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후기와 동시대 일본의 연지화장의 양상에 대한 고찰

        김현정 ( Hyun Jung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7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후기와 동시대 일본(에도시대와 메이지 시대)의 연지화장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특징 등을 고찰하여 비교해 본 것이다. 연지를 한국에서는 연지로, 일본에서는 ``베니(紅)``라고 부른다. 연지화장에 있어 볼연지나 입술연지 등의 화장문화의 양상은 양국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볼과 입술에 하는 연지화장은 양국 다 진하게 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았으며 생기있게 보이도록 연하게 표현했다. 그러나 입술연지의 표현 방법에서 차이점이 보이는데, 우리나라와 다른 점이라면 일본에서는 작고 아담한 입이 아름답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원래 입술보다 작게 보이도록 연지로 입술모양을 그려서 칠했다는 점이다. 또 조선시대와 크게 다른 점은 바로 입술 색깔에 있다. 기본적으로는 진하지 않게 붉은 색으로 표현한다는 점에는 공통된 양상을 보이지만, 에도시대 대유행했던 ``사사이로베니(笹色紅)``처럼 입술이 풍뎅이 색처럼 초록빛의 금속광택이 나도록 했던 점 등은 조선시대 입술화장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와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하면, 눈가에 붉은 색을 넣는 일본의 화장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에도시대 유행했던 가부키 배우들의 화장법이 일반 여자들에게 유행하게 되어서, 눈가에 붉은 색 화장품을 발라 포인트를 주는 화장법으로 정착되게 된 것이다. 이런 화장법은 현대에도 일본의 전통화장법으로 그대로 남아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와 같은 화장법은 고대부터 존재한 적이 없어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에도시대부터 일본에서는 연지화장품도 가내수공업 이외에 브랜드명을 가지고 판매가 되는 화장품이 있었다는 점, 또 전통 연지화장 문화와 도구가 서양화장품으로 대체되는 시기가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빨랐다고 하는 점도 큰 차이점으로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I examined and compared the common features, differences, and distinctive features of the rouge makeup culture between the late of Chosun dynasty and contemporary Japan(the Edo Age and the Meiji Age). Rouge is called ``Yonji`` in Korea and ``Beni`` in Japan. The aspects of the makeup culture of rouge were almost alike between the two countries. People in both countries didn`t like to make up deeply in their cheeks and lips but made up lightly to look lively. However,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s in the expressing methods of roug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Japanese women used to make up their lips with rouge after drawing their lips smaller than their original lips because they thought the small and refined lips are more beautiful. Moreover, a wide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ies was the very color of lips. Basically there seemed a common aspect in the expression of lips with red color in both countries. But Japanese women used to make up their lips shined in green metal called ``Sasairo veni``. It`s color was like a goldbug. It was in great fashion in the Edo Age, but that kind of lip color was not seen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Furthermore, the wid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the Japanese rouge makeup around the eyes. The makeup method of Gabuki actors in the Edo Age was in fashion among the common women and settled down into the makeup method giving the point of making up around the eyes with red rouge. Although such a red rouge makeup around the eyes remains alive as the Japanese traditional makeup method in the present age, the makeup method of making up rouge around the eyes in Korea was never existed from the ancient times. This is a wid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We can see another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at the period of the traditional rouge makeup and the dressing cases replaced with the western cosmetics in Japan was much earlier than that in Korea.

