야 한다는 아렌트의 비판적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외상 생존자들의 ‘기억’이 단지 개인적인 차원만이 아니라 사회와의 연관성에 대한 성찰적 사유로 이어질 때에야 비로소 치유될 수 있다는 점에 천착하고자 한다. 기존에 이루어진 정신의학적 치료나 심리치료의 작업에서도 외상에 대한 ‘기억’은 매우 핵심적 전환점을 마련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치료나 상담적 접근에서 외상을 치유하기 위해 ‘기억’이 왜 그리고 어떤 의미에서 중요한 치료적 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본 뒤, 이를 철학상담과의 대비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2장에서는 트라우마 치료에서 양대산맥을 차지하고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에 대한 정신의학적인 치료와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에 대한 심리치료 및 상담적 접근의 핵심을 정리해보고, 그 안에서 ‘기억’이 지니는 치료적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는 아도르노 사상을 중심으로 ‘기억’과 변증법적 사유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시도할 것이다. 4장에서는 기존의 심리치료나 상담에서의 ‘기억’에 대한 작업이 지니는 제한점을 되짚어본 뒤, PTDS의 ‘장애’와 PTG의 ‘성장’ 사이에서 외상을 치유하기 위한 ‘기억’의 철학상담적 토대를 마련해 본다. 이로써 외상을 치유하기 위한 기존 치료의 보완책이자 하나의 대안으로서 아도르노의 ‘회상’개념과 변증법적 사유에 기반한 철학상담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In recent decades, interest in trauma has grown in South Korean society due to the May 18<sup>th</sup>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other events. Some have wondered if survivors should be assisted in ‘forgetting’ their memories of traumatic events or if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face the trauma through those memories and discuss their experiences. Remembering trauma is painful, but it has been considered that having survivors experience that pain through discussing their traumatic experiences can be part of the healing process. This paper begins Arendt’s statement that one should consider human conditions and considers whether trauma survivors can heal only when their traumatic memories have been connected to introspective thinking concerning not only individual dimensions but also associations with society. In previous psychiatric treatment and psychotherapy studies, memories of trauma have been essential turning point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ason and context in which memories can be an important therapeutic factor when healing trauma using existing therapies or counseling approaches. It compare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to philosophical counseling approaches. Chapter 2 discusses the core of the psychiatric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the core of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approaches to post-traumatic growth(PTG). The approaches occupy two major streams in trauma treatment.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and importance of memories in the aforementioned treatment methods are examined. Chapter 3 discusses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memories and dialectical thinking; the discussion centers on Adorno’s concepts. Chapter 4 review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work on memories. A basis is established for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of memories in trauma healing. As such, this study considers philosophical counseling approaches based on Adorno’s concepts of ‘Eingedenken’ and dialectical thinking as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existing trauma healing.

      • KCI등재후보

        외상경험 아동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요인연구

        주소희(Ju So H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경험 아동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지역아동센타와 방과후 공부방에 다니는 아동 청소년 165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인외상을 경험한 아동청소년이 대인외상을 경험하지 않은 아동청소년보다 우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종교, 자아탄력성, 친구의 지지로 나타났다. 즉, 종교가 있는 아동청소년일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친구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외상 후 성장이 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외상경험 아동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을 지지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rowth of post-traumatic children and youth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or non-interpersonal trauma.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Children and Youth 165 people attending the local children"s centers and after-school study room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Results First, the child was higher youth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is not experienced depression than young children. Second, the impact off 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appeared to be religious, ego resilience, friends. In other words, the more children and youth with religion, the higher the self-resilience, as the perception that have the support of your friends could confirm that growth is increasing more after injury.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social work practice to support the growth of children and youth experience trauma.

