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ase Study: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ith and Perceptions of an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복은임(Eunim Bok),조영상(Youngsang Cho)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본 사례연구는 2022학년도 1학기에 학문적 영어 글쓰기 강좌를 수강한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학문적 영어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대학 필수 교양영어과목으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설문지는 리커트 척도, 선다형, 개방형 질문 등으로 구성되었다. 총 65명의 1학년 수강생들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3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이메일 혹은 줌(Zoom)을 통해 심층인터뷰도 진행하였다. 리커트 척도 질문과 선다형 질문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개방형 질문과 인터뷰 질문분석에는 내용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은 학문적 영어 글쓰기 수업 내용과, 수업을 통한 성취감, 교수자의 수업 진행 방식등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부정적인 반응 역시 나타났는데, 이는 대부분 수업 내용의 어려움, 학점에 비해 과도한 수업 내용 및 과제, 그리고 자신의 영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수업에서의 뒤처짐 등에서 기인하는 것이었다. 본 수업을 통한 글쓰기 능력 향상 측면에서, 많은 학생들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자체평가를 내렸으며, 자신들에게 도움이 되었다고 느꼈던 수업 활동으로는 에세이 쓰기, APA 스타일 및 인용법 등과 같은 학문적 글쓰기 형식 및 규칙 학습, 그리고 교수자의 첨삭 등을 꼽았다. 학문적 영어 글쓰기가 교양필수 과목으로서 적합한지를 묻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변한 학생들이 대다수였다. 그에 대한 이유로는 학문적 영어 글쓰기가 전문적 지식을 배양하는 학술 커뮤니티에 입문한 대학생으로서 반드시 지녀야 할 필수적인 지식이라는 점과 영어 수업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필요한 전이가능한 지식이라는 점이 언급되었다. 또한, 대학이 아닌 다른 곳에서는 배울 기회가 적다는 점 또한 교양필수 과목으로서 학문적 영어 글쓰기의 필요성을 학생들이 인식하는 원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몇 가지 제안점이 도출되었다. 학교 차원에서는 학문적 영어 글쓰기 과목의 이수 학점을 증가하고 더 많은 혜택을 위해 2학년이나 3학년 학생을 위한 수업으로도 바람직해 보인다. 또한, 학생들의 학문적 영어 글쓰기 능력향상을 효과적으로 이끌기 위해, 교수자 역시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수업 운영 및 녹화강의와 같은 보충 학습자료 제공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xamine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they took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22.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satisfied students were with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academic English writing class, and how they perceived its appropriateness as a mandatory English general education offered in the Korean higher education context. A survey questionnaire consisting of Likert-scale, multiple choice, and open-ended questions was the main source of the data, and a total of 65 freshmen taking the course responded. To triangulate,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three focal participants via email or Zoom upon their choic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responses to the Likert-scale and the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for open-ended survey questions and interviews. Analysis of data showed that students viewed their academic English writing experiences positively due to the content knowledge and sense of achievement gained through the class as well as the instructor’s teaching style. Some participa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learning experiences because of content difficulty, relatively heavy workload, and their insufficient English proficiency which hindered them from following the class. Most students self-evaluated that their writing skills after the class somewhat improved. Students chose writing an essay, learning about academic writing conventions, such as APA styles and in-text citations, and instructor’s feedback as class activities that helped them improve their academic English writing. To the question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academic English writing as a mandatory general education subject, a vast majority of students hold a positive view. Their reasons include their belief of academic English writing as essential knowledge that they need to possess as a university student belonging to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s well as transferable knowledge needed not only in an English class but also in various disciplines. They also recognize its practicality for their academic activities and its rarity to learn anywhere else except univers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allocate more credit hours for an academic English writing course and offer it for students in their 2nd or 3rd year of university. The findings als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structors’ effort to tailor their instruction according to their students and to provide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such as pre-recorded videos so as to effectively guide students to improve their skills for English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 KCI등재