      • KCI등재

        『영정모사도감의궤(影幀模寫都監儀軌)』에 나온 편연지 재현

        서예진,김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recreation of Pyeonyeonji indicated in Yeongjeongmosa-dogam Uigwe and presumption of dyeing used in Yeonji. This thesis conducted case study forthe title of the portrait of King Yeongjo and analyzed the use of Yeonji in the Red royal robe byfield study. There were restrictions in presuming the organic dye used in paintings due to lack ofresearch in the respective field. Inorganic dye used for painting the portrait of king can bemostly presumed, and the research has been already carried out. However, research on organicdye used in paintings is rare. There are limitations of the portable equipment, and today’sanalytical equipment is mostly for inorganic dye analysis. To overcome given limitations, thisthesis tried to look for the original color and type of Yeonji used on the title of Yeongjo’sportrait of king mentioned in Korean Old Documents by conducting optical and artificialacceleration degradation analysis. Research on organic dye was also conducted by recreatingPyeonyeonji used in Yeongjo’s portrait of king based on Yeongjeongmosa-dogam Uigwe. TheKorea old documents recorded carthamus tintorius, laccaic acid, cochineal and caesalpinia sappanas main materials used for Yeonji. Pyeonyeonji was created by dyeing red dye in cotton, anddried Yeonji was extracted from dried Pyeonyeonji which was used to compare colors. The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self-made samples of the yeonji were done in order to find theoriginal color of yeonji appeared in portrait of king Yeongjo. This research is anticipated tobecome a basic reference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dye, and selection of the material used forrestoration when applying conservation treatment to the red organic dyes such as Yeonji used inpaintings. 본 연구는 영정모사도감의궤(影幀模寫都監儀軌)에 나타는 편연지에 대한 재현과 연지에 사용된 염료의 분석 및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사례조사로서 영조어진 유물에서 연지의 사용으로 추정되는 곳을 현장조사를 통해분석 하였다. 회화에 사용된 유기염료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며 추정하는 것의 한계점을 보완하기위해 고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영조어진의 표제부분에서 보이는 연지(臙脂)의 광학적인 분석과 인공 가속열화를 실시하여 사용된 연지의 본래의 색상과 종류를 찾고자 하였다. 영정모사도감의궤(1901)를 통하여 영조어진에서 사용된 편연지(片臙脂)를 재현하여 어진에 사용된 유기염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문헌을 통한 연지에 사용된 대표적인 재료로 홍화, 락, 코치닐, 소목을 선정하여 목화솜에 적색염료를 염착시켜 편연지를 제작하였고, 건조된 편연지에서 다시 연지를 추출하여 색상을 비교하였다. 영조어진의 표제 부분의 연지 본래 색을 탐색하기 위해 직접 만든 연지의 시편들을 제작하여 비교 분석했다. Thin-layer chromatography(TLC)분석을 통하여 중국산편연지와 홍화, 락, 코치닐, 소목으로의 염액을 놓고 성분들을 이동한 정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어진제작 사용된편연지의 매염제에 대한 화학적인 분석연구가 진행된다면 다양한 적색 염료로 만들어진 색의 표준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회화에서 사용되는 연지와 같은 적색 유기염료의 유물보존처리시에 염료의 판별과 복원재료 선정에 표준데이터로써의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것에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조선왕릉 연지(蓮池)의 특성과 전형

        고승관 ( Seung Kwan Ko ),구본학 ( Bon Hak Koo ),최종회 ( Jong Hee Choi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조선왕릉 연지보존 및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로 고문헌(춘관통고, 광릉지)에 그 기록이 남아 있으며,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된 남양주 광릉, 효릉, 김포 장릉, 승릉의 연지를 대상으로 형태, 재료, 구조 및 공법, 식생적 특성 및 전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조선왕릉 연지형태는 평면적으로는 방지원도형 혹은 방지형이여, 크기는 가로 7.5~81m, 세로 6.5~45m, 섬의 직경은 8~16m, 수심은 0.5~1.2m, 단면은 연지의 밑부분은 좁고 윗부분으로 갈수록 넓은 형태로 조성되었다, 연지바닥은 진흙이 쓰인 것으로 볼 때 흙이 주재료이며, 연지의 구조 및 공법은 토축으로 들여쌓은 지안이 전형으로 보이며, 물의 입수와 배수는 암거수로를 통해 이루어 졌다. 연지식생은 현재 많은 수종이 재식되어 있으나, 문헌과 현황을 비교해 보았을 때, 연지 내부는 연꽃, 연지 주변은 소나무 · 전나무 · 기타 화훼류 그리고 섬 안은 소나무가 재식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궁궐 연지를 비교한 결과, 형태와 식생적인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장대석이라는 재료의 차이에 따라 그 구조 및 공법에도 차이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릉 연지의 특성을 분석하고 전형을 구명함으로써, 향후 조선왕릉 연지를 재현하는데 기본적 준거를 제공하였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form, material, structure, method of construction, vegetation) and model of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objects of study are the lotus pond of Namyangju Gwangreung, Hyoreung, Gimpo Jangreung and Sungreumg that are well-preserved and the record is remaining. The form is two plane types, square shaped include an island and square shaped. The pond is 7.5~81m in width and 6.5~45m in length and the island is 8~16m in diameter. The depth of water is 0.5~1.2m and the cross section form is narrow bottom and wide top. The material of shore protection is soil in Hyoreung, Gimpo Jangreung and Sungreung. The bottom is mud in all sites. I think that the main material of the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is soil. The lotus pond is built by soil bank in th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are worked through the culvert. There are many kinds of plants in the lotus pond today, however I think that the model of vegetation of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is lotus the inside, pine tree, fir tree and flowers the around and pine tree the inside of island in compared the present and the old literature. In comparison with the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and the lotus pond in the Joseon palace, the material is the biggest difference. The main material is soil in Royal Tombs but isodomic in Royal Palace. I think that the difference of material in between two causes the difference of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 Royal Tombs is valuable in architecture, landscape and esthetic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model of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I think that this study serves as a momentum to find a traditional technique in Royal water space and offer the foundation to plan in the contemporary water space.

