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충청북도 제천시 봉화재 일대의 지질구조

        정진우(Jin-Woo Jung),강지훈(Ji-Hoon Kang) 한국암석학회 2014 암석학회지 Vol.23 No.2

        옥천변성대의 북동 선단부에 위치하는 충청북도 제천시 봉화재 지역은 옥천누층군과 조선누층군이 분포한다. 본 논문은 중첩 변형된 주요 암석 및 미구조의 기하학적ㆍ운동학적 특성과 선후관계로부터 봉화재 지역의 지질구조를 연구하였다. 광역엽리의 대부분은 S0 층리가 아닌 신장된 광물들의 정향배열에 의해 정의되는 S0-1의 복합엽리로 나타나고, 일부는 불용해성 불투명 광물과 벽개 라멜라의 정향배열로 정의되는 S0-1-2 복합엽리로 인지된다. 연구지역의 지질구조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D1 압축작용, 동-서 방향의 D2 압축작용, 남-북 방향의 D3 압축작용 등 적어도 세 번의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다. 조선누층군과 옥천누층군 구성지층의 대상 분포방향과 유사한 S0-1 복합엽리는 D2 변형 이전에 서북서 방향이었으나, D2 변형에 의해 S2 엽리와 평행한 남-북 방향으로 재배열되었고, D3 변형에 의해 현재와 같이 북서, 북동, 남-북 방향으로 재배열되었다.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과 변형작용사는 연구지역의 조선누층군과 옥천누층군이 북북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산지역 동부 영역과 매우 유사하고, 이들 연구결과는 옥천변성대 북동 선단부의 지구조 발달과정을 해석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gcheon and Joseon Supergroups are distributed in the Bonghwajae area, Jecheon-si, Chungcheongbuk-do, Korea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eastern fore-end of the Ogcheon Metamorphic Zone. This paper researched the geological structures based on the geometr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and the forming sequence of the major multi-deformed rock and microstructures. Most of regional foliations are not the S0 bedding but the S0-1 composite foliations defined by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stretching minerals, some are recognized as the S0-1-2 composite foliations by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insoluble opaque minerals and cleavage lamella. The geological structures were formed at least by three phases of deformations i.e. NNE-SSW trending D1, E-W trending D2, N-S trending D3 compressions. The S0-1 composite foliation, which shows a similar zone-distribution trend of the constitution strata of the Ogcheon and Joseon Supergroups, trended WNW before D2 deformation, but it was reoriented into N-S which was parallel to the trend of S2 foliation by D2 deformation, and it was rearranged into NW, NE, N-S trends as it is now by D3 deformati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deformation phase and the deformation history are very similar to those in the eastern domain of Busan area into which the Ogcheon and Joseon Supergroups in this area are extended as NNW trend. It is expected to be very valuable data in interpreting the tectonic evolution of the northeastern fore-end of the Ogcheon Metamorphic Zon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충청북도 보은지방 옥천누층군 지역의 돌너와집

        강영복(Young-Pork K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7 문화 역사 지리 Vol.19 No.2

          본 연구는 옥천누층군에 해당하는 충청북도 보은군 회북면 고석리, 쌍암리, 건천리 일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돌너와집의 특성과 가옥 재료인 점판암에 관하여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돌너와는 지붕을 이을 때 견고하여 밟아도 깨지지 않고 습기가 차지 않으며 해충이나 곰팡이의 피해로부터 자유로워 내구성이 좋다. 현지에서 청석이라 일걷는 집판암으로 지붕을 얹으면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듯하다. 또 물이 잠 빠지고 견고하여 수명이 길다. 고석리 일대에 남아 있는 돌너와집의 지붕재료인 판석은 마을 앞 돌광에서 채취한 점판암이다. 본 조사 지역은 건축업자들의 마케팅으로 지붕개량을 위한 홍보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귀중한 민속자료인 돌너와집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본 연구는 돌너와집의 중요성을 알리고 문화재 보호법에 의거 중요 민속자료로 지정하여 보존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late-roofed houses and Ogcheon supergroup-rocks of metamorphic complex in Boeun County. Slate can be made into roofing slate, also called roofing shingles, installed by a slater. Natural slate can be extracted in the nearby open air quarry locally known as dolkwang. When manufactured in to shingle, the result roofing that was durable through decades of weather exposure. But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slate roofing shingles have been disappered in the region. I argue that the slate-roofed houses should be designated as heritage folk architecture and be preserved under the provis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s soon as possible.