        교양영어 글쓰기 수업과 학습자 견해 분석

        허선영(Sun Young H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교양영어 수업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글쓰기를 한 후, 학습자에게 영어 글쓰기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교양영어 글쓰기 수업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전공이 다른 다섯 분반의 학생 중 총 99명으로, 이들의 자발적으로 참여한 설문 조사 응답을 연구의 기초로 한다. 응답자는 한 학기 동안 개별적 글쓰기, 동료 피드백, 협력적 글쓰기 등 세 가지 활동을 수행한 후, 글쓰기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글쓰기 활동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가장 유용한 글쓰기 활동과 이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교양영어 글쓰기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28을 나타냈으며, 글쓰기 활동 수행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02를 나타냈다. 글쓰기 활동 유용성과 관련하여, 남학생은 협력적 글쓰기 활동을, 여학생은 동료 피드백을 가장 유용하다고 응답하였다. 전공별로는 전공별로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었으나, 전체적으로는 협력적 글쓰기 활동이 가장 유용하다고 응답하였다. 구체적인 의견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개인적으로 글을 쓰는 활동에 비해 타인의 글을 읽거나 타인과 의견을 교류하면서 함께 글을 써가는 활동이 자신의 글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결론 교양영어 글쓰기 교육은 세계화의 시대에 더욱 요구되나, 교수자와 학습자의 글쓰기 수업에 대한 어려움으로 그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실제 학습자의 견해는 글쓰기 수업에 대해 만족하고, 다양한 글쓰기 활동을 통해 자신의 영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견해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글쓰기 수업은 더욱 유연하고 다양한 글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에게 유용한 글쓰기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ot only recognition of Englisn writign for learners but also val-uable solution for liberal arts English writing classes. For this end, this research implemented English writing classes with three different activities during one semester and analyzed the result of employed questionnaire after classes. Method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responsest of a total of 99 college freshmen with different majors who volutarily answered the questionnaire. All respondents from different majors took the same formatted writing class which consisted of basic writing lessons and three different writing activities such as individual writing, peer feedack, and collaborative writing. After completing the course, they respond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English writing classes and the writing activities, and their opinions about them.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he satisfaction of the English writing class was 4.28 out of 5, that of writing activities was 4.02 out of 5. While the most useful activity for male learners was collaborative writing, that for female learners was peer feedback. According the major, the pattern was various, but collabo-rative writing was responded as the most useful one by overall opinions. The results implied that peer feedback or collaborative writing was better than individual writing because learners could review their writing objectively by other’s opinion on their writing and it was very helpful. Conclusions Although the need of English writing was paced to the rapid globalization era, the research of writing class was not enough due to the difficulties from both learners and teachers. Learners, however, showed that how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nglish writing class and its activities.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the English writing class fostered their English language abilities. The English writing class, therefore, should provide more helpful one through attempt of various and flexible writing activities.

      • KCI등재

        Integrating L1 Writing Practice into L2 Paragraph Writing for Novice Writers

        남미영 미래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영문학 Vol.20 No.1

        본 연구는 모국어 글쓰기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글쓰기 수업을 같은 시기에 병행해 보았을 때, 모국어 및 영어 글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글쓰기 능력향상에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한 학기 동안 조사 분석하였습니다. 학생들의 영어문단 그리고 모국어 글쓰기 수업시간 문단쓰기 수업내용 및 문단쓰기 샘플, 학기 초 학기말 두 차례 시행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였고, 연구 결과, 학생들의 문단이 문단 형식, 내용, 연결어구 사용 측면에서 향상됨을 보입니다. 모국어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이 습득한 글쓰기에 대한 일부 지식을 영어 글쓰기에서 활용할 수 있다면, 학생들이 글쓰기에 대해 좀 더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무엇보다 영어 글쓰기 선생님과 모국어 글쓰기 선생님의 상호협력은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 KCI등재

