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앙카라 전투와 아나돌루 지역의 변화

        이영희(Lee, Young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9 역사문화연구 Vol.70 No.-

        오스만조(Ottoman Empire)는 아나돌루 북서부 해안지역에서 오스만 가지(Osman Gazi: 1281-1326)에 의해서 건국되었다. 이후 오르한 가지(Orhan Gazi:1326-1360)에 들어서 슐레이만 파샤(Süleyman Paşa)가 루멜리(Rumeli) 지역으로 확장하면서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오스만조가 루멜리로 진출하자 유럽의 여러 나라들은 십자군을 결성하여 대항한다. 무라드 1세(MuradⅠ:1360-1389)는 1389년 유럽의 십자군을 코소보전투(Battle of Kosovo)에서 승리하면서 유럽의 위협을 제거하게 된다. 코소보 전투에서 무라드 1세가 사망하고 바예지드 1세(BayezidⅠ:1389-1402)는 오스만조의 술탄에 즉위하게 된다. 바예지드의 별칭인 ‘Yıldırım’에서 알 수 있듯이 저돌적인 정복전쟁으로 오스만조의 영토를 확장시키게 된다. 오스만조는 점령지를 통치할 때 원격지배 구조를 취하였다. 점령지 지도자들의 권한을 인정하는 대신 세금을 원하였고, 군사원 정시 군대와 군비를 조달하게 하였다. 하지만 바예지드는 점령지를 직접통치 형태로 변화 시킨다. 그는 정복지를 점령하면 지도자들의 지배권을 철저히 배제하고, 정복지를 자신의 가신들과 아들들에게 나누어주었다. 그리고 자신의 이름으 로 후트베(Hutbe)를 낭독하게 하였고, 동전을 주조하게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오스만조가 아나돌루 투르크 연맹체의 맹주가 아닌 제국의 지도자로서 변화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중앙집권적 정치구조의 변화는 아나돌루 공국들(Anadolu beylikleri)의 지도자들의 반발을 가져왔고, 그들은 오스만의 지배에 저항하거나 도주하였다. 바예지드 시기 영토가 확장되었으며, 동부 아나돌루 지역을 두고 티무르(Timur)의 티무르조와 대립하게 된다. 동부 아나돌루 지역의 에라트나 공국(Eratna Beylikleri)이 붕괴하면서 발생한 혼란은 두 제국의 지도자의 관심을 끌게 하였다. 바예지드는 시바스(Sivas)를 장악하였고, 티무르 역시 동부 아나돌루 지역으로 진출하게 된다. 두 지도자는 서로에게 서신을 보내 비난하며, 쟁을 책임을 서로에게 물었다. 바예지드는 티무르를 ‘늙은 개’, 불신자, 이교도로 비난하였고, 티무르 역시 바예지드를 불신자, 이교도, 비열한 지도자로 비난하였다. 두 지도자는 1402년 앙카라 전투를 벌이게 된다. 바예지드는 티무르와 전투를 벌였고, 바예지드가 패배하게 된다. 패배의 결정적인 원인은 아나돌루에서 징집된 병사들이 전쟁을 이탈하였기 때문이다. 아나돌루 병사들은 자신의 지도자의 깃발이 티무르 군영에서 발견하게 되자 티무르에게 투항하여 전장을 이탈하였다. 이 때문에 오스만조의 군대는 와해되었고 오스만조는 전쟁에 패배하게 된다. 바예지드는 티무르의 포로가 되었고, 티무르는 전투에서 승리하여 아나돌루에 오스만조의 지배력을 붕괴 시킨다. 티무르는 아나돌루 공국들을 부활시켰다. 카라만공국(Karamanoğulları), 멘테셰공국(Menteşeoğulları), 게르미얀공국(Germiyanoğulları), 하미드공국(Hamidoğulları), 사루한공국(Saruhanoğulları) 이 재건된다. 공후들은 티 무르의 지배권을 인정하고 예단과 예물을 헌상하였다. 티무르는 여러 나라에 사절을 파견하였고, 티무르의 승리를 축하하는 여러 나라들의 사절들이 군영으로 몰려왔다. 바예지드의 아들들도 티무르에게 헌상하며 그의 질서를 받아들이게 된 다. 티무르는 아나돌루를 횡단하며 자신의 지배질서를 세우고 사마르칸트로 귀환한다. 앙카라 전투는 단순히 오스만조와 티무르조가 동부 아나돌루 지역의 패권을 두고 벌인 전투이다. 하지만 전투의 결과는 세계사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다. 오스만조는 앙카라 전투에 패하면서 바예지드가 포로가 되었다. 이 때문에 술탄자리를 두고 바예지드 아들들이 10년간의 내전을 벌이게 된다. 내전은 메흐메드 1세의해 종식되었다. 그리고 무라드 2세가 즉위하는 1421년 이후에야 아나돌루 공국들을 제압하고, 제국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비잔틴 제국의 수명이 연장되었다. 바예지드는 제위기간동안 여러 차례 콘스탄티노플 공성전을 벌였다. 하지만 앙카라 전투로 오스만조가 쇠퇴하고, 내전을 벌이게 된다. 이 때문 에 반사 이익으로 비잔틴 제국의 수명이 연장된다. 비잔틴 제국은 메흐메드 2세가 즉위한 이후 1453년 멸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앙카라 전투는 오스만조가 세계 제국으로 성장하기 위한 성장통이라고 볼 수 있다. The Ottoman Empire was founded by Osman Gazi (1281-1326) in the northwestern coast of Anatolia. After that, Orhan Gazi (1326-1360), Süleyman Pasha expanded to the Rumeli area and set the stage for development. When the Ottomans entered the Rumelia, countries in Europe formed a crusade against them. Murad I(1360-1389) eliminated the European threat by winning the European Crusade in 1389 in the Battle of Kosovo. In the Battle of Kosovo, Murat I died and Bayezid I (1389-1402) was crowned the Ottoman sultan. As evidenced by the nickname of Yıldırım , he has extended the territory of the Ottoman Empire to a devastating conquest war. The Ottomans took remote governance when ruling the occupied