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최윤경(Yoon-Kyeong Choi),채진영(Jin-Young Cha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4 교육혁신연구 Vol.3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민감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나아가 그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현직 영유아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he PROCESS macro v.4.0의 Model 6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중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의확률 95% 수준에서 표본수 5,000개를 고정시킨 후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교사의 민감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전문성인식 및 놀이교수효능감은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영유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직렬이중매개하는 것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영유아에 대한 민감성을 가진 교사는 자신의 직업을 전문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이 높으며,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질 높게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논의 및 결론: 질 높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민감성, 전문성인식, 놀이교수효능감을 새로운 연구모형으로 적용해 본 의의가 있다. 각각의 변인들에 대한 영향력을 넘어서 다차원적인 연구를 살펴보면서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개정 누리과정 이후 놀이 중심 교육을 위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핵심 실천역량으로 이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변인들에 조명하였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를 두고자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at the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o further examine whether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have a serial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31 incumbent infant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 using SPSS 21.0 version. After that, in order to find out the serial double mediation effect, it was analyzed using Model 6 of The PROCESS macro v.4.0. In order to find o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ouble mediation effect, bootstrapping was performed after fixing 5,000 samples at the 95% level. Results: The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child interaction,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were found to be high. In addition, all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were positive, and it was significant that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were mediated in ser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Conclusion: In order to support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it is meaningful to apply sensitivity,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as a new research model. For play-based education after the revised Nuri course, teacher-child interaction is the core practical competency of teachers, and it is intended to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shed light on new variables to support it.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동물태도와 영유아동물보호교육 필요성 인식 및 교사교육 요구

        강정원,이경진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ndency of infant teachers' attitude toward animal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eachers' attitude on teacher education demands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animal protection education for infants. The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n 220 infant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animal attitude of infant teache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valu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infant animal protection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teacher education. A relatively low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animal attitude of infant teachers, the necessity of infant animal protection education, and demand for teacher educ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nimal attitude of infant teachers influenced the demand for teacher education by partially mediating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infant animal protection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are required to improve the animal attitude of infant teachers and to search measures for infant animal protection education.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동물에 대한 태도의 경향을 살펴보고, 교사의 동물 태도가 영유아 대상 동물보호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을 매개로 하여 교사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영유아동물보호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교사 220명에게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동물태도는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한 가치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동물보호교육 필요성 인식과 교사교육 요구 사이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영유아교사의 동물태도와 영유아동물보호교육 필요성 인식, 교사교육 요구 간에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동물태도는 영유아동물보호교육의 필요성 인식을 부분매개로 하여 교사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교사의 동물태도 개선과 영유아동물보호교육의 방안 모색을 위한 예비교사교육과 현직교육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유아 발달 진단 및 중재를 위한 반응성상호작용(RT) 중심 프로그램 적용

        김정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4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model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rogramfor early childhood focused on parent-child responsive interaction. They wereintervened RT intervention once a week during three months. Participantsconsisted of 75 mother and child dyads, 58 of them were regularly developmentalchildren and 17 of them were developmental delayed young children. in range of15 to 76 months. To collect the data, parent-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to assess the children's developmental functioning,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depression. And mother-child dyad were videotaped for approximately 10minutes during playing together to collect the data of parent-child interaction. Asresults, it was suggest a need to include variables of parent and parent-childinteraction the as well as developmental screening procedures in the diagnosisan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Because It would be contextual diagnosis andassessment of the effect on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parent-childresponsive interaction. And The results of RT intervention indicated that thematernal responsive behavior have an influence on promoting the children's pivotaldevelopmental behaviors and also RT intervention declined significantly on the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In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that there isa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in children and parents, and thensuggestions for the practical diagnostic and intervention model. 본 연구는 반응성 상호작용 중심 영유아발달 진단 및 중재를 적용하고 영유아, 부모,및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의 영향력 관계와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영유아 75명과 그 어머니들이다. 이중 17명은 발달지체 영유아이고 58명은 정상발달영유아이다. 연구절차는 먼저 영유아발달, 부모의 심리적 특성, 그리고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의 세 차원에서 각 변인을 진단평가하는 영유아발달 3D진단을 실시하였다. 그리고연구대상자 중 발달지체 영유아 17명에 대해 주 1회 씩 40분 간 3개월에 거쳐 반응성상호작용(RT) 중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RT중재 전-후에 걸쳐 부모-보고 질문지와 비디오 관찰법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반응성 상호작용 중심 영유아발달 3D진단을통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어머니의 반응성 상호작용, 영유아의 중심축 행동, 및 영유아발달 간의 영향력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영유아의 중심축행동 발달에 영향력이 있으며 어머니의 반응성 상호작용이 매개하여 영유아의 중심축행동은 궁극적으로 영유아발달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발달지체 영유아 17명에 대해 3개월 간의 RT중재를 실시한 결과, 중재 전-후에 걸쳐 RT중재 프로그램은어머니의 반응성 상호작용행동과 영유아의 중심축 발달행동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켰으며,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발달에 있어 일상에서 부모의 반응성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진단을 통해 부모의중요성을 검증하고, 실제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제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 만2세와 만3세 영유아의 표현언어 분석