        A process focused study of task-based L2-L2 email writing

        남미영,Albrecht, Robert Thomas 미래영어영문학회 2014 영어영문학 Vol.19 No.2

        영어글쓰기 수업의 일환으로 국내 소재 대학 영어글쓰기 수업 수강생과 중국 소재 대학의 영어글쓰기 수업 수강생 각각 한 명씩 두 명이 한 팀을 이루어 주어진 주제에 대하여 이메일이라는 의사소통 도구를 통해 자유롭게 생각과 의견을 교류하도록 하였다. 이는 영어글쓰기 수업시간 외에 영어 사용이 제한적인 교육환경에 보다 실질적인 영어 사용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한 학기 동안 본 과제 관련하여 학생들이 작성한 영어 글쓰기 샘플, 과제수행을 위해 주고받은 이메일, 그리고 학기 중과 학기 말에 수행한 설문지 등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학생들의 본 과제수행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영어글쓰기 실력향상을 위한 도움 정도를 분석하였고, 과제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 또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과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의사소통을 하였으며, 몇 몇 학생들은 과제보다는 관계형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이메일을 주고받아 과제수행을 위한 시간부족으로 인하여 과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자유로운 의사소통과는 달리, 주어진 주제를 중심으로 의사소통을 하도록 하여 결과물을 제출하도록 하는 과제기반 이메일 의사소통이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의사소통의 기회 및 영어글쓰기의 기회를 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동기와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정윤나,김정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1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Korean writing instruction in the context of an English-medium instruction (EMI) policy. It specifically investigates the changes of students’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rough a semester-long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 The dataset consisted of questionnaire responses about writ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English- and Korean-medium instruction (KMI) by college students learning Korean writing. Surveys were conduct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wo semesters. The analyses indicate that writing motivation (both extrinsic and intrinsic) and self-efficacy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writing course. Whil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Korean-medium instruction were found at the beginning of each semester, post-class data additionall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KMI and EMI. These results are discussed to highlight the contribution of Korean writing instruction in the context of EMI to increased student perception of KMI as well as their writ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본 연구는 영어강의 환경에서 대학 한국어 글쓰기 수업을 수강하는 내국인 학생들의 수업 전후의 글쓰기 동기와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문화적 학습관점에서 이러한 학습자 요인과 영어강의 및 한국어강의 환경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관계가 한국어 글쓰기 수업 후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분석하여 한국어 글쓰기 수업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양적연구를 위하여 학습자들의 글쓰기 동기와 자기효능감,영어강의 및 한국어강의에 대한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를 개발하였다.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두 학기 동안 학기 초와 말,모두 네 번에 걸쳐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양적연구 결과의 분석 및 논의를 위해 학습자들이 작성한 수업 후기를 함께 활용하였다.연구 결과,한국어 글쓰기 교과 수강 후 학습자들의 글쓰기 동기 및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학습자들의 수업 후기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확인되었다.상관관계분석 결과,수강 전,학습자들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간,내적 동기와 자기효능감 간,외적 동기와 한국어강의에 대한 인식 간에 각각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그리고 수강 후,한국어강의에대한 인식과 영어강의에 대한 인식 사이의 부적상관관계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를 통해 글쓰기 동기와 자기효능감은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활동과 교수자의 피드백을 통해 자극되고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특히,한국어 강의 환경의 필요에 대한 인식이 영어강의 환경 대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이는 영어강의 정책을 시행하는 대학 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의 방향 설정 및 방안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achine Translators for University Freshmen in Translating Korean Writing into English