      • KCI우수등재

        옥천대 남서부 지역 저변성퇴적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와 층서적 의미

        최성자(Sung-Ja Choi),김동연(Dong-Yeon Kim),조등룡(Deung-Lyong Cho),김유봉(You Bong Kim) 한국암석학회 2015 암석학회지 Vol.24 No.1

        옥천대 남서부 강진군 성전면에 노출된 저변성이질암에 대해 저어콘 U-Pb 연령측정을 실시하여 퇴적층의 지질시대를 규명하고, 상부고생대의 연장 분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질암층에서 분리한 저어콘의 분석값은 대부분 일치곡선에 도시되며, 주요한 4개의 연령군으로 나뉜다: (1) 시생대(약 ~2.5 Ga), (2) 고원생대후기(~1.86 Ga), (3) 데본기 중기(390 Ma), (4) 전기 석탄기(322Ma). 성전면 이질암층에서 분리한 저어콘에서 가장 젊은 <SUP>206</SUP>Pb/<SUP>238</SUP>U 가중평균연령은 322±4.8 Ma(n=16, MSWD=4.9)이며, 이는 성전면 이질암층의 퇴적시기가 전기 석탄기(Serpukhobian) 내지 그 이후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성전면 이질암층은 삼척탄전의 만항층과 대비되는 상부고생대 평안누층군의 기저층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중기 내지 후기 석탄기 오음리층에 대비할 수 있다. We investigated the zircon U-Pb ages of the metapelites from the Sungjeon-myeon Gangjin-gun, the southwestern Ogcheon belt, to provide geochronological constraints for the depositional age as well as the distribution of Late Paleozoic formation. Data from the detrital zircons are mostly concordant, yielding four major age groups: (1) Neoarchean (~2.5 Ga); (2) Paleoproterozoic (~1.86 Ga, Statherian); (3) Middle Devonian(~390 Ma); and (4) Late Paleozoic (~322 Ma, Serpukhobian). The youngest zircon age gives a weighted mean <SUP>206</SUP>Pb/<SUP>238</SUP>U age of 322±4.8 Ma (n=16, MSWD=4.9), indicating deposition age of Early Carboniferous(Serpukhobian) or after. Therefore, the metapelites is considered to be the lowest Formation of the late Paleozoic Pyeongan Supergroup correlated with the Manhang Formation of the Samcheock coal fields and the Oeumri Formation(the Middle to Late Carboniferous) of the Hwasun coal field.

      • KCI등재

        황강리 광화대 인성 금-은 광상의 광화 유체 진화

        서정훈,조혜정,이동하,유봉철,이현우,이강은,임수빈,황장원 한국광물학회 2018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1 No.4

        The Inseong Au-Ag and base metal deposit, located in Chungchengbuk-do, Korea, consists of series of quartz veins filling fissures. The deposit occurs in Hwanggangri meta-sediment formation, a lime pebble-bearing phyllite, in the Okcheon Supergroup. Abundant ore minerals in the deposit are pyrite, arsenopyrite, sphalerite, chalcopyrite and galena. The gangue minerals are quartz, calcite and chlorite. Hydrothermal alteration such as chlorization, silicitication, sericitization and carbonitization can be observed around the quartz veins. 4 vein stages can be distinguished based on its paragenetic sequence, vein structure, alteration features and ore minerals. Microthermometry of the fluid inclusion assemblages occur in the veins are conducted to reconstruct a hydrothermal P-T evolution. Fluid inclusions in clean and barren quartz vein in stage 1 have Th of 270~342 ℃ and salinity of 1.7~6.4 (NaCl eqiv.) wt%. Euhedral quartz crystal in stage 2 have Th of 108~350 ℃ and salinity of 0.5~7.5 wt%. Barren milky quartz vein in stage 3 have Th of 174~380 ℃ and salinity of 0.8~7.5 wt%. Calcite vein in stage 4 have Th of 103~265 ℃ and salinity of 0.7~6.4 wt%. Calculated paleodepth about 0.5~1.5 km (hydrostatic pressure) indicate epithermal ore-forming condition. Shallow depth but relatively high-T hydrothermal fluids possibly create a steep geothermal gradient, sufficient for base metal precipitation in the Inseong deposit. 인성광상은 옥천누층군의 황강리층 내에 발달한 열극 충진 함 금-은 및 베이스 메탈 석영맥 광 상이다. 광상 생성에 기여한 맥들은 녹니석화, 규화작용, 견운모화 그리고 탄산염화 작용 등 다양한 변질양상 및 광석 광물에 따라 네 시기로 구분된다. 첫 번째 시기(stage 1)에는 자형의 황철석 및 유비 철석과 함께 투명하고 경제적 광석이 나타나지 않는(barren) 석영맥이 나타난다. 두 번째 시기(stage 2) 에는 자형 석영 결정의 석영맥이 형성되며, 유비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황철석 및 방연석이 나타난 다. 세 번째 시기(stage 3)에는 유백색 석영맥과 소량의 섬아연석이 나타난다. 네 번째 시기(stage 4)에 는 자형의 석영 결정을 포획한 방해석맥이 나타나며, 모암 내 탄산염 변질과 함께 소량의 유비철석, 황철석, 방연석, 섬아연석 및 황동석이 산출된다. 각 시기별 유체 포유물은 주로 염 결정이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밀도의 수용액 유체 포유물이 대부분이다. 각 시기의 균질화 온도(Th: ℃)와 염 농도 (NaCl equivalent wt%)는 다음과 같다; 시기 1 (270~342 ℃ 그리고 1.7~6.4 wt%), 시기 2 (108~351 ℃ 그리고 0.5~7.5 wt%), 시기 3 (174~380 ℃ 그리고 0.8~7.5 wt%) 그리고 시기 4 (103~265 ℃ 그 리고 0.7~6.4 wt%). 넓은 범위의 균질화 온도와 염농도는 광화 유체가 천수의 혼입에 의한 냉각과 희 석이 있었을 가능성을 지시한다. 0.5~1.5 km의 인성광상의 계산된 고심도는 천열수 환경을 지시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금산 함우라늄광상 분포지역의 항공자력/방사능 탐사자료 해석

        신은주 ( Eun Ju Shin ),고광범 ( Kwang Beom Ko ),안동국 ( Dong Kuk An ),한경수 ( Kyeong Soo Han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3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6 No.1

        금산지역의 흑색셰일형 우라늄광상에 대하여 항공 자력 및 방사능 탐사를 수행하였다. 각 자료의 암상분석과 선구조 분석에 의한 전반적인 지질 및 구조지질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기반한 우라늄 광화대의 특성화를 시도하였다. 자극화변환과 하향연속 이상도에서 우라늄광상을 배태하고 있는 흑색 및 암회색 점판암대의 뚜렷한 양의 이상을 인지함으로써 자력탐사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이차미분 및 곡률을 이용한 선구조 분석을 통해 회색 혼펠스대와 흑색 점판암대를 대표하는 선구조를 도출하고 우라늄 광화대의 추가 부존 가능영역을 추정하였다. 이에 대한 우라늄광 배태여부는 방사능 총이상 및 우라늄 이상도에서 최종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열변성기원의 우라늄광화대는 국부적인 반면, 흑색셰일형 광화대는 조사지역 전체에 북동-남서방향으로 연속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라늄 광화대는 방사능 총이상의 선구조 분석을 통해 단층과 교차하는 곳은 단절되는 전형적인 구조지질적 특징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항공 자력 및 방사능 탐사는 상호 보완적이며 따라서 병행 수행하는 것이 자료분석 및 해석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We conducted the airborne magnetic and radiometric survey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black shale related and pyrometamorphic uranium deposits distributed in Geumsan area. For the successful characterization of the uranium deposits, the general geological and structural geological featur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lithological and linear feature analysis to individual magnetic and radiometric data as the first step. Lithological analysis from the magnetic reduction to the pole and downward continuation map revealed that prominent positive anomalies caused by black and dark gray slate member were clearly recognized as magnetic sourc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gnetic survey, even though it is not a direct method for the detection of uranium, can be a useful tool in uranium detection. By the linear feature analysis based on 2nd vertical derivative and curvature map, two linearments corresponded the gray hornfels and black slate member were extracted and in succession, the additional uranium potential zone was inferred. Final discrimination whether uranium-rich or not was confirmed by radiometric and uranium anomaly map. From these analysis, we finally concluded that uranium deposit originated by pyrometamorphic process was confined near the intrusive area only.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black shale related uranium deposit is distributed and extended through out the entire survey area with south-west to north-east direction. In addition, from the linear feature analysis based on radiometric total anomaly map, the typical discontinuous characteristics were recognized in areas where uranium-contained linearments cross the faults. From the above discussion, we concluded that airborne magnetic and radiometric survey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So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simultaneously for the efficient data processing and fruitful interpretatio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