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어권의 노장학 연구 동향

        우쉐멍(Wu Xue-Meng)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09 동서사상 Vol.6 No.-

        요즘 도가도교문화는 나날이 학계에서 중시되고 있으며, 중국 노장학 연구도 끊임없이 앞을 향해 발전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영어권의 노장학 연구는 아직 중국 학술계의 충분한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이글은 중국의 노장학 연구의 발전을 추적하여 영어권의 노장학 연구의 발전 상황을 개괄적으로 서술하였으며, 아울러 중국 국내에서의 노장학 연구 방면에 매우 성과있는 학자 및 그 저작에 대하여 평가하고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전체적인 입장에서 20세기 영어권의 노장학 연구에 대한 동향을 드러내었다.

      • KCI등재

        영어권 국가에서의 한국어 음운론 연구

        소신애 ( So Shin-ae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7 No.-

        이 글은 그간 영어권 국가에서 이루어져 온 한국어 음운론 연구의 실태를 체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어 음운론 연구의 세계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구미 학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주요 논저를 중심으로 한국어 음운론에 대한 기술 내용을 살펴보고, 그러한 기술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1950년대 이후 북미 지역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논의할 것이다. 영어권에서 통용되는 한국어 음운론 관련 논저를 연구자별로 개관하고, 현대 한국어(중앙어)의 음운 체계 및 음운 현상에 대한 기술을 주요 쟁점별로 검토할 것이다. 아울러, 한국어 음운사 및 방언 음운론에 관한 논의 또한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한국어 음운론 연구의 지평을 세계로 넓힐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이 글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study on Korean phonolog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existing studies on Korean phonolog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refore,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descriptions on Korean phonology in Euramerican countries from the critical point of view. I will discuss the adequacy of the description on Korean phonology focusing on the studies in North America since the 1950s. Firstly, I will outline the studies on Korean phonolog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by researchers. Next, I will examine the descriptions of the phonological systems and phonological phenomena of Contemporary Korean(Central dialect) by main issues. Lastly, I will briefly examine the studies on Korean historical phonology and Korean dialectal phonology. It is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that we can find the ways to broaden the horizon of the studies on Korean phonology to the world through this kind of work.

      • KCI등재

        객체에서 주체로 : 캐나다의 아메리카 원주민 영화 -영어권과 불어권을 중심으로-

        이상훈(Lee, Sang-H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6

        오래전부터 캐나다에 정주하고 있었지만 새롭게 도래한 유럽인의 정복과 착취의 대상이 되었던 아메리카 원주민은 20세기 후반부터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외부적으로는 연방 정부와 주정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불평등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을 요구하였고, 내부적으로는 그들이 처한 차별적인 현실 상황을 본격적으로 자각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문화·예술을 통해 아메리카 원주민은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발언을 개시한다. 시기적으로는 1960년대 후반을, 구체적으로는 영화를 통해 그들이 처한 엄혹한 현실과 고유한 문화가 발현되기 시작한다. 특히 이중국어병용 정책에 기반을 둔 영어권과 불어권에서의 제작 지원이라는 제도적 지원을 기반으로 창작 주체인 아메리카 원주민의 정체성 자각과 다양한 영화 교육이 이루어지면서 많은 작품이 제작된다. 캐나다의 아메리카 원주민 영화는 상업영화보다는 독립영화, 극영화보다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특성을 보인다. 그들의 영화는 전통적 배급망이 아닌 학교나 커뮤니티 기관 등 공적 기관을 통해 상영이 이루어진다. 작품의 주제는 부당한 과거의 역사를 고발하거나 백인 중심 사회에서의 힘겨운 현실 재현의 특징을 보인다. 소수자의 위치로 인해 정체성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내적 탐구의 모습이나 과정도 또 다른 주제가 되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는 소수자적 삶을 실험적 형식의 영화나 시적 에세이 영화로 재현하는 작품들이 새롭게 등장한다. 특히 이 시기에 등장한 젊은 감독들은 연출 방식에서 독창적인 미학적 형식을 취하면서 사회적 갈등 상황보다 원주민 보호구역과 그곳을 둘러싼 자연적 공간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작품 속에서 재현한다. From the late 20th century, Native Americans, who lived in Canada before the Europeans reached it, began to let their voices be heard through various field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ey question the indifference, ignorance, discrimination and isolation they have endured for centuries, and seek to resolve these issues. While the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are demanding immediate and concrete improvements to this inequality, internally, specific awareness of their difficult reality and situations is also being visualized in many different ways. In particular,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Native Americans and public film institutions, which want to use the popular art of film as a means to tackle and overcome social inequality, the unique identities of Aboriginal people have been highlighted in film works, specifically documentary films. Through film, the culture, spirituality and livelihood of Native Americans are gradually spreading to the outside, especially since projects are developed with creative supporters in two languages, English and French. In general, films produced by Native Americans tend to be independent films rather than commercial films, and feature documentary films rather than drama films. And most of them are short films. Above all, these individual works accuse the reality they face and the history of inequality, past and present. The search for identity is an equally important subject. Many of the works produced since the 2000s have focused on social problems, and often manifest themselves as essays imbued with poetry and with a deep-rooted sense of the spatial nature of the Aboriginal Sanctuary, the place where they live.