        Lee Jeong-Hwa(이정화),Cha Kyung-Whan(차경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들이 수강하는 교양 필수 영어 교과목에서 서술적 영어 글쓰기를 연습할 때 번역기의 사용 시기와 방법이 영어 작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주요하게 탐구되었다. 이 연구는 2018년 가을학기 총 15주에 걸쳐 진행되었다. 학습 도구로서의 기계번역기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대학 신입생 17명을 대상으로 4개의 주제 쓰여진 총 1548개 한국어 문장을 두 가지 번역 방법으로 영작 하도록 했다. 첫 번째 영어 번역 방법은 한국어 작문을 한 뒤, 사전을 이용해서 영작한 뒤 번역기를 사용해서 영어 작문을 완성하는 세 단계 번역과정의 절차를 거쳤고, 두 번째 방법은 한국어로 작문한 다음 바로 번역기를 사용해서 자신의 서술적 글쓰기를 영작하도록 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영작 방법 중 어떤 방법이 학생들 영어 작문에 더 효과적인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영어로 작문할 때 번역기를 학습 도구로 사용했을 때 유용했는지에 대해 의견을 조사하였다. 두 가지 영작 방법의 효과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한 대응표본 t 검정 결과는 p=0.026로 나타났다. 두 단계 과정을 거친 영작문 학습이 세 단계 과정을 거친 영작문 학습보다 영작문의 정확도가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 결과는 영작을 하기 위해 긴 글쓰기 과정이 학생들의 영작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학생들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기계번역기를 학습 도구로 사용해서 영작했을 때 총 17명의 학생 중 13명 (76.5%)이 풍부한 어휘, 정확한 문장구조, 심리적인 안정감등에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한, 52.9%의 학생이 영어 작문할 때 불안감과, 부담이 감소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단지 29.4% 학생들만 기계번역기의 정확도를 신뢰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대학 신입생들이 더 많은 영어 학습을 통해 영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영어에 대한 직관을 길렀을 때 글쓰기 학습 도구로서의 기계번역기 사용은 더욱 큰 가치를 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machine translators as learning tools by conducting a study using two writing processes involving 17 university freshmen, and their perceptions regarding it. This was done over 15 weeks during a fall semester in 2018 as part of their descriptive writing in the Essential English course. With the guidance of the researchers, the students used two methods when translating their Korean compositions into English. These compositions covered four topics and included 1,548 sentences. One method involved translation with the use of dictionaries first, then machine translators. The other utilized machine translators directly. The results of the paired t-test that covered both methods was p=0.017 (p<0.05). It showed that a longer translation process is not helpful in yielding a more accurate result. Furthermore, a survey showed that the use of a machine translator led to the students experiencing an improvement in their writing skills, with 76.5% of the respondents agreeing positively. However, only 29.4% of students were convinced that machine translators were reliabl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tudents need to develop their English skills and level of intuition through further study in order for them to properly benefit from the use of machine translators

      • 대학 교양수업에서의 초급과정 영어 글쓰기 교육의 실제 - 패턴과 피드백을 중심으로

        김혜진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20 교양교육실천연구 Vol.4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troduce how to teach effectively an freshmen English course that focuses the ways to help the college students improve their English writing skills in English Classes for beginners. As you know, a lot of students have many difficulties to write in English and they have many errors in their writings due to English-Korean differences, Grammar and their little-proficiency in English. This study introduces two kinds of activities which help improve students’ writing skills in the class. First, one approach is ‘patterned-words and phrases’ which are helpful to students. While studying English writing with patterned-words and phrases. Students can have some confidence and courage to write something in English. And the other is to provide students with peer feedback and teacher feedback. They can also give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writing, self-confidence and expectations that they can do write in English. Through the two kinds of ways, college students will be able to improve writing skills significantly and they can have motivation to write in English. Also, both teachers and students communicate well in the classes. The two ways are helpful to teachers and students teach and learn in English classes for beginners. In conclusion, ‘patterned-words and phrases’ and ‘peer feedback and teacher feedback’ are important to improve English writing skills. 최근 대학의 교양 교육에서 한 축을 차지하는 영어 과목은 이전과는 다른 변화된 교육을지향하여 수준별 수업이나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 생산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영어 글쓰기 교육은 상대적으로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국제화된 기업환경과 다양한 사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요구되는 영어 능력중 하나가 영어 글쓰기라는 사실은 자명하다. 이에 본 논문은 4년제 대학교 1학년 초급 과정교양 영어강의에서 패턴화된 단어나 구를 제시하여 쓰기를 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문장을 동료 피드백과 교수자 피드백을 통해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영어 쓰기 연습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의 영어 글쓰기 연습은 학습자들과 교수자 사이의 상호 의사소통 또한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는 쌍방향/다방향의 교육이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Covid-19의 상황 속 대면/비대면 혼용의 강의 방식에서도 활용 가능한 이러한 글쓰기교육은 이뿐만 아니라 어떠한 교실의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적극적 영어 쓰기 교육의방법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University Student Perceptions on the Effects and Difficulties of L2 Expository Writing