territories. Instead of acknowledging the powers of the occupied territories, they wanted to pay taxes, and in the case of military expeditions, they had to raise armies and armaments. However, Bayezid transforms the occupied territories into direct rulership. When he conquered the conquest territories he completely excluded the rulership of the leaders and distributed the conquest territories to his traitors and sons. Then, in his own name, he read Hutbe and forced to cast coins. This change shows that Bayezid attempted to change as a leader of an empire, not an ally of the Anatolia Alliance. This change in the centralized political structure led to opposition from the leaders of the Anatolian beylikleri, who resisted or escaped the domination of the Ottomans. The territory of the Bayezid time was expanded and confronted Timur Empire of Timur with the eastern Anatolia area. The disruption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Eratnaogulları in the eastern Anatolia region was enough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leaders of he two empires. Bayezid took possession of Sivas, and Timur also entered eastern Anatolia region. The two leaders sent letters to each other, blamed each other, and asked each other to blame for the war. Bayezid denounced Timur as an old dog , an unbeliever, and a pagan, and Timur also condemned Bayezid as an unbeliever, pagan, and a mean leader. The two leaders will battle Ankara in 1402. Bayezid had a battle against Timur, and Bayezid was defeated. The decisive cause of the defeat is that the soldiers, who were conscripted in Anatolia, left the battlefield. When the Anatolia soldiers discovered the flag of their former leader in the Timur Empire military, they flew to Timur and left the battlefield. Because of this, the Ottoman army was destroyed and the Ottoman army was defeated in the war. Bayezid became the captive of Timur, and Timur wins the battle and disintegrates Ottoman rule over Anatolian. Timur resurrected the principalities of Anatolian. The Karamanoğulları, Menteşeoğulları, Germiyanoğulları, Hamidoğulları and Saruhanoğulları are rebuilt. Gentiles acknowledged Timur s rule and presented preliminary favors and presentations. Timur dispatched ambassadors to various countries, and the ambassadors of various countries celebrating the victory of Timur came to the military. The sons of Bayezid also confer to Timur and accept his order. Timur crosses the Anatolia, establishes his dominance and returns to Samarkand. The Battle of Ankara is merely a battle between Ottoman and imur Empire over the hegemony of eastern Anatolia. However, the result of the battle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world history. The Ottoman Empire defeated the Ankara battle, and Baghdad was captured. For this reason, the Bayezid sons will have 10 years of civil war in the Sultan s seat. The civil war was ended by Mehmed I. And after 1421, when Murad II is crowned, he will be able to overthrow the main powers of the Anatolian Empire and grow into an empire. And the life of the Byzantine Empire was extended. During his presidency, he carried out several sieges of Constantinople. However, in the battle of Ankara, Ottoman Joe declines and civil war will take place. Because of this, t