      • KCI등재후보

        Identity in Academic Writing - Identity Education for L2 Tertiary Students

        변길자 미래영어영문학회 2011 영어영문학 Vol.16 No.2

        이 논문은 영어권대학의 전공 관련 쓰기 과제에서 아시아권 학생들이 영어권 학생들에 비해서 왜 자신의 주장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지에 초점을 두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아시아권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자신의 주장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부족, 이전 학습경험, 문화차이, 새로운 전공에 따른 담화 기준에 대한 적응부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는 것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키는 활동을 비롯해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I' 에 대한 6가지 다른 쓰임이라든지, 전공에 따른 'I' 의 적절한 사용, 관련 이론들을 다양하게 인용하는 방법에 관한 효과적인 쓰기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컴퓨터를 매체로한 학습관리시스템인 블랙보드를 이용해 전공 관련 특정 주제에 대해서 학생들이 서로 의견을 제시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전공에 따라서 보다 적절하게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어권에서의 한국어 문법 기술 -단행본 시리즈를 중심으로-

        문숙영 ( Mun Suk-yeong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7 No.-

        이 글은 영어권 언어학 저서에 소개ㆍ기술되고 있는 한국어 문법 현상의 종류와 그 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한국어 문법 현상이 어떤 수준으로 기술되고 있으며 일차 자료로 삼은 것은 무엇인지, 한국어 관련 논저 중 무엇이 통용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조망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성격을 띠는 것이다. 검토 대상은 단행본 저서이다. 여기에는 하나의 주제 아래 여러 논문을 엮은 저서도 포함된다. 대상 저서에서 한국어에 대한 기술이 발견되면 이 기술의 바탕이 된 일차 자료나 논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추가하였다. 살펴본 단행본은 Typological Studies in Language 시리즈, Current Issues in Linguistic Theory 시리즈, Cambridge Studies in Linguistics 시리즈, Cambridge Textbooks in Linguistics 시리즈, Oxford Handbooks 시리즈다. 이 외에, 세계 언어를 문법적ㆍ구조적 속성에 따라 분류한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도 살펴보았다. 2장은 단어 형성, 3장은 수, 지시사, 대명사 등의 명사 범주, 4장은 격조사의 교체나 생략 및 화제/대조의 ‘은/는’ 등 조사를 다루었다. 5장은 시제와 상, 양태와 서법, 경어법과 부정 등 동사 범주를, 6장은 피동과 사동, 7장은 병렬 구성, 부사절, 명사절, 관계절 등 복문을 살펴보았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kinds of grammatical phenomena in Korean that have been mentioned in linguistic books published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and investigates how accurate the descriptions and explanations are. This work seeks to investigate whether the books give an exact explanation, and on which primary materials their descriptions are based. Our examination objects are primarily book series, not articles in academic journals. If the primary data in a book are those from other journals or thesis, we collect and add the descriptions from them. The book series we consider are the Typological Studies in Language series, the Current Issues in Linguistic Theory series, the Cambridge Studies in Linguistics series, the Cambridge textbooks in Linguistics series, and the Oxford Handbooks, which amounts to about 400 volumes, as well as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which is a database of structural (phonological, grammatical, lexical) properties of languages.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Ch2. word formation, Ch.3 nominal categories, Ch.4 case affixes and Topic marker, Ch5. verbal categories, Ch.6 passive and causative, and Ch.7 complex sentences.