        Kyung-Rahn Kim(김경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영어 논증적 글쓰기의 중요성, 효과 그리고 어려운 점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의 한 대학에서 필수과목으로 영어쓰기 수업을 수강한 11명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이 논문에 보고된 자료는 학생들이 교과목을 이수한 후에 실시된 반구조화 형식의 심층 면접을 통해 수집되었다. 전사된 면접 자료는 귀납적으로 분석되었고 주제에 따라 항목별로 정리되었다. 그 결과, 학생들은 영어쓰기 수업이 논증적 글쓰기 연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증적 글쓰기 연습이 영어 어휘력과 문장구성 능력의 향상, 그리고 동기 부여에 효과가 있다는 점들이 그 근거로 제시되었다. 나아가 논리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반면에 학생들은 영어 논증적 글쓰기에서 언어적 어려움을 피력했는데 자신의 생각을 영어로 정확하게,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가장 큰 부담으로 여기고 있었다. 이외에도 글쓰기에 필요한 배경지식과 논리적 사고의 부재가 어려움으로 인식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Korean university students’ views on the importance, effects and difficulties of L2 (English) expository writ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mandatory L2 writing class. The primary data reported in this article were collected from in-depth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after the end of the course (January and February of 2017). Transcrip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inductively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hemes. The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placed importance on expository writing in L2 writing classes. The positive effects of expository writing could be seen in linguistic performance in that it served vocabulary and sentence development. It was also recognized that practice could enhance motivation for writing and improve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inability to identify grammatical and correct expressions for specific situations appeared as the biggest limitation of students. Additionally,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and logical thinking presented certain limitations.

      • KCI등재

        성찰적 글쓰기 활동을 통한 예비 영어교사의 교육적 성장 과정

        신동일,김나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예비영어교사의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예비영어교사의 교육적 성장 과정과 그 가치를 이해하고자 노력했다. 연구 참여자의 대학원 교육경험을 성찰 일지로 수집하고 그 자료를 세 가지 사건(교생실습, 질적 연구 스터디 모임 참가, 석사논문 작업)의 범주로 나누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교생실습을 통해 이론과 현장의 차이를 체험했고 한국의 영어교육상황에 맞는 교수법과 한국인 학습자에 대한 특별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아갔다. 또한 질적 연구 스터디모임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는 교사가 직접 자신의 수업을 관찰하고 문제를 파악한 후 해결점을 찾고 현장을 개선시키는 실행연구방법을 학습했다. 석사논문연구를 통해서는 저널쓰기의 교육적 유의미성을 다시 경험하게 되고 질문과 대답을 통한 자신의 교육적 성장을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성찰과 글쓰기는 한 예비교사를 교육적으로 당당하게 성장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영어교사의 성찰적 글쓰기 활동을 통한 교육적 성장은 한국의 영어교육에서 중요한 과정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교육경험을 성찰하면서 건강한 직업 윤리관 그리고 정체성을 갖도록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예비영어교사를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 내부에 성찰과 글쓰기 과정을 보다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 예비교사 시절 교육경험에 관한 성찰은 교사의 전문적 성장으로 연결되고 이것은 글쓰기 활동을 통해 가능하다.

      • KCI등재

        성인 영어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영어 글쓰기전략 사용에 관한 연구

        이영림,임희주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영어 글쓰기 전략 사용이 다른지 알아보는 데있다. 충청남도 소재 대학의 대학영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8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했다. 참가자들은 무료 온라인 성격유형 검사로 MBTI를 측정한 후, 영어 글쓰기전략 설문을 수행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베이지안 독립평균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직관형(N)은 감각형(S) 보다 영어 글쓰기에서 상위인지 전략 중 자기주도성과 사회/정의적 전략을 더 많이 사용했다. 판단형(J)은 인식형(P)보다 영어 글쓰기에서 상위인지 전략의 모든 하위전략과 인지 전략 중 자료 찾기 전략을 더 많이사용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개인의 성격유형에 맞는 학습전략과 학습법을 제시할 수있고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연령별 그리고 영어수준별을 나누어 교수법을 체계화하여 영어쓰기에서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