      • KCI등재

        오스만제국 셀림 1세(Selim I)의 사파비제국 원정

        이영희(Younghee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4 역사문화연구 Vol.90 No.-

        바예지드 2세 통치 말기 오스만제국은 내우외환을 위기를 겪는다. 장성한 아들들은 통치자 계승분쟁을 벌였고, 동부 아나돌루 지역에서 성장한 사파비제국은 오스만제국에 거주하는 크즐바쉬를 선동하여 반란을 획책하였다. 셀림 1세 시기는 오스만제국의 혼란을 수습하고 새로운 통치자가 등극하였고 제국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사파비제국 원정, 동방원정을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셀림 1세가 사파비제국과의 전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시행된 여러 정책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국경을 봉쇄하여 사파비제국과의 왕래를 차단하면서 경제적 타격을 주고자 하였고 외교적으로 사파비제국을 고립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오스만제국에 거주하는 사파비교단, 크즐바쉬를 이주시켰다. 또한 셀림 1세는 페트바를 통해 사파비제국과의 전쟁을 성전으로 미화하고 전쟁의 명분을 얻는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셀림 1세는 사파비제국 원정, 동방 원정을 떠나게 된다. 1514년 5월 시작된 오스만제국의 군사 원정은 늘어진 보급선, 오랜 행군으로 많은 위기를 맞이하였다. 오스만제국 관료들은 셀림 1세에게 회군을 요청하였고, 예니체리는 셀림 1세의 천막에 총탄을 쏘는 등 오스만제국은 위기에 봉착한다. 하지만 셀림 1세는 뛰어난 지도력으로 이를 극복하고 찰드란 전투에서 사파비제국을 패퇴시키고 승리하였다. 오스만제국은 사파비제국의 수도 테브리즈를 점령하였고 회군하면서 주변 여러 공국을 점령하여 동부 아나돌루 지역을 제패하였다. 찰드란 전투를 계기로 현대 중동의 종교 지형이 형성되었다. 오스만제국의 영역을 중심으로 수니 문화권이 형성되었고, 사파비제국의 영역을 중심으로 시아 문화권이 형성되었다. The Ottoman Empire underwent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during the last years of Bayezid II's rule. His sons who came to age engaged in succession disputes, and the Safavid Dynasty that grew in the Anadolu region in the east plotted a revolt by instigating the Kizilbash living in the Ottoman Empire. Ascending the throne as a new ruler, Selim I sorted out the mess in the empire and planned an expedition to the Safavid Dynasty and the East to stabilize the empire. This study examined various policies implemented in the process of Selim I's preparation for a war with the Safavid Dynasty. He blocked any traffic to and from the Safavid Dynasty by closing the border to hit an economic blow to the dynasty and tried to isolate the dynasty diplomatically. He ordered the Safavid order and the Kizilbash living in the empire to move. In addition, he glamorized the planned war with the Safavid Dynasty as a holy war through fatwa and got a justification for the war. Based on these efforts, Selim I went off on an expedition to the Safavid Dynasty and the East. This military expedition of the Ottoman Empire began in May 1514 and faced many crises due to the extended supply ship line and long marches. The bureaucrats of the Ottoman Empire asked Selim I to withdraw, and the Yeniceri fired at his tent. These events drove the Ottoman Empire to a crisis, but Selim I overcame them with his remarkable leadership and won a victory at the Battle of Chaldiran by defeating the Safavid Dynasty. The Ottoman Empire occupied Tabriz, the capital of the Safavid, and many dukedoms nearby on its withdrawal route, thus dominating the Anadolu region in the east. The modern religious topography of the Middle East was formed after the Battle of Chaldiran. The Sunni cultural zone was established around the terri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the Shia cultural zone was around the territory of the Safavid Dynasty. This shows that the outcomes of the important Battle of Chaldiran have impacts even in modern days.

      • KCI등재

        비잔티움 제국의 몰락과 지중해 향신료 무역

        남종국(Nam, Jong-Kuk)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8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8

        1453년 5월 29일 오스만 제국 군대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면서 비잔티움 제국은 영원히 역사에서 사라졌다. 천년 이상 존속했던 로마 제국이 멸망한 것이다.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소식은 유럽 기독교 세계를 충격에 몰아넣었다. 당시 라틴 인들이 비잔티움 제국의 몰락을 엄청난 재앙으로 생각한 것처럼, 후대의 일부 역사가들도 이 사건이 지중해 교역에 엄청난 타격을 주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오스만 영토가 된 지역에서 라틴 인들의 상업 활동이 줄어들었거나 중단되었다. 프랑스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미국 대학생용 세계사 교재들은 오스만 제국의 정복이 새로운 항로 개척의 원인이었다고 이야기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비잔티움 제국을 정복한 오스만 제국이 동방의 향신료가 유럽으로 들어오는 교역로를 차단하였고 그로 인해 향신료 수입이 줄자 향신료 가격이 상승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유럽으로의 향신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자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오스만 제국을 경유하지 않고 향신료 생산지로 직접 가는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해석이 틀렸음을 세 가지 근거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첫 번째 근거는 멸망 직전의 비잔티움 제국이 인도로부터 서유럽으로 수입되는 향신료의 주요 교통로 상에 위치해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중세 말 유럽 상인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아니라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와 시리아의 베이루트 시장에서 대부분의 아시아산 향신료를 구입했기 때문이다. 둘째 근거는 15세기 후반 향신료 가격이 상승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알렉산드리아, 시리아, 베네치아, 프랑스와 영국 시장에서 향신료 가격은 상승하지 않았다. 셋째 근거는 오스만 제국이 비잔티움 제국을 정복하고 기존의 향신료 교역로를 폐쇄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오히려 술탄 메흐메트 2세는 정복을 마무리하자 서유럽과의 교역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노력했고 신속한 조치를 단행했다. The news of the fall of the Byzantine Empire by the army of the Turks had given a great shock to Europeans. Latin Christians viewed the fall of Constantinople as a tragic disaster. The conquest of the Byzantine Empire by the Turks has lead to other economic changes in the Mediterranean world. French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explain that the fall of the Byzantine Empire by the Turks wa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Portugal and Spain discovering an alternative route to the land of spices in Asia. According to them, after having conquered the Byzantine Empire, the Ottoman Empire came to obstruct spices, silk, and gold from Asia from being imported to Europe, and therefore European countries tried to discover new routes to Asia to get Asian goods. This interpretation has been still generally accepted. It presents the rise of the price of spices, caused by the decrease of the supplies of spices in Europe, as evidence. This article aims to rectify this interpretation by counting on specific historical sources and data. Firstly, the Byzantine Empire was not located on the main routes of spices coming from Asia to Europe. The two Levantine ports of Alexandria and Beyrouth had been principal places for European merchants to make their purchases of spices for several centuries since Antiquity. Merchants of Venice also, who had a quasi monopoly of spice trades in the Mediterranean in the later Middle Ages, had purchased their spices mostly in Alexandria of Egypt and Beyrouth of Syria. Secondly, several historians’ works proved that spice prices did not rise in the second half of the fifteenth century. Many historical documents also show that spice prices decreased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century. Lastly, Mehmed, the conqueror of Constantinople, never wanted to interrupt trade with European merchants. As soon as he had accomplished the conquest of Constantinople, he started conducting commercial negotiations with the Genoese and Latin nations.