      • KCI등재

        新羅 蓮池寺 鑄鐘佛事의 背景과 그 性格

        박용국(Park, Yong-guk) 신라사학회 2010 新羅史學報 Vol.0 No.20

        이 글은 蓮池寺 鑄鐘佛事의 背景과 性格을 구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아울러 연지사종 鑄成의 지역사적 의미를 담아내고자 했다. 833년에 주성된 연지사종은 1593년에 7월 倭軍에 의해 일본으로 약탈되었다. 그동안 연지사종은 진주지역의 인간들에게 사회ㆍ문화ㆍ정치적 경험을 공유하게 하였던 문화유산이었다. 연지사는 중앙지배층에 의해서 불교 통제의 중심 사찰이자 지방지배의 중심 사찰로서 일정하게 활용되었으며, 거기에서 행해진 주종불사도 그와 관련이 깊은 정치ㆍ사회적 목적에서 나왔던 것으로 정치적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菁州 州治의 在地勢力은 연지사의 주종불사를 주도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청주 주치는 金憲昌의 반란에 가담하였던 곳이고, 연지사도 僧官制 관련 사찰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國人이 마음대로 財貨와 田地를 佛寺에 施主하는 것을 금지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지사의 주종불사는 국가가 주도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실제 물적 제공은 청주 재지세력(향촌주 등)과 그들 지배하의 공동체(州治)가 자발성을 가장한 施主의 형태였다. 주종불사의 비용은 청주 주치에서 나왔으며, 이를 실제 주도했던 세력은 검헌창의 난 이후 세력을 유지한 族團으로서 나말여초 진주지역의 호족세력으로 성장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making the Cheongju(菁州) Yeonjisajong(蓮池寺鐘),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e local community. It has come to the conclusion as below. Yeonjisajong was made in 833, and plundered to Japan in July 1593 by the Japanese army. During the time, the Yeongjisajong had been the cultural as sets that led the local residents to shar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xperiences. In addition, Yeonjisajong is the clue to under stand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the local powers during the end of Silla and the beginning of Goryeo. Jujongbulsa(鑄鐘佛事) of Yeonjisa is significant when Cheongju, its background, is considered in the aspect of Juchi(州治). Yeonjisa Jujongbulsa can be the clue to understand the local residents in terms of the changes by opportunities and their continuity. In the macroscopic view, the communality, which was reformed in the end of Silla and the beginning of Goryeo, lasted until the 15thcentury. Jujongbulsa was politically plotted in order to reunite the local powers and the local residents, which were shifted by the Kim Hun-chang`s Riot, under the central power through religious manifestation, which could be the most noble cause. However, the supply of materials was provided by Hyangchonju(鄕村主) and Chachonju(次村主) pretending that it was a voluntary act.

