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大君과 王子君 그리고 王孫의 교육연구

        陸受禾(Yuk Su-hwa)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장서각 Vol.0 No.15

        본 연구는 조선후기 왕실 자손들의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의례과정을 규명한 것이다. 그 대상은 왕의 적자인 大君과 서자인 王子君, 그리고 왕세자의 적자인 嫡王孫과 서자인 庶王孫 등이다. 대군과 왕자군의 교육기관은 講學廳이라 하고, 왕손의 교육기관은 敎學廳이라 하였으며, 대군과 왕자군의 스승은 師傅라 하고. 왕손의 스승은 敎傳라 하여 그 廳號와 稱號를 구별하여 사용하였다. 왕위계승자인 왕세자와 왕세손 등의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데 반해 이들의 교육은 종친부 주관으로 이루어졌다.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 『소학』 · 『효경』등의 초학과정을 이수하면 사서삼경으로 이어져 왕위계승자들의 교육과정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왕세자와 왕세손의 경우 왕위계승자임을 염두에 두어 교육이 이루어졌다. 때문에 帝王學을 위한 방편으로써 역사서도 아울러 강조되었다는 점에서 이들의 교육과정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왕세자의 사부는 정1품, 왕세손의 사부는 종1품인데 비해, 대군과 왕자군의 사부와 왕손의 교부는 모두 종9품으로 왕위계승자들과는 현격한 차등을 두었다. 차이를 인정하기 보다는 차별을 강조하는 유교적 전통은 각종 의례과정에서 더욱 부각되는데, 그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철저히 위상을 달리하여 이루어졌다. In this paper I examin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son of the king's principle wife(Daegun, 大君), son of the king's concabine wife(Wangjagun, 王子君) and Crown Prince's son(Wangson, 王孫).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eachers for Daegun, Wangjagun were called Gnghakcheong(講學廳) and Sabu (師傅) respectively. Gyohakcheong(敎學廳) and Gyobu(敎傅) were for Wangson. The education for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was performed systematically as a means of governmental strategy. The education for Wangson was only conducted by Bureau of Royal Descendants(Jongch'inbu, 宗親府). The curriculum for royal families included Dongmong seonseup(童蒙先習), Sohak(小學), Hyogyeong(孝經) and other confucianism classics. This curriculum was similar with that of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When compared to the curriculum for other Royal descendents, the history w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for the teaching of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大君과 王子君 그리고 王孫의 교육연구

        육수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장서각 Vol.0 No.15

        In this paper I examin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son of the king's principle wife(Daegun, 大君), son of the king's concabine wife(Wangjagun, 王子君) and Crown Prince's son(Wangson, 王孫).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eachers for Daegun, Wangjagun were called Gnghakcheong(講學廳) and Sabu(師傅) respectively. Gyohakcheong(敎學廳) and Gyobu(敎傅) were for Wangson. The education for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was performed systematically as a means of governmental strategy. The education for Wangson was only conducted by Bureau of Royal Descendants(Jongch'inbu, 宗親府). The curriculum for royal families included Dongmong seonseup(童蒙先習), Sohak(小學), Hyogyeong(孝經) and other confucianism classics. This curriculum was similar with that of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When compared to the curriculum for other Royal descendents, the history w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for the teaching of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본 연구는 조선후기 왕실 자손들의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의례과정을 규명한 것이다. 그 대상은 왕의 적자인 大君과 서자인 王子君, 그리고 왕세자의 적자인 嫡王孫과 서자인 庶王孫 등이다. 대군과 왕자군의 교육기관은 講學廳이라 하고, 왕손의 교육기관은 敎學廳이라 하였으며, 대군과 왕자군의 스승은 師傅라 하고, 왕손의 스승은 敎傅라 하여 그 廳號와 稱號를 구별하여 사용하였다. 왕위계승자인 왕세자와 왕세손 등의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데 반해 이들의 교육은 종친부 주관으로 이루어졌다.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동몽선습 소학 효경 등의 초학과정을 이수하면 사서삼경으로 이어져 왕위계승자들의 교육과정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왕세자와 왕세손의 경우 왕위계승자임을 염두에 두어 교육이 이루어졌다. 때문에 帝王學을 위한 방편으로써 역사서도 아울러 강조되었다는 점에서 이들의 교육과정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왕세자의 사부는 정1품, 왕세손의 사부는 종1품인데 비해, 대군과 왕자군의 사부와 왕손의 교부는 모두 종9품으로 왕위계승자들과는 현격한 차등을 두었다. 차이를 인정하기 보다는 차별을 강조하는 유교적 전통은 각종 의례과정에서 더욱 부각되는데, 그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철저히 위상을 달리하여 이루어졌다.