      • KCI등재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채현우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미래교육학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가 영어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외에 영어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의 활용과 영어학업성취의 향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설문지 541부를 최종 분석하여 원어민영어보조교사의 영향과 과외학습 기간, 영어권국가 방문경험, 영어 흥미도, 영어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아버지 교육수준, 가정소득이 영어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원어민영어보조교사의 수업을 받는 학생들이 한국인 영어교사의 수업을 받는 학생들보다 기본과정인 Step 점수는 10.74점, 심화과정인 Jump 성적은 20.17점 더 낮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Step 성적에서는 가정의 경제적ㆍ사회적 배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Jump 성적은 아버지 교육수준과 가정 소득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영어권국가 방문경험은 Step 점수와 Jump 성적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aim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native speaker English teachers, SFS(Social Economic Status) and income of family, English efficacy and experience of English country. The Arnment, local self-governing bodies and schools have all invited native English speaker teachers since 1995. It is necessary to analyse the effectiveness of native English speaker teachers and how they effect on students' s English achievement at the elementary level.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tilized multi regression analysis in SPSS. This study utilized the results of 'Step & Jump', the English competency test used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tep & Jump assessed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competence. 'Step' is a basic standardized test and 'Jump' is an upper standardized test. A total score is assessed based on the sum of the listening and speaking score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ative English speaker teachers have negative effect on the Step & Jump scores. Students who have been taught by native English speaker teachers have 10.74 points lower in the Step test and 20.17 lower in the Jump test. Native English speaker teachers showed less effectiveness than Korean English teachers in the Step & Jump scor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qualified native English speaker teachers who have teaching certificates and skills. Second, paternal education levels and family income had positive affects on Jump scores but they did not effect Step scores. Jump is upper standardized test, therefore SES had a bigger influence on higher level English competence. This demonstrates that students who have lower economic status & family backgrounds need a compensatory English education program at on no financial cost. Third, Student English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Step & Jump scores. Therefore, students who have low English efficacy need to have their motivation and interest in English increased through positive reinforcement. Finally, experience visiting other countries that use English has a positive effect on Step & Jump scores. But there are other ways we can apply to public English education. An example of this is English town and English zone that create a situation where students can speak English.

      • KCI등재

        영어권에서 바라보는 한글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윤주옥 ( Ju Ok Yoon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科學 Vol.10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Anglophone researchers of different disciplines, such as linguistics, studies of writing systems, cultural studies, anthropology, enthnography, politics, have comprehended and discussed the Korean Alphabet Hangul since 2000. The importance and rationale of this paper can be reassured from the fact that preceding studies on this topic were pursued only until 2004. As a way to look at the background from which the 21st century discussions of Hangul may have evolved, I will summarize the perspectives of the four important scholars who appear to have led the discussions on Hangul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in the last two decades of the 20th century. They are Geoffrey Sampson, John DeFrancis, Florian Coulmas, and Ross King. My investigation about the 21st-century Anglophone studies on Hangul will start with introducing in brief scholars and their articles or books that deal with the Korean writing system from varied perspectives. Then, in the remainder of the essay, I will elaborate more in detail the ways that they describe the literate life of Koreans before the advent of Hangul, the creation of Hangul, the features of Hangul as a writing system, and the diffusion of Hangul. In general, it seems that the 21st-century discussions of Hangul by the English-speaking scholars succeed to the discussions of their predecessors.

      • KCI등재
      • KCI등재

        영어권,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 -모국어와 목표 언어 간의 음향 자질의 유사성과 한국어 경험의 효과 중심으로-