      • KCI등재

        헝가리의 오스만 문화 수용과 문화적 메타모포시스

        김지영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3

        Few European countries did not have any relationship with the Ottoman Empire. Yet, few had such deep ties with it as Hungary. Defeat at the Battle of Mohács in 1526 was followed by the occupation of Budapest in 1541, which presaged 150 years of Ottoman rule over Hungary. The country was cut up into three parts, with the center ruled directly by the Ottomans, and the capital coming under strong influence from them as well. As a result, Ottoman influences began to emerge in Hungarian culture, and can still be seen to this day. Hungarian scholars do not speak much of Turkish ‘heritage’ in their country’s culture, but they do note the decisive influence of the Turkish ‘legacy’ in the formation of the Hungarian way of thinking. It would be no exaggeration to say that Hungarian politics and culture were transformed by Ottoman rule, and that Hungarian scholars think that Hungary’s sense of pride in its culture was destroyed by it. Without exception, the way that Hungarians commonly describe themselves as “a nation who overcame great disaster in solitude”, the oft-mentioned “nostalgia for the glorious past”, and the way Hungarians consider themselves to have played “the role of the sacrificed” and being “chosen”, i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Ottoman rule – so far as Hungarian scholars are concerned. Many of these scholars also often believe that it was from this period that Hungarians began to feel alienated from other national groups. This article considers what remains of Ottoman culture influences in Hungarian culture, the legacies of Ottoman rule, and what Hungarians think about these legacies. 헝가리는 유럽의 국가들 중 역사적으로 오스만 제국과 관계가 깊은 나라중의 하나 이다. 1526년 헝가리 남부의 모하치에서 오스만 군대에게 패배한 후 17세기 말까지 약 150여 년간의 오스만 제국의 통치는 중세이후 근대로 이행하는 헝가리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헝가리는 1686년까지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하는 서부지역,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는 중부와 남부지역, 헝가리 지배자가 통치하는 동부지역으로 국토가 셋으로 나뉘어졌다. 이 시기 오스만 제국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았던 지역과 헝가리 왕의 통치지역에는 오스만 문화의 흔적이 상당히 남아있다. 이 흔적들은 단지 건축, 의상 등 외적으로 들어나는 문화의 영역에서 뿐만이 아니라, 언어, 관습, 사고방식 등 무형의 문화 속에서도 발견된다. 특히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대한 경험은 그 후 오랫동안 헝가리인의 의식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약 150년간에 걸친 오스만 제국의 통치는 9세기말 유럽에 정착하여 유럽인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던 헝가리 인에게 큰 충격이었으며, 헝가리인의 일상의 모습의 변화시킨 중대한 사건이었다. 헝가리 지식인들은 헝가리인들이 갖는 소외감의 근본 원인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로부터 기인한다는 생각하기도 하였다. 물론 19세기 중엽부터 민족주의적 시각에서 오스만 제국과의 역사적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헝가리의 ‘동양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시기와 오스만 제국의 문화에 대해 현대 헝가리인의 인식은 긍정과 부정이 양가적으로 교차한다. 오스만 제국 시대는 부정적으로 묘사되지만, 역사적 사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현대 터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 KCI등재