        도미숙(Suk Mi Do),오은순(Enu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영유아의 자유놀이 상황에서 만2세와 만3세 영유아의 언어발달 특성 중 표현언어 발달을 살펴보고 분석해 보고 비교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2와 만3세 영유아 12명으로 만2세 영유아 6명과 만3세 영유아 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영유아들의 자연스런 표현언어 발산을 위해 6종류의 놀이 환경을 조성하였고 6종류의 놀이 환경은 그림책 읽기, IPTV 애니메이션, 블록놀이, 점토놀이, 병원놀이, 콩 주머니 던지기이다. 자료 분석은 선행연구결과(신경혜, 1994; 정옥분, 2003; 김정미, 2009; Bandura, 1973)에 따라 8가지 범주로 분류해 보았다. 분류된 8가지 범주는 의성어, 모방/반복 언어, 부정어, 혼자언어, 상황에 적절한 언어, 설명 언어, 질문/요청언어, 음운언어이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2세 영유아가 놀이상황에서 사용하는 표현언어를 살펴본 결과 모방/반복언어(30.89%)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상황에 적절한언어(24.49%)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부정어(13.72%), 질문/요청언어(12.59%), 의성어(11.21%), 혼자언어(5.72%), 설명언어(0.91%), 음운언어(0.46%)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만3세 영유아는 상황에 적절한언어(42.62%)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질문이나 어떤 일을 요청하는 질문/요청언어(16.82%)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모방/반복언어(14.77%), 의성어(9.16%), 부정어(6.73%), 혼자언어(6.73%), 설명언어(2.99%), 음운언어(0.19%) 순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로 의성어 발달의 차이는 만2세 영유아의 의성어의 표현언어 사용의 특징은 대부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의성어(63.27%)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다음으로 기타의성어(24.29%)를 사용하였다. 반면 만3세 영유아들은 기타의성어(38.76%)를 가장 많이 표현했으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의성어(36.73%)를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alyz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2-3 year old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in the free play situation constructed with one type of domain as free play environment for infants. A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Observation on expressive language used by 2-year-old infants in play time indicates that imitated/repeated language (30.89%) is used the most time, followed by language appropriate in a certain situation (24.49%), and negative language (13.72%), question/request language (11.21%), phonological words (11.21%), talking-to-oneself language (5.72%), descriptive language (0.91%), and onomatopoetic words (0.46%) are in order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On the other hand, language most frequently used by 3-year-old infants is language appropriate in a certain situation (42.62%) and the next one is question/repeated language (16.82%). The following ones are imitated/repeated language (14.77%), onomatopoetic words (9.16%), negative language (6.73%), talking-to-oneself language (6.73%), descriptive language (2.99%), and phonological words (0.19%). The difference in language development based on 8 types summaries as follows.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이미란 ( Mi Ran Lee ),김정원 ( Jung Won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의 전반적인 양상을 알아보고 두 변인들 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329명이었으며,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에 관하여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전반적인 심리적 안녕감은 이전에 이루어진 연구의 결과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들은 긍정적인 대인관계와 관련하여 가장 높은 심리적 안녕감을 느끼고 있었고, 다음으로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과 자아수용 등의 순서에 따라 그 영역과 관련된 심리적 안녕감을 높은 수준으로 느끼고 있었다. 환경에 대한 통제력 및 자율성과 관련되어 느끼는 심리적 안녕감은 비교적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영유아교사들은 비교적 높은 정도의 교사헌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유아에 대하여 높은 정도로 헌신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수업에 대한 헌신도가 높았고, 영유아교육 기관에 대해서는 영유아와 수업에 비해서 비교적 낮은 정도로 헌신하고 있었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유아교사가 느끼는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들이 가르치는 영유아와 수업, 그리고 영유아교육기관에 보다 높은 수준으로 헌신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s` commitment,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29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ublic or private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in South Korea.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developed by Ryff(1989) and Teachers` Commitment Scale developed by Hong(2005) were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ir commitment as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er than a similar test study done in 2006 by Seo. Th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level was the highest in the sub-category of positive interrelationship, then followed the sub-categories of individual life purpose, individual development, and self-acceptance, respectively. The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sub-categories of control of environment and autonomy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e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subcategorie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scored high in the Teachers` Commitment Scale. They made the highest commitment to young children, then to teaching, and made the lowest commitment to early childhood centers.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evel of teachers` commitment.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직렬 매개효과