      • KCI등재

        중국 「외상투자법(外商投资法)」의 후속 법규 이행 현황과 시사점 ― 외상투자관리제도를 중심으로 ―

        양효령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30 No.2

        China's Foreign Investment Law is the basic law on foreign investment, and serves as a legal basis for establishing basic principles for foreign investment and providing a system to ensure the stability of foreign investment. The Chinese government is implementing administrative simplification and decentralization through interim and post management systems for foreign-invested companies. The Chinese government has also expanded investment liberalization by implementing ‘treatment as a Chinese national before entry’ and ‘negative list’ for foreign investment, reinforcing the information reporting system for foreign-invested and foreign-invested companies, and reorganizing the grievance handling system,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orporate investment policies. Above all, the Chinese government attempts to legislate the investment policy for foreign enterprises by enacting and amending related follow-up laws in accordance with the Foreign Enterprise Investment Act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mentioned foreign enterprise investment policy, and establish a legal basis to protect the legal rights and interests of foreign business investors and ensure fair competition. Therefore, in this article, the local government's efforts to enact legislation on foreign enterprise investment policies, changes to the negative list for foreign enterprise investment, establishment of registration and registration system for foreign-invested companies, and the main regulations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corporate investment information reporting system and the grievance handling system of foreign-invested companies have been reviewed, and based on the review, the lack of clarity on the legal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for foreign business investment policy management, lack of transparency in the procedure and implementation of negative list establishment, necessity of establishing self-management system for foreign-invested companies, strengthening of information reporting system for foreign-invested companies, and limitations of practicality of the grievance handling system Limitations of practicality of the system have been deduced as the implications as the suggestions necessary for foreign business investment activities of Korean companies that have entered China. 중국의 「외상투자법(外商投资法)」은 외상투자에 관한 기본법률로써 외상투자에 대한 기본원칙을 확립하고, 외상투자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데 법적 토대가 되고 있다. 중국정부는 외상투자기업에 대한 사중・사후관리제도를 통해 행정의 간소화와 분권화를 시행하고 있으며, 외상투자 ‘진입 전 내국민대우’ 및 ‘네거티브 리스트’를 시행하여 투자 자유화를 확대하고, 외상투자 및 외상투자기업에 대한 정보보고제도를 강화하는 동시에 고충처리제도를 재정비하여 외상투자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정부는 상술한 외상투자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외상투자법(外商投资法)」에 근거하여 관련 후속 법규를 제・개정하여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외상투자자의 합법적 권익을 보호하고 공정한 경쟁이 가능한 외상투자정책의 법제화를 꾀하고 있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외상투자법(外商投资法)」의 후속 법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외상투자정책에 관한 법제화 노력, ‘외상투자 네거티브 리스트(外商投资准入特别管理措施(负面清单)의 변화, 외상투자기업의 등기・등록(登记注册) 제도의 확립, 외상투자정보보고제도(外商投资信息报告制度) 및 외상투자기업의 고층처리제도(外投资企业投诉工作机制)에 대한 재정비에 관해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중국에 진출한 우리기업의 외상투자활동에 도움일 될 수 있는 제언으로 지방정부의 외상투자정책 관리에 관한 법률책임 명확성 결여, ‘네거티브 리스트(负面清单)’제정 절차와 시행에 관한 투명성 결여, 외상투자기업의 자체 관리시스템 확립의 필요성, 외상투자에 대한 정보보고제도 강화, 및 고충처리제도의 실용성 한계를 시사점으로 도출하고 있다.

      • KCI등재

        외상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배우자지지, 외상후성장, 회복탄력성,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정경임(Kyung-Im Jung),전혜성(Hye-Seong Jeon) 한국가족치료학회 2020 가족과 가족치료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외상후성장, 회복탄력성,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외상 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혼자 및 사실혼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241명을 최종 자료로 사용했다. 외상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배우자지지를 독립변인으로, 외상후성장을 종속변인으로, 회복탄력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변인으로 구성한 모형의 경로를 구조방정식모델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외상후성장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완전매개 하였다. 둘째,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외상후성장 간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외상후성장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순차적으로 완전매개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각된 배우자지지는 외상을 경험한 개인의 외상후성장에 있어서 변화를 도울 수 있는 영향요인이 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배우자지지가 직접적인 영향요인이기 보다는 회복탄력성 및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거쳐서 개인의 외상후성장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post-traumatic growth, resilience,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f middle-aged adults with traumatic experience. Method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12 middle-aged adults with trauma experienc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241 people who are married and maintain a common-law relationship were used as final data. Results: First, resilience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aged adults with traumatic experience. Second,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resilience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sequentially completely mediated. Conclusions: Spousal support perce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n influencing factor that can help change in post-traumatic growth of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but such spouse support is not a direct influencing factor, but rather resilience and adaptive cognitive support.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individ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