        오스만제국의 루멜리(Rumeli) 일대 장악과 그 역사적 의미

        이영희 전북사학회 2021 전북사학 Vol.- No.61

        루멜리 지역은 오스만제국의 역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오스 만제국은 아나돌루 북서부 해안지역에서 시작되어 이후 점차 비잔틴제국의 영토를 잠식해 나갔다. 오르한 가지(Orhan Gazi) 시기에는 슐레이만 파샤 (Süleyman Paşa)의 주도 아래 겔리볼루 반도에 진출하면서 루멜리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게 된다. 그리고 루멜리 지역의 중심 도시 에디르네(Edirne)를 정복하고 수도로 삼았다. 오스만제국이 루멜리 지역으로 진출하자 위협을 느낀 유럽의 여러 나라는 십자군을 결성하여 대항하였다. 무라드 1세 시기에 있었던 1차 코소바 전투 와 무라드 2세 시기에 있었던 2차 코소바 전투가 그것이다. 1, 2차 코소바 전 투에서 유럽의 십자군은 수적 우위에도 불구하고 오스만제국에 패배하였다. 그 결과 루멜리 지역의 여러 나라는 오스만제국의 진출을 저지하지 못하고 그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후 오스만제국은 루멜리 지역의 경제적, 군사적 이 점을 활용하여 아나돌루의 다른 공국들보다 빠르게 성장해 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s of the Rumeli region in the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For this purpose, the study first traced the process of the Ottoman Empire moving into the Rumeli region. The empire made a start in the northwestern coast of Anadolu and encroached on the territory of Byzantine Empire. Marching into the Gallipoli Peninsula under the leadership of Süleyman Paşa during the period of Orhan Gazi, it expanded its force to the Rumeli region. Finally, it conquered Edirne, the central city of the Rumeli region, and made it its capital. As the Ottoman Empire moved into the Rumeli region, many countries in Europe were threatened by the move and engaged in battles after forming crusaders including the first Battle of Kosovo during the reign of Murad I and the second Battle of Kosovo during the reign of Murad II. The European crusaders were, however, defeated by the Ottoman Empire despite their numerical advantage in the first and second Battle of Kosovo. In the end, many countries in the Rumeli region ended up under the rule of the Ottoman Empire, failing to resist its advance into the region effectively. the Ottoman Empire was able to make faster growth than other dukedoms in Anadolu by taking advantage of the economic and military benefits of the Rumeli region.

      • 발칸유럽의 개념과 문화적, 역사적 특징 : 오스만화를 중심으로

        권혁재(Kwon, Hyok-Jae)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11 동유럽발칸학 Vol.13 No.2

        발칸유럽이라는 개념은 지형적인 개념이라기보다는 오스만 제국의 유럽 또는 오스만화된 유럽이라는 정치적 의미를 가진다. 종교적, 민족적, 언어적으로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현재의 보이보디나 지역을 제외한 세르비아, 보스니아, 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 루마니아, 알바니아, 불가리아, 터키의 유럽부분, 그리스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하나의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은 500년간의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통해 남겨진 이 지역만의 공통성에 기인한다. 오스만 제국의 유럽확장에 종교적인 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잘못된 고정관념이 있으나, 실질적인 지배과정을 분석해 보면 종교보다는 정치적, 경제적 요인이 훨씬 지배적이다. 오스만 제국은 지배지역 통치에 있어 종교적 자유뿐만 아니라 해당지역의 문화적, 사회적 관습을 존중하였고 지역문화와의 융합을 통한 발칸지역의 오스만화를 추구하였다. 발칸지역의 대규모 종교개혁 역시 외부의 강압에 의한 개종이 아닌 내부적인 요인에 의한 개종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후 제국의 약화로 인해 자신들의 미래와 비전에 대한 불확실성에서 시작되는 탈오스만화는 지역주의를 넘어 민족주의로 발전하게 되고 이는 오늘날까지도 이 지역의 민족갈등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500년간의 발칸 지역 오스만화의 결과는 오늘날까지 발칸유럽만의 특성으로 발칸의 무슬림 지역뿐만 아니라 전체 남동부유럽 국가에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발칸지역의 오스만화와 탈오스만화의 과정과 특징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The Balkans is a geopolitical and cultural region of southeastern Europe. The peninsula has a combined area of 550,000 km2 (212,000 sq mi) and a population of over 50 million people. The region takes its name from the Balkan Mountains, which are uplifting from the eastern end of Bulgaria to the Bulgarian-Serbian border westwards. "Balkan" in Turkish means "a chain of wooded mountains". The concept of the Balkans or the Balkan Europe is political significance than geographic meaning. The Southeast European countries, that show religious, ethnic and linguistic diversity, characterized by Balkan Europe is the result of the Ottoman's occupation into the Balkans. The enlargement of The Ottoman Empire of Muslim is thought generally that a religious grounds account for a great part, but it is considered as political, economical factors by analyzing the domination de factor. The Ottoman Empire respected a religious freedom besides sociocultural customs and pursued the ottomanization through amalgamation with these regional constituent. An extensive reformation in Balkan is appraised to conversion as domestic sources not outside pressure. Main feature of the Ottomanization in Balkan, which has been progressed before the deterioration of the Ottoman began, is the institutional integration of local forms of domination and legal forms and was an active reform. Under the umbrella of the Ottoman Empire muslim elite group in Balkan designed for the future and vision of Balkan. The entottomanization in Balkans started because of their uncertainty to the vision in a decline of the empire has evolved as nationalism over the regionalism and it remains today as a key element of fierce nationalism and ethnic disputes in the Balkan region. Today, the assessment of The Southeast European nations, that properly belonged to the Balkan Europe, to The Ottoman Empire is a negative. But, the result of Ottomanization in the Balkan for 500 years is observed as their own peculiarities with distinction from other Europe nations. The Ottoman culture of the Balkan, which tried to blend with the European culture is in existence as community that the Balkan Europe owned in many different fields across religion, ethnic, and borders even today.