        강수연,조규판 육아정책연구소 2023 육아정책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을 매개로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영유아보육・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담임교사 206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은 각각 단일매개효과가 있다. 둘째, 직무만족은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매개변인인 조직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을 차례로 거치는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증진에 필요한 다각적인 개입 방안과 정책적 지원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lay teaching efficacy. A survey targe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was conducted, with 206 teachers responding to questionnaires assessi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 teaching efficacy, and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Process Macro Model 4 and Model 6 analyses were employ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for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lay teaching efficacy. Furthermore, a serial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lay teaching efficacy was observ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저소득 가정 영유아의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드림스타트 대상 아동의 2년간의 변화 중심으로 -

        조용남(Cho, Yong-Nam)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7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의 경제적 빈곤이 영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드림스타트 사업의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지 영유아 발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 대상자는 드림스타트 사업에 참여한 영유아를 대상으로 99개 시군구 드림스타트에서 2015년부터 드림스타트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아 703명, 유아 580명을 추적 조사한 내용으로 분석대상은 영아 263명, 유아 452명의 자료다. 주요 분석 결과, 가족구성형태에 따라 영유아의 발달 상태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부의 지원형태에 따라서도 영유아의 발달 상태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드림스타트 사례관리 등급에 따라서도 영유아 발달 상태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2015년에는 드림스타트에서 개입하지 않았지만, 2016년부터 드림스타트에서 개입한 영유아의 경우, 영유아의 발달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영아의 대근육 운동, 소근육 운동에서의 발달점수가 다소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드림스타트에서 2015년부터 개입하여 2016년에도 지속적으로 개입하였을 경우, 영아의 신체발달 영역인 대근육 운동과 소근육 운동은 확연하게 발달되었고, 유아는 의사소통, 사회성이 확연하게 발달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저소득 가정 영유아의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whether or not the early intervention of the dream start is effective in the early stages of the dream start project to prevent the adverse effects of household poverty. The study participants surveyed the parents of infa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in the Dream Start Project support project in 2015. The survey polled 703 babies and 580 toddl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5, 2016 to September 30th. The collected data are 263 babies and 452 babies. As a result,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conditions differed depending on the family configuration of the family, and the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infant infant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ream Start assessment tool, the difference in childhood development was shown. In 2015, although not involved in Dream Start, for infants who have intervened in Dream Start since 2016, the infant"s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 motor movements has improved somewhat, although the infant"s development has not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significant development in infancy has improved the development score compared to last year,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roving social skills. In addition, when intervention in Dream Start and continued involvement in 2015 and continued in 2016, gross muscle movements and infant physical fitness movements were markedly developed, and infants" communication and social skills were clearly developed.