      • KCI등재

        조선왕릉 연지 발굴조사 내용과 방법 - 여주 영릉(英陵)과 영릉(寧陵) 유적을 중심으로 -

        강평원,이광준,김현수 한국문화유산협회 2021 야외고고학 Vol.- No.41

        조선왕릉은 일제강점기와 1960~70년대 실시된 성역화 사업을 거치며 그 원형이 훼손되거나 멸실된 경우가 많다. 2009년, 세계유산으로 선정된 전후로 능제 복원사업과 관련한 조사 및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으나, 주로 능제 복원을 위한 건축, 석조미술, 입지 및 공간 구성 등의 건축학, 미술사학, 조경학 관련 연구에 집중되어있는 실정이다. 유적의 진정성 있는 복원을 위해서는 발굴조사를 통한 원형 고증(고고학적 연구성과)이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함은 자명한 일이다. 본 글에서는 여주 영릉(英陵)과 영릉(寧陵) 유적 발굴조사를 중심으로 조선왕릉 연지 발굴조사 내용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고문헌의 기록과 현존하고 있는 연지의 현황에 대하여 파악하고, 기왕에 발굴조사된 화성 만년제 유적과 구리 동구릉(숭릉) 연지의 성과를 정리해보고 이번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연지의 원위치와 형태, 벽석 구성방식 등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또한, 능제 복원설계의 기초자료로 사용된 옛 물길(수계)를 추정 연구(고지도 / 舊 지형도및 지적도 / 과거 항공사진 등의 자료를 수집·분석)와 연지의 자연과학적분석 연구(퇴적환경 및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등)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고, 조선왕릉 연지 발굴조사의 기존 방법(토층조사, 트렌치조사 및 전면 발굴(노출)조사 등) 외에 사전(문헌)조사, 현장조사, 자연과학적 분석,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콘텐츠 마련 등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향후 지속될 조선왕릉 정비사업에 앞서 적극적인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원형 고증의 기초자료가 축적되어야 할 것이고, 다양한 분야의 학제간 연구가 함께 진행되어 더 발전된 능제 복원사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were often damaged or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sanctification projects conducted in the 1960s and 1970s. In 2009, research on the restoration of Neungje continued before and after being selected as a World Heritage Site, but it is focused on architecture, art history, and landscape studies such as architecture, stone art, location and space composition for the restoration of Neungje. It’s clear that archeological historical evidence(archaeological research result) through excavation must be supported for the sincere restoration of the remains.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research method of the Royal Tomb of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excavation of Yeongneung and Nyeongneung ruins in Yeoju. First of all, the records of ancient documents and the current status of existing lounges were identifi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the results of the Hwaseong ice cap and Guri Donggurung Loung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an estimation study of the old waterway (water system)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restoration of the tomb(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such as an old map / old topographic map and cadastral map / past aerial photographs) and a natural scientific analysis study(depositional environment and radiocarbon dating, etc.) will be introduced. Prior to the ongoing renovation of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we hope that the basic data of archetypes will be accumulated, and that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various fields will be carried out together to further develop the Neungje Restoration Project.

      • KCI등재

        창녕 화왕산성 蓮池 출토 木簡

        박성천(朴成天),김시환(金始桓) 한국목간학회 2009 목간과 문자 Vol.4 No.-

        창녕 화왕산 정상부의 남동쪽 계곡부에 위치하는 통일신라시대 蓮池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내부에서 토기류, 금속류, 목제품 그리고 목간 유물이 출토되었다. 목간은 총 7점이며, 이 중 묵서가 확인된 것은 4점이다. 이들 출토 목간의 성격을 밝혀 보기 위해 목간을 하나의 유물로서 관찰하고, 목간 묵서에 대한 예비적 검토를 실시하였고, 공반된 유물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목간은 출토양상과 외형적인 특징으로 보아 주술적인 행위가 이루어졌고, 묵서의 내용 역시 이와 관련된 기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목간과 함께 출토된 통일신라시대의 토기류와 각종 철제류, 청동류 등 공반유물은 출토양상으로 보아 개별 유물 자체로서의 의미보다는 연지를 대상으로 어떠한 형태의 의식적인 제의가 이루어진 과정에 소용되는 물건(유물)이면서, 동시에 그 결과로서 연지를 향해 투기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연지에서 출토된 목간 중 목간 2와 4에 ‘龍’ 과 ‘龍王’ 명이 묵서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연지라는 공간을 이용하여 祈雨祭가 이루어진 것으로 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고대사회의 가뭄 해결은 국가 통치에 있어 중요 사안이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며 삼국사기의 기록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즉 진평왕 50년인 7세기 전반에 기우제에 龍을 사용했다고 처음으로 나오며, 이후 8세기 초와 9세기 초에 물이 있는 연못과 산과 강에서 기우제를 지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로 보아 기우제와 관련하여 용과 물의 관련성은 아주 밀접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주목되는 기사는 헌덕왕 9년(817) 기사로, 가뭄이 들자 산천에 두루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는 내용이다. 여기에서 화왕산성 연지는 주변 지역을 포괄하는 행정 중심지인 창녕의 진산인 화왕산성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점, 그리고 연지 내에서 ‘龍王’이 묵서된 목간과 공공적인 성격이 강한 공반유물이 함께 출토되는 점을 통해서 볼 때, 통일신라시대에 자연재해인 가뭄 해소를 위한 기우제가 국가기관의 주관 하에 지역단위별 행정중심지의 산천에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을 바탕으로 해당 지역단위를 아우르는 가장 높은 해발 757m의 화왕산 정상부에 설치된 대규모 연지의 축조 배경에 대한 궁금점을 해소함에 있어 하나의 실마리를 확보한 것이 아닌가 한다. 특히 이러한 점이 고고학적인 발굴을 통해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 연지동자문(蓮枝童子文)에 대한 고찰(考察)