      • KCI등재

        순례의 정치- 17세기 오스만제국의 통치 전략-

        김영화 ( Kim Young Hwa ) 한국서양사학회 2016 西洋史論 Vol.0 No.130

        이 글의 목적은 오스만제국이 이슬람의 순례라는 전통을 어떻게 전략적으로 사용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순례는 이슬람의 가장 오래된 전통이자 무슬림의 다섯 가지 의무 중 하나로 일견 변치 않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사실은시대와 정권을 거치며 변모해 왔고, 무엇보다 이슬람 문화의 보다 다양한 정치·경제·문화적 차원을 보여줌과 동시에 그것을 이용하는 다양한 전략들을 그 속에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오스만제국이 1517년 메카, 메디나, 예루살렘에 대한 지배권을 얻은뒤 대대적인 순례 정책을 추진하게 된 배경과 그 구체적인 형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오스만제국은 맘룩 술탄국의 정복과 사파비조와의 국경 분쟁,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경향이라는 안팎의 변화와 문제들에 직면하여 제국 내의 다양한 집단들과의 괴리감을 해소하고 그들과 상생의 길을 모색하였으니, 그것이 바로 순례 정책을 통한 파트너십의 구축이었으며, 이는 17세기 이후 오스만제국이 정복국가에서 관료제 국가로 변모하여 발전하는 데에도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요컨대 오스만제국의 순례는 이스탄불의 엘리트 지배층이 제국 내에 존재했던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그러한 문화 집단을 이끄는 지역 엘리트들의 위신과 권리를 보장해주는 방식으로 그들을 포섭하여 제국의 지지자가 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이자 전략이었다. 17세기 이후 뚜렷해진 수니파 이슬람의 수호자로서의 오스만제국의 이미지와 순례를 비롯한 종교적 전통들의 강화는 그간 이 시기의 오스만제국을 평가하는 데주로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오스만정부는 정치적 언어로서 이슬람의 대의를 환기시키고 아랍 지역의 수니파 무슬림 유력자들과의 협력 과계를구축하고자 노력하는 한편, 그리스도교도들에게도 종교적 정체성을 인정해 줌으로써 그들과 중앙과의 안정적인 연계가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결국 이러한 과정속에서 우리는 한 세속 국가가 순례를 통하여 수많은 다양성을 문화적으로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었는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Ottoman Empire strategically used the Hajj, the annual Islamic pilgrimage to Mecca. The Hajj is one of the five pillars of Islam and a mandatory duty for muslims. As a religious duty and tradition, it seems at first glance to be unchangeable. On the contrary, it has undergone continuous change over centuries, and represents the various aspects of and governmental strategies in the Islamic culture. In this article, I look deeper into the background and forms of the major pilgrimage projected and implemented by the Ottoman Empire after gaining control over Mecca, Medina and Jerusalem in 1517. Faced with domestic and foreign problems such as the conquest of the Mamluk sultanate, the border disputes with the Safavids and long-term inflation trends, the Ottoman Empire promoted a ``partnership of pilgrimage`` to bridge the cultural gap between the Arab muslims and the Christians, as well as the ruling elites in Istanbul. In other words, the Ottoman Empire``s Hajj policy was a strategic process through which the ruling elites sought to recognize the diversity of religious and cultural identities and the prestige and rights of the local elites in the empire``s vast dominions, thereby subsuming these groups under a more inclusive control. In short, by establishing partnerships in a strategic manner between various groups including the central and local elites, the Ottoman Empire could transform from a ghazi state into an effective bureaucratic empire by the seventeenth century. The Hajj, therefore, is a mirror through which we can see how the Ottoman Empire as a secular state was able to harmonize its own different cultural diversities.