        류나영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어 교육 Vol.29 No.1

        This paper investigates how adult Mandarin- and English- speaking learners of Korean perceive Korean vowels, with focus on the effect of the first language (L1) and the second language (L2) acoustic relationship, as well as the influence of Korean language experience. For this study, native Mandarin and Canadian English speakers who have learned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s well as a control group of native Korean speakers, participated in two experiments. Experiment 1 was designed to examine acoustic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vowels, as well as Korean and Mandarin vowels to predict which Korean vowels are relatively easy, or difficult for L2 learners to perceive. Th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Klecka, 1980) based on their L1–L2 acoustic similarity predicted that L2 Mandarin learners would have perceptual difficulty rankings for Korean vowels as follows: (the easiest) /i, a, e/ >> /ɨ, ʌ, o, u/ (most difficult), whereas L2 English learners would have perceptual difficulty rankings for Korean vowels as follows: (the easiest) /i, a, e, ɨ, ʌ/ >> /o, u/ (most difficult). The goal of Experiment 2 was to test how accurately L2 Mandarin and English learners perceive Korean vowels /ɨ, ʌ, o, u/ which are considered to be difficult for L2 learners. The results of a mixed-effects logistic model revealed that English listeners showed higher identification accuracy for Korean vowels than Mandarin listeners, indicating that having a larger L1 vowel inventory than the L2 facilitates L2 vowel perception. However, both groups have the same ranking of Korean vowel perceptual difficulty: ɨ > ʌ > u > o. This finding indicates that adult learners of Korean can perceive the new vowel /ɨ/, which does not exist in their L1, more accurately than the vowel /o/, which is acoustically similar to vowels in their L1, suggesting that L2 learners are more likely to establish additional phonetic categories for new vowels.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experience with L2, it was found that identification accuracy increases as Korean language experience rises. In other words, the more experienced English and Mandarin learners of Korean are, the more likely they are to have better identification accuracy in Korean vowels than less experienced learners of Korean. Moreover, there is no interaction between L1 background and L2 experience, showing that identification accuracy of Korean vowels is higher as Korean language experience increases regardless of their L1 background. Overall, these findings of the two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acoustic similarity between L1 and L2 sounds using the LDA model can partially predict perceptual difficulty in L2 acquisition, indicating that other factors such as perceptual similarity between L1 and L2, the merge of Korean /o/ and /u/ may also influence their Korean vowel perception.

      • KCI등재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 번역 현황과 특성 연구

        장영미(Jang, Young-Mi) 돈암어문학회 2012 돈암어문학 Vol.- No.25

        오늘날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번역은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진 나라들이 상호 소통하는 데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번역을 통한 문학 교류는 한 나라의 문화를 다른 나라에 효과적으로 전파시키고 이해시킬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 되고 있다. 한국 아동문학 역시 해외 독자들에게 여러 언어로 번역 소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수입 도서에 비해 수출되는 도서는 극히 미비하다. 결국 한국 아동문학의 적극적인 수출을 위해,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로 번역된 현황과 특성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출발하였다. 그 결과 영어권의 경우 창작동화는 판타지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 그림책은 한국적인 문화와 정서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 번역되었다. 불어권은 ??고양이 학교??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창작동화 가운데 단연 두드러진 추세였다. ??고양이 학교??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다른 작품에도 관심을 끌게 되었고 이후 한국적인 풍습과 세계를 담고 있는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일어권은 이전에는 그림책에 관심을 보이다가 이후 차츰 창작동화에 관심을 보였다. 창작동화는 일본이라는 나라가 처한 환경적인 영향으로 어려움에 있는 주인공들이 역경을 이겨내고 성공하는 희망을 주제로 한 작품이 많이 번역되었다. 세 언어권을 중심으로 해외에 번역된 한국 아동문학은 한국적인 문화와 정서를 담은 것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한국에 수입되는 도서에 비하면, 수출되는 도서는 극히 미비하다. 따라서 보다 많은 작가의 다양한 작품들이 해외로 번역되는 것이 급선무이다. 하지만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명제에 빠져서 한국적인 것만을 주제로 한 작품 소개는 피해야 한다. 결국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 번역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고유성과 상대 국가의 취향을 고려한 번역이 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translation works as very important medium to help communication between countries which use different languages. Exchanges in literature via translation are becoming powerful measures to help disseminating and understanding one country"s culture to the other effectively. Korean"s juvenile literature also introduced many translated languages, but still imported books have taken up a lot of space compared to exported books. This thesis is started with the concept that we should study status and character of exported books first, for the more energetic exportation in Korean"s juvenile literature. Consequentl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 fantasy based created children"s books and picture books which reflect the Korean culture and spirit are translated. In Francophone countries, ??School for cats??gained sensational popularity with readers. It was definitely remarkable in exported created children"s book. Thank you for the popularity of ??School for cats??, Francophone countries are starting to get interest in Korean"s book. As a result many korean atmosphere books are translated. In Japan, they are interested in picture books at first, but started to get interest in created children"s books later. Because of their own environment, particular kind of books are translated which have a story of one character who gets through all the difficulties and finally has a successful life. Distinctively, exported Korean juvenile literature reflects Korean"s culture and spirit. But still, compared to imported books, the percentage of exported books is really inadequate. Thus it"s really urgent to translate the various writers’ diverse stories, but we should not be obsessed with the concept that we always have to write the story based on Korean culture. In the end, to get our books exported actively, we have to consider Korean characteristics identity and other country"s tas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