      • KCI등재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에 대한 연구

        이재영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3 복음과 실천신학 Vol.69 No.-

        본 연구는 영유아 사역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그 교육을 맡은 영유아사역자의 자질을 점검함으로써 교회학교 영유아부서 사역의 활성화를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교회 교회학교는 이미 오래전부터 전문사역자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이에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역할과 자질을 살펴보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영유아 전문사역자를 위한 자질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을 통해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이 어떠한가 살펴보고배경에 따른 자질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났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대상은 교회학교 영유아부서를 지도하고 있는 영유아 사역자 207명이다. 먼저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영유아 전문사역자 자질 도구가 영유아 사역자의 자질을 평가하는 타당하고 신뢰 있는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이에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변인의 수준 파악을위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행하였고 연구 변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파악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 하위요인에서 인성이 가장 높았다. 영유아 사역자의 자질에서 높은 인성의 결과를 보여준 것은 어린 연령의 교육을 맡은 사역자의 따뜻한 성품이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일반적 배경에 따른 영유아 전문사역자 자질의 차이 검증에서는 성별, 나이, 사역부서, 대학 학제, 대학원 전공, 현재 직분, 사역 경력, 사역교회 교인 수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을 분석하고 논의하였으며 영유아 사역자의 자질 향상을 위해 전문 교육기관개설, 지속적인 재교육, 영유아 사역자간의 네트워크를 제안하였다. 앞으로 교회와 노회, 총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이 절실하다.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oddler and early childhood ministry,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revitalization of toddler and early childhood ministry in church schools by examining the qualities of toddler and early childhood specialist ministers in charge of such education. Church schools in the Korean church have long realiz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for professional minister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roles and qualities of toddler and early childhood specialists ministers and constructed qualities for toddler and early childhood specialists minister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ies of toddler and early childhood specialist ministers and analyzed how the differences in qualities appeared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07 toddler and early childhood ministers who lead toddler and early childhood ministry departments of church school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using the SPSS 22.0 program, it was confirmed that the toddler and early childhood Specialist Qualities Tool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evaluating the qualities of toddler and early childhood ministers. Therefor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the research variable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 hoc 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any differences in the research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ity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qualities of toddler and early childhood specialist ministers. The high results of personality in the qualities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ministers may be a reflection of the warm personality of workers who are entrusted with the education of young age. Second, when testing for differences in the qualities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specialist ministers by general background,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for gender, age, ministry department, college system, graduate school major, current position, years of experience, and number of members in the ministry chu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qualities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minister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ministers, the report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training centres, ongoing refresher training, and networks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ministers. The continued attention and co-operation of churches, presbyteries and the General Assembly is needed.

      • KCI등재

        영유아 정신건강의 관계적 평가

        이경숙 ( Kyung-sook Lee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08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 No.1

        관계성(relationships)은 영유아 정신건강측면에서 건강한 성장과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어머니의 취업과 그로 인한 조기보육의 상황 등으로 인해서 영유아들이 출생과 더불어 일상적으로 관계를 맺게 되는 부모 외 사람들이 늘어나고는 있으나 ,영유아 관계성의 대표로 기술될 수 있는 부모-영유아, 엄마-영유아 관계성은 대부분의 영유아들에게는 우선적인 관계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특히 외국의 경우는 지난 20여 년 동안 영유아의 초기 관계성이 얼마나 중요한지와 그에 따른 결과의 다양성과 관계성의 방임과 학대에 대한 부정적 연구결과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거듭 발표되어오면서 초기의 부모-자녀간의 관계성에 대한 조망이 새롭게 다루어져왔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비교적 최근에서야 영유아의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특히 영유아의 문제적 발달을 조기 진단하거나 예방하기위한 평가적, 진단적 도구들이 다양하게 소개되어있지 않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논고에서는 영유아의 건강한 정신적, 심리적 발달을 위한 주요기본 요인인 관계성에 대해서 그 의미를 새롭게 고찰해보고 또한 영유아의 문제적 발달을 진단, 예방하기위해 국내 영유아 임상과 연구세팅에서 사용되는 관계장애 진단분류(DC:0-3)와 부모의 아동에 대한 관계를 평가하기위한 내적 작동모델을 알아보는 도구(WMCI)를 소개하였다. Relationship is one of the crucial factors affecting healthy grow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fants. In the modern society, working mothers and the consequent development of child care organizations expose young children to more and more people other than their parents in their daily lives. However, the primary relationship for most young children is still the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the past 20 years, early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ave been viewed from a new perspective in foreign countries because of plenty of research on the significance of early relationship and negative results of neglected and abusive relationship. However, the importance of infant mental health was recognized very recently in Korea, and instruments for early assessment and diagnosis and prevention of infant problematic development are few. This study reviews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 a basic factor for healthy ment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introduces DC: 0-3, a diagnosis classification of relational disorders used in domestic infant clinical treatment and research, and WMCI, an instrument to tap into internal working models of parents to assess their relations with their children.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영유아 신체 발육 심사와 차별적 요소 탐색