      • KCI등재

        에블리야 첼레비의 『여행기』에 투영된 17세기 한 ‘오스만르’의 세계관

        김영화 부산경남사학회 2022 역사와 경계 Vol.122 No.-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nature of the worldview of the so-called 'Osmanlı' through the 17th century traveler Evliya Çelebi's Book of Travels. As a travel writer born in Istanbul, Evliya Çelebi travelled throughout the Ottoman Empire for over 40 years and wrote a ten-volume travel account, Seyahatname. It was composed of administrative and geographical informations that the writer directly observed and collected, customs, legends, and autobiographical stories of the writer himself, as well as anecdotes he experienced during the trip.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fe and biographical contents of Evliya Çelebi through his work and furthermore tries to define the identity of the group to which he belongs. This is an attempt to deal with the self-portraits and perceptions of others who led the Ottoman society in the 17th century through supposing Evliya Çelebi as a representative of Istanbul's elite group called 'Osmanlı'. Evliya Çelebi recognized himself as an elite of the Ottoman Empire and wrote Seyahatname as a monument to the Empire. The fact that this work shows his identity as a 'Servant of Istanbul' is revealed in the fact that he devoted the first volume of his work to describing aspects of his hometown Istanbul, unlike other travelogues. In particular, this paper deals with his perceptions of Christians and Shiites, assuming that the first volume acts as a reference in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some others in the Ottoman world in the rest of the work. In the world of Seyahatname, these others existed at different distances and dimensions depending on their relationship with Istanbul. Evliya Çelebi’s descriptions of these people show his insight and perspective on the Ottoman world at the time in terms of emphasizing the role and importance of each of them as partners in imperial rule. It is also important in that it also reveals the identity and worldview shared by the Ottoman elite in the 17th century. 본 연구는 17세기 여행가 에블리야 첼레비(Evliya Çelebi)의 『여행기』(Seyahatname)가 이스탄불을 중심으로 면밀하게 구성된 ‘오스만 세계’인 것으로 상정하고, 작품에 투영된 작가의 이른바 ‘오스만르’(Osmanlı)로서의 세계관이 지닌 성격을 밝히고자 한다. 오스만르는 오스만 왕조의 일원과 그에 헌신하는 술탄의 종복을 특히 이르는 말이었다. 이들은 당대 여타 국가의 엘리트와는 달리 개종과 궁정 학교에서의 교육을 거쳐 엘리트로 거듭난 이들이었기에 왕조와 술탄에 대한 남다른 충성심을 지니고 오스만제국을 이끌었다. 궁정 학교에서의 경험을 통해 스스로 오스만르로 인식했던 에블리야는 자신의 인생과 여행을 오스만르의 그것으로 조직화함으로써 자신만의 방식으로 제국에 바치는 기념비를 만들어냈다. 『여행기』에 투영된 오스만르의 세계관은 이스탄불을 하나의 창으로 삼아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이었다. 이것의 근저를 이루었던 제국에 대한 오스만르의 자부심은 그것이 역사상 존재한 적 없었던 새로운 오스만 문명을 만들어낸 주체라는 인식으로부터 비롯된 것이었는데, 종교적 정체성을 넘어 술탄의 세계를 위해 헌신하는 모든 이들이 상생의 대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바로 이들이 가진 세계관의 핵심이었다.

      • KCI등재후보

        16-17세기 오스만 황실 여성의 사회적 위상과 공적 역할 - 오스만 황태후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은정 ( Lee Eunjung ) 한국여성사학회 2012 여성과 역사 Vol.- No.16

        본고는 엄격한 성별 역할과 남녀 격리 제도가 강제되었던 가부장적인 이슬람사회 구조 속에서도 오스만 황실 여성들이 수행했던 공적 역할과 그것이 가능했던 배경을 역사적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자 기획되었다. 오스만 황실하렘은 그간 많은 이들의 호기심의 대상으로 주목받아 왔지만 놀랍게도 그들에 대한 진지한 연구 성과물들은 그 양이 얼마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도 오해와 왜곡으로 점철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오스만 황실여성들에 관한 역사적인 평가이다. 남성 중심적인 역사 해석에 사로잡힌 많은 오스만사학자들은 철저한 격리 제도로 인해 황실 여성들은 공적 역할을 수행할 수 없었으며 혹여나 그러한 활약이 있었을지라도 그것은 모두 불법적인 일탈 행위였고 심지어 정도에 벗어난 황실 여성들의 공적 활동은 제국 쇠퇴의 주요 요인이었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엄격한 규율과 서열이 존재하는 여성들의 공동체이자 의전 원칙에 따라 모든 행동양식이 결정되는 국가 조직의 일부였던 황실하렘에서 황실 여성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적 영역에 참여해 왔고 황실 가문의 일원으로서 권력을 행사해 왔다. 특히 황실하렘의 수장이었던 황태후의 역할이 독보적이었다. 황태후는 어머니로서 언제나 술탄의 곁에서 정치적 조언을 아끼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황실의 최고 `어른`으로서 황실 내의 문제는 물론이고 심지어는 국정에도 관여했다. 또한 오스만제국의 대표로서 외교관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막강한 경제력과 권위를 가진 `정의의 구현자`로서 민중들을 위한 각종 자선 사업에도 앞장섰다. 자선사업은 이동의 자유와 가시성이 제한된 여성들이 자신의 부와 권위를 표상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었기 때문에 예로부터 많은 무슬림 여성들이 이 일에 앞장섰다. 그 중에서도 황실의 재력과 힘을 과시할 수 있는 건축 사업에 황실 여성들이 후원자로 대거 동참했다. 이 외에도 황실 여성들은 자신의 재산으로 공공사업의 재원이 될 와크프를 조성하는 등 황실의 위엄과 경건함을 선전하는 사업에 적극 참여하였다. 물론 엄밀히 말하면 황실 여성들의 영향력은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에서, 그것도 남성들의 중재를 통해 행사되었고 사회적 이상으로서 무슬림 여성들의 격리는 계속 주장되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녀들의 사회적 참여와 공적 역할이 불법적인 행위로 간주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오스만 사회는 `모권`을 중시하는 이슬람적 전통과 유목민 특유의 남녀 평등적인 개념을 상속한 사회였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황실의 `어른`인 황태후에게는 세대 간의 갈등을 조정하고 술탄의 곁에서 조언할 수 있는 권리가 인정되었고 황실의 대표로서 공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특권이 허용되었다. 또한 오스만 사회에서 여성을 통제하고 구속하는 종교적 규율과 사회적 강제는 여성의 신분과 연령, 경제적 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되었다.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해 보았을 때 오스만 사회는 공/사 영역과 남/녀 유별이 명확하며 성별 역할이 고착된 문명이고 오스만 사회특유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오스만 황실 여성은 아무런 역사적 역할도 할 수 없었다는 이분법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역사관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royal women of the Ottoman Empire accomplished public roles and the social background of how it was possible in such a patriarchal society where the practice of gender segregation was enforced. Most traditional historians proposed that the Ottoman royal women barely took any public roles because of the strict segregation policy, and even if they did, it was illegal and in some cases their public activity eventually led to the downfall of the empire. However, the Ottoman royal women participated diversely in the public sphere, exercising legitimate political rights. Among them, the valide sultan (queen mother) was especially distinguished. She not only gave the sultan political advice, but as the dynasty`s elder member had an eminent influence on royal family issues as well as political affairs. Also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Ottoman Empire, she functioned as diplomat and she carried on philanthropic roles for the common people. Strictly speaking, the influence of royal women were exercised on the periphery, not at the center, of the society and could only be done indirectly through men`s intercession. Moreover, for the social idealistic concept, the seclusion of women was still asserted.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the fact that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public roles were not regarded as illegal behaviour. Ottoman society had inherited the Islamic tradition which emphasized the mother`s authority, and the Turco-Mongol heritage which accorded women equal treatment with men. Therefore under this social agreement, as head of the harem the valide sultan wielded authority over the dynastic family, as mentor and protector of her son gave political advice to sultan, and functioned as exemplar of such sovereign attributes as justice, piety, munificence. Besides in the Ottoman society, the religious regulation and social enforcement that controlled women were in some ways applied flexibly depending on the social status, age,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woman. Thus, many exceptions were tolerated to the royal women for a long time under the tacit consent of the religious leaders who were on the same boat with the imperial ruling class. Given these facts, the male-dominant historical prejudice, that is royal women were of no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Ottoman society which was dichotomized into spheres characterized by notions of public /commonwealth /male and private /domestic /female, should be reconsidered.