        차윤정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9 No.2

        연지동자문(蓮枝童子文)은 나체 혹은 피복(被服)의 어린이가 연꽃가지를 들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회화적인 문양이다. 연지동자문의 성립은 중국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수당대에 서역에서 들어온 나체 동자의 형상이 중국의 전통적인 의 남(宜男) 풍속과 결합하여 연이어 튼튼한 아들을 얻는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길상 문양으로 성립되었던 것이다. 연지동자 문양이 도자기와 금속기를 비롯한 공예품의 장식 문양으로서 일반화 된 것은 송대이며, 이후에도 길상 문양으로 널리 애호되었다. 연지동자 형상의 인 형은 ‘마후라(摩睺羅)’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칠석(七夕)의 ‘화생(化生)’ 또는 의남 (宜男) 기원 도구로서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연지동자 도상이 칠석 풍습과는 관련 없이 금속 공예품과 도자 기 등의 장식 문양으로서만 이용되었다. 특히 연지동자문은 고려시대의 공예품에 서만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고려 특유의 시대적인 문양으로서, 고려의 공예품 문양 의 성격을 이해하는 한 단서가 된다. There is a pictorial pattern that depicts a naked or dressed boy holding lotus branches. The pattern was formed in China. It was the result that the naked boy motif originated from Central Asia united with a traditional chinese custom wishing for male offspring. The pattern means ‘having healthy sons successively.' The pattern ‘boy holding lotus branches' has been popular in the decoration of ceramics and metal objects since Song period. And the figure in the shape of boy holding lotus branches used for the cult of wishing for male offspring on the festival of Qixi(七夕), the seventh evening of the seventh lunar month. In Korea, the motif ‘boy holding lotus branches' appeared only as the pattern of the crafted products like ceramics and metal objects. Especially It was widely liked in Koryeo period. So the pattern become the clue to understand the crafted works of Koryeo period.