        박선영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2 南道文化硏究 Vol.- No.47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fants were the future human resources, and their physical health was the main concern because, unlike adults, they have sufficient growth potential if constant care is premised. Therefore, there was a need for a measure to manage the health of infant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reality by focusing on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in colonial Joseon. Since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 of dividing infants into ‘good’ and ‘bad’ in nature, this paper also attempts to explore the discriminatory factors. In the 1920s, Joseon began paying attention to the health of infants. The Japanese government proposed standard indicators for the physical development of infants to improve the overall health level of infants. The standard indicators consisted of height, weight, head circumference, and chest circumference.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aimed to check the health status of infants by having medical experts evaluate them based on the standard indicators.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were implemented in earnest in the 1930s and continued until the 1940s. Infants who were screened through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were divided into ‘selected’ and ‘rejected’. Among the selected infants, infants with excellent physical development were generally honored as healthy infants. On the other hand, rejected infants were required to be continuously monitored, such as visiting a health counseling center and receiving counseling so that they could reach the standard level. Infants with congenital physical diseases were not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health check conducted by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in the first place. In other words,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are inherently characterized by selection and exclusion. Furthermore, there were discriminatory factor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factors can be found i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Japanese people residing in Joseon and Koreans, the differences in the living standard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In these cases, some infants were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health check by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and to use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health counseling centers.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raise the standard of overall physical growth of infants through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However, some infants were excluded for various reasons, and in the end, the health care of infants was only limited to a few selected infants. 일제강점기 영유아는 미래의 인적자원으로, 그들의 신체적 건강은 근대 식민권력의주된 관심사였다. 지속적인 관리가 전제된 영유아는 성인과 달리 성장 가능성이 충분했기 때문에 식민권력은 영유아의 건강을 증진시킬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고에서는 식민지조선의 영유아 심사회에 착안하여 영유아 건강관리 실상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영유아심사회가 지닌 차별 요소를 탐색하였다. 식민지 조선에서 영유아의 건강에 주목한 시점은 1920년대부터이다. 식민권력은 영유아의 건강 표준치를 전체적으로 향상시키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광범위한 통계조사를 통해 영유아 신체 발육표준지표를 작성하였다. 표준지표는 키, 체중, 머리둘레, 가슴둘레의 4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영유아 심사회는 표준지표를 기준으로 의학 전문가들이 심사하여 영유아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장이었다. 영유아 심사회는 1930년대 들면서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1940년대까지 이어졌다. 이때 심사를 받은 영유아는 ‘입선’과 ‘낙선’으로 구분되었다. 입선된 영유아 중 신체발육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면 ‘우량’아로 표창되었다. 반면 낙선된 영유아는 ‘불량’ 으로 낙인되어 표준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건강상담소에 방문하여 상담을 받게 하는등 지속적인 관찰이 요구되었다. 영유아 심사회는 선천적으로 병이 있는 사람은 참여가 불가능하여 지원 자격에서부터선택과 배제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었다. 이는 영유아 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쳤고, 환경에따른 차별로 이어졌다. 생활수준, 거주지 등의 차이로 일부 영유아는 영유아 심사회 참여및 건강상담소 등의 의료 전문 기관을 이용할 기회를 원천적으로 박탈당할 수밖에 없었다. 식민권력은 영유아 심사회를 통해 영유아의 전체적인 신체 성장의 표준치를 제고하고자 하였지만 여러 이유로 배제된 영유아가 존재했고, 결국 영유아의 건강관리는 일부선택받은 영유아에게 제한되어 다뤄졌다는 한계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