      • KCI등재

        신라 원측의 생애에 대한 검토

        조경철(Jo Gyung-cheoul)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7

        원측의 신분에 대해선 왕손설과 사족[6두품]설로 크게 나뉘지만, 낭혜화상의 예를 들어, 왕손설이 나온 배경을 추론하였다. 원측이 예전에 왕손이었으나 후에 6두품으로 편제된 모량부 박씨의 후손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왕손설과 사족설을 모두 받아들였다. 원측의 3세 출가와 15세의 유학은 단석산신선사의 미륵신앙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량부 박씨의 불교적 분위기와 원측의 구법의지가 반영되었다. 신문왕대 원측의 귀국요청이 있었지만 귀국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그의 출신 부인 모량부의 탄압뿐만 아니라 그의 일체성불설과 반대입장에 있었던 오성각별설의 백제 출신의 승려 경흥의 반대를 상정해 보았다. 원측에게 승직을 주지 않았다는 기록은 그의 제자인 도증의 와전이었다. 경흥은 원측과 달리 현장-규기로 이어지는 유식계열이었고 신라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오성각별설을 주장하고 있었다. 경흥은 자기와 반대 입장에 있었던 원측의 귀국을 바라지 않았으며, 뒤에 원측의 제자인 도증이 귀국했을 때도 모량리 익선아간의 사건을 빌미로 도증에게 승직을 제수하지 말것을 요청했을 가능성이 있다. 경흥은 도증 이후 편찬된 『무량수경연의술문찬』에서 규기의 저술을 34회나 인용하였지만 원측의 저술은 한 번도 인용하지 않았다. 경흥은 자신과 반대 입장에 있던 원측의 저술을 의도적으로 배제한 것이다. Discussing abut the social rank of Woncheug(612~695), some said that he came from royal family[王孫] and others said he came from sajog[士族, yukdupum六頭品]. According to Nanghyewhasangbi[朗慧和尙碑], Nanghyewhsang's ancestors had been a jingol[眞骨] at one time but he was demoted from jingol to yukdupum. Terefore, Woncheug's ancestors were originally from the royal lineage but Woncheug's family became sajog rank later on. His family name was Park. He belonged to Moryangbu[牟梁部]. Owing to Moryangbu's Buddhistic tradition and his will he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and went to abroad for study in China. Although King Sinmun(r. 681~692) and King Hyoso(r. 692~702) wanted him to come back, Woncheug didn't return home. In fact he attained an advanced age. Also Monk Gyunghyung[璟興] objeted him. Both monks were on the opposite side. Woncheug insisted that all people could attained Buddhahood but Gyunghyung insisted that all could not.

      • KCI등재

        고려무신 이의민의 역사와 베트남 왕손의 전설

        강은해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9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sonal history and legend surrounding Koryô Period Military Officer Yi Ûimin as it was recorded in the Panyôkyôlchôn [Record of Traitors]. It engages with the contestation of the modern-day Yi family of the city of Chôngsôn in Kangwôn province (Chôngsônissi) who claim to be Yi Ûimin's descendants, and who also insist that Yi was a descendant of Vietnamese royalty. It seeks to reexamine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biographical narrative about this historical character and the creation of the contested story around him. It ultimately illuminates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Chosôn Korea and Vietnam. Yi Ûimin is a problematic historical figure who assassinated the Koryô King Ûichong. He was born to parents of low standing: his father was a salt seller and his mother was a Buddhist nun. Despite his modest roots, Yi Ûimin rose to occupy the highest authoritative position. Eliminated, unsurprisingly, by rival political factions, his legend has survived through the agi changsu-type story. The figure of Yi Ûimin remains at the core of the tuduri (tuduûl) faith (tuduri sinang) originating in Kyôngju, the ancient capital of Silla. The tuduri faith is a Goblin (tokkaebi) faith, and is related to the blacksmith faith (taejang changgi). The Tuduri faith is therefore directly connected to the iron industry developed in Silla, which also provided Yi Ûimin with the economic foundations for his movement toward the political center. Three generations of Yi Ûimin's family were annihilated following his involvement in the King's assassination. An examination of his family line has been difficult, and made possible only through oral stories passed down in the Yi family living in the city of Chôngsôn. The legend regarding his family identity--the fact that he was a descendant of Vietnamese royalty taking political asylum in the capital of Silla--has also been confirm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元 散曲 〔一半兒〕의 창작과 朝鮮에서의 수용 고찰

        김영미 한국중문학회 2023 中國文學硏究 Vol.- No.91

        元 散曲은 口語의 요소가 많고 조선의 한문학의 음조와는 다른 창작 방식 등 언어적 기교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조선에서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그러나 조선 후기 문인인 丁若鏞과 鄭渾性이 元 散曲을 창작하고 필사하면서 散曲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두 문인은 특히 [一半兒] 곡조에 관심을 보이고 창작과 필사를 했다. [一半兒]는 31자의 짧은 곡조로 憶王孫과 동일 곡조이면서도 一半兒□□, 一半兒□이라는 정형화된 형식을 갖는다. 특히 [一半兒] 는 인물의 심리적 갈등을 표출하고 동일 사물의 양면성을 부각시키는 데 적합한 곡패이다. 따라서 元 산곡가들은 半字에 비교적 관심을 보이고 [一半兒] 곡패를 활용하여 41수의 산곡을 창작했다. 조선의 丁若鏞은 [一半兒] 3수를 처음으로 창작하여 봄날의 사물을 경쾌한 기조로 노래했고, 鄭渾性은 張可久와 査德卿의 [一半兒]를 필사했다. 散曲의 창작은 무엇보다도 곡조에 대한 이해 없이는 창작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丁若鏞과 鄭渾性의 [一半兒] 창작과 필사는 元 散曲을 수용하고, 새로운 시가 장르에 대한 창작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