      • KCI등재

        地論宗南道派의 阿梨耶識이해에 대한 일 고찰 眞智․緣智와 二障說을 중심으로

        석길암(Gilahm Seok)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地論宗의 阿梨耶識에 대한 이해는 불투명한 점이 적지 않다. 직접적인 자료도 거의 남아있지 않고, 남아있는 자료 안에서도 아리야식에 대한 이해가 통일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지론종 남도파에서 사용한 몇몇 중요한 개념들의 분석을 통해 이와 같이 불분명한 지론종의 아리야식관에 대한 이해를 좀더 심화시켜보고자 한 것이다. 필자는 통설의 관점에서 말하는 것과 같은 지론종 남도파와 북도파의 대립은, 菩提流支와 勒那摩提의 직접적인 대립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또한 지론종 남도파의 설로 간주되는 眞修·緣修, 自體因果·異體因果및 慧遠(523-592)의 『十地義記』에 나타나는 有爲緣集·無爲緣集·自體緣集등의 개념분화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사태에 대한 다른 해석의 竝存가능성에서 비롯된 것이고, 그 분기점은 菩提流支가 번역한 『十地經論』과 『入楞伽經』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곧 보리유지 이후, 이해의 층차에 따라 남도파와 북도파의 설이 달라진 것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 논문은 지론종 남도파의 주요 개념인 眞智ㆍ緣智의 용례와 정영사 혜원이 제시한 隱現의 二障說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지론종 남도파의 아리야식 개념을 역으로 추적한 것이다. 검토의 결과, 논자의 생각으로는, 지론종 남도파는 보리유지의 번역 경론에서 비롯되는 空理(眞如佛性)로서의 제8아리야식과 종자식으로서의 제7아리야식이라는 구조를 끝까지 견지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그러한 생각이 八識眞智ㆍ七識緣智/八識眞修․七識緣修라고 하는 개념태를 배태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 같은 사유체계는 혜원이 『섭론』과 『대승기신론』의 설을지론종의 식설에 도입하여 제8식을 진망화합식으로 설정하면서 변화를 겪게 된다. 하지만 혜원의 「팔식의(八識義)」와 『대승기신론의소』에 나타나는 식설들을 진지ㆍ연지의 개념 그리고 隱現의 이장설 등을 중심으로 검토해보면, 새로운 식설로서 재정리된 것이 아니라 혼재의 상태로 남아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곧 혜원은 지론종 남도파 전통의 식설과 섭론과 기신론의 영향을 받은 식설들을 혼재시키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혜원은 「팔식의」에서는 『섭론』과 『기신론』의 식설을 수용하지만, 그것이 이장설에까지 수용되고 있지는 않다. 혜원이 제시한 隱現의 이장설은 단순히 七識緣智와 八識眞智라는 지론종 남도파의 전통적인 이해의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이다. 혜원에게 보이는 이와 같은 아리야식 개념의 혼재는, 이후에 등장하는 섭론학파-지론종 남도파의 변신인-의 다양한 식설로 전개되는 계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The understanding of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is unclear in many points. There are few extant direct sources, which is even not unified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alaya consciousness. This article purports to clarify their understanding of the alaya consciousness through the analysis of a few important concepts used in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I think that the ordinary view abou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outhern Branch and the Northern Branch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actual confrontation between Pudhiliuzhi and Leinamadi. In addition, I think that the conceptual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rue practice and the conditional practice and between the substantial causality and the variant causality and among the active conditional collection and the inactive conditional collection and the substantive conditional collection in the Huiyuan(523‐592)’s Commentary on the Significance of the Ten Grounds [十地義記], which have been considered to belong to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might have basically originated from the probability of the coexistence of various interpretations on a single event, the diverging point appearing in the Commentary on the Sutra of Ten Grounds [十地經論] and the Sutra on (the Buddha's) Entering (the Country of) Lanka [入楞伽經] both translated by Pudhiliuzhi. In other words, After Pudhiliuzhi, the theories of the Southern Branch and the Northern Branch might have been diverg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ir interpretations. This article traces back the concept of alaya consciousness of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sage of its main concepts of true knowing and conditional knowing and the theory of the two hindrances of the hidden and the disclosed suggested by Huiyuan at the Jinyingsi Temple. After the analysis, I came to think that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continued to adhere to the structure of the eighth alaya consciousness as the principle of the emptiness (the true Buddha nature) and the seventh alaya consciousness as the consciousness of the seed, which had originated from Pudhiliuzhi’s translations of sutras and shastras. The concepts of true knowing at the eighth consciousness and conditional knowing at the seventh consciousness and the true practice at the eighth consciousness and the conditional consciousness at the seventh consciousness might also have originated from such thoughts. This system of thought undergoes changes as Huiyuan comes to consider the eighth consciousness as the consciousness of the combination of the true and the false, introducing the theories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nd the Mahayana Samgraha into the theory of consciousness in the Dilun School. After the analysis of Huiyuan’s Significance of the Eighth Consciousness and Commentary on the Significance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in their theories of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concepts of true knowing and conditional knowing and the theory of the hindrances of the hidden and the disclosed, however, they are ascertained not to have been rearranged according to a new theory of consciousness but to have remained in a mixed state. That is, Huiyuan is in a mixed state between the theory of consciousness in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and the theories influenced by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nd the Mahayana Samgraha. In the Significance of the Eighth Consciousness, Huiyuan accepts the theory of consciousness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nd the Mahayana Samgraha, though this does not expand to the theory of two hindrances. Huiyuan’s suggestion in the theory of two hindrances of the hidden and the disclosed is simply within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in the seventh conditional knowing and the eighth true knowing.