      • KCI등재

        사파비(Safavî) 교단의 성장과 오스만제국의 대응 : 바예지드 2세 시기를 중심으로

        이영희(Lee, Young-Hee)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2021 중동문제연구 Vol.20 No.2

        사파비 교단은 아나돌루의 개방적인 종교 환경속에서 교세를 확장한다. 여러 셰이흐(Seyh)들에 의해서 교세를 확장한 사파비 교단은 샤 이스마일(Şah İsmail)에 의해 사파비제국을 건국하게 된다. 샤 이스마일은 선전, 선동 전략은 주변지역을 정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샤 이스마일이 둘카드르 공국(Dulkadıroğulları)을 공격하는 과정에서 오스만제국 영토를 통과하였고, 오스만제국과 긴장관계를 형성한다. 오스만제국은 바예지드 2세가 노쇠하면서 국정 공백이 발생하였고, 장성한 아들들은 통치자 계승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 오스만제국의 정치적 혼란속에 안탈리야(Antalya)의 사파비 교단의 샤쿨루(Şahkulu)가 반란을 일으키게 된다. 샤쿨루의 반란군은 빠르게 세력을 확장하였고 아나돌루 베이레르베이(Anadolu Beylerbeyi) 카라괴즈 파샤(Karagöz Paşa)가 전사한다. 이후 베지리 아잠(vezir-i azam) 하듬 알리 파샤(Hadım Ali Paşa), 셰흐자데 아흐메드(Şehzade Ahmed)가 이끄는 오스만군대는 샤쿨루의 반란을 진압한다. 샤쿨루의 반란을 계기로 오스만제국은 사파비교단, 사파비제국, 크즐바쉬에 대한 정치적 견해가 변화하게 된다. The Safavi order expanded its religious influence in the open religious environment of Anatolia. After the order kept expanding its religious influence via several Seyhs, Şah İsmail founded the Safavid Dynasty. His propaganda and instigation strategies were of huge help in his conquest of surrounding regions. In the process of invading Dulkadıroğulları, he passed through the terri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formed tense relations with it. The Ottoman Empire witnessed a vacuum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following the decrepitude of Bayezid II. His grown-up sons had disputes over the succession of the ruler. Shakulu of the Safavid order in Antalya raised a revolt amid the political confusion of the Ottoman Empire. His rebel forces expanded their influences fast with Anadolu Beylerbeyi and Karagöz Pasha killed in action. Later, the forces of the Ottoman Empire led by Vezir-i Azam, Hadım Ali Paşa, and Şehzade Ahmed repressed Şahkulu s revolt. After experiencing Shakulu s revolt, the Ottoman Empire changed its political opinions of the Safavid order, Safavid Dynasty, and the Qizilba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