      • 경남학 : 연지사(蓮池寺)터의 위치 추정

        김준형 ( Jun Hyeong Kim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0 慶南文化硏究 Vol.31 No.-

        일본 후쿠이현(福井縣) 쓰루가시(敦賀市) 죠구(常宮)神社의 한 창고에 보관 되어 있는 蓮池寺鍾은 우리나라의 종이라는 것은 일본 현지에서도 인정되고 있지만, 연지사가 구체적으로 어느 지점에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은 시원하게 풀리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된 문헌상의 기록이나 명문(銘文)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종의 명문에 나오는 ‘청주(菁州)’라는 지역 명칭으로 미루어, 사찰이 진주(晉州) 부근의 어디에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되기는 하지만, 연지사가 위치했던 구체적 지점은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지사의 위치를 밝히는 데는 간접적인 추적 방법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필자는 우선 ‘연지사’라는 사찰 이름에서 이 사찰이 연못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보아, 사찰 근처에 연못이 있는 곳을 추적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동시에 연지사종 명문 앞에 붙어 있는 ‘청주’라는 지역의 의미를 분석하여 연지사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을 추정하였다. 연지사가 있었던 곳으로 추정될 수 있는 지점은 여러 곳이 있지만, 필자는 이들을 살펴보면서 최종적으로 이 사찰이 진주 시가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연못의 위치나 문헌 자료를 토대로 검토해 보면, 이 사찰은 진주 시가지 내에서도 진주의료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The Yonjisa Bell(蓮池寺鍾) kept in Thurugashi Jokusinsa(敦賀市常宮神社) in Hugui hyun(福井縣), Japan, is recognized as Korean bell in Japan, but where Yonjisa was has been a mystery. It`s because the literature in books or document relic on stones or metals related to it has not been discovered yet. Guessing from the name of the location, ‘Chungju(菁州)’ in documents written in the Bell, the location of the temple might have been in the area of Jinju(晉州), but the specific location where Yonjisa was has not been found yet. Therefore, indirect tracing method was required to discover the location of Yonjisa. I used the method to trace the place where there was a pond around the temple. At the same time, analyzing the meaning of ‘Chungju’ written in the front of the document in the Bell, I guessed the possible place where Yonjisa might have been. There are several points guessed as the place where Yonjisa might have been, but I finally assumed Yonjisa might have been in the area of Jinju, investigating these places. Examining the location of the pond or literatures, the temple must have been around JInju Medical center in the downtown of Jinsu.

      • KCI등재

        연지급 신용장의 상환청구권에 대한 영·미법원 판결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UCP500과 UCP600을 중심으로 -

        이대우,김종락 한국중재학회 2012 중재연구 Vol.22 No.3

        본 논문은 연지급신용자의 만기 전 할인지급이나 매입에 의한 지급에 의한 상환청구권과 관련하여 영국과 미국법원의 판결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한 논문이다. 연지급신용장에 의하여 연지급확약서가 발급 된 후 선적서류의 할인 또는 매입이 행해진 경우 그 만기일 전에 신용장거래의 사기사실이 밝혀진다면 지정은행의 연지급은행에 대한 상환청구권에 대해서 연지급은행이 지급거절을 할 수 있느냐에 대한 판결이었다. 우선 영국법원에서는 UCP500과 영국의 형평법에 근거하여 지급거절할 수 있다고 판결하였고, 미국법원에서는 UCP600과 미국의 UCC에 근거하여 연지급은행이 연지급확약서를 발급한 이상 지정은행의 상환청구권을 거절할 수 없다고 판결 하였다. 이 두 판결은 연지급신용장의 만기 전 할인 또는 매입가능성의 문제와 연지급은행의 사기거래에 의한 방위권 행사가능성 유무의 문제로서 국내외 학계에서도 많은 논쟁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지급신용장의 영국법원과 미국법원의 두 판결을 상호 비교 분석하고 그 판결이유와 근거에 대해서 검토함으로서 향후 연지급신용장의 거래의 활성화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대응방침을 제